Skip to content

GuitarMania

한국어
(*.99.30.63) 조회 수 3268 댓글 13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의 한 커뮤니티에서 퍼왔씁니다(섬뜩한글)


중국의 고구려 역사왜곡이 국내언론의 관심을 받기 전인 작년에,
나는 리앙 첸 교수의 동북 아시아 근대 정치사 라는 과목을 수강한 적이 있었다.
학사과목이긴 했지만, 유학중이던 당시 한국과는 전혀 다른 중국의 만주
역사관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사실상 중국의 정치역사학의 중심이자
가장 보수적인 동시에 중앙정부의 학술지원의 방향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북경대였기 때문에 호기심이 동해 수강한 것이다.
리앙 친은 정부의 학술 고문을 지내고 있는 저명한 정치학과 교수로,
역사학 석학위도 가지고 있고, 현재 중국학계의 고구려 역사왜곡을
주도하고 있는 교수다. 당시 그 과목의 수강 인원은 약 30명정도였는데
한국인은 나 혼자였다.

아마 학기 중간쯤인가? 일제의 만주국 건설에 대한 부분을 다루면서,
마침 만주사에 대한 한국과 중국 정부의 시각차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었다.
리앙 첸 교수는 그때 한국과 중국의 만주 역사관의 차이를 이야기하며,
"이것은 과거가 아닌 미래에 관한 문제이며, 만주가 아닌 북한에 관한 문제다"
라고 말했다. 그리고 매우 충격적인 이야기를 했다. 아마 그는 한국인인
내가 그 과목을 수강하고 있다고는 생각하지 못한 듯 했다.

사실 과거에 만주에 어떤 나라가 있었든, 현재 만주지역이 중국의 영토임은
논란의 여지가 없는 부분이다. 중국으로서 만주 변방 영토의 역사를
자국 역사로 편입시키는 데는 그러므로 어떤 실익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도
할 수 있는데, 현재 중국학계에서 보여지는 만주 역사관의 대대적 재규정의
움직임은, 향후 발생할 북한 영토의 주권 문제를 고려한 정부의 개입으로
야기된 것이라는 것이다.

리앙 친은 북한은 길어야 10년 이상 존속할 수 없을 것이며,
아마 군부 내의 쿠데타가 일어날 것이 거의 확실해보인다고 말했다.
또한 현재의 김정일 라인을 제외한 군 수뇌부의 인물들이 모두 친중파인데다
쿠데타의 중심에 누가 있건, 반란 주도세력은 남한의 군사적 움직임에대항해
독립한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 중국의 군사력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중국정부에서는 이 상황에서 혁명세력 정권을 인정하고 군사적인 지원을
하면서, 북한지역을 북방 자치성들과 군사 연방화하고, 장기적으로는 북한 지역을
중국의 지방정권화하는 가능성을 심각히 고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때 중국 정부로서 가장 부담되는 것은 남한과의 영토 분쟁이다.
상황 발생시 북한에 대한 남한 측과의 영토 분쟁은 거의 피할 수 없는 것인데,
북한과 남한의 역사적 동일성이 너무 커서 영토분쟁에 대한 국제
여론을 기대할 수도 없을 뿐 더러, 국제재판에 회부될 경우 거의
확실히 중국이 패소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중국 정부는 향후 가능한 북한에 대한 사실적 군사 지배를
국제재판에서의 승리로 이끌 장기적인 전략을 구상중이라고 한다.
국제 재판에서 영토를 인정하기 위해서는 영토임을 주장하는 국가가
다음 세가지를 입증해야 한다.

1. 영토의 사실적 점유
2. 영토의 역사적 점유
3. 영토 점유의 계속성과 정당성

1번같은 경우, 쿠데타 후 군사적 지원과 군사연방화를 통해 북한에
대한 중국의 사실적 점유는 충족될 수 있다. 그리고 국제재판
회부 이전까지 30년 정도 이 연방을 물리적으로 유지할 경우
영토의 사실적 점유는 국제 사법상 인정 가능한 요건으로 성립한다.

3번 같은 경우, 정당성에 관해서는 북한 혁명정부를 통해
북한 영토를 인수 받으며 만족될 수 있다.

문제가 되는 것은 2번 영토의 역사적 점유와 3번 영토점유의 계속성이다.
중국은 북한 지역을 역사적으로 점유한 례가 없고, 그러므로 당연히
영토 점유의 계속성을 주장할 수도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중국이 북한이 자국 영토임을 주장할 수 있는 방법은?

그렇다. 만주지역에 세워진 조선족 국가들을 자국 역사에 편입함으로써,
영토의 역사적 점유를 충족시키고, 그것을 사실상의 점유와 연관시켜
계속적 점유까지 충족시키는 것이다. 리앙 첸은 현재 중앙정부는
그러한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학계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그는 "만주 역사는 과거 사실의 문제가 아닌 미래의
이익의 문제다. 너희는 그것을 학술적으로 접근할 필요도 없고,
한국과 논리적인 토론에 말려들어가서도 안된다. 이것은 정치의
문제이고 너희는 정치를 배우고 있음을 명심해라"고 말했다...

첸교수의 마지막 한마디가 잊혀지지 않는다.
너희가 관심을 갖고 열심히 한다면, 30년후 중국 땅은 남한 바로 위까지
더 넓어져 있을 거라고....

당시는 첸 교수가 미쳤다고 생각했지만, 현재 중국학계의 움직임을
보면 그때 그가 말한 것이 사실임을 의심할 수가 없다.
왜 국내 언론에선 이런 이야기가 다뤄지지 않는지, 중국의
국가기밀을 정부 학술고문인 교수아래 수강하던 내가 우연히
들은 건지, 요즘 뉴스를 보다보면 정말 심란하다...


Comment '13'
  • 오모씨 2004.08.16 15:23 (*.59.195.84)
    조류같은 중국넘들 ㅡ,.ㅡ^
  • 차차 2004.08.16 15:29 (*.88.39.151)
    중국넘들도 나쁘지만 더 용서가 안되는건 남북한 정치가들이져..
    지금 상황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도 모르고 정치공방만 하고 있는..
  • 망고레 2004.08.16 17:35 (*.61.127.181)
    죽일 놈들....아 정말 답답하네요...어떻게 시원한 해결방안 없을까요...
  • 토토 2004.08.16 20:53 (*.210.231.110)
    글이 작문일지도 모른다는 얘기도 나돕니다만, 설사 가상의 상황이라고해도 핵심을 찌르는 내용이라는 생각입니다. 해결방안은 저 넘들이 이성을 찾든지(거의 불가능할 것 같네요.), 우리가 강해지든지.. ;; 둘밖에 없을 것 같네요.
    우리 조상들은 항상 위와 아래서 치받아오는 적들로 항상 피곤해했으리라는게 이젠 피부로 느껴지네요.
    구한말상황과 별로 다를 바가 없어보여요. 새로운 조선책략이라도 누가 써주면..
  • 저녁하늘 2004.08.16 21:32 (*.243.227.65)
    우리 정부가 간도협약(중-일 간 협약)의 무효를 적극적으로 주장하고,
    나아가 구한말 국경선을 주장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백두산 포함된 훨 넓은 지역이었는데
    구한말에 차례차례 넘어간 거거든요.
    강수를 써야 한다고 봐요...
    맘 같아선 아주 초강수를 써서 만주까지 다 우리 땅임을 주장하고 싶어요~!
  • 저녁하늘 2004.08.16 21:33 (*.243.227.65)
    근데 간도협약의 무효 주장은 합법적인 부분이 틀림없이 있을 거예요...
    아직 조사는 안 해 봤는데... 아마 지금 정부가 하고 있을 듯.
  • 차차 2004.08.16 21:57 (*.88.39.151)
    북경대학교에 "정치학과"도 없구요... "석학"이라는 학위도 없구요.. 지금 찾아본결과..
    가장 관련있어보이는 "국제관계학원"의 60여명의 교수님중에 핵심인물이라는 리양 천(liang chen)
    의 이름도 찾을수 없었습니다...
    혹시나해서 "정부관리학원"의 교수명단도 봤는데 비슷한 이름조차 없더라구요..

    94.3% 의 가능성으로 작문임이 확실합니다..
  • 저녁하늘 2004.08.16 22:01 (*.243.227.65)
    ㅋㅋ 난 그럴 줄 알고 본문 안 읽었는데^^ㅋ
    전 뉴스만 봐요, 원래^^ㅋ 인간이 속구만 살아서 의심이 많아서리...-_-"
  • 토토 2004.08.16 22:11 (*.54.33.40)
    아직 연합뉴스에조차 사실확인 중이라고 나오는데.. 기타 매니아에 들어오니깐. 바로 사실확인이 되네요.
    ㅎㅎ 국제적인 사이트
    근데,, 개인적으로는 저번에 산께이신문에.. 인민해방군이 압록강 도하훈련을 했다는 기사도 봐서 그런지 긴장이 더 됐던 것 같아요(걔들은 홍수방지 훈련이라고 주장했지만).. 기사는 가상상황이더라도 중국이 극단적으로 갈 때 선택가능한 시나리오 중의 한가지겠지요. 어쨌든 신조선책략이 필요한 시기인 것 같습니다.
  • thilbong 2004.08.16 22:41 (*.117.183.182)
    http://www.ifp.pku.edu.cn/index_en.htm 여기 가 보시면 북경대 외국철학연구소의 교수로 리안 쳉 분명히 있는데요. 정치철학도 가르치네요.
  • 차차 2004.08.17 00:28 (*.88.39.151)
    허거거... ㅡ.ㅡ;;

    청 리엔(程煉)교수님은 저희반 담임선생님 이세요... 술도 쎄고 무지 호탕하신분이죠..ㅋㅋ
    그분 수업은 들어보지 않았지만..
    저희 철학과에서 동북아정치사같은 과목은 학사과정은 물론 연구생과정으로도 개설한적이 없습니다..
    청 리엔선생님이 무슨 정치고문이라는것도 금시초문이구요...
    윗글의 정치학과 교수라는 리앙 첸 이라는 인물이 우리 담임선생님일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봅니다..

  • 저녁하늘 2004.08.17 00:43 (*.243.227.65)
    오홋~ 세상 참 좁네~~ >_<
  • 야마싯따 2004.08.17 09:09 (*.84.203.254)
    나중에 술한잔 드리면서 함 물어봐요. -_-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규입점자 신년이벤트) 기타매니아 홈 메인광고 받습니다(배너제작 가능) 23년 1월 31일까지 file 뮤직토피아 2023.01.19 58276
공지 [공지] 파일 첨부기능에 문제가 있었습니다.. 개선완료.. 뮤직토피아-개발부 2021.02.17 71404
공지 "댓글" 작성시 주의부탁드립니다. 3 뮤직토피아 2020.03.09 86907
공지 "기타메니아" 문자/로고 사용에 관한 건 뮤직토피아 2020.02.14 78636
공지 [필독 공지] 연주회 소식을 메인에 노출을 했습니다. 2 뮤직토피아-개발부 2019.11.02 83285
5161 식지 않은 열정 - 토레스 오비 서울지역님들..^^ 5 file 오모씨 2004.08.23 2783
5160 기타매니아와 다른시각의 기타사이트가 필요합니다. 9 이문세 2004.08.21 2802
5159 떠나신 분들께... 5 niceplace 2004.08.21 2779
5158 기타매니아 운영진을 모집합니다. 3 2004.08.21 2725
5157 기타와 여자친구의 관계가 궁금해요 153 딴따랄라~! 2004.08.20 8503
5156 [re] 기타와 여자친구의 관계 2 2 niceplace 2004.08.24 2829
5155 기타매니아는 "순수아마추어동호회" 라고 규정할 수 없답니다. 34 2004.08.20 3738
5154 소리의 뼈. (퍼온글) 2 2004.08.20 3654
5153 우리의 매냐친구 조앙과 더글러스!!!! 5 아이모레스 2004.08.20 2689
5152 [re] 지난번 조앙 더글러스 콩쿨 후기를 결과와 비교하시라구 다시 올립니당......^^ 아이모레스 2004.08.20 2977
5151 섹시한 너! 16 2004.08.19 3235
5150 넥이 휘었더니 기타 소리가 변하네요.. 7 2004.08.19 3009
5149 저기 신촌이나 홍대입구근방에 기타 배울만한 곳 있나요?^^ 믿음나무 2004.08.19 3067
5148 윈도우 미디어 검색에서 기타매니아가.. citara 2004.08.19 2934
5147 기타음악감상실에 러쎌에 관한 토론이 뜨겁네요. 엄마 2004.08.19 3306
5146 열린기타클래스가 몇일 남지 않았습니다.(8.24.화) pima12 2004.08.18 2609
5145 부산.경남 지역 단체레슨 프로그램 '열린기타클래스' 소식입니다. pima12 2004.08.18 3165
5144 한국예술종합학교와 하는 즐거운 토요일 클래식 기타 합주반 모집~^^ 덜렁이 2004.08.18 3158
5143 성민님...실망했어요....ㅜ..ㅡ;; 6 망고레 2004.08.18 2939
5142 부탁드립니다.. 한민이 2004.08.17 3141
5141 드뎌!!!!!! 8 조씨 2004.08.17 2724
5140 혹시 기타음악감상실 업로드가 제한되어있나요? 10 새장속의친구 2004.08.16 3294
» 북경대 정치학과 교수의 강의 13 아리랑 2004.08.16 3268
5138 요즘 나도는 지도라네요. 10 file 토토 2004.08.16 3413
5137 제홈 게시판을 새로 만들었습니다. 2 고정석 2004.08.16 2928
5136 김명표님의 "민요 주제에 의한 3장" 까마구 2004.08.16 3224
5135 윈도우2000용 앙코르 악보자료실에 올려놨습니다. 7 삐약이 2004.08.15 3242
5134 악보정리에 대해 조언부탁드려요. 2 2004.08.15 2944
5133 몇일 더운여름 녹였던 뜨거운글들을 모두 토론실로 옮겼습니다. 2004.08.15 2748
5132 창원에서 1 joy 2004.08.15 3058
Board Pagination ‹ Prev 1 ...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 573 Next ›
/ 57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