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03.08.27 14:15

.

.
(*.190.147.251) 조회 수 5614 댓글 37
.
Comment '37'
  • 2003.08.27 15:09 (*.84.145.216)
    조선민족은 세계에서도 매우 느린음악 느린미학에 최정상에 있던 민족이라는겁니다.
  • 2003.08.27 15:10 (*.84.145.216)
    아시다시피 느린악장을 맛있게 연주할줄 알면 대가라고 하거든요.
  • 2003.08.27 15:10 (*.84.145.216)
    왜 그러겠어요... 느리면 모든게 구체적으로 훤히 다 보이거든요...
  • 2003.08.27 15:11 (*.84.145.216)
    빠르게 연주하는것은 심지어 초보자도 맹연습으로 할수있어요.
  • 2003.08.27 15:11 (*.84.145.216)
    하지만 느린연주는 맹연습으로 할수있는게 아니고 혼(영혼)으로만 할수있는거죠.
  • 2003.08.27 15:12 (*.84.145.216)
    소리를 꼭꼭 씹어 즐기는 민족이 바로 조선민족이었다는거 아닙니까?
  • 2003.08.27 15:12 (*.84.145.216)
    그런 수천년전통을 다시 잊지않고 살릴수만 있다면 미래기타계는 조선연주자가 새 중심이 되겠죠.
  • 2003.08.27 15:13 (*.84.145.216)
    현재는 그런 민족의 전통을 생각지도 않고 맹연습만 해요...
  • 2003.08.27 15:13 (*.84.145.216)
    그러니 서양을 모방하는 수준에 머물고 색갈이 없다는 소리를 듣게 됩니다.
  • 2003.08.27 15:13 (*.84.145.216)
    국악을 하라는게 아니고 민족의 특징(장점)을 버리지 말자는겁니다.
  • 2003.08.27 15:14 (*.84.145.216)
    연주시에 소리를 맛있게 낸다고 국악하라는 소리는 아니거든요...
  • 2003.08.27 15:14 (*.84.145.216)
    맛있게 연주한다는것은 느린음악을 할줄아는 민족에게서나 가능한 일이죠.
  • 2003.08.27 15:16 (*.84.145.216)
    정답이 다 노출되었는데도 굳이 눈을 감겠다면 답이 없는거죠....
  • gmland 2003.08.28 00:17 (*.79.177.63)
    어떤 분이 어디서 퍼 오신 글일까?
  • gmland 2003.08.28 00:20 (*.79.177.63)
    박갑수 교수는 가끔 재즈캐빈에 오셔서, 나하고도도 격렬한 정치토론을 하시지요. 민족주의자이시고... Rock을 연주하고 있으면, 그 시끄러운 데서도 항상 졸고 있지요.
  • gmland 2003.08.28 00:22 (*.79.177.63)
    그러다가 클래식 기타음악을 하면 깬답니다. 클래식 기타도 잘 치시지요. 북한에 기타 공장 설치하고 진출해야 한다고 보고서 올린 분이시죠. 그래서 제가 수님 공방을 추천했습죠.
  • gmland 2003.08.28 00:25 (*.79.177.63)
    그러나 Rock이 우리 정서에 맞지 않다는 건 편견이고 몰이해한 것입니다. 그렇게 따진다면 클래식도 마찬가집니다. 국악이 아니라면, 모든 서양음악은 장르에 불문하고 우리 정서에
  • gmland 2003.08.28 00:26 (*.79.177.63)
    맞지 않지요. 심지어 모든 물질문명과 외래문화도 다 맞지 않지요. 음악의 뿌리는 같은 것이고, 장르는 개인의 기호 차이일 뿐이겠지요. 그렇지만 국악은 더 연구되고 보존되어야 합니다
  • gmland 2003.08.28 00:28 (*.79.177.63)
    좀 웃기는 것은, 국악을 분석하는 도구가 서양음악이론이라는 것입니다. 이는 잣대가 잘못된 것이고, 차원의 혼동입니다.
  • gmland 2003.08.28 00:29 (*.79.177.63)
    국악연구가 민족주의를 등에 업고 국악인의 전유물을 벗어나지 못한다면, 본문의 현상이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입니다.
  • gmland 2003.08.28 00:32 (*.79.177.63)
    수님의 말씀 중, 느린 연주에 대한 것은 참으로 공감이 가는 것입니다. 몹시 어렵지요. 빠른 곡보다 몇 곱절 더 어렵습니다. 자연히 음색에도 신경이 많이 쓰이지요.
  • gmland 2003.08.28 00:34 (*.79.177.63)
    속주는 5년만 연습하면 거의 다 됩니다만, 악성을 표현하기 위한 touch, 음색 만들기는 평생이 걸려도 다 못하지요... 국악은 꼭 느린 곡만 있는 건 아니지요. 또 조선인은
  • gmland 2003.08.28 00:37 (*.79.177.63)
    세계에서 가장 성질 급한 민족이지요. 그래서 오히려 은근과 끈기, 느긋함을 미덕으로 강조했겠지요. 어쨌든 우리 문화적 전통은 느린 것이 특징이긴 하지요.
  • B612 2003.08.28 00:39 (*.237.119.224)
    조선호텔에서 일하는 양식전문 요리사가 꼭 한식까지 연구해야 합니까?
  • B612 2003.08.28 00:41 (*.237.119.224)
    한식까지 잘해서 나쁠거야 없지만 수타전문 중식요리사에게 삼계탕까지 잘해야 한다고 하는건 지나친 요구아닌가요?
  • B612 2003.08.28 00:43 (*.237.119.224)
    기타로서 서양 악보만 보고 연주하기에도 버겁습니다...내게 맞지 않는 국악까지 해야 할 의무따윈 느끼지 못하겠군요.
  • B612 2003.08.28 00:47 (*.237.119.224)
    그리고 속주에 대한 가벼운 취급도 반대합니다.우리 나라 연주자들은 다 게을러서 야마시타같은 속주하이테크니션이 못되는걸까요?
  • B612 2003.08.28 00:49 (*.237.119.224)
    빠르게 연주하는 것이 음악의 전부는 아니지만 피스크 레벨의 하이 테크니션은 아무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나름대로 엄청난 내공은 인정해야죠.
  • B612 2003.08.28 00:51 (*.237.119.224)
    초절기교는 연습만으로는 다다를 수 없는, 엄청나게 높은 산입니다...
  • 2003.08.28 00:58 (*.80.14.59)
    저기여.....국악을 해야한다는뜻 아니고요....
  • 2003.08.28 00:59 (*.80.14.59)
    우리가 잊고있는 우리의 매력(음색의 미학)을 되찾자는 이야기였고요...
  • 2003.08.28 01:01 (*.80.14.59)
    피스크와 야마시타의 속주에서 항상 공허함을 많이 느껴와서요...
  • 2003.08.28 01:01 (*.80.14.59)
    속주의 아름다움도 느린연주를 맛있게 할수있는분이라야 가능하지 않을가요?
  • 2003.08.28 01:02 (*.80.14.59)
    빠르면서도 동시에 음악이 아름다운연주자는 누구인가요?
  • B612 2003.08.28 01:11 (*.237.119.224)
    엄청 많습니다...로메로,파코 데 루치아,에릭존슨,디용,페르난데즈...
  • B612 2003.08.28 01:14 (*.237.119.224)
    글쿠요, 제 얘긴 수님의 글에 대한 반박이 아니고요, 저 위에 교수님글에 대한 건데요...- -;;
  • 음악보다 2003.08.28 01:53 (*.237.119.224)
    먼저 경제가 살아야...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4 텔레만의 소나타G장조를 들어볼수 없을까요..부탁드립니다. 이크 2001.01.18 4111
113 토론실에 있는, 저작권에 대한 글들에 관하여 10 gmland 2003.06.14 5223
112 토루 다케미츠 ...잊지말자. 2000.10.24 4096
111 통일성의 미학 - 모차르트 KV 421을 중심으로 6 1000식 2005.03.07 6618
110 투우장에 울려퍼지는 정열적이고도 우아한 음악(1) 3 정천식 2004.02.07 6884
109 투우장에 울려퍼지는 정열적이고도 우아한 음악(2) 1 정천식 2004.02.07 6387
108 투우장에 울려퍼지는 정열적이고도 우아한 음악(3) 3 정천식 2004.02.07 7238
107 트레몰로 주법의 처리 7 gmland 2003.11.05 6705
106 트레몰로. 2 2003.06.23 4782
105 트레몰로~ 5 j.w 2003.11.10 5838
104 트레몰로는 타레가의 발명품? 서정실 2001.03.31 4766
103 트레몰로에 관하여 18 트레몰로미친 삐꾸 2003.11.04 5904
102 트레몰로에 대한 변증법적(?)인 고찰..........(지얼님글 퍼온글) 3 2003.11.09 6110
101 트레몰로에 대한 변증법적이 고찰........지얼님의 글을 퍼왔습니다. 8 2002.04.16 5935
100 트레몰로에 대한 투정. 2 2003.11.09 6314
99 트레몰로의 교과서연주. 20 2003.11.09 6581
98 특히 기타 애호가들은 연주회장에 자주 가야 해요. 미니압바 2000.11.06 4545
97 티비 cf중에서 '보성녹차'에 나오는 음악의 제목을 알고싶습니다~ 챠우챠우 2004.07.21 6137
96 틸만 홉스탁연주 듣고...그리고 카를로스 몬토야.... 7 최성우 2001.06.06 7242
95 파가니니의 기타와 바이올린을 위한 대소나타[바이올린이 반주해주는] 좀 올려주세요. 1 메르츠 2003.09.07 8713
94 파리 국제 기타 콩쿨의 軌跡(2)-역대 수상자들의 辨 [3] 미니압바 2000.11.07 5501
93 파리 국제 기타 콩쿨의 軌跡(2)-역대 수상자들의 辨[최종] 미니압바 2000.11.08 5243
92 파리 국제 기타 콩쿨의 軌跡(2)-역대 수상자의 辯 [1편] 미니압바 2000.11.02 5906
91 파리 국제 기타 콩쿨의 軌跡(2)-역대 수상자의 辯 [2편] 미니압바 2000.11.06 5207
90 파리기타콩쿨의 중단과 의미 미니압바 2000.11.19 5115
89 파야 - 물방아꾼의 춤(기타연주) 정천식 2004.03.30 6099
88 파야 - 물방아꾼의 춤(오케스트라) 정천식 2004.03.30 5680
87 파야 - 시장의 춤(기타연주) 정천식 2004.03.30 5888
86 파야 - 시장의 춤(오케스트라) 정천식 2004.03.30 5702
85 파야의 도깨비불의 노래 정천식 2004.03.26 6416
84 파야의 스페인 무곡 오페라 버전 정천식 2004.03.23 6379
83 파야의 스페인 무곡(기타2중주) 정천식 2004.03.24 6162
82 파야의 폴로 - 수페르비아의 노래 정천식 2004.03.26 6155
81 파야의 폴로 - 예페스의 연주 정천식 2004.03.26 6064
80 파야의 폴로 - 후쿠다 신이치의 연주 정천식 2004.03.26 6321
79 파크닝 재발견... 11 차차 2002.10.30 5480
78 파크닝의 알함브라... 2 pepe 2003.11.01 6619
77 팻 매시니...........첨으로 그의 음반을 듣다. 19 2003.03.26 6382
76 팽만식님이 쓰는기타..^^! 14 file 민성 2001.08.04 6125
75 퍼온글.......추천협주곡,실내악곡,독주곡. 2001.01.07 5891
74 퍼온글.....신동훈님의바하의 하프시코드음악안내. 2000.11.10 5048
73 페라이어... 이건 에러야~ -_-; 3 file eveNam 2003.12.08 8020
72 페르시안마켓에 대해서.. 2 케텔비 2003.07.19 8645
71 퐁세의 발레토 5 iBach 2003.07.01 5975
70 푸가의 기법을 기타콰르텟이? 7 으랏차차 2001.07.28 6055
69 푸하하! 신홍여행! 망신살이 또... 泳瑞父 2000.10.20 5053
68 프랑코 코렐리를 추모하며 7 정천식 2004.01.05 6369
67 프레이즈가 뭐지요? 10 바실리스크 2003.05.15 6765
66 프로가 연주하는 아라비아기상곡은??????? 간절한 2000.12.14 5174
65 플라멩꼬 : 피맺힌 한의 노래, 눈물의 기타 1 고정석 2001.12.17 6325
64 플라멩코 이야기 1 김영성 2002.07.23 5812
63 플라멩코 이야기 2 김영성 2002.07.24 5010
62 플라멩코 이야기 3 5 김영성 2002.07.25 5747
61 플라멩코 이야기 4 김영성 2002.08.05 5320
60 플라멩코 이야기 5 1 김영성 2002.10.23 5077
59 플라멩코 이야기6 김영성 2002.10.24 6428
58 피게라스를 추모하며 5 file 정천식 2012.04.14 13251
57 피스크 연주회 프로그램은... 형서기 2000.12.14 4801
56 피스크? 테크니션? brawman 2000.06.11 5728
55 피아졸라 - 천사의 죽음(베니테스) 8 정천식 2003.11.30 9294
54 피아졸라 - 천사의 죽음(원곡) 2 정천식 2003.11.30 6928
53 피아졸라 4계 중 봄 악보 중 피치카토 플러스 연주법 궁금합니다.... 고독기타 2020.06.04 4689
52 피아졸라 겨울은 예상대로 바루에코 자신의 편곡이라고 합니다 1 으니 2002.10.11 6238
51 피아졸라의 Oblivion(망각) 7 정천식 2003.11.29 7446
50 피아졸라의 대표곡은? 5 정천식 2003.11.27 7837
49 피아졸라의 밀롱가 3 정천식 2003.11.28 7246
48 피하시온(fijación)이 무엇인가요? 3 궁금해요 2005.12.19 7338
47 하프의 마음, 하프의 영혼 사발레타 정천식 2004.06.19 8584
46 하하...바루에코사셨어요? 2000.12.24 5083
45 한 마리 새가 된 여인 - 로스 앙헬레스의 타계를 애도하며 9 file 1000식 2005.02.05 7365
44 한국 전통음악 좋은곡으로 추천해 주셔여~~^^ 19 2003.11.17 9318
43 한국의 음악논문을 찾아볼 수 있는 곳 하나 소개합니다. 변종현 2023.11.04 1035
42 한국적인 것. 30 B612 2003.08.29 7034
41 한말씀만... 4 file jazzman 2004.02.06 6378
40 한오백년 살자는데... 오모씨 2001.02.24 6120
39 한줄만 더. 37 ZiO 2004.09.18 7212
38 합창교향곡... 에리히 라인스도르프... 3 file eveNam 2004.01.25 6824
37 해피보이님께.................거지의 사랑노래(?) 4 정천식 2003.12.29 8944
36 햇빛 쏟아지는 사이렌의 숲속... 2 이브남 2007.02.11 13140
35 행~님!! 홈페쥐 보수작업 추카... 한쌈 2000.07.02 5504
34 허걱~ 이렇게나 빨리 답변을 주실줄은..... 고앙이 2000.11.20 4740
33 허접답변... ^^; 신동훈 2001.03.12 4958
32 헉.......한국 작곡가가 1위라구요?? 안티기타 2000.11.02 4988
31 헐...어케여..--;;;;;;;; 형서기 2000.08.31 5515
30 헤레베헤의 연주가 나온김에 한곡더!~ 1 이브남 2006.12.20 10882
29 헨델...하프시코드 조곡임당!!!(요건 쬐금 짧아여 ^^) 신동훈 2001.10.17 5963
28 현대곡은... 으랏차차 2001.03.17 5154
27 현대기타음악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요? 고민중 2000.09.24 5348
26 현대음악이란 이런걸 말하는게 아닐까요? 14 2003.06.19 5915
25 현대인의 의식분열. 의식분열 2000.09.24 5712
24 현상금 3만원........호세 루이스 곤잘레스의 샤콘느. 4 2001.05.16 6327
23 현악5중주 이야기 (1) - 보케리니편 2 1000식 2005.04.01 8883
22 현악5중주 이야기 (2) - 모차르트편 3 1000식 2005.04.02 7086
21 현악5중주 이야기 (3) - 드보르작편 3 1000식 2005.04.04 7512
20 현악5중주 이야기 (4) - 슈베르트편 5 1000식 2005.04.05 7787
19 현으로 듣는 인벤션이라... ~.~ 6 이브남 2008.07.02 14987
18 형서기님 요기.... 화음 2000.08.31 5750
17 형서기님 다 보고선 2000.08.31 5551
16 형서기님... 2000.12.24 5040
15 형서기형 넘 고마워여...요셉 숙(josef suk) 2001.01.27 5792
Board Pagination ‹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