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147.245.55) 조회 수 9223 댓글 7
  * 고정도법과 이동도법 - 음명과 계명

   음악이 예술 이외에도 과학으로 성립되는 것은, 화성학을 기본으로 하는 체계적인 이론이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화성학은 조성에 관한 학문이고, 조성은 tonic 주음을 중심으로, 그 관련 기능을 연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이동하는 조중심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음계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계명이라는 일관된 상대적 음이름이 필요합니다.

  특히, 일시적 조바꿈 등에서 볼 수 있는 빈번한 조성이동과, 화음구성 및 화성진행을 일관성 있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음계의 상대적 개념을 나타내는 숫자계명과 이동도법에 의한 상대계명은 필수인 것입니다. 대개, 혼란을 피하기 위해, 음계, 즉, 수평화음 개념에서는 이동도법에 의한 계명을 쓰고, 수직화음 개념에서는, 근음은 절대음명, 구성음은 숫자계명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장조와 단조는 화성학의 양대 산맥이고, 이 두 조성은 많은 부분에서 그 이론구성을 달리하므로, 단조 고유의 반음위치에 따른 일관된 계명으로서, 단조 고유의 이동도법에 의하여 상대적 음정 개념에 입각한, 절대음고인 음명을 무시하는, 상대적 음이름인 계명이 필요할 것입니다. 단조를, 장조의 부속으로 생각지 마시고, 별도의 조성으로 생각한다면, 오히려 이해가 빠를 것입니다.

  이 개념은 복잡한 것 같아도, 실제로는 그리 어려운 것이 아니며, 일단 익숙 되고나면 매우 편리한 분석도구가 됩니다. 이에 관한 기본적 훈련은 C-장조와 Cm-단조의 계명을 별도로  연습하여, 서로 다른 반음의 위치에 따른 음감을, 시창과 청음으로써 익히는 것입니다. 이는 불과 몇 시간의 훈련으로도 기초소득이 가능한 것이므로, 그리 어려운 개념은 아닐 것입니다.

  실제로, 가수들이 발성연습이나 시창을 할 때에는, 어떤 조성에도 불구하고, 단조에서도, 고유의 이동도법을 사용합니다. 이는 또, 작곡, 편곡, 이론의 구성 및 분석, 즉흥연주 등에서도 매우 유익하며, 현실에서 그렇게 사용되고 있는 것입니다.

  예컨대, 작곡이나 편곡을 할 때에도, C-장조, Cm-단조, 또는 Am-단조로 작편곡 한 다음, 이를, 가수나 악기의 음역에 맞춰서, 조바꿈 내지, 조옮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악곡을 감상하거나 분석할 때에도, 조성을 파악하기가 용이합니다.

  다만, 장조든 단조든, 연주에 있어서는, 이동도법은, 빈번한 조성 이동이나 조바꿈에 대응하기 어렵고, 악기의 fret 음과 일치된 계명으로 조화시키기도 어려우므로, 이때는 거의 대부분의 연주자가 고정도법에 의한 계명을 사용합니다. 이때는, 음명을, 영어가 아닌, 라틴어 do-mi-so를 쓴 셈이 되고, 이 경우에는, 계명과 음명은 같은 것이 되겠지요.

  그러나, 예컨대, 기타지판에 있어서도, 지판을 고정도법에 의해서만 익히지 않고, 이동도법에 의해서 익힌 주자들은, 즉흥연주에 있어서의 작곡뿐만 아니라, 어떤 악곡을 자유자재로, 즉시 조바꿈 또는 조옮김하여 연주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는 대중음악에서는 필수로서, 대부분의 프로 연주자들은, 이것과 씨름하고 있는 것입니다.

  gmland.
Comment '7'
  • pepe 2003.05.29 00:52 (*.172.214.149)
    gmland님의 글을 한데 모아 놓았으면 좋겠어요. 그냥 두는게 아까워요....
  • gmland 2003.05.29 00:58 (*.79.130.159)
    어휴, 페페님! 너무 추키지 마셔요, 부끄...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 she 2003.05.29 17:09 (*.224.255.145)
    저는 한데 모아놓고 있어요, 아직 이해는 다 못하지만 어느날인가 이해할 날을 고대하며...
  • 종호 2003.05.29 17:43 (*.74.195.193)
    저는 이동도법으로 할 때, 장조는 "도레미파솔라시도" 단조는 "라시도레미파솔라", 이렇게 하는데요
  • 종호 2003.05.29 17:46 (*.74.195.193)
    이렇게 하면 되나요? 장조와 단조, 모두 "도레미파솔..." 로 부르는 경우도 있는 것 같던데요.
  • gmland 2003.05.29 18:11 (*.83.198.218)
    전통적으로는 종호님의 방식이 많이 쓰이는 것이지만, 단조의 la를 do로 해서, 단조 고유의 계명창을 익혀두시면, 매우 유용함을 훗날 깨닫게 됩니다.
  • gmland 2003.05.29 18:12 (*.83.198.218)
    she님께서도, 아무리 기초적이고, 사소한 것도 좋으니, 이해가 안 되는 것은, 담아 두지 마시고 질문하셔요.
?

  1. sadbird 라는 곡..

    Date2003.10.12 By아따보이 Views5902
    Read More
  2. "콤파냐 보칼레" 연주회 후기...

    Date2003.10.02 ByeveNam Views6104
    Read More
  3. 나의 연탄 이중주에 대한 거짓말

    Date2003.10.03 By으니 Views4900
    Read More
  4. 망고레에 대하여~

    Date2003.09.20 By Views7017
    Read More
  5. 공개질문입니다요~

    Date2003.09.19 By기타사랑 Views7256
    Read More
  6. 파가니니의 기타와 바이올린을 위한 대소나타[바이올린이 반주해주는] 좀 올려주세요.

    Date2003.09.07 By메르츠 Views8719
    Read More
  7. 로드리고의 곡들좀 감상실에 올려주십시오...

    Date2003.09.06 By손님 Views5017
    Read More
  8. Cuban Landscape with Rain

    Date2003.09.04 Byverve Views5657
    Read More
  9. ★★★ 화음의 진행

    Date2003.09.03 Bybluejay Views8570
    Read More
  10. J. S. BACH CHACONNE FROM PARTITA II, BWV 1004 - 제5부(참고문헌)

    Date2003.09.02 By쩜쩜쩜 Views7856
    Read More
  11. J. S. BACH CHACONNE FROM PARTITA II, BWV 1004 - 제4부

    Date2003.09.02 By쩜쩜쩜 Views7122
    Read More
  12. J. S. BACH CHACONNE FROM PARTITA II, BWV 1004 - 제3부

    Date2003.09.02 By쩜쩜쩜 Views48175
    Read More
  13. J. S. BACH CHACONNE FROM PARTITA II, BWV 1004 - 제2부

    Date2003.09.02 By쩜쩜쩜 Views7289
    Read More
  14. J. S. BACH CHACONNE FROM PARTITA II, BWV 1004 - 제1부

    Date2003.09.02 By쩜쩜쩜 Views10506
    Read More
  15. [re] 나누어서 번역할 자원봉사 찾습니다.

    Date2003.09.04 Bygmland Views5196
    Read More
  16. 무뇌중 어록중에서.

    Date2003.09.01 ByB612 Views8686
    Read More
  17. [re] 무뇌중 어록중에서.

    Date2003.09.01 By천지대야망 Views6321
    Read More
  18. [re] 클래식은 리듬이 약하다는 논리에는 이견이 있습니다.

    Date2003.09.01 Bygmland Views6227
    Read More
  19. 전체적으로는 공감합니다만 약간...

    Date2003.09.02 By오로라 Views4613
    Read More
  20. 바하와 헨델, 바로크

    Date2003.08.31 By천지대야망 Views6369
    Read More
  21. [re] 바하와 헨델, 바로크 - 약간의 딴지... ^^;

    Date2003.09.01 By신동훈=eveNam Views5031
    Read More
  22. 총평(디게 잼있어요)

    Date2003.08.31 ByB612 Views4844
    Read More
  23. 지극히 개인적인.

    Date2003.08.31 ByB612 Views5417
    Read More
  24. 음악의 호불호에도 객관적 보편타당성이 존재하는가?

    Date2003.08.29 Bygmland Views5045
    Read More
  25. 한국적인 것.

    Date2003.08.29 ByB612 Views7042
    Read More
  26. [re] 조선의 힘

    Date2003.08.29 By Views7499
    Read More
  27. 음악에서의 호불호

    Date2003.08.29 By Views6317
    Read More
  28. .

    Date2003.08.27 By. Views5621
    Read More
  29. 무척 혼란스럽습니다. 자중들 하십시오 !!!

    Date2003.08.31 Bygmland Views6008
    Read More
  30.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Date2003.08.29 By아롱이 Views5162
    Read More
  31. .

    Date2003.08.28 By. Views6005
    Read More
  32.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Date2003.08.29 ByB612 Views5234
    Read More
  33.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Date2003.08.28 ByB612 Views5067
    Read More
  34.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Date2003.08.28 ByB612 Views4792
    Read More
  35. Agustín Barrios Mangore:The Folkloric, Imitative, and the Religious Influence Behind His Compositions by Johnna Jeong

    Date2003.08.14 By고정석 Views6744
    Read More
  36. [re] ★★★ 조국을 사랑한 바리오스 망고레 ( 글 & 번역 gmland ) 완결판 ★★★

    Date2003.08.29 By고정석 Views8653
    Read More
  37. [re] ★★★ 조국을 사랑한 바리오스 망고레 ( 글 & 번역 gmland ) 완결판 ★★★

    Date2003.09.16 By Views5686
    Read More
  38. 기타-화성학이란 무엇인가? - 예제를 통한 코드의 이해 (2)

    Date2003.07.27 Bygmland Views9817
    Read More
  39. [re] 코드진행님 질문과 답변

    Date2003.07.29 Bygmland Views4957
    Read More
  40. [re] 피날리 가진 분을 위한 피날리 악보 - 별첨

    Date2003.07.27 Bygmland Views5042
    Read More
  41. 이곡 제목 뭔지 아시는분?

    Date2003.07.24 By차차 Views5742
    Read More
  42. Naxos 기타 컬렉션 中 명반은???

    Date2003.07.24 By세곱이야 Views8330
    Read More
  43. 기타-화성학이란 무엇인가? - 예제를 통한 코드의 이해 (1)

    Date2003.07.24 Bygmland Views13888
    Read More
  44. 또 질문 있습니다...^0^

    Date2003.07.20 By아랑 Views6522
    Read More
  45. 페르시안마켓에 대해서..

    Date2003.07.19 By케텔비 Views8657
    Read More
  46. 루이스 밀란의 파반느요..

    Date2003.07.19 By루이스 Views4914
    Read More
  47. [re] 루이스 밀란의 파반느요..

    Date2003.07.19 By루이스 Views5098
    Read More
  48. Guitar의 정의 - The Guitar

    Date2003.07.18 By일랴나 Views5518
    Read More
  49. [re] Guitar의 정의 - 번역

    Date2003.07.18 Bygmland Views5083
    Read More
  50. [펌] 피아졸라에 관한 글

    Date2003.07.16 By삐아솔라 Views6671
    Read More
  51. 멋있게 해석좀 해주세요..

    Date2003.07.15 By아랑 Views6504
    Read More
  52. [re] 2001년 9월 1일자 외국어대 영자신문중에....

    Date2003.07.18 Byseneka Views5002
    Read More
  53. [re] 채소님, 음악에 대한 인용구 번역입니다.

    Date2003.07.16 Bygmland Views4794
    Read More
  54. Music Quotes..

    Date2003.07.15 By채소 Views15840
    Read More
  55. 퐁세의 발레토

    Date2003.07.01 ByiBach Views5978
    Read More
  56. 바루에꼬 마스터클래스 실황녹음(BWV996)

    Date2003.06.29 ByiBach Views7331
    Read More
  57. 장화음과 단화음의 비밀

    Date2003.06.29 ByBluejay Views10383
    Read More
  58. [re] 7화음의 이름

    Date2003.06.29 Bygmland Views6750
    Read More
  59. 기타와 가장 잘 어울리는 악기는?

    Date2003.06.27 By천지대야망 Views7828
    Read More
  60. 기타 하모닉스에 관한 물리학적 접근

    Date2003.06.23 By익제 Views5902
    Read More
  61. 트레몰로.

    Date2003.06.23 By Views4790
    Read More
  62. [re] 트레몰로.

    Date2003.07.16 By기타 이상자 Views5568
    Read More
  63. 바루에꼬 마스터클래스 실황녹음(아랑훼즈협주곡)

    Date2003.06.21 ByiBach Views4975
    Read More
  64. 바루에꼬 마스터클래스 참관기

    Date2003.06.21 ByiBach Views5166
    Read More
  65. 야마시타

    Date2003.06.20 By천지대야망 Views5241
    Read More
  66. 현대음악이란 이런걸 말하는게 아닐까요?

    Date2003.06.19 By Views5923
    Read More
  67. 음악도 분명히 현재의 모습을 반영하는 곡들이 지금가득합니다.

    Date2003.06.23 Bycool Views4285
    Read More
  68. 칼카시 토론을 하면서.......

    Date2003.06.18 Bygmland Views4794
    Read More
  69. 정규 소품은 연습곡이 되지 말아야 할 이유가 있을까요?

    Date2003.06.17 Bygmland Views4786
    Read More
  70. 토론실에 있는, 저작권에 대한 글들에 관하여

    Date2003.06.14 Bygmland Views5231
    Read More
  71. 음악의 예술성과 과학성, 음악과 음학

    Date2003.06.11 Bygmland Views5913
    Read More
  72. 코드...

    Date2003.06.10 By얼떨결에지나가는넘 Views5280
    Read More
  73. 마누엘 바루에꼬 마스터클래스(前記)

    Date2003.06.10 ByiBach Views5402
    Read More
  74. ★ Krystian Zimerman 마스터 클래스 후기 ★

    Date2003.06.09 By으니 Views5568
    Read More
  75. 카르카시 교본에 대하여....제 생각에는...^^;;

    Date2003.06.07 By망고레 Views6539
    Read More
  76. 제가 야마시타를 좋아하는 이유는,,,,

    Date2003.06.06 Byseneka Views4853
    Read More
  77. 카르카시교본비판에 관하여3

    Date2003.06.04 By기타방랑자 Views4711
    Read More
  78. 카르카시교본비판에 관하여2

    Date2003.06.04 By기타방랑자 Views5182
    Read More
  79. 제가 생각하는 카르카시.

    Date2003.06.04 By아랑 Views5891
    Read More
  80. [re] '뺑뺑이' 얘기 나온 김에.....

    Date2003.06.04 By아랑 Views4888
    Read More
  81. 카르카시교본비판에 관하여

    Date2003.06.03 By기타방랑자 Views5602
    Read More
  82. 이것보쇼...

    Date2003.06.04 By기타새디스트 Views4762
    Read More
  83. 고수님들이 음악을 들을때요..

    Date2003.05.31 Byshe Views4881
    Read More
  84. [re] 고수님들이 음악을 들을때요..

    Date2003.05.31 Bycool Views4991
    Read More
  85. [re] 고수님들이 음악을 들을때요..

    Date2003.05.31 By고수아님 Views4614
    Read More
  86. [re] 고수님들이 음악을 들을때요..

    Date2003.05.31 By고수(?)임 Views4719
    Read More
  87. [카르카시비판]수많은 악플과 비판에 맞아죽기를 고대하며...

    Date2003.05.29 By기타리새디스트 Views8237
    Read More
  88. 고정도법과 이동도법 - 음명과 계명

    Date2003.05.28 Bygmland Views9223
    Read More
  89. 아람브라, 화성진행 및 프레이징 (3) - 총론 끝

    Date2003.05.26 Bygmland Views5604
    Read More
  90. 아람브라, 화성진행 및 프레이즈 분석과 프레이징 (2)

    Date2003.05.23 Bygmland Views5584
    Read More
  91. [re] 질문입니다..

    Date2003.05.27 Byseneka Views5837
    Read More
  92. 아람브라, 화성진행 및 프레이즈 분석과 프레이징 (1)

    Date2003.05.21 Bygmland Views8536
    Read More
  93. 좋은 자료를 올리셨네요^^감사

    Date2003.05.24 Bynarsis Views5370
    Read More
  94. 프레이즈가 뭐지요?

    Date2003.05.15 By바실리스크 Views6771
    Read More
  95. [re]프레이징을 어떤 수단으로써 어떻게 처리하나? (2) - she님의 질문에 대한 답글.

    Date2003.05.19 Bygmland Views5202
    Read More
  96. [re] 프레이즈는 이 것입니다. (1)

    Date2003.05.16 Bygmland Views5106
    Read More
  97. 베토벤시대에 일반서민은 베토벤 만나기 힘들었다.

    Date2003.05.13 By Views4903
    Read More
  98. 요즘 누가 세고비아 듣느냐구요?? ㅠ_ㅠ

    Date2003.05.14 By아랑 Views6443
    Read More
  99. [질문] 난해한 현대음악을 어떻게 들어야 할까요?

    Date2003.05.12 By익명 Views4659
    Read More
  100. [re] [질문] 난해한 현대음악을 어떻게 들어야 할까요?

    Date2003.05.13 By아랑 Views5066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