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전탑과 암

by 언니 posted Oct 16,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충남 당진군 석문면 교로2리 마을 입구에서 바라본 당진 화력발전소. 그 사이로 765㎸·154㎸ 등 각종 송전탑과 송전선로가 어지럽게 이어져 있다.
송전탑 갈등, 환경 불평등 문제다
충남 당진시 교로 2리…“개구리 소린지 도깨비 소린지, 웅~웅”
80여가구 150여명 주민 중 지난 10년간 암 사망 주민이 30여명 경남 밀양에서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는 765㎸ 고압 송전탑은 이미 전국에 902기가 설치돼 있다. 선로의 길이는 모두 457.3㎞에 이른다. 강원 지역에 가장 많은 333기가 들어섰고, 충남 265기, 경기 252기 차례다. 주민들은 길게는 10년이 넘는 세월을 송전탑 곁에서 살아왔다. 처음에는 그저 ‘전기를 실어나르는 시설’이라고만 생각했다. ‘마을 발전의 신호탄’이라고 믿는 사람도 있었다.

하지만 <한겨레> 취재진이 10~11일 찾아간 강원도 횡성과 충남 당진, 경기도 안성 일대의 송전탑 주변 주민들의 삶은 산산이 부서져 있었다. 이곳은 어쩌면 힘겨운 싸움을 이어가고 있는 ‘밀양의 내일’인지도 모른다.

“송전탑만 생각하면 살고 싶은 마음이 없어요. 아무래도 맨몸으로 그냥 나가야 하는 건가봐.” 충남 당진시 석문면 교로2리에 사는 김금임(75·여)씨는 눈시울을 붉히며 말했다. 김씨의 텃밭에서 불과 40여m 떨어진 곳엔 765㎸ 송전탑이 위압적으로 서 있었다. “개구리 소린지 도깨비 소린지, 웅~웅~ 하는 것이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시끄러워요. 비가 오거나 흐린 날은 특히 더해. 집에선 양쪽으로 송전선이 가니까 밤에 누우면 잠을 못 자겠어요.”

교로2리에서 3㎞ 떨어진 곳에 있는 ‘당진화력발전소’는 현재 모두 8기의 발전소를 가동하고 있다. 발전소에서 시작한 765㎸·154㎸의 두 갈래 송전선이 브이(V)자 형태로 이 마을을 지난다. 송전탑의 개수는 각각 10기·12기다. 마을회관을 기준으로 보면 765㎸ 선로까지의 거리는 약 300m, 154㎸ 선로까지는 400m다.

게다가 2015년까지는 민간사업자인 ‘동부발전’이 추가로 2기의 화력발전소를 건설해 별도의 365㎸ 송전선이 또다시 이 마을에 들어설 예정이다. 임관택(55) 이장은 “우리 마을은 밀양보다 훨씬 더 심각한 상황이다. 송전탑을 추가로 세운다는 건 사실상 주민들은 다 죽으라는 이야기”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주민들은 이 지역에 송전탑이 완공된 1999년 이후 암 환자가 많아졌다고 전했다. 80여가구 150여명의 주민 중에서 현재 암 투병 중인 주민이 9명, 지난 10년 동안 암으로 사망한 주민은 30여명에 이른다고 한다. 김금임씨는 지난해 폐암 수술을 받았다. 김씨는 “아무래도 송전탑 때문인 것 같다. 예전에는 이 마을 어른들 모두 건강했는데, 갑자기 암 환자들이 늘어났다”고 말했다.

김명각(76)씨는 지난 5월 폐암 판정을 받았다. 그의 집은 765㎸ 송전탑과 400여m 떨어진 곳에 있다. 김씨는 “송전탑 100m 거리 밭에서 하루에 8시간 정도를 일한다. 암 판정을 받고는 정말 원망스러웠다. 땅값만 떨어지는 줄 알았더니 모든 걸 잃게 만드는구나 싶다”고 했다. 김씨와 함께 마을을 한 바퀴 돌았다. 말 그대로, ‘한 집 걸러 암 환자’라고 했다. “저기 교회 사모님도 2년 전 폐암으로 죽었고, 파란 지붕 집에 사는 김씨 부인도 60도 안 되는 나이에 폐암으로 죽었어요. 이 앞에 하얀 집 아저씨는 얼마 전에 암 수술을 했고….”

산업통상자원부의 용역 보고서인 ‘전국 고압송전선로 주변 지역주민 암 관련 건강영향조사’ 결과를 보면, 154㎸·345㎸의 송전선이 지나는 67개 지역 주민의 암 발병 위험도는 다른 지역에 견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보고서는 통계 결과와 달리 “송전선과 암 발병 위험도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결론을 내려 논란이 일었다.(<한겨레> 9일치 6면 참조)

한국전력공사(한전)는 여전히 “고압 송전선의 인체 위험성은 확인되지 않았다”는 견해를 고수하고 있다. 한전이 갈등지역 주민 설득을 위해 지난 8월 발간한 직원교육 자료에는 “세계보건기구(WHO)는 2007년 송전선의 유해성은 밝혀지지 않았다고 발표했고, 국제암연구센터(IARC)는 송전선의 발암 등급을 커피, 젓갈, 고사리 등과 같은 ‘2B’ 등급으로 분류했다”고 적혀 있다.

송전탑 주변 주민들은 경험을 배반하는 정부와 한전의 설명을 못 믿는다. 강원도 횡성군 청일면 유동1리에서 만난 김종필(46)씨는 “765㎸ 송전탑 바로 아래 축사가 있는데, 새끼 돼지나 송아지도 시름시름 앓다가 죽는 경우가 많아졌다”고 말했다. 이 마을 김영하 이장은 “한전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하는데, 송전탑이 들어선 뒤 암으로 4명의 주민이 죽었고, 지금도 52살밖에 안 된 주민이 폐암에 걸려 있다. 물적 증거가 없어서 입증을 못하고 있을 뿐”이라며 답답해했다.

횡성군 갑천면 병지방1리 주민 정아무개(56)씨도 “가족 중에서 처음으로 아버지가 폐암에 걸려 5년 전 돌아가셨다. 그 뒤로는 송전탑을 바라보기만 해도 울화통이 터진다. 나도 윙윙거리는 소리 때문에 잠도 못 자고, 매일 머리가 지끈거린다”고 말했다. 그의 집은 765㎸ 송전탑에서 150m 떨어진 곳에 있다. 횡성군 청일면·갑천면 일대의 송전탑은 2003년 완공됐다.

이 지역은 송전탑 탓에 마을 간 갈등도 빚어졌다. 한전에서 받은 ‘마을발전기금’의 사용처를 두고 이견이 있어서다. 당시 병지방1리 이장이었던 신아무개(69)씨는 “우리 1리 주민들은 반대 데모를 열심히 했고 2리는 구경만 했는데, 1억4000만원의 보상금을 두 마을이 나눠 받아 갈등이 심했다”고 말했다. 횡성군 청일면의 한 50대 주민은 “한전 전담 보상반 애들이 보통이 아니었다. 송전탑과 거리가 먼 곳 주민부터 회유하고, 농기구 사준다면서 무력화시키고, 저녁에는 술 사준다고 찾아가서 살랑거렸다”고 말했다.

미비한 보상과, 모호한 불안, 구체적 피해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송전탑 인근 주민들은 여전히 신음하고 있다. 경기도 안성시 고삼면 ‘신안성변전소’ 인근에 있는 쌍지리 사동마을 주민 손춘웅(66)씨는 2년 전 요도암 판정을 받고 한쪽 신장을 떼어내는 수술을 받았다. 신안성변전소에서 4년 동안 경비로 일하기도 했다는 그는 이렇게 말했다.

“송전탑 때문에 병에 걸렸다는 생각은 못 했어. 지금도 그래. 그냥 나이가 들었으니 병을 얻었나 보다 하고 한전에 물어볼 생각도 안 했지. 그런데 이상해. 변전소에서 일할 때 보면 하루에도 몇 마리씩 새들이 죽더라고. 죽어서 떨어진 것도 있고, 아직 살아 있는데 버둥거리는 새들도 있고. 모르겠어요. 이사를 가보려고 해도 땅이 팔리길 하나, 다른 데 가서 먹고살 방법이 있는 것도 아니고….” 당진 안성 횡성/송호균 서영지 기자 (펌)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