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186.255.43) 조회 수 7410 댓글 33
직업상 Data Compression에 많은 관심을 갖다보니 정보이론의 Entropy에 접하게 되었는데 후에 음악에서도 그 이론을 그대로 적용한 연구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무척 흥미롭게 생각되었습니다. 정보이론의 엔트로피 개념은 1948년 당시 Bell Lab.에 근무하던 Claude Shannon이 처음 창안한 것으로서 이후 음악을 포함하여 여러분야에 많은 영향을 끼친 획기적인 이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이론에 의하면 "확률 P인 사건이 갖는 정보의 양은 Log(1/P) 이다" 입니다. (로그의 베이스는 어떤 시스템이냐에 달린 문제이지만 여기서는 컴퓨터에 기준을 두어 2를 베이스로하여 Bit 수로 환산하겠습니다. 이하 Log2로 표시합니다.) 그럼 이게 도대체 무슨 귀신 씨나락 까먹는 소리일까요?

수업시간에 늘 조는 학생이 있다고 합시다. 그넘이 수업시간에 졸 확률이 99%라고하면 그가 오늘도 졸고 있다는 사실은 별로 새삼스러운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그가 초롱초롱 깨어있다고하면 이건 뭔가 심상치 않은 일이 됩니다. 그 것을 위의 수식에 대입해보면 "졸고있다"는 사실이 갖는 정보의 양은 Log2(1/0.99) = 0.014(Bit)인 반면에, "깨어있다"는 사실이 갖는 정보의 양은 Log2(1/0.01) = 6.644(Bit)가 됩니다. 확률이 낮은 사건일수록 정보의 양은 많아지는 것이지요. 따라서 "오늘 아침에 해가 동쪽에서 떳다"는 것과 같이 확률 100%인 사건은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정보의 양 Log2(1/1) = 0)

여기서 정보의 엔트로피는 모든 가능한 사건의 일어날 확률 X 정보량의 합으로 계산됩니다. 위 예에서 "존다"의 정보량은 0.014이지만 그럴 확률이 99%이기 때문에 0.99 X 0.014 = 0.014 Bit인 값과, "안존다"는 0.01(1%) X 6.644 = 0.066 Bit의 합, 즉 0.014 + 0.066 = 0.081 Bit가 엔트로피가 됩니다. (H1 + H2 = P1*Log2(1/P1) + P2*Log2(1/P2)) 이 것을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엔트로피 H = ∑[ Pn X Log(1/Pn) ] 입니다.

만약 졸 확률과 안졸 확률이 반반(50%)이라면 H = H1 + H2 = 0.5*Log2(1/0.5) + 0.5*Log2(1/0.5) = Log2(2) = 1 Bit이 됩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어떤 일이 일어날 경우의 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그 확률이 동률로 고르게 퍼져있을수록 (확률적 대등성이 높을수록) 엔트로피는 높아지고, 어느 한쪽에 치우치면 낮아집니다. 다시 말하면 졸지 안졸지 "안봐도 다알아..."라고 말할수 있는 학생은 졸음정보 엔트로피가 낮고 예측하기 힘든 학생은 엔트로피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언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사람마다 자주쓰는 특정한 어휘나 표현을 갖고있는데 그 자주 쓰는 정도가 심하면 엔트로피가 낮습니다. 이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미국 독립선언문의 어느부분을 누가 썼는지와 같은 것을 추정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어휘의 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간단하게 알파벳의 각 문자의 사용빈도로 엔트로피를 계산합니다. 이때 엔트로피에는 최대값이 있습니다. 알파벳은 26개이므로 그 확률이 각각 1/26로 동일하다면 (1/26)*Log2(26) + (1/26)*Log2(26) + ... 이렇게 26개를 더하므로 Log2(26) = 4.700 Bit이 넘을수 없는 최대값이 됩니다.

음악에서는 언어의 알파벳 대신에 12개 음정의 사용빈도로 엔트로피를 측정하는데, 동요처럼 반음계(Chromatic Scale)를 잘 쓰지않고 전음계(Diatonic-7음) 위주로만 되어있는 곡은 엔트로피가 낮고, 임시 조바꿈이 많거나 나아가서는 쇤베르크처럼 무조주의로 가는 곡은 엔트로피가 높습니다. 음악의 엔트로피의 최대값은 음정이 12개이므로 위와 같은 방법으로 Log2(12) = 3.585 Bit 입니다. 몇몇 음악가의 곡을 샘플링하여 측정한 연구결과들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은 엔트로피를 얻을수 있습니다.

동요: 2.632 (Bit)
Gregorian Chant: 2.720
Foster: 2.846
Mozart: 3.009
Mendelssohn: 3.030
Hasse: 3.039
Schumann: 3.050
Schubert: 3.127 ~ 3.163
R. Strauss: 3.397
(아쉽게도 쇤베르크는 없군요.)

실제 엔트로피 계산의 한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미레도레 미미미, 레레레, 미미미, 미레도레 미미미, 레레미레도" - "떳다떳다 비행기" 입니다. (이곡은 단 3개의 음만으로 노래를 만들었다는 사실이 참으로 경이롭습니다.) 음의 사용빈도를 보면 도=3, 레=10, 미=12번 입니다. 따라서 엔트로피 H = (3/25)*Log2(25/3) + (10/25)*Log2(25/10) + (12/25)*Log2(25/12) = 1.404 Bit 입니다. 첨부된 Excel File의 노란색 Cell에 각 음의 빈도를 넣으면 엔트로피를 계산하게 되어있습니다. 아무 할일도 없고 심심할때 해 보십시오.

음악의 엔트로피가 어떤 음악성을 나타내는 지표는 절대로 아닙니다. 음을 마구 뒤섞어 놓는다해도 그 빈도만 같으면 엔트로피는 같은 값을 나타내게 되니까요. 동요나 그레고리 성가, 포스터의 단순한 멜로디도 얼마든지 아름다운 곡이 많습니다. 음악의 엔트로피는 다만 그 곡의 변화도, 다양성, 내지는 복잡성 또는 난해도 정도를 가름해 볼수있는 지표가 될수는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어느 음악가의 특징을 대강 짐작케하는 정도로 보아야할 것입니다.


사족 - 도대체 Entropy란 무엇인가?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열역학에서는 일(Work=Energy)로 변환되지는 않았지만 내부에 잠재한 에너지를 말합니다. 천체물리학에서는 우주의 모든부분이 같은 온도로 되려는 경향을 말합니다. 또, 사회학에서는 '무질서도'로 불리기도 합니다. 어쩌면 우주 모든현상의 (불)균등한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거나, 또는 불균등한(혼돈) 상태로부터 균등한(질서) 상태로 가려는 경향(Momentum)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 막연한 생각으로 음악을 다시 생각해보면 음악의 엔트로피는 음정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고 화음의 해석에도 잘 적용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당김화음, 불협화음은 엔트로피가 높고 협화음, 으뜸화음은 엔트로피가 낮은 화음으로 그 진행에 어떤 방향성을 주는 모멘텀으로서 말입니다. 또는 리듬에도 엔트로피가 없으리란 법이 없습니다. 단지 그러한 것들을 어떻게 정량화 할 것인지가 어려운 문제일 뿐이 아닐까요?

Comment '33'
  • pepe 2003.11.20 13:28 (*.204.4.243)
    제레미 리프킨의 '엔트로피'라는 책이 재미있어 2번 읽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 저자의 뜻에 따르자면.... '엔트로피 = 쓰레기'라고 할까요?
  • pepe 2003.11.20 13:31 (*.204.4.243)
    인간 자체가 엔트로피 증가를 가속화하는 주된 원인이죠. 에너지 효율이 100%이고, 에너지가 보존된다면 모르겠지만, 불가능 하겠죠. 뉴턴 할아버지 한테도 혼나겠죠???... ㅋㅋㅋ
  • iBach 2003.11.20 14:07 (*.100.46.248)
    너무 재밌네요. 으.. 컴터에 엑셀이 없어서 해보진 못하겠지만 바하의 푸가의 기법 주선율을 한번 넣어보면 어떨까요? 아마 꽤 높게 나올거 같은데..... 와 흥미롭다
  • iBach 2003.11.20 14:11 (*.100.46.248)
    선율에 국한하지 말고 말씀대로 화음에도 적용해보면 바하음악의 엔트로피도 꽤 높게 나오지 않을까요?? 치밀한 대위법때문에 더 떨어질라나??
  • iBach 2003.11.20 14:13 (*.100.46.248)
    블루제이님 예가 아주 적절하고 이해하기 쉽네요. 논문하나 쓰시죠?? ㅎㅎ '음악의 열역학적 고찰' :)
  • iBach 2003.11.20 14:16 (*.100.46.248)
    선율, 화음, 리듬을 각각 한 축으로 해서 삼차원으로 나타내면 곡마다의 특성을 살펴볼수 있을꺼 같다는 생각도 얼핏 드네요.
  • gmland 2003.11.20 16:41 (*.231.79.49)
    음(악)학의 새 장르를 여는 기분입니다. 대단한 발상과 응용입니다. 음악은 예술로만 인식 되어, 역설적으로 발전이 더디었습니다. 음악의 학문적/과학적 측면도 예술성과 함께 발전해야
  • gmland 2003.11.20 16:45 (*.231.79.49)
    할 것입니다. bluejay님은 대단 하시네요. Bach 음악도 한번 분석해 보시지요. 내 생각엔 entropy가 높게 나오지 않을 것 같네요. 7음 전음계라 하셨는데
  • gmland 2003.11.20 17:11 (*.231.79.49)
    diatonic 온음계라 해야 맞고, 전음계는 wholetone 이라 합니다. 6음계로서 반음정이 없는 음계를 말하지요. 사실은 옛 선배들이 번역을 잘못한 겁니다만...
  • 2003.11.20 19:05 (*.80.24.11)
    와..디게 잼따....
  • 아스 2003.11.21 01:26 (*.131.168.234)
    엔트로피는 spacial range & time slice 에서 계산하는 것입니다.
  • 아스 2003.11.21 01:28 (*.131.168.234)
    새넌의 발표이후 이루 말할 수 없는 분야, 특히 심리학을 정보이론으로 재기술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
  • 아스 2003.11.21 01:29 (*.131.168.234)
    무리한 발상으로 아직까지 특별한 진전이 없습니다. 음악에서의 정보이론도 비슷한 상황입니다.
  • 아스 2003.11.21 01:31 (*.131.168.234)
    한때 양자역학, 상대성이론이 여러 분야를 무리하게 휘어잡고 풍미하였듯이 정보이론도 그런 감이 있습니다.
  • 아스 2003.11.21 02:19 (*.183.203.235)
    엔트로피와 정보이론, 그리고 디지털통신이론, 압축 응용에 대한 소개는 기회가 닿는대로 써볼까 합니다.
  • bluejay 2003.11.21 02:41 (*.186.255.43)
    엔트로피라는 놈은 각 분야별로보면 이해할것 같기도하다가 그것을 모두꿰는 개념은 생각할수록 헷갈리고 어렵더군요.
  • 아스 2003.11.21 02:45 (*.183.203.235)
    음... 사실 엔트로피는 백년이 훨씬 넘게 다음어진 물리학에서 가장 엄밀하게 정의된 개념의 하나입니다.
  • bluejay 2003.11.21 02:46 (*.186.255.43)
    아스님은 역시 이분야에 대하여도 잘아시고 계시니 좋은글을 고대하겠습니다.
  • 아스 2003.11.21 02:47 (*.183.203.235)
    위의 생각은 새넌의 디지털통신이론의 관점에서는 그렇게 생각할 수 있으나, 물리학적인 엄밀한 엔트로피의 개념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 아스 2003.11.21 02:50 (*.183.203.235)
    예를 들어 하이전버그의 행렬역학으로 시뢰딩어 파동방정식을 완벽하게 기술할 수 있듯이, 새넌의 정보이론으로 엔트로피이론을 완벽하게 기술하 수 있습니다.
  • 아스 2003.11.21 02:54 (*.183.203.235)
    그런데 문제는 정보이론은 엔트로피보다 훨씬 넓은 개념입니다. 이런 과도 확장된 엔트로피(?) 개념으로 인해 여러 응용분야에서 엔트로피에 대한 무리한 해석으로 이어지는 것이 문제지요
  • bluejay 2003.11.21 03:09 (*.186.255.43)
    아스님, 감사합니다. 기회가되신다면 좀더 자세한 글을 부탁드리고 싶군요.
  • 2003.11.21 07:48 (*.168.105.40)
    진짜 잼있게 읽었습니다...^^ ..신기하다~~~^^
  • 서정실 2003.11.21 10:27 (*.238.126.6)
    대학때 물리화학교수님이(맞나? 열역학교수님이셨나...) "엔트로피는 알면 알수록 엔트로피가 높아지는 것이다" 라는 말씀을 하신 적이.. ^^;;
  • 새로운 2003.11.22 13:02 (*.240.199.69)
    깨달음의 좋은 계기를 준 훌륭한 글입니다. 우리말 음악용어가 그 뜻에 대한 확정적 의미 전달에 실패하는 경우는 비일비재한데
  • 이 경우도 2003.11.22 13:04 (*.240.199.69)
    그런 예 중의 하나입니다. 어쨋든 지금 통용되는 용어로는 불루제이님이 맞습니다.
  • 온음계((全音階)는 2003.11.22 13:11 (*.240.199.69)
    diatonic scale을, 온음음계(全音音階)는 whole-tone scale로 구분되어 통용되니다. 양자간의 의미가 어떤 차이인지는 좀 헷갈리지만요.
  • 아마 2003.11.22 13:12 (*.240.199.69)
    지엠랜드님도 약간의 혼동이 있으셨던 것 같습니다.
  • gmland 2003.11.23 03:21 (*.91.56.22)
    음악사전에는 whole-tone scale을 온음음계/전음음계로 소개하고 있으나, 학자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whole-tone scale을 전음계로 통용하고 있는데, 근본적으로
  • gmland 2003.11.23 03:23 (*.91.56.22)
    diatonic scale을 온음계/전음계로 변역한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 봅니다. 이래 놓고보니 whole-tone scale을 온음음계/전음음계로 번역할 수밖에 없게 된 거지요.
  • gmland 2003.11.23 03:25 (*.91.56.22)
    그러나 온음계나 온음음계나 뭐가 다른지, 전음계나 전음음계는 뭐가 다른지, 말장난밖에는 안 되는 것 같습니다. 차라리 diatonic scale은 전음계로, whole-tone은
  • gmland 2003.11.23 03:28 (*.91.56.22)
    온음계로 번역했더라면 보다 명료했을 겁니다. 어쨋든 음악사전에도 불구하고, 학자들의 책도 서로 제각기 표현하고 있으며, 음악사전 마저도 남의 나라 것을 오래 전에 번역한 것이라
  • gmland 2003.11.23 03:29 (*.91.56.22)
    틀린 곳도 많고 신뢰감도 가지 않습니다. 그러나 실용 음악계에서는 whole-tone scale은 전음계로 통용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4 왕야맹을 아시나요?...16살소녀. 말괄량이 2000.05.26 4888
413 왕자는 아닌데요... 형서기 2000.10.25 3974
412 왕초보님의 글 옮김........pink floyd(핑크 플로이드) 2000.11.23 6656
411 왜 아무도 답을 안 주시죠. 그러면 곡 올린 왕초보님께 부탁을.... illiana 2001.01.12 3874
410 왜 우리는 우리 민요를 기타로 연주한 명곡이 없는지 모르겠네요??? 3 file moosoh 2008.07.18 14107
409 외람되옵지만 제가 한말씀만 더드리자면.... space 2001.05.18 4325
408 외우는 법. 석재 2001.11.14 5117
407 왼손이여? 2000.10.25 4110
406 요기... 화음 2000.08.20 4536
405 요즘 국내외 콩쿠르 곡 2 궁금 2015.03.12 13357
404 요즘 나온시디...바루에코. 2000.10.21 4003
403 요즘 누가 세고비아 듣느냐구요?? ㅠ_ㅠ 10 아랑 2003.05.14 6390
402 요즘.... 10 file 피망수프 2001.07.23 4838
401 요즘엔 이곡 연습하시는 분 없으세요? 김종표 2001.03.21 4485
400 요즘은 코윤바바와 이파네마에 폭 빠져 있답니다.. *^^* 3 아따보이 2001.07.16 4863
399 우메~우째이런 황당한 이야기 거리가...... 명노창 2000.07.12 4928
398 우선 연주자와 음반부터... 3 신동훈 2001.10.31 4476
397 우와~ 고맙습니다~ 라라 2000.11.30 3833
396 운지에 대한 내 생각은 이러합니다. gmland 2003.04.09 4372
395 운지와 탄현에 대한 몇 가지 고민 탁구공 2017.01.09 6639
394 울 성생님은.... 2000.09.21 4448
393 울티모트레몰로 versus 알함브라궁의 추억 아마쳐 2001.03.29 5302
392 웅수님 홈에서 아주 잘 쉬었다가 갑니다..^^ 정성민 2000.07.02 5068
391 웅수씨, 나도 피아노를 위한 콘체르또 듣고파용 2000.12.17 4150
390 웅찬님 환영합니다. illiana 2000.10.24 4053
389 웅찬님이 소개한곳 넘 멋져요~ 2000.10.25 4237
388 원로 윤형근 화백의 예술 이야기. 3 아랑 2003.04.09 5368
387 원전연주 이야기(1)원전연주란... 5 신동훈 2001.11.01 4741
386 원전연주 이야기(10)원전연주 단체-피노크와 잉글리쉬 콘써트...이 신동훈 2001.12.03 4467
385 원전연주 이야기(11)원전연주 단체-쉬뢰더와 카펠라 사바리아...Uno 신동훈 2001.12.04 5992
384 원전연주 이야기(12)원전연주 단체-쉬뢰더와 카펠라 사바리아...Dos 신동훈 2001.12.04 6194
383 원전연주 이야기(13)원전연주 단체-사발과 에스페리옹20...一 신동훈 2001.12.06 4408
382 원전연주 이야기(14)원전연주 단체-사발과 에스페리옹20...二 신동훈 2001.12.06 4632
381 원전연주 이야기(2)요즘에 있어 원전연주가 필요항가... 13 신동훈 2001.11.01 4699
380 원전연주 이야기(3)바하음악에 있어서 원전연주의 의미... 3 신동훈 2001.11.01 4829
379 원전연주 이야기(4)원전연주에 쓰이는 악기는...하나! 3 신동훈 2001.11.02 4407
378 원전연주 이야기(5)원전연주에 쓰이는 악기는...둘!! 2 신동훈 2001.11.02 5534
377 원전연주 이야기(6)원전연주에 쓰이는 악기는...서이!!! 10 신동훈 2001.11.02 4913
376 원전연주 이야기(7)원전연주 단체-아르농쿠르와 콘첸투스 무지쿠스 빈...원 신동훈 2001.11.15 4933
375 원전연주 이야기(8)원전연주 단체-아르농쿠르와 콘첸투스 무지쿠스 빈...투 신동훈 2001.11.15 5123
374 원전연주 이야기(9)원전연주 단체-피노크와 잉글리쉬 콘써트...일 신동훈 2001.12.03 4413
373 원전연주의 의미 17 으랏차차 2002.01.23 4692
372 위의 글을 읽고... 6 지나가다 2004.02.06 5777
371 위의 책이 집에 도착해서.. 3 눈물반짝 2001.06.01 4355
370 윈도XP를 위한 앙코르 아직 안 나왔나요?? 4 병욱이 2002.08.10 4304
369 윌리엄 크리스티의 베를린필 데뷔연주! 1 고충진 2002.10.24 4177
368 유구음계와 조선 전통음계의 비교 - 나운영 선생의 이론 소개 file gmland 2003.05.07 8922
367 유명연주자의 트레몰로감상후기(러쎌, 바루에코,윌리암스) 64 2003.11.18 6185
366 윤디 리 콩쥐 2007.12.06 13049
365 윤소영............바이올리니스트. 5 2002.09.26 6412
364 음.. 리얼은여... 변소반장 2000.10.17 4009
363 음... 1045번... ㅡㅡ+ 5 신동훈 2002.04.12 4548
362 음... 그냥... 무제입니다... 6 캬슬 2001.05.23 4245
361 음... 사라진 바하의 협주곡들... ㅡㅡ; 9 신동훈 2002.03.30 4891
360 음반 게시판을 보세요!!! 음반방장 2000.10.05 4792
359 음반장님 보세요. 2000.12.25 4097
358 음악 - 어떻게 들을 것인가 4 1000식 2005.03.29 6024
357 음악 이론수업의 문제점 2 문제 2014.07.07 8513
356 음악?? 5 강민 2001.08.22 4380
355 음악가를 까대지 말고..... 3 가난한 유학생 2001.05.23 4723
354 음악과 관계된 영화 추천해 주세요 42 2006.05.23 6657
353 음악과 미술에 대한 잡생각 41 쏠레아 2009.10.09 15395
352 음악과 색채.... 7 채소 2001.06.27 5962
351 음악과 수학 - 순정조와 평균률, 그리고 기타의 조율 10 bluejay 2008.03.24 20105
» 음악과 수학(1) - 음악의 엔트로피 33 file bluejay 2003.11.20 7410
349 음악과 수학(2) – 피타고라스 음계와 선법 1 bluejay 2004.02.17 9085
348 음악과 여백 1 느끼 2005.02.20 6437
347 음악과 이념 - 알베니스의 피아노 협주곡을 중심으로 6 file 1000식 2007.02.06 12618
346 음악도 분명히 현재의 모습을 반영하는 곡들이 지금가득합니다. 9 cool 2003.06.23 4238
345 음악듣기.... 반성... 3 채소 2001.08.26 4222
344 음악듣다 운 얘기하라고요? 고은별 2000.09.15 4820
343 음악사에 있어서 마지막 화가는 바흐다... 4 채소 2002.01.17 5182
342 음악성이란 그 무엇을 좇아서.... 44 그림이 2006.02.22 9420
341 음악성이란 그 무엇을 좇아서.... 26 그림이 2006.02.22 6377
340 음악에서의 호불호 6 2003.08.29 6285
339 음악영화."투게더".....감독(첸카이거) file 콩쥐 2005.11.21 14840
338 음악의 상대성과 절대성. 1 2005.06.17 5952
337 음악의 예술성과 과학성, 음악과 음학 10 gmland 2003.06.11 5855
336 음악의 편가르기.....클래식과 대중음악등등.....의미없음. 2002.02.01 5181
335 음악의 호불호에도 객관적 보편타당성이 존재하는가? 1 gmland 2003.08.29 4982
334 음악하는 사람이 공부를 못한다는 의견에 대해 - 음악의 천재들 에피소드 소개 3 으니 2006.09.06 7168
333 음울한 날씨...문득 생각난 모짜르트 레퀴엠. 형서기 2001.02.23 4521
332 음질은 료벳꺼보다 세고비아가 오히려 나아요... 신정하 2000.10.10 5675
331 이 사람도 아는지? 1 바리바리 2001.05.02 4170
330 이 사람을 아시는지? 1 file 바리바리 2001.04.17 4766
329 이건 어디에 있는지 알고 싶어요^^ 망상 2001.03.11 4191
328 이것보쇼... 3 기타새디스트 2003.06.04 4719
327 이곡 제목 뭔지 아시는분? 7 차차 2003.07.24 5698
326 이곡은 유명한 기타버전이 있습니다. 미니아부지 2000.10.24 4142
325 이곳은...다른세상 file whisky 2000.08.24 4873
324 이런 곳이 다 있네 ^^ 초보작곡가 2000.08.02 4725
323 이럴수가....0.0;; 형서기 2000.10.16 4127
322 이미경 Who, " violinist / 뮌헨음대 교수 " < 발췌문 > 4 jons 2012.03.09 18286
321 이번 논문에대한 자평과 감사의 글.. 2 으랏차차 2002.06.12 4778
320 이번에 기타콩쿨에 나가는 칭구에게 보내는편지. 3 콩쥐 2006.05.21 5854
319 이번에는 큰바위 얼굴 아저씨에게서 매니악 2001.02.27 4195
318 이빨로 물어 뜯기.. 변소반장 2000.12.15 4048
317 이성우&올리버 연주회 후기.. 형서기 2000.12.11 4068
316 이중주? 하하하.... 2000.09.29 4741
315 이창학님께 감사드립니다.[핑크 플로이드 찬가] 8 최성우 2001.07.07 4660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