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156.94.113) 조회 수 14686 댓글 14


사진처럼 상현주나 하현주를 저런식으로 가공한 기타가 있던데

무슨이유라도 있나요?

소리에 영향을 줄까요?
* 수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0-05-19 08:58)
Comment '14'
  • 명노창 2010.05.17 16:57 (*.146.169.156)
    무게를 최소화하여 진동에너지를 그만큼 잡아 먹지 않게 하기 위함일겁니다.
    그러나 저는 솔직히 그닥 마음에 와 닿지 않더군요...
    어떻게 보면 자동차바퀴에 껌붙이고 연비 논한다고나 할까요...^^
  • 도치 2010.05.17 18:07 (*.186.51.249)
    어빈소모기기타도 저렇더라구요. 그래서 돈주고 저렇게 바꾸는 사람들을 봤어요..

    자기들은 좋다고 난린데.. 전 모르겠더라구요...ㅎㅎ
  • 12 2010.05.17 19:03 (*.230.19.76)
    하현주의 무게가 줄어드는것으로 생각하면

    무시할 수 없는 영향이 있다고 보여지는데요..

    앞판 구조에 따라 저렇게 하지 않으면 안되는 이유가 있지 않을까요?

    구지 저렇게 안해도 되는 이유가 있듯이요..
  • 최동수 2010.05.17 19:46 (*.106.214.117)
    옛부터 바이올린처럼 궁극적으로 연주가를 위해 만드는 악기는 음질에 최대한의
    역점을 두었던 까닭에, 악기의 모양도 자연주의?의 경향을 띠울 수 밖에 없었지요.
    원래대로의 목재와 보호막겸 음질을 향상시킬 수있는 바니쉬가 전부였지요.
    따라서 줄감개도 아직까지 Ebony wood peg로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기타는 이와 달리 왕후나 공주, 그리고 귀족과 그 영양들을 위하여는 악기외적인
    장식적인 면도 소홀히 할 수는 없었다고 사료됩니다.
    몸통의 대부분을 상아로 장식한 악기도 있었을뿐 아니라, 자개, 거북이 등껍질이나
    흑단등으로 측후판, 네크와 헤드를 장식하는게 당시의 관례였습니다.

    현재 우리가 애용하는 금속제 헤드머신도 바이올린에서는 금기사항이 되어있지요.
    지금도 로제테만큼은 제작가 나름대로 고유의 문양을 사용하고 있듯이
    몸통 주변을 보호하는 테두리(Binding)와 전후판 사이에 재료의 분리를 강조하는
    무늬테(Purfling)의 문양도 현재는 형식적으로 단순화되어가지만, 로제테와 함께
    조화가 되어야하고(근래에 우리네 제작자는 퍼플링마저 바인딩이라고 부르듯이)
    모든게 경제원리나 생산체제 합리화과정을 거치면서 단순화되는듯 하기도하고...

    이를 음질의 극한적인 향상을 위한 노력의 결과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이런 모든 사유를 포함해도 기타의 장식적인 면은 간과 될 수는 없다고 보입니다.

    오래전에 동독의 유명한 명기 Weissgerber의 제작가 Richard Jacob이 자연주의에
    몰입하여 전면판에 단순히 사운드홀만 뚫려있고 바이올린처럼 아무런 장식이 없을
    뿐 아니라, 역시 바이올린처럼 테두리 바인딩도 따로 붙이지 않는 기타를 만들었는데,
    아무리 소리가 좋아도 그런 악기는 전통적인 모양의 기타에 비해 인기가 떨어졌겠죠.

    명노창님의 추론도 옳은 말씀입니다만,
    아직까지는 기타의 공예적인 예술성을 배제할 만큼 시대가 변한 것같지는 않군요.

    저도 가끔 상하현주를 위의 사진처럼 가공하면서 느끼는 거지만 그로 인한 발현음의
    차이가 괄목할 만한지는 아직도 숙제입니다.
    다만, 제작가 나름대로의 공예적인 노력 내지 차별화의 표현이라고 보고싶습니다.


    이번에 저는 측후판에 모자이크를 4,000여개를 상감한 중세풍 악기를 만들고 있는데,
    이것마저 자동차바퀴에 껌 4,000개 붙인거라고 놀리지는 않겠죠?
    사실은 로제데, 헤드플레이트와 네크의 뒷면에도 모자이크 상감을 했지만
    모자이크 덕분에 음질이 저하되면 저하되었지 향상되리라고는 생각지 않습니다.

    그냥, 다른 제작가들이 바빠서 안하는걸 제가 대신 만들어볼 뿐입니다.
    상하현주도 당연히 가공해야되겠죠, 어허허허
  • @@:: 2010.05.17 19:54 (*.161.14.21)
    저 사진정도가 아니라
    현 걸리는 밑에다 구멍을 뚫고 금을 박아 넣는분도 계시죠...
    금이 보통 귀한게 아니쟈나요...
    그 정성이 보통이 아닙니다...그 결과는 그런 기타를 연주해본 분들만 아는것이고....
    걍 존경스럽다고나 할까....

    안해본 우덜은 손가락빨며 .....
  • 최동수 2010.05.17 20:05 (*.106.214.117)
    미국에서 활동하시는 박윤관님께서는 상하현주를 손수 가공하여
    금을 박아넣기도하고 상현주 아래에 대추나무를 깔기도 하는데...
    나름대로 음질 향상에 대한 신념을 갖고계시죠.

    저도 박윤관님으로부터 얻은 대추나무를 상현주 밑에 깔아봤더니
    개방현의 킹킹대는 소리가 줄어들더군요
  • 명노창 2010.05.17 20:12 (*.171.215.48)
    제작자의 땀과 노력으로 완성되어 지는 것은 소리이상의 가치를 갖는다고 봅니다....
    최동수 선생님 악기한번 보고 싶습니다...^^
  • 2010.05.17 20:13 (*.184.77.147)
    상현주의 재질을 바꾸면 개방현뿐 아니라 폐쇄현에서도 음질이 바뀝니다.
    그런데 고래로부터 이런 사실을 이미 다 알고 있었을건데도
    상아나 뼈를 고집해서 해놓은데는 타당한 경험칙이 적용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 개인적으론 0프렛은 그러면에서 문제가 있다고 보는편 입니다.
  • 최동수 2010.05.17 20:32 (*.106.214.117)
    역시 훈님은 그 방면에 연구와 체험이 많으십니다.

    저도 실패담 한토막 :
    최근에 Tusq 상현주를 설치해봤더니 상아보다 미끄러워서 줄감는데는 도움이되지만,
    소문처럼 탄현진동을 잘 전달하여 음질이 향상되는 느낌은 글쎄요???

    Tusq 하현주의 경우, 너무나 탄현진동을 곧바로 전달해서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Steel string 기타처럼 Crispy한 소리가 지나처서 빼어 내버리고
    다시 상아로 바꿨더니 부드럽고 기타적인 음질로 돌아오더군요, 참고 하시길..
  • hesed 2010.05.17 22:11 (*.124.36.25)
    http://cafe.naver.com/tongandtong.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46646

    위쪽 링크에 저런 상현주 모양으로 실험하신 분의 글이 있습니다.
    한음한음이 또렷해진다고 하시네요.

    회원가입해야하지만 유명한 사이트니 가입하셔도 될거 같습니다.


    그리고 고수님들께 질문 하나 드리겠습니다.

    퍼플링이 어느 부분인지 조금만 자세하게 설명해 주실 수 있을까요?

    바인딩과 퍼플링의 차이점을 몰라서 궁금하네요.

    답변 부탁 드립니다. ^^
  • 명노창 2010.05.17 22:58 (*.171.215.48)
    보통 기타의 앞판을 보면 바인딩안쪽으로 하나의 무늬나무테가 들어갑니다....
    퍼플링은 바인딩의 안쪽에 넣는 장식테두리를 말한는 겁니다.
  • 최동수 2010.05.17 23:09 (*.106.214.117)
    기타의 몸통 주변을 보시면 로즈우드 종류로 전면판이나 뒷판의 절단면을 보호하기 위한
    테두리를 붙여줍니다.
    이걸 binding이라 부르며, 단단한 재질 즉 측/후판과 같은 재질을 사용합니다.

    이 바인딩과 전면판/뒷판 사이에 하양, 까망내지 갈색이 조합된 가느다란 장식이 있는데
    어떤 악기에는 자개나 상아를 상감한 것도 있습니다.
    이게 Purfling 인데 연한 재질을 사용하며 자연색의 원목 또는 염색재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바이올린은 거의 다 일률적으로 까망/하양/까망색의 가느다란 띠를 전면판 주변에 넣지요.
    이 장식무늬를 일컬어 퍼플링이라고 부르는데서 기원하였다고 합니다,

    이즈음 제작계에에서는 퍼플링과 바인딩을 합해서 바인딩이라고 부르는 관행이 있습니다.
    아쿠스틱기타의 경우 하양이건 까망이건 구분없이 플래스틱을 사용하여 한꺼번에 붙이므로,
    편의상 바인딩으로 통칭하고 굳이 구분할 필요조차 느끼지 못한 듯합니다.

    하기는 클래식 기타 제작계도 퍼플링과 바인딩을 한꺼번에 붙이는 편의적인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바인딩은 악기의 외곽 모서리의 보호가 목적인 반면에
    퍼플링은 전/후/측면간의 다른 재료의 분리를 강조하기 위한 장식이 목적이므로 구별되어야 맞습니다.
    만약 자개를 상감한다면 따로 붙일수 밖에 없으므로 퍼플링이라고 구별하여 부르게되겠지요.

    전통적으로는 먼저 바인딩을 설치한 다음, 틈새에 퍼플링을 삽입하거나, 그 반대순서로 하는 겁니다.
    악화가 양화를 밀어내고, 파행이 관행이 되어가는 시대이니까요.


    내친김에 한마디 더 하자면,
    상현주는 Nut라고 부르고, 하현주는 Saddle이라고 부르기를 희망합니다.
    기타의 상/하현주는 우리네 전통악기처럼 그런 기둥형상으로 되어있지 않거든요.
    외국악기에다 형상과 어울리지 않는 우리말을 굳이 붙이는 제작계가 민망스럽기도하고요.
  • 명노창 2010.05.17 23:25 (*.171.215.48)
    맞습니다..최동수선생님 말씀이 백번 맞습니다.
    저역시도 퍼플링과 바인딩은 전혀 다른 개념이라서 몸통에 작업할 시 같이 조립하지 않습니다.
    퍼플링을 먼저하고 나중에 바인딩조립에 들어갑니다.
    상현주와 하현주 역시 거문고의 그런개념과 달라서 그냥 원어로 부르는 것이 옳은 것같습니다.
  • hesed 2010.05.18 01:53 (*.124.36.25)
    답변 감사드립니다.
    퍼플링이란것을 십수년만에 처음으로 알았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34 matthias damman [2] 4 2002.10.14 5339
1733 - 7현기타 업네크 file 오모씨 2005.01.31 7063
1732 로제트는.. 어떻게 만드는거에요? 아따보이 2002.07.13 5248
1731 명기들이 많은 ......우에노역 근처의 aura 5 file 2004.10.11 6806
1730 - 7현기타 뒷모습 file 오모씨 2005.01.31 7103
1729 Agustin Barrios' original guitar (1914) 7 고정석 2011.10.25 13810
1728 Bernhard Kresse 2000.10.23 4391
1727 French Polishing(번역본) -- 전부 번역되면 수정하겠습니다. 고정석 2002.07.26 7360
1726 José Romanillos SP/IN (Classical) 고정석 2002.10.19 5865
1725 마르비 사진 1 1 file Limpman 2005.12.08 6541
1724 바리오스의 기타? 2 웅수 2000.07.16 5925
1723 바리오스의 기타? 2 웅수 2000.07.16 5859
1722 수님 보세요 이재화 2001.02.17 4263
1721 수님............ 이재화 2001.02.28 4309
1720 싸즈(saz) 의sound hole(울림구멍) 1 file chokukkon 2010.03.11 11300
1719 역시 기타를 칠려면 손가락이 가늘고 길어야 ㅠㅠ 기타는멋쟁이 2006.01.18 6103
1718 이런 기타 이름을 뭐라해야.... ? 13 file 콩쥐 2008.09.07 9459
1717 전설적인 명기 2003.07.11 6323
1716 칠이넘 어려워......... 이재화 2001.02.16 4549
1715 하카란다 에 대한 혼동 ? 19 esteban 2006.03.06 8100
1714 ##이렇게 한 번 해보세요^^... 박성운 2000.12.16 5398
1713 뭰히 길들이기 II 1 산넘 2001.10.09 4720
1712 뭰히 길들이기... 6 산넘 2001.09.12 5575
1711 '라이징 보드'와 '노말 보드'의 차이점 5 로망스 2006.02.28 7912
1710 '사바레즈 '의 특징은 뭐예요? 4 2001.05.31 5919
1709 (질문)새들에서의 현간격 1 씨티에스 2024.06.06 232
1708 (현장길이, 장력, 왼손)과 이에 따른 오른손의 견해 4 2004.02.16 6784
1707 - 7현기타 브릿지 file 오모씨 2005.01.31 6473
1706 - 7현기타 사운드홀과 라벨 8 file 오모씨 2005.01.31 7163
1705 - 7현기타 앞모습 file 오모씨 2005.01.31 7465
1704 - 7현기타 포지션마크 file 오모씨 2005.01.31 7494
1703 -- 뒷판 굽(heel)부분 1 file 오모씨 2004.02.15 6515
1702 -- 뒷판 하까란다~ 4 file 오모씨 2004.02.15 6882
1701 -- 라벨 -- 10 file 오모씨 2004.02.15 6685
1700 -- 로제트 2 file 오모씨 2004.02.15 7035
1699 -- 몸통 자세히 4 file 오모씨 2004.02.15 7284
1698 -- 브릿지~ 3 file 오모씨 2004.02.15 6765
1697 -- 암레스트래요~ 2 file 오모씨 2004.02.15 6867
1696 -- 어쿠스틱포트 1 2 file 오모씨 2004.02.15 6376
1695 -- 어쿠스틱포트 2 / 라이징 보드 file 오모씨 2004.02.15 7067
1694 -- 헤드에요~ 2 file 오모씨 2004.02.15 6167
1693 . 4 2002.07.13 5511
1692 . 2 2001.12.27 6257
1691 . 웅수 2000.06.25 5228
1690 . 1 2001.07.09 5023
1689 ... 2001.01.31 4997
1688 0프렛에 대해... 제로프렛??? 28 쏠레아 2008.09.12 11958
1687 100년된 하카란다 덩어리. 2 file 콩쥐 2005.09.20 10368
1686 10미터높이의 연주회장 천정....placio de la guitarra 2 file 2004.10.11 7315
1685 11현 기타의 조율...진철호님의 글에서 퍼왔습니다. 1 2002.03.10 6322
1684 120센티 갈라진 기타 file 2023.05.17 2105
1683 12구멍의 브릿지 file gaspar 2000.12.27 4871
1682 12줄 Kali... 2 file 간절한 2002.07.27 5899
1681 12현기타 자세히보기 15 file 콩쥐 2009.09.30 11865
1680 12홀 브리지 file 2024.05.06 606
1679 12홀 브릿지 줄 매는 법(알마기타 펌) 2 그놈참 2004.10.07 8034
1678 12홀 브릿지는 장력이 센가요? 17 브릿지 2010.05.18 13718
1677 12홀 브릿지에 유감 있음 (-_-) 11 file audioguy 2004.10.06 6539
1676 12홀 상아단추의 길버트모델브릿지 7 file sangsik 2003.05.04 7288
1675 13현 기타 5 13s 2009.11.13 7897
1674 1863 Torres Guitar played by Richard Brune 10 고정석 2009.07.11 7729
1673 1920년 싼또스 에르난데스 1 file 2004.12.22 7246
1672 1930년 헤르만 하우져 1세 file 2004.12.22 6713
1671 1962 Classical guitar by Robert Bouchet_Brompton's 경매회사 4 file guitarguitar 2013.10.19 10863
1670 1965 David Rubio Julian Bream SP/BR 고정석 2002.06.16 7756
1669 1970 Ignacio Fleta 고정석 2002.06.16 9932
1668 1973년 Romanillos Guitar Plan file 고정석 2007.12.09 10616
1667 1년 걸려 부쉐 모델로 Gregorio 2호 완성했어요 24 file 그레고리오 2007.08.28 8604
1666 1달러짜리 기타줄 2023.05.17 1762
1665 1만년 가는 악기.... 고금 file 2024.05.06 701
1664 2%님은 나머지 98%를 어따 뒀어? sophia 2000.08.19 5127
1663 2005년 5/3~5. 일본동경근처의 기타문화관에서의 기타전시회. 2005.02.17 5415
1662 20년된 기타 file gdream7 2005.12.31 6802
1661 20년된 기타 file gdream7 2005.12.31 7684
1660 20년지난기타 올 쉘락칠. 1 file gdream7 2005.12.31 6771
1659 20프렛 장착 file 2023.12.01 1328
1658 24 Strings Sympitar!!! 1 file 간절한 2002.07.27 5240
1657 2만달러짜리 담만기타 사진(앞,뒤) file 명노창 2000.10.23 7593
1656 2홀 슈퍼칩 3 file 리브라 2011.05.12 14540
1655 30년 건조된 이탈리안 스프르스 file 2024.04.14 787
1654 30분전에 준비된 소리가... 새내기 2001.04.10 4627
1653 30분후 기타 소리가 조아지는데... 새내기 2001.04.02 4694
1652 350년된 스트라디바리우스 file 2024.04.14 786
1651 3번선이 얇아지면 해결? 개팔자 2000.09.13 5606
1650 3번선이 얇아지면 해결? 개풀 2000.09.13 5333
1649 3피스 넥 핑거보드 file 2023.01.19 1924
1648 42현 피카소기타 12 file Amigo 2007.01.08 8938
1647 5 Famous Torres Guitars 2 file 고정석 2017.08.23 9394
1646 5 piece guitar 1 file 2023.01.27 1966
1645 5 PIECES TOP file 2022.09.15 2245
1644 50호정도의 기타를 구입하려는데 조언을 17 오원근 2001.04.18 4786
1643 5벌 수입해서 다 뽕발났네....... 명노창 2000.10.08 5306
1642 5피스 기타 file 2023.11.22 1396
1641 630mm 기타에 관한 이야기(번역) 5 gaspar 2004.01.09 11003
1640 635 사이즈도 좋아요 2023.06.12 1629
1639 6번현보다 5번현 소리가 특히 큰데....~ 3 으랏차차 2002.03.27 5377
1638 6현기타가 10현기타로... 1 콩쥐 2009.09.08 7620
1637 71번글. 글쎄요? 과연 그럴까요? 개풀 2000.08.17 4529
1636 7현 기타~ 12 file 오모씨 2004.01.12 6813
1635 7현기타 4 file 2020.07.09 4291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