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92.51.167) 조회 수 7591 댓글 10

Richard Brune, a recognized authority on and restorer of antique musical instruments, talks about an 1863 Torres guitar from his collection.
Comment '10'
  • 김치볶음 2009.07.12 11:17 (*.206.239.103)

    동영상으로 듣지만 작은 몸통에서 어마한 소리가 나오는군요.
    실지로는 소리가 더 좋다고 합니다.
    액션이 약해서 .고전 음악보단 프라맹코에 더 어울리긴하지만 워낙 소리가 잘나서 터치가 강하지않아도 소리가 잘난다고 하는군요.

    팬브레이싱이 몇개없는데도 이렇게 좋은소리가 나는데 그이유는 몸통이 작아서 브레이싱이 많이 필요하지 않다고 하는군요.
    결국은 브레이싱이란 음을 조정하는것이지 어느 특정한 종류에 브레이싱이
    좋은 악기를 만들기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것이 아님을 증명하는것 같군요.

    토레스는 그옛날에 벌써 이런것을 깨달은것 같습니다.
    아니면 특정에 브레이싱란 개념조차 없었을때 일지도 모르지요.

    토레스에 악기는 앞판이 얇은편인데 대부분 악기를 수리하면서 크랙을 미관상 않보이려는 의도로 refinish 를 많이하게 되는데
    특히 앞판이 얇은 토레스 악기는 그러면 두께가 더 얇아지기 때문에 좋은소리가 날수 없다고 하는군요.
    수리하는 분들이 이렇게 refinish 를하는 이유는 돈있는 수집가들 때문이라합니다.

    지금이 악기는 그런이유로 refinish 않했다고 합니다. 4년을 수리하면서도 말이죠.
    넥에 길이는 25 inch 64?mm 이고 넥 넓이는 47/48mm? 정도라고 합니다.

    한가지 재미있는 일은 토레스가 inch 시스템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그이유는 그당시 토레스가 쓰던 공구들이 영국제를 사용했는데 그당시에는 영국제 공구들이 제일 좋았다고 하는군요.

    혹시 더 궁금하신분이 계시면 직접 부르네 한테 연락을 해보세요. 웹사이트에 전화 번호가 있습니다.
    친절해서 잘 아르켜주실것입니다.
  • 2009.07.12 13:17 (*.184.77.156)
    클래식기타에 브레이싱은 소리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는게 분명합니다.
    3-9팬 브레이싱이 통상이지만 격자브레이싱과는 소리가 판이합니다.
    클래식기타에서 브레이싱은 전판의 두께와 관려지어 붙이는 거지만
    고음과 저음 그리고 전체 음의 밸런스,음색,음량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데
    명기를 분해해 보아도 보통기타와 별다른 구조가 아님을 볼때...
    자재의 품질과 전판 측후판의 미묘한 두께설정과 브레이싱의 두께와 배치에
    그 비법이 숨어 있는 거겠지요. (결국 명공의 손맛이라는 얘기가 되는 건가요? ^^)

    포크기타에 보면 브레이싱이 전혀 없거나 X브레이싱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포크기타 특유의 소리를 내기 위한 포크기타만의 발전노하우 일겁니다.
    클래식기타에 브레이싱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스페인기타를 쳐보았는데
    소리가 좋긴 했지만 소리에 알맹이(에너지?)가 없었습니다.
  • 김치볶음 2009.07.12 13:41 (*.206.239.103)
    어떤 특정한 브레이싱이 소리에 영향을 주는것은 그 브레이싱 자체에 특이성이 나무/울림에 미치는 영향인것이겠지요.
    같은 이야기 같지만 어느 브레이싱에 패턴보다는 어떻게 브레이싱을 사용해서 음을 조정을 하느냐가 더중요하다는 말인것같습니다.
    브레이싱 모양이나 패턴은 음향조절에 결과라는 말이 될수도 있는것 같습니다.

    그런데 많은 제작가들에 마음가짐이 그렇지 않다는 선입관?이 저한테 남아 있느것 같습니다.
    하지만 만든다는 과정에서 볼때 참 애매한 관념인것 같기도 합니다.
    하지만 중요한 관념이란는 생각이 드는군요.

    말씀대로 결국 명공에 손맛이라는것이지요.

    토레스가 기타만드는 비결이 무엇이냐고 하는 질문에 "나는 엄지손가락과 나머지 네손가락으로 기타를 만든다" 고 했답니다.

    앞판을 잡는 손가락들을 이야기 한것이라고 합니다.
    앞판을 잡고 휘어보고 모든 손가락을 동원해 손끝으로 느끼며 만드는 과정을 말한것입니다.

    지금도 스페인에 여러 공방들에서 이런 손모양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 콩쥐 2009.07.12 17:02 (*.161.67.92)
    토레스 1기때의 조금 사이즈가 작은 초기작을
    하우저공방에서 만져봤는데, 아주 느낌이 좋았어요....
    제가 그토록 좋아하던 표준사이즈의 하우저 1세기타보다도 더 느낌이 좋았죠...
  • 콩쥐 2009.07.12 17:05 (*.161.67.92)
    근데 이기타는 너무 막 굴렸군요....
    제가 본건 한군데도 안 갈라졌던데...
    저렇게 많이 갈라지다니...150년만에 너무 많이 갈라졌네요.
  • 김치볶음 2009.07.12 22:45 (*.206.239.103)
    이기타는 너무 몸통이 작아서 연주하기 불편하다고 하더군요.
    그러고 보니 동영상을 보면 오른팔이 편해보이질 않는다는걸 짐작할수 있을것 같네요.

    동열상에서 하는 말이 벽에 걸려 장식용으로 지내다가 쓰레기통에 들어갈번 했던 기타였다고 합니다.
    이러한 기타가 수리후에 이러한 소리를 낼수 있다는것이 신기한일이지요.

  • 2009.07.12 23:04 (*.184.77.156)
    이런 몸통 작고 스케일 작은 19세기 기타형을 보통 parlor기타라고 하던데요.
    대체로 소리가 좀 땡땡거리더군요. 그런데 이 토레스는 소리가 아주 좋습니다.
    크랙이 아주 많아도 저런 토레스 한대 소장해 봤으면 소원이 없겠습니다. ^^
    (저도 쓰레기로 버려질려는 고물 외제기타를 몇대 살려낸 경험이 있어서
    누군가 저런 명기인줄도 모르고 벽에 장식으로 걸어 놓다가 버릴려면 헐값에 사와야지요 . ㅎㅎ
    기타는 넥만 크게 휘지 않으면 어지간히 망가져도 어떻게든 다시 살려낼수가 있거던요. ^^ )
  • 김치볶음 2009.07.13 03:07 (*.206.239.103)
    한국은 외국에 비해 제작가분들이 이런 명기를 수리하거나 접해볼기회가 많지 않은것 같습니다.
    이런일들을 해나하면서 배우는 점들이 너무 많다고 하는데 아쉽다는 마음이 생기는군요.

    요즘 느끼는점들은 한국에 계신제작가 모든분들 정말힘든 환경에서도 참 열심히 하시고 재주도 정말 좋으신분들이라 생각되네요.
    희망을 가지시고 열심히 해주시길 바랍니다.
    또 긍지도 가지실만 하십니다 훌륭한 재주들을 가지셨으니까요.
  • 김치볶음 2009.07.13 05:07 (*.206.239.103)
    누구나 살다보면 본의가 아니게 어떤일들을 그냥 지나치게 되는 때가 있습니다.

    토레스는 우리들에게 결코 적지않은 업적들을 남기고 떠났습니다.

    그가 살아온 예술가로서에 고귀했던 삶과 또 인간으로서 비참했던 그에 생애를 생각해볼때
    시궁창으로 사라져 버릴뻔했던 그에 피와 혼이 담긴 악기가 비로서 이제야 발견되어
    정성으로 수리가되어 다시 연주가 될수 있다는일은 참으로 기쁜일이 아닐수가 없습니다.

    잘 연주가돠고 보존이되길 바랄뿐 입니다.
  • 최샘 2011.07.08 20:17 (*.94.195.162)
    to 훈님>> 포크기타에서 X브레이싱를 사용한 이유는 포크기타 특유의 소리를 내기 위한...이 아니고 그냥 제작단가가 싸기 때문이었습니다(19세기 중반 이후 마틴 가문 등에서 도입). 이게 나중에 20세기 초반에 대음량에 대한 요구로 쇠줄을 도입하려 할 때 보니, 쇠줄의 장력을 견뎌내기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었던거죠.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34 질문 한가지 드립니다. 4 간절한 2002.01.23 4527
1533 질문 있읍니다~~~ 5 아이모레스 2007.06.25 5164
1532 진촌놈이라 모르구먼유.. 곰팽이 2000.11.02 3917
1531 진지선생이 만든 기타... 3 으랏차차 2001.12.25 4525
1530 진열되있는 고악기들........placio de la guitarra file 2004.10.11 6805
1529 직업때문에 연주회 구경 못가는 심정 백영업 2001.03.17 3965
1528 지판의 재질도 음색에 영향을 주나요? 스기 2001.01.08 4774
1527 지판과 헤드를 흑단으로... 2 으랏차차 2001.06.09 5984
1526 지판 제작 관련 호기심 6 Josue 2022.11.04 2404
1525 지우압바가 연주한 기타아! M.Rozas 2000.09.02 7225
1524 지나가던 녀석입니다.. (-.-) (_._) 꾸벅! 변태원숭이 2001.03.17 4105
1523 지금 내가 치는기타... (심심해서 올려요..^^) file 으랏차차 2001.02.22 4473
1522 중요한건 습도가 얼마나 되느냐죠. 2001.07.13 3958
1521 중국이야기가 궁금타? 음반짱님.... 곰팡이 2000.11.12 3952
1520 중국기타제작가 방인준씨 이야기... 1 차차 2003.07.14 5742
1519 중국 기타 공장(공방아닙니다.)인데... 6 밀롱가. 2007.06.15 7701
1518 줄이 두겹씩 되어있는 기타? 해피보이 2001.03.01 4116
1517 줄의 장력이 세게 느껴져요!! 19 기타넘조아 2003.12.12 5434
1516 줄을 갈다 생각난건데.. korman 2007.01.18 5420
1515 줄에 관한 질문 1 갈리지니어스 2005.02.04 5996
1514 줄리안 브림이 한국전에 오려 했는데... 2000.08.01 5261
1513 줄걸고 세팅 file 2022.12.30 2177
1512 줄감개가 기타음색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파뿌리 2001.02.15 3997
1511 죤 윌리엄즈의 스몰맨공방 방문 1 파크닝팬 2009.12.13 12480
1510 좋은 악기의 기준? 토토 2003.05.21 5841
1509 좋은 생각입니다.. 개털 2000.09.01 4659
1508 좀더 길은 기타줄이 없을까요? 7 자유 2008.11.25 7657
1507 좀 허접 스럽지만 경험에서 나온 조언들입니당. ^^ 5 기타랑 2001.12.26 5485
1506 존길버트와 알마기타 11 재미난기타 2010.03.01 16376
1505 존 윌리암스가 기타를 스몰맨으로 바꾼이유. 11 file 길벗맨 2001.05.08 6257
1504 조하르 file 2023.09.27 1681
1503 조율에 따라서 음정이 뭉게지는데... 2 고정욱 2001.11.06 4134
1502 조율기 파손.. 수리 1 고른이 2006.01.09 4970
1501 조영갑 박사의 연구 결과 (기타 받침대 Z-Skinny 의 사용시 음향관계 분석자료) 2 file 노동환 2021.07.31 4421
1500 조앙과 함께 비교한 4대의 기타.. 10 file 2004.04.07 6565
1499 조립및 도색 완성기타 7 file gd7 2006.03.27 7759
1498 조나단과 스프러스 아이힝거.... 형서기 2000.07.05 5391
1497 조나단 힌베스에 대한 소식하나. 2000.07.30 5109
1496 조나단 힌베스.... 1 고형석 2000.05.30 6343
1495 조금전에 쉘락칠을 마친 기타 10 file gdream7 2006.01.08 7011
1494 제프리 엘리엇-로제트: 이정도면 되나요 일랴냐님 file gaspar 2000.12.29 4291
1493 제프리 엘리엇- 하나 더 file gaspar 2000.12.29 4693
1492 제품별 쉘락칠의 차이 1 브들레헵 2008.06.26 8643
1491 제작을 하면서 18 철공소사장 2005.06.14 5914
1490 제발 제프리 엘리어트 기타 좀 보여줘요? illiana 2000.12.28 3927
1489 제발 귀 좀 귀울여 주심 안될까요? 전우화 2000.11.03 4035
1488 제도로 프렛 계산해내기... 5 토토 2004.05.22 5474
1487 제가요 기타를 배우는 데요... 기타리스트 리 2001.01.28 3984
1486 제가 생각하는 수제품... 4 Sangsik 2003.05.21 5512
1485 제가 갖고 싶은 기타 file 기타마니아 2001.01.13 4762
1484 제 생각엔요.. 형서기 2001.05.03 5010
1483 제 뜻은 옆판과 뒷판은 비중적으로 앞판과 정다른 가장 단단한 나무를 사용해야... 개풀 2000.08.29 5474
1482 제 뜻은 옆판과 뒷판은 비중적으로 앞판과 정다른 가장 단단한 나무를 사용해야... 명노창 2000.08.29 5291
1481 제 기타에 대하여 알고 싶어요 성찰 2003.07.20 4650
1480 제 기타가 이상해여....ㅜ.ㅜ 7 고정욱 2001.06.26 3943
1479 제 기타 사진입니다. 4 木香 2002.05.13 5441
1478 제 기타 사진이네요. 제작자를 맞추어 BoA요~ file 2004.01.11 6227
1477 제 경험에 의하면 1 서정실 2001.05.17 4497
1476 정말대박일까? 개삐다구. 2000.09.16 4504
1475 정말 놀랬습니다 기타지존 2001.04.03 4316
1474 정말 감사합니다 일랴나 2000.12.29 3950
1473 접히는 기타. 이지은 2000.10.06 5217
1472 전형적인 토레스. 2000.09.04 4500
1471 전판쉘락칠 하기. 4 file gdream7 2005.12.15 5261
1470 전판 쉘락칠, 1 file gdream7 2005.12.17 4954
1469 전판 쉘락칠 장면. 1 file gdream7 2005.12.15 5589
1468 전판 사포칠 장면 1 file gdream7 2005.12.15 5406
1467 전통 천연도료 황칠의 특성과 이용 (퍼옴) 1 file 고정석 2009.06.27 8749
1466 전시회 소식 몇가지 올립니다. 3 토토 2003.09.03 4888
1465 전설중의 명기 1 차차 2003.07.11 7125
1464 적당한 습도와 황홀한 경험. 8 2002.01.27 6137
1463 저의 기타 사진입니다. Brahmam 2003년 (넘버10번 , 624mm) 10 file 고정석 2004.01.09 7165
1462 저의 기타 사진입니다. Corbellari 1997년 현장 640mm 1 file 고정석 2004.01.09 6429
1461 저렴한 기타의 꽃단장? 2 김현영 2001.03.16 5048
1460 저도 한마디............ 이재화 2000.11.02 4375
1459 저도 얼마전 기타를 하나 장만했습니다. 왕초보 2000.09.28 4866
1458 저도 쉘락칠(French Polish) 3 file limnz 2006.01.10 6644
1457 저도 기타에 대해 아쉬운점.. 4 차차 2005.11.15 5538
1456 저도 고노인데.... 명노창 2000.07.04 4674
1455 저도 칠이넘 어려워요......... 2001.02.16 4024
1454 저 대신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셰인 2001.01.31 3853
1453 7 2001.06.22 3958
1452 재화님 바이올린 만드신 이야기 해주셔요.. 지영이 2000.10.12 4489
1451 재미있는 브릿지 디자인이 있어서... 6 서정실 2006.05.12 5812
1450 재미있는 기타 입니다.... 3 file 대건안드레아 2012.09.16 14752
1449 재 도장 2 file gdream7 2005.12.17 5530
1448 장마철엔 조심해야죠........ 1 2001.06.26 4081
1447 장마철관리는 faq에서 읽어보셔요. 2001.08.22 4181
1446 장력에 관하여.. 4 gogododo 2002.10.02 5736
1445 장력(Tension)과 액션(Action) 44 쏠레아 2008.08.18 16715
1444 장력 1 기타쟁이 2007.12.19 5990
1443 장 라리비 기타 제작 과정 홍보 영상 6 jkfs 2009.03.17 9004
1442 작업3 14 file gd7 2006.02.26 5881
1441 작업2 8 file gd7 2006.02.24 5756
1440 작업 12 file gd7 2006.02.24 5981
1439 자잘한 상처들은 좋아요. 2001.03.27 4503
1438 자연스런 습도유지. 6 file 2012.01.21 17264
1437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2 박용수 2005.05.27 4768
1436 자살했읍니다. 아논 2001.01.08 4561
1435 자문자답 병서기 2001.08.31 4002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