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92.51.167) 조회 수 8776 댓글 1
 
전통 천연도료 황칠의 특성과 이용
글ㆍ사진/김세현(임업연구원 특용수과)
미생물에 의한 황칠분비 촉진모습.
<표1>정제방법별 황칠의 회수율
<표2>황칠의 수분함량
정제된 항칠액에 Turpenetine유, 아세톤, Ether를 적정량 혼합하였을 때 붓 작업성과 퍼짐성이 좋고 도료의 뭉침이 없으며, 다양한 황금색을 표현할 수 있다.
다양한 용도의 생활은기 및 장신구소품에 황칠을 이용, 황금색을 표현하여 만든 제품들.

전통도료 황칠은 삼국시대부터 황제·국왕·제왕의 갑옷, 투구, 기타 금속장신구의 황금색을 발하는 진귀한 도료로 이용되어 왔다. 그래서 우리 나라 특산물인 황칠나무 수지액의 특성과 이용에 대해 알아본다.

전통도료 황칠은 삼국시대부터 황제·국왕·제왕의 갑옷, 투구, 기타 금속장신구의
황금색을 발하는 진귀한 도료로 이용되어 왔다. 고려시대에 쓰여진 중국의「계림류사」,「계림지」,「해동역사」에 우리 나라 전남 도서지방에서 나는 황칠의 산지, 채취시기, 사용목적 등이 기록된 것으로 봐서 그 당시 중국에서도 황칠에 대하여 상당한 인식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삼국시대부터 황금색 색감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온 황칠은 다른 천연도료에서는 물론이거니와 현대의 수많은 인공도료에서도 발현하기 힘든 황금빛 수려한 색감과 안식 향이라는 천연 향을 지니고 있는 우리 나라 고유의 전통도료이다.
이러한 귀중한 문화유산인 황칠에 대하여는 전통 칠장인들도 지식과 정보가 전혀 없고, 황칠공예 장인도 현존하지 않고 있어 사실 그 맥이 끊어진 상태이다. 그러나 최근 국민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고급공예품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어 부가가치가 높은 상품으로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황금빛의 수려한 색깔을 발현하며 향기까지 더불어 지닌 황칠 재현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재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우리 나라 특산식물인 황칠나무 수지액의 특성과 천연도료적 가치의 우수성을 재인식시키며, 이를 산업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황칠의 분비특성

■일반적인 채취방법
황칠나무의 수지액인 황칠의 분비시기는 6월부터 10월까지이나 8월 초순부터 9월 중순사이에 가장 많이 분비된다. 수지액 채취방법으로는 수간에 -자, V자, O자형으로 상처를 내면 황색의 수지액이 나오는데 처음에는 유백색의 수지액이 나오다가 산화되어 황색이 된다. 채취방법별 칠액 분비의 정도는 흉고직경의 크기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나 흉고직경급 15㎝의 경우 1회 채취량 -자형 0.81g, V자형 0.93g, O자형 1.21g으로 나타나 O자형의 경우가 가장 많은 양의 황칠을 채취할 수 있었다.
■화공약품처리
황칠 채취에 있어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소량밖에 채취할 수 없어 수지액을 대량채취하기 위하여 염산, 황산 및 파라코트 등의 화공약품을 처리하기도 한다. 화공약품의 최적 처리시기는 7월 중순이며, 수지액 분비부위는 수피로 처리 5일 후부터 반응이 일어나 황칠의 분비가 촉진되며 이 현상은 수관 울패도가 높은 지역보다 낮은 지역의 시험 목에서 반응이 잘 일어난다. 흉고직경이 클수록 수지액의 분비가 많았으며, 흉고직경급 15㎝의 경우 1회 채취량은 1.87g으로 일반적인 채취방법에 비하여 2배의 증진효과가 있다. 그러나 화공약품처리의 경우는 수지액에 점성이 떨어져 아래로 잘 흘러내렸으며, 빠른 속도로 산화가 진행되어 질이 좋은 칠액을 채취할 수 없었다. 특히 주의해야 할 사항은 파라코트처리를 함으로써 칠액의 증진효과는 인정되었으나 처리 후 2∼3년이 지나면 시험목이 고사하므로 귀중한 자원을 보존하기 위하여서 화공약품을 이용한 칠액 채취는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미생물에 의한 황칠분비 촉진
황칠의 대량 채취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지액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황칠의 분비가 촉진되는 균주를 선발하여 동정하였다. 균주의 최적 처리시기는 7월 중순이며, 처리 7일 후부터 균주의 접종이 확인되고 황칠의 분비가 촉진된다. 미생물에 의한 칠액분비 촉진효과는 수관 울패도가 높고 상대습도가 높은 지역에서 효과적이었다.
흉고직경이 클수록 수지액의 분비가 많았으나 일반적인 방법으로 채취할 수 없었던 흉고직경급 5㎝의 경우 1회 채취량이 0.92g으로 나타나 가지를 이용한 칠액 채취가 가능하게 되었다. 흉고직경급 15㎝의 경우는 1회 채취량이 3.10g으로 나타났으며, 흉고직경급에 따라서 3.4∼7.7배의 칠액분비 촉진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귀중한 자원을 보존할 수 있어 환경 친화적이며 일반적인 채취방법 및 약제처리로 칠액 채취가 어려운 소경목에도 균주를 접종하면 황칠 채취가 가능하므로 보다 합리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황칠의 도료적 특성과 이용

황칠나무의 수지액인 황칠은 투명한 황금빛의 천연도료로 목공예품의 가치를 높이는데 우수한 재료이다. 옛날에는 주로 전투용 갑옷, 산문갑 등 궁중의 귀중품을 만드는데 이용하였으나 현재에는 그 활용도가 높아 목공예는 물론 금속, 가죽, 종이 등의 다양한 공예분야의 도료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황칠에는 정유성분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를 옛날에는 안식 향이라고 불러왔으며 천연향수나 약용으로서도 가치가 매우 크다.
■황칠도료의 분리 및 정제
황칠원액은 채취과정에서 목질부 등 여러 가지 협잡물질들이 포함되어 도료로 바로 이용할 수 없으므로 협잡물질 등을 우선 제거하여야 한다. 이들의 제거방법으로는 황칠원액을 여과하거나 원심분리를 해야 하나 황칠원액의 점성이 커서 황칠을 얻는데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여과기나 원심분리기에 묻은 황칠을 회수하는데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황칠원액에 아세톤을 첨가하여 추출하고 여과한 다음 진공 증발시켜 아세톤을 회수하고 정제 황칠을 얻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정제방법별 황칠의 회수율
정제황칠의 회수율과 물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황칠원액 50g과 아세톤 100㎖를 혼합하여 정제한 후 황칠의 회수율과 물성을 조사하였다. 진공증발은 회전식 증발기로 용제 회수단계, 잔류용제 및 수분제거단계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먼저 45℃의 온도와 150∼200㎜Hg의 압력에서 20분 동안 아세톤을 증발시키고 증발된 아세톤은 0℃의 수조를 사용하여 회수한 다음 잔류 아세톤과 수분제거는 45℃에서 10mHg 이하 압력으로 30분 동안 수행한 결과<표 1>과 같다.
황칠 회수율은 진공정제방법이 황칠원액을 기준으로 85.0%의 회수율을 보여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원심분리법, 압착법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황칠원액에 함유된 고형 협잡물질은 채취시기, 장소 및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정제 회수율은 고형분의 함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황칠의 수분함량조사
일반적으로 도료에서 수분은 분산성, 작업성 및 도막의 물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있어 황칠원액을 도료용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황칠원액에 상당량이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해야 한다. 따라서 황칠원액의 수분함량, 황칠원액을 오랫동안 정치하여 얻어진 상등액 및 정제황칠의 수분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황칠원액의 수분함량은 8.20%이었으며, 상등액 1.62%, 정제황칠은 정제과정에서 수분이 제거되어 0.93%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황칠원액과 상등액의 수분함량에 차이가 있는 것은 황칠원액에는 상당량의 정유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정유성분은 물이 서로 잘 섞이지 않고 물의 밀도가 높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정제황칠이 상등액보다도 수분함량이 낮은 것은 본 연구의 정제방법이 수분제거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황칠의 주요 성분
황칠의 주요 구성성분은 크게 나누어 황금색의 도막을 형성하는 도료성분인 비휘발성 성분과 방향성 성분이 약 77%를 차지하고 그 나머지는 수분과 고형분으로 되어 있다. 또한 황칠을 이루고 있는 주요 성분으로는 α-Cuvebene, β-Elemene, β-Gurjunene, GemacreneD, Elixene, β-Cubebene, β-Selinene, γ-Selinene, α-Muurolene, γ-Cadinene,∂-Cadinene, Juniper camphor 등과 같은 sesquiterpenoid 화합물과 steroid인 β-sitosterol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스퀴테르펜류의 β-Cubebene(30.1%), γ-Se1inene(16.1%), ∂-Cadinene(13.5%)이 주성분을 이루고 있었다.
■은제품용 황칠정제
황칠원액은 유백색의 액상물질로서 채취시 생기는 이물질 및 고형 물질과 갈색의 액상성분이 혼합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은제품용 황칠도료로 사용하기 위한 황칠액의 분리는 황칠원액에 아세톤을 첨가하고 여과한 후 회전진공원심농축기로 수조온도 60℃에서 556mbar 기압 하에서 농축하고 60㎜bar 기압에서 감압하여 도료용 황칠액을 정제하였다. 정제된 황칠액에 Turpenetine유, 아세톤, Ether를 적정량 혼합하였을 때 붓 작업성과 퍼짐성이 좋고 도료의 뭉침이 없으며, 다양한 황금색을 표현할 수 있었다.
■황칠도료의 경화, 도막성능 및 제품개발
일반적으로 황칠도료의 경화는 태양건조와 2단계의 변온경화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화방법은 날씨와 계절조건에 구애받고, 2단계의 변온경화방법으로 인하여 작업 공정이 복잡하고 시설요구도가 높기 때문에 산업화를 위한 대량생산의 방법으로 적합하지 못하다. 따라서 황칠도료의 도막성능을 개선시키면서 태양광 건조에 의한 자연조건에 제약을 받지 않는 경화방법인 고온경화를 한 번 실행하는데 2∼3시간 정도가 걸렸다. 또한 산업화를 위한 하루공정에 적합한 고온경화조건을 조사한 결과 100±1℃ 조건에서 황칠도막의 지촉건조시간, 연필경도, 부착성, 내충격성, 내수성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다양한 용도의 생활은기 및 장신구소품에 황금색의 표현이 가능하여 제품화되었다.

맺는말

최근 들어 전통공예를 보호·육성하려는 움직임과 전통공예품의 예술성에 대한 재인식으로 천연물질인 황칠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근래에 와서는 황칠이 금속, 목재, 섬유 등 다양한 재료에 응용할 수 있는 도료로써의 가치가 재평가되고 있다. 특히 은에 있어서는 황금색의 탁월한 색상과 고광택을 유지하고 시각적 측면에도 최고급 도장재료로서 외국의 우수한 도장재료에 비하여 전혀 손색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황칠을 은제품에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황칠정제기술을 습득하고, 황칠을 단지 형식적인 유물복원이나 개인의 취미나 전시회 등의 차원을 넘어 세계시장에서도 경쟁력 있는 우수한 제품으로 개발한다면 황칠을 이용한 은제품을 세계적인 수출상품으로 육성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문화상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Comment '1'
  • 최동수 2009.06.27 12:47 (*.237.118.155)
    귀중한 자료를 올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34 로제트사진 file 일랴나 2000.12.28 4205
1033 로제트사진 file 일랴나 2000.12.28 4300
1032 로제트는 어떻게 만드나요? 3 으랏차차 2001.04.20 5499
1031 로제트 6 file sangsik 2003.05.04 5769
1030 로제트 file 2023.01.19 1787
1029 로자스 얘기가 많군요.. 1 file 최성우 2001.06.11 4534
1028 로자스 3페이지 file 최성우 2001.06.11 4190
1027 로버트 락 아저씨...... file 명노창 2001.02.22 5268
1026 로맨틱기타 와 클래식기타 2021.02.17 5094
1025 로맨틱기타 file 2023.03.28 1943
1024 로만일료스 동영상 2 콩쥐 2014.07.03 8449
1023 로마닐로스가 올해(2008년) 의 제작자로 선정한 David Merrin Guitar 2 file 고정석 2008.10.19 18565
1022 라이징보드 사용 소감을 듣고싶습니다.. 5 김상국 2004.05.23 5479
1021 라왕으로 기타를 만든다면.... 2 간절한 2001.07.18 4340
1020 라야 팔도 로제트 사진.. 7 file 으랏차차 2002.07.10 5628
1019 라벨사진 file 일랴나 2000.12.28 4531
1018 라미레즈-통념과 사실 2 리브라 2013.05.24 10775
1017 라미레즈 기타에 대하여 22 최동수 2013.09.13 20811
1016 라미레즈 갖고시퍼라 라미레즈팬 2001.03.03 4524
1015 라미레스 4e를 쳐보고... 21 으랏차차 2001.09.09 5727
1014 라미네스 공방앞에서... 1 file SG guitarra 2007.06.19 8062
1013 똥글똥글한 소리.. 맑고 투명한 소리.. 심금을 울리는 소리.. 6 으랏차차 2001.07.19 4926
1012 또레스는 역시. 9 file 콩쥐 2007.07.30 8088
1011 또 기타줄... 8 김진성 2001.06.13 4681
1010 떨어진 상목 붙이기 file 2024.01.21 1070
1009 디.. 4 2001.11.14 5249
1008 드디어 야마하 Silent Guitar를 샀습니다!!! 17 JS 2002.09.17 7430
1007 드디어 기타를 바꾸었읍니다 (베르나베 기타...) 9 김브림 2011.10.31 17845
1006 뒷판사진 file 일랴나 2000.12.28 4724
1005 뒷판사진 file 일랴나 2000.12.28 3960
1004 뒷판사진 file 일랴나 2000.12.28 4758
1003 뒷판사진 file 일랴나 2000.12.28 4180
1002 뒷판 file sangsik 2003.05.04 5855
1001 뒤판을 교체하는 작업 file 2020.05.29 3760
1000 두분 의견 감사드립니다. 길벗맨 2001.04.06 4350
999 두번째 압축파일입니다. 2 file 궁금해서요 2003.07.24 5736
998 두랄미늄 새들 file 2023.11.02 1239
997 두랄루민 보강넥에 대해 8 질문드립니다. 2004.03.13 6618
996 두개의 다리로 선다말예요? 곁눈질 2000.10.19 5245
995 동아리연주회곡을 정해야하는데..ㅠ.. 2 동아리회장 2009.06.25 7243
994 동아리 기타 구입 8 빨리... 2003.06.27 5555
993 동문서답. 1 병서기님 팬 2001.08.31 4247
992 독특한 기타 디자인이네요 6 file 바실리스크 2009.05.14 11329
991 독일제 격자구조 Guitar!!! 4 file 간절한 2002.06.21 8382
990 독일의 명장 탐방기 2편 - 헤르만과 브라만 2. 23 file Robin 2007.06.27 10102
989 독일의 명장 탐방기 2편 - 헤르만과 브라만 1. 15 file 로빈 2007.06.25 8530
988 독일의 명장 탐방기 - 1.Dieter Hense 편 15 file Robin 2007.06.20 8777
987 독일식 스페인식. 풀만먹고. 2000.06.13 4582
986 독일기타에 대해 궁금한게 있는데요 2 빌라로보트 2003.06.29 5211
985 도밍고 에스테소1971년작 1 용접맨 2005.12.04 5347
984 도미니크 필드 인터뷰 7 idf 2011.02.06 13966
983 도데체 어떤 마술을 부리셨길레... 수님!! 으랏차차 2001.07.11 4661
982 데이비드 러셀의 기타는? 길손 2001.02.12 4512
981 데오르보 이야기 2021.09.24 3080
980 덜렁이님 기타 넘 좋다!!!!!! illiana 2001.02.19 4135
979 댓글 퍼왔어요 2 file 언니 2011.09.18 10685
978 대중음악에서 다현 기타 3 abcde-kld 2009.03.14 6405
977 대전 국제기타페스티벌 기타전시회 관람기 1 스테레오 2012.10.15 11198
976 대불대에 클래식 기타아과가? 1 泳瑞父 2000.08.15 5105
975 대불대에 클래식 기타아과가? 김남호 2000.08.16 4783
974 담만이 누군가 했더니..... 2000.10.28 3945
973 담만을 쳐보다... 안만... 2001.11.14 5786
972 담만앞사진 file 명노창 2000.10.23 5129
971 담만류의 2중판은 8 서정실 2001.11.14 5553
970 담만 사운드홀.... file 명노창 2000.10.23 4699
969 다현기타의 특징및 제작가는? illiana 2001.03.06 5160
968 다현기타에 대한 질문여... 22 무사시 2003.03.31 4868
967 다현기타 사용자분들의 경험담을 듣고 싶습니다. 63 신정하 2009.03.12 10649
966 다음주 완성댈것 같은 기타.. 21 file 2005.05.14 7463
965 다양한 기타 & 망가진 부위에 따른 수선과정. [일본어] 1 옥용수 2004.04.11 4835
964 다시 쉘락칠 하기. 4 file gdream7 2005.12.17 5269
963 다들 왜 이러지? 호호호! 99.9% 2000.09.16 4765
962 다다리오 현 사용하시는 분들에게 질문드려요 1 pourquoi? 2004.09.06 5839
961 니콜라스 야노에 대해서 알구 싶어여. 형서기 2001.02.13 4247
960 뉴사우스 웨일즈 대학 홈페이지 일부 8 토토 2002.09.12 4271
959 눈메 메꾸기..에폭시 2017.08.02 5286
958 높은 프렛(지판에 박힌 쇠)을 구할 수 있나요? 14 highdama 2010.09.22 15944
957 논쟁에 끼어들고 인사도 드리며... 15 윤남식 2003.12.16 5354
956 노멀텐션 file 2022.09.04 2155
955 넥의 넓이는.. 저기 2001.08.16 4581
954 넥사이즈 . 지판사이즈. 넛트사이즈 file 2022.09.20 2671
953 넥, 지판가공.. 제작자님들 조언 구합니다... 7 김성일 2011.11.04 13716
952 넥 휨 볼때, 2 넥휨이.. 2018.11.12 5720
951 넥 휨 교정 file 2023.12.01 1506
950 네크의 재료에 대해서? 3 np 2006.11.15 5084
949 네크의 두께.. 2 으랏차차 2001.04.20 4010
948 네크가 휘어졌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주십시요 김민철 2000.10.05 4932
947 네크가 휘는경우는요? 망상 2000.12.27 4057
946 내손으로 만듭시다.어떡해? 영서부 2000.07.04 4256
945 내가 원하는 기타는... 지우압바 2000.08.25 4833
944 내가 소지한 4대의 기타 4 file gdream7 2006.01.08 7477
943 내가 갖고 싶은 기타(4) - Greg Smallman file 일랴나 2000.12.28 5403
942 내가 갖고 싶은 기타(3) - Daniel Friederich file 일랴나 2000.12.28 6334
941 내가 갖고 싶은 기타(2) - Dammann-Cedar file 일랴나 2000.12.28 5992
940 내가 갖고 싶은 기타(1) - Dammann-Spruce file 일랴나 2000.12.28 5000
939 내가 가지고 싶은 기타..이런 기타가 있나여? 형서기 2001.01.02 4049
938 내가 쉘락칠한 기타 8 file gdream7 2006.01.08 6286
937 내 조회수 돌리도................ 명노창 2000.10.23 3912
936 내 "세고비아 기타"의 황당한 비밀~ 10 JS 2008.01.02 14332
935 남미 로즈우드 file 2024.02.11 1061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