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09.06.26 10:15

황칠나무

(*.92.51.167) 조회 수 20407 댓글 17


 
한번 칠하면 萬年가는 신비의 金빛 천연도료 
 
 
신비의 금빛 천연도료로 알려진 황칠(黃漆). 은은한 황금색에 내열·내수·내구성이 강한 황칠은 고대부터 
공예품의 표면을 장식하는 데 쓰였다. 문헌에는 황칠을 예찬한 기록이 많다.‘삼국사기’에 보면 “백제가 금빛 
광채의 갑옷을 고구려에 공물로 보냈다.”고 적혀 있으며 신라는 칠전(漆典)이라는 관청을 두고 국가가 칠 
재료 공급을 조절하였다고 전해진다.

●조선시대 중국 조공으로 마구잡이 벌목

황칠은 두릅나무과 상록 활엽수인 토종 황칠나무에서 채취한 액체를 정제해 만든다.“아름드리 나무에서 
겨우 한잔 넘칠 정도. 상자에 칠을 하면 검붉은 색 없어지니 잘 익은 치자물감 어찌 이와 견주리요.”

다산 정약용의 ‘황칠’이란 시의 한 구절이다. 다산이 시로 지을 만큼 칭송한 황칠은 순금을 입혔다는 착각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황금빛이다. 그 빼어남 탓에, 조선시대에는 중국의 조공 요구와 조정 공납을 감당하느라 
마구잡이 벌목으로 이어졌다. 이후 토종 황칠나무를 볼 수 없게 되면서 전통 칠공예로서 황칠도 사라져갔다.

최근 남서해안 및 도서 지역에 황칠나무가 자생하는 것이 발견되면서 오랜 세월 맥이 끊긴 황칠이 다시 
각광받고 있다. 지난 8일 토종 황칠나무 수액의 채취 과정을 보고자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수과 김세현(49) 
박사와 함께 제주도 서귀포시 상효동의 자생군락지를 찾았다.

●제주도에 70% 자생… 15년생부터 채취

한반도의 황칠나무 중 70%가 자생한다는 제주도. 도민들 대부분이 황칠나무를 잘 몰라 땔감이나 부목용으로 
벌채를 해 지금은 일반인이 접근하기 힘든 계곡에만 남아 있다. 그나마 15년 이상 자라야 채취가 가능해 
대량생산이 어렵다고 한다.

김 박사는 1991년부터 5년간 전통 황칠의 복원 및 산업화를 연구하고 있다.

현재 우량개체를 골라 유전자 보존을 하는 작업과 수액 채취 방법을 개선하는 데 실적을 쌓고 있다. 김 박사는
 “잎에는 다량의 사포닌 성분이 있고 꽃에는 꿀이 있으며 원적외선 방사 에너지가 방출된다.”며 황칠나무의 
용도가 다양함을 강조한다.



●일제 강점기땐 잎만 따도 잡아가

구영국(48·황칠공예 명인 127호)씨는 200년간 끊어진 전통 황칠공예의 맥을 이으려는 장인(匠人)이다.
“옻칠은 잘 알면서도 우리의 전통 황칠을 모르는 현실이 안타깝다.”는 그는 경기도 분당에 있는 작업실에서 
다양한 소재에 황칠을 시도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 한국 사람이 황칠나무 잎만 따도 잡아간다고 했어요.” 당시 일본으로 한국의 황칠이 유출됐
으리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일본은 이미 황칠의 비밀을 풀었지만 정작 국내에는 확인된 황칠 유물이 없다.”
고 안타까워했다.

“옻칠이 천년이면 황칠은 만년이라고 했어요.”

보존성이 뛰어난 황칠의 특성상 국내 어딘가에는 유물이 남아 있으리라고 구씨는 확신한다. 박물관 수장고를 
뒤져서라도 황칠 유물을 찾는 것이 그의 바람이고 숙제다. 그 숙제를 푸는 날 우리는 빛나는 전통문화 하나를 
되찾으리라.
 
  
  
황칠(黃漆)나무
황칠(黃漆)나무
Dendro Panax. Morbifera LEV

국제학명은 만병통치약을 뜻하는 덴드로 파낙스(Dendro-panax)이다.
드릅나무과에 속하는 상록활엽교목으로서 세계에서 유일하게 우리나라 남부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자생하는 한국의 고유수종이다.
 

          겨울에는 낙엽이 지지않는 늘 푸른 넓은 잎을 가진 큰 나무로 키가 15m에 이른다. 6월에 흰색의 꽃을 피고 타원형의 열매는 30~40여개씩 모여 달려 있고 10월에 검은빛으로 익는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처음에는 2~5개로 갈라지나 나이가 먹으면 긴 타원형에 톱니가 없는 보통 모양의 잎으로 변한다. 나무껍질은 갈라지지 않아 매끄럽고 어린가지는 초록이며 윤기가 난다.

수피에서 채취되는 황칠수액은 찬란한 금색을 띌 뿐만 아니라, 수지는 안식향을 함유하여 예로부터 약리효과가 탁월한 신비한 나무로 주목 받아왔다. 황칠은 과거에는 황금빛 천연도료로써 쓰여져 왔으나 최근에는 옛 문헌상의 약리효과 기록을 토대로 한 현대 과학적 연구결과가 발표되어지고 있다. '만병통치' 라는 뜻의 학명이 암시하고 있듯이 황칠의 신약개발로 새로운 치료제로 건강기능식품으로써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일본도 황칠나무가 있으나 조경수 관상수로 사용할 뿐 금칠이 나오지 않는다.
  `중국의 황칠은 가정(1208~1224)년간 이전에 절멸 되었다.

 

   
  나무인삼(Dendro-panax Morb Nakai)

'나무인삼' 이라는 학명(Dendro-panax Morbifera Nakai)을 가지고 있는 황칠나무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이다.
황칠은 세계적으로 딱 한 곳 한국에서만 나며 그것도 난대림이 펼쳐진 해남, 완도 등
서남해안에서 생산된다.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이 독특하고 다양한 우리나라 난대림 중에서도,
단연 돋보이는 난대수종이 바로 이 황칠나무이다.

    황칠은 이 나무의 껍질에 상처를 내어 채취하는데,
    예로부터 그 특유의 황금색과 희소성 때문에 귀한 대접을 받아왔다.
    삼국시대에 이미 중국으로 수출되었을 정도로 품질이 뛰어나며 역사적 내용을 살려보면
    삼국사기, 해동역사, 임원십육지 등의 문헌에서도 우리 선조들이 발견해낸 우수한 칠 재료 중에
    하나로 기술하고 있다.

    황칠은 정신을 안정 시키는 향을 발산하고 도료와 염료, 전자파흡수 등에서 탁월한 특성을
    나타내어 앞으로 개발의 소지가 많은 식물이다 찬란한 황금빛을 내는데다 은은한 안식향을
    풍기기 때문에 대대로 귀하게 쓰였으나 구하기가 힘들고 그 채취나 정제법이 까다롭다.
    도료분야에서의 황칠은 투명한 황금색을 자아내면서 목재는 물론 금속에 강한 접착력을
    지니면서 내열성 및 방습성이 뛰어나다.
    또한, 염료분야에서는 황금빛 천연염색에 모기 등 각종 해층을 퇴치하는
    독특한 향을 지닌 의류제품을 상품화 할 수 있다.
    
    그 밖에 황칠 주류 및 음료, 황칠에서 내뿝는 안식향을 이용한 향수,
    생약성분을 이용한 신약원료, 신육묘법을 통한 묘목분양 및 전자파 흡수기능을 전자제품에
    적용하는 방법 등 황칠의 적용분야는 매우 다양하다.
    우리 선조들이 가꾸고 적용한 황칠은 앞으로 여러 분야에 밝은 전망을 가져올 것이며
    이를 위해 더욱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황칠(黃漆)나무
Dendro Panax. Morbifera LEV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상록교목.

학명 Dendropanax morbifera
분류 두릅나무과
원산지 한국
분포지역 한국 남쪽 섬
크기 높이 15m
줄기모양 구간은 단립으로 올라가 원추형의 수형을 이룬다.
줄기특징 어린가지는 녹색이며 털이 없고 윤기가 난다. 수피에서 노란색의 수액이 나오는데 이 수액을 황칠이라 하며 수액이 묻으면 옻이 옮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잎차례 호생
잎모양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톱니가 없거나 3~5개로 갈라지며 점두이고 예저 또는 넓은 예저이다.
잎특징 양면에 털이 없고 엽병은 길이 3~10cm로서 표면이 편평하거나 홈이 있다. 전체적으로 광택이 좋다.
꽃색 흰색
꽃차례 선형화서는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꽃은 양성화다.
꽃모양 화경은 길이3~5cm로서 표면이 편평하거나 홈이 있다. 전체적으로 광택이 좋다.
개화기 6월
열매모양 핵과는 타원형으로 길이 7~10cm이고 암술대가 남아 있다.
열매색 흑색
겨실기 10월
용도 약재, 도료

 

 

황칠(黃漆)농장

- 파종 3개월

씨앗 파종후 3개월된 황칠묘목입니다.

 

황칠(黃漆)열매

- 6개에 흰색의 꽃이 피고 타원형의 열매가 맺는다.

열매는 30~40여개씩 모여 달려 있고 10월에 검은빛으로 익는다.

Comment '17'
  • 최동수 2009.06.26 10:20 (*.237.118.155)
    황칠만 전문으로 하는 장인의 다큐를 언젠가 보았는데...

    이걸 시중에서 구할수 있는 정보가 혹시 있는지 몰라서.
  • 콩쥐 2009.06.26 10:31 (*.161.67.92)
    황칠 한줌에 150만원정도 한다니,
    넓은땅에 황칠나무를 심으신 ㄱ ㅈ ㅅ님은 엄청난 부자가 되셧습니다.
    후손대대로 조상의 덕을 톡톡히 보게되겠군요.....
    나라를 위해서나 자손을 위해서 참 좋은 일 하셨네요.축하드립니다...
  • 2009.06.26 10:53 (*.140.1.75)
    나무의 잎새모양이 사진마다 다른데요...
  • 2009.06.26 11:00 (*.140.1.75)
    과거 주간동아에 실렸다는 기사전문이랍니다.

    (확인해보진 않았습니다. 인터넷 떠돌다가 스크랩 해두었던 내용입니다.)



    천년 만에 부활하는 신비의 도료 ‘황칠’

    황금빛 비색 탁월한 내열, 내구성… 전자파 완전 흡수, 이용 가능한 곳 무궁무진
    칭기즈칸 테무진의 갑옷과 천막은 황금색으로 빛나고 있는데, 이는 ‘황칠’이라는 비기(秘技)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궁전과 집기류 등 황제의 것이 아니고는 사용치 못했으며 불화살로도 뚫을 수 없는 신비의 칠이라고 전한다.’(마르코 폴로 ‘동방견문록’)

    ‘백제의 서남쪽 바다 세 군데 섬에서 황칠이 나는데 수액을 6월에 채취하여 기물에 칠하면 황금처럼 빛이 난다’ ‘백제로부터 토공(공납)으로 황칠 5되 3홉을 거두었다.’(중국 통전)

    ‘황칠’(黃漆). 옻칠에만 익숙한 우리에겐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중국의 역사가들은 이를 한결같이 한반도 서남해안에서만 나는 ‘신비의 도료’라고 적고 있다. 중국 25사와 영파사지(英坡寺誌), 책부원구(冊府元龜) 등 각종 역사책들은 진시황제가 ‘불로초’라 믿으며 해동국에서 가져온 나무가 바로 ‘황칠나무’이며, 통일신라 때 해상왕 장보고의 교역상품 중 최상품이 황칠액이었다고 전한다. 심지어 중국의 사서(四書) 가운데 하나인 주역의 서문에도 ‘황칠판 위에서 이 책을 명상하라’고 쓰여 있을 정도다.

    황칠나무의 국제학명조차도 덴드로-파낙스(Dendro Panax), 라틴어로 만병통치약을 지칭하는 인삼나무를 의미하는 말이다.

    그렇다면 지구상에서 한반도 서남해안에만 존재했다던 황칠나무는 도대체 어디로 갔을까. 이토록 유명했던 황칠을 우리는 왜 모르고 있는가. 중국의 사서(史書)들은 낯설기만 한 황칠나무에 대해 많은 의문을 가지게 한다.


    해남에 ‘황칠나무’ 3천 그루 자생

    하지만 황칠나무는 이제 전남 해남군 일대와 완도지역에서 더 이상 ‘비밀’이 아니다. 순금의 비색과 신비한 약효로 ‘사라진 나무’라 칭해졌던 황칠나무가 전남 해남군 서남해 일대에 실존한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기 때문. 그것도 한두 그루가 아닌 수만 그루가 자생하고 있으며, 이 나무에 대한 양묘사업까지 이루어지고 있다.

    1000년 동안 숨겨졌던 황칠나무가 그 ‘비밀’의 빗장을 풀고 우리 앞에 모습을 나타내기까지에는 황칠에 ‘미친’ 한 농부의 20여 년의 추적과 집념이 있다. 전남 해남군 마산면 상등리 ‘아침재 산막’ 주인 정순태씨(49)가 그 주인공.

    공학도로 방위산업체에 근무하던 그는 지난 80년 한학자인 아버지의 유고를 정리하다 다산 정약용 선생의 시선(詩選)에서 ‘황칠’ 이라는 시를 우연히 발견한다.

    “그대 아니 보았는가. 궁복(장보고의 호)산 가득한 황금빛 수액을. 그 빛이 맑고 고와 반짝반짝 빛이 나네. 껍질 벗겨 즙을 받길 옻칠 받듯 하는데 아름드리 나무에서 겨우 한 잔 넘칠 정도. 상자에 칠을 하면 검붉은 색 없어지니 잘 익은 치자물감 어찌 이와 견주리요. 이 나무의 명성이 천하에 자자해서 박물지에 줄줄이 그 이름 올라 있네….”

    이후 그는 중국 문헌은 물론 우리의 사서를 뒤지기 시작했다. ‘천금목(千金木)이라 하여 그 진은 안식향(安息香)으로 쓴다’ (임원십육지), ‘황칠의 주산지는 전라도 완도’(해동역사)….

    문헌을 바탕으로 10년간 틈틈이 서남해안 섬들과 해남 지역을 헤매던 그는 결국 완도 상황봉과 보길도, 진도 첨찰산, 해남군 두륜산 등 전남 도서지역과 해안 일대 19개 지역에서 황칠나무가 자생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지난 90년 서울 생활을 정리했다. 가족과 함께 해남 땅으로 내려와 귀농 생활에 들어간 것.

    순금으로 착각을 일으킬 정도의 황금빛 비색과 상상을 초월하는 내열성과 내구성, 벌레를 쫓아내고 정신을 맑게 하는 안식향(安息香), 중풍`-`오십견`-`항암제로도 사용되는 약용 성분 등 각종 문헌들에서 밝혀진 황칠의 역사적 효능들은 그를 유혹하기에 충분했다.

    “다산의 황칠시에서 ‘아름드리에 겨우 한 잔’이라고 표현했듯, 문헌상의 채취 방법으로는 도저히 경제성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는 각 지역에 흩어진 자생림이 모두 50년생 안팎의 황칠나무인 것을 알고는 크게 낙담했다. 그 수액을 채취한 결과 극소량인 점을 알게 된 것. 동시에 바로 이 점이 황칠나무의 존재를 우리 역사에서 증발시킨 장본인이었다는 사실도 찾아냈다.

    ‘…공납으로 해마다 공장에게 옮기는데 관리들 농간을 막을 길이 없다. 지방민이 이 나무를 악목(惡木)이라 여기고서 밤마다 도끼 들고 몰래 와서 찍었다….’

    다산의 황칠시의 한 부분은 황칠의 희귀함에서 오는 민폐가 얼마나 심했는지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중국 자금성의 용상과 어좌를 비롯한 각종 집기류와 천장, 벽면을 모두 도장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황칠액이 필요했겠는가. 병자호란을 거친 후 청나라는 조선의 임금에게까지 황칠 사용을 금지한 뒤, 세계 유일의 황칠 생산지인 전남 해안에 대한 감시와 수탈을 강화한다.

    ‘수탈을 견디다 못한 백성들은 황칠나무에 구멍을 뚫고 호초를 넣어 나무를 말라죽게 하거나 밤에 몰래 도끼로 아예 베어내 버렸다’ (목민심서 ‘산림’편) ‘갑인년 어느날 소금비 내린 뒤로 모조리 말랐다.’ (다산 탐진촌요 제2수) 다산은 황칠나무의 ‘멸종’을 중국 황실의 횡포와 1801년에 내린 소금비 때문이라고 진단한다.

    “다산에서 시작해서, 그에게 절망하고, 다산에서 다시 희망을 얻었습니다.” 정씨는 다산의 시 모음집인 탐진촌요(耽津村謠) 제8수에서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다.

    ‘지난해 황칠 공납이 없어진 뒤 베어낸 밑둥치에서 새싹이 나고 가지가 뻗었다.’ 1803년에 쓰인 이 시가 해남 유배 당시 쓰인 점에 착안한 그는 해남 지역 산지를 샅샅이 훑었다. 그 당시에 다시 싹이 났다면 대단위 군락지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일말의 희망 때문이었다. 지성이면 감천이랄까. 지난 95년 그는 해남 모 지역에서 200년 이상 된 3000여 그루의 황칠나무 군락을 발견한다.


    인공조림 성공… 상품개발 박차

    이에 고무된 그는 아침재 산막 인근 2000여 평 비닐하우스 11동에 2만5000그루의 황칠나무 묘목을 심어 5년 만에 완전한 성공을 거뒀다. 자라나는 시기를 앞당김으로써 칠액 채취 시기도 10년생 이상에서 5년생으로 앞당겼다. 시험삼아 황칠액을 칠한 전통 태극선 부채를 700만원에, 가구를 6000만원에 내놓았더니 사겠다는 문의전화가 쇄도했지만 팔지 않았다. 조림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마구 팔다보면 황칠이 고갈된다는 게 그의 소신이다.

    황칠나무에 대한 소식이 알려지자 전남도는 자생 실태의 전면 조사에 나서는 한편, 연구진들을 동원해 대대적인 황칠 연구를 벌였다.

    산림청의 이명수 사무관은 “전남도의 최종 보고서에 의하면 200도를 견뎌내는 내열성과 내구성, 내습성, 빛깔의 우수성을 확인했다”며, “이로써 황칠이 래커나 니스, 옻칠 등 기존 도료와는 상대가 안 되는 초특급 도료임을 증명한 셈”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이번 조사를 통해 안식향의 성분이 밝혀졌다고 전했다. 황칠 속에 든 ‘베타큐버빈’이라는 방향성 정유성분이 머리를 맑게 하고 기분을 상쾌하게 해주는 효과를 낸다는 것.

    정씨는 이런 연구 성과를 토대로 지난해 6월 ‘파낙스 골드’라는 농업벤처를 설립하고, 황칠을 이용한 상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황칠 염료, 도료, 향료, 신약, 전자파 흡수제 등 갖가지 종류의 상품이 출시되기만을 기다리고 있는 것. 그의 이런 도전과 함께 농협은 이를 전남 지역의 주력상품으로 지정했으며, 서울대 생명공학부 등 국내 굴지의 연구소까지 경제적 효용가치에 대해 그 가능성을 인정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민승규 박사는 “조사 결과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조할 아이템임이 충분한 것으로 판명됐다”며 “이제는 어떻게 경영을 할 것인지의 문제만 남았다”고 단언했다.

    “미래에는 레이더에도 잡히지 않는 전투기의 도장재료로 이용될 것입니다.” 정씨는 지난해 12월 벤처농업포럼이 주최하는 심포지엄에서 충격적인 발언으로 청중을 놀라게 했다. 하지만 그가 근거로 내놓은 목포해양대학교의 실험 자료는 그의 말을 거짓말이라고 치부하기 어렵도록 만들었다. 전자파 흡수율에 대한 연구 결과 대부분의 도장제가 전자파를 반사시키거나 통과시킨 반면, 황칠은 전자파를 완전히 흡수해 버린 것.

    “스텔스 폭격기의 도장사가 일본인인 걸 아십니까? 일본이 일제시대를 거쳐 1970년대까지 황칠을 훔쳐간 사실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그들은 이미 황칠의 비밀을 풀었지만, 일본의 황칠나무에서는 수액이 나오지 않으니 어쩌겠습니까.”

    정씨는 ‘황제의 나무’ 황칠나무로 ‘산림부국’(山林富國)을 이룰 꿈을 꾸고 있다.
  • 2009.06.26 11:11 (*.140.1.75)
    황칠로 칠해진 기타를 만들면 기타에 어떠한 작용을 할지...

    무대위에서 금빛 찬란하게 빛나는 기타를 언젠간 볼 수 있겠지요?^^
  • 최동수 2009.06.26 11:34 (*.237.118.155)
    예, 기타에도 황칠을 입혀보고 싶어서.

    어느분이라도 좀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 2009.06.26 11:56 (*.184.77.156)
    저도 정말 궁금합니다.
    황칠을 하면 어떤 음색이 나올려는지...
  • 뻐추기 2009.06.26 12:19 (*.245.147.242)
    40본에 10만원http://www.lgarden.net/FrontStore/iGoodsView.phtml?iCategoryId=26&iGoodsId=0026_00216
  • 최동수 2009.06.26 12:26 (*.237.118.155)
    아-- 이걸 언제 기르나?

    그냥 황칠만 구하고 싶은데...
  • 조요한 2009.06.27 03:52 (*.235.236.65)
    작년에 제작한 기타에 황칠을 입혀 보라고 해서 알아 봤는데 엄청 비싸서 엄두도 못냈습니다. 그런데 그 분 말이
    비싸기는 하지만 한 열 사람 정도 어울려서 구입한다면 그리 큰 돈 들이지 않을 수 있다고 했는데 ---
    최동수님외에 또 한 열 분 정도 되면 제가 한 번 알아 볼까요? 가격이 정확히 어느정도 들면 되는지 --?
  • 최동수 2009.06.27 10:26 (*.237.118.155)

    조요한님, 오랜만입니다.

    미국에서 구입한다면 금수조항에 저촉되는 등 어려움이 있습니다.

    한국에서 구할 수 있는 정보라면 저희들에게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진액판매 2009.06.28 11:21 (*.70.172.169)
    http://www.goryeohc.com/
  • 최동수 2009.06.28 14:13 (*.237.118.155)
    와, 있네요

    유용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당장 사다가 실험 해보겠습니다.
  • 고정석 2009.06.29 09:24 (*.92.51.167)
    위 사이트 판매하는것은 도료용이 아니고 건강식품용이므로 식품 첨가물이 들어있거나 희석되어있을 확률이
    높으므로 잘 알아보셔야될듯합니다.
  • 콩쥐 2009.06.29 09:27 (*.161.67.92)
    건강식품 그러니까 음료수...하하하


    필림통 하나로 150만원정도 합니다.황칠.
  • 최동수 2009.06.29 11:36 (*.237.118.155)
    황칠 연구에 열심히 종사하는 사람들도 결국은 먹이는데 낙착이 되는 느낌을 지울 수 없네요.

    아직도 도료로서의 공급처나 유통과정이 일반인에게 알려지지 않았다면....

    실망, 큰 실망

    그냥 쉘락칠이나 열심히 하렵니다. 으허허
  • 최동수 2009.06.29 13:50 (*.237.118.155)
    황칠을 연구하는 분들은 무엇보다 황칠의 다각적인 적용분야를 먼저 개발하고,
    황칠도료가 가급적 일반화 될수 있도록 원가절감에 노력해야 된다고 생각됩니다.

    특히 검증이 안된 악기용 도료로서 음질 향상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도 궁금하고.

    전설적이고 신비적인 특징에만 갇혀있어서는 안되겠다는 거지요.

    그 좋은 칠이 단순 먹거리로 전락해서야, 돈도 좋지만 마땅치 않은 발상이군요.
?

  1. 한국내 제작되는 기타 한달 2만대.

    Date2009.07.08 By콩쥐 Views8598
    Read More
  2. 전통 천연도료 황칠의 특성과 이용 (퍼옴)

    Date2009.06.27 By고정석 Views8766
    Read More
  3. 황칠나무

    Date2009.06.26 By고정석 Views20407
    Read More
  4. 황칠나무

    Date2009.06.25 By콩쥐 Views8443
    Read More
  5. 동아리연주회곡을 정해야하는데..ㅠ..

    Date2009.06.25 By동아리회장 Views7229
    Read More
  6. 하드케이스 백팩

    Date2009.06.15 Bymauro Views11622
    Read More
  7. 기타 구조해석 - animation 4

    Date2009.06.11 ByEchoOff Views10229
    Read More
  8. 기타 구조해석 - animation 3

    Date2009.06.11 ByEchoOff Views8714
    Read More
  9. 기타 구조해석 - animation 2

    Date2009.06.11 ByEchoOff Views8909
    Read More
  10. 기타 구조해석 - animation 1

    Date2009.06.11 ByEchoOff Views10452
    Read More
  11. 기타 구조해석 - 현 장력에 의한 상판의 변형

    Date2009.06.11 ByEchoOff Views11172
    Read More
  12. 기타 구조해석 - 진동 모드 2

    Date2009.06.11 ByEchoOff Views10824
    Read More
  13. 기타 구조해석 - 진동 모드 1

    Date2009.06.11 ByEchoOff Views11472
    Read More
  14. 기타 구조해석 - 유한요소 모델

    Date2009.06.11 ByEchoOff Views13033
    Read More
  15. 왼손편한기타

    Date2009.06.01 By두식이네 Views9165
    Read More
  16. 기타를 만드는 남자

    Date2009.05.28 By최동수 Views13498
    Read More
  17. 기타가 제작되고나서 제 소리를 내려면, 시간이 필요한 건가요?

    Date2009.05.26 By몰라용 Views8641
    Read More
  18. 픽업

    Date2009.05.22 By콩쥐 Views7498
    Read More
  19. 독특한 기타 디자인이네요

    Date2009.05.14 By바실리스크 Views11318
    Read More
  20. 울프톤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입니다 ^^

    Date2009.05.12 ByEchoOff Views13816
    Read More
  21. 세고비아>야마시타>앙헬

    Date2009.04.26 By종이컵 Views7677
    Read More
  22. 클래식기타 튜닝문제.....

    Date2009.04.07 By기타맨 Views10558
    Read More
  23. 장 라리비 기타 제작 과정 홍보 영상

    Date2009.03.17 Byjkfs Views9017
    Read More
  24. 다현기타 사용자분들의 경험담을 듣고 싶습니다.

    Date2009.03.12 By신정하 Views10632
    Read More
  25. 대중음악에서 다현 기타

    Date2009.03.14 Byabcde-kld Views6388
    Read More
  26. 최동수님 ......

    Date2009.03.01 ByKyung Yoo Views7549
    Read More
  27. Kasha model의 헤드 모양

    Date2008.12.11 By최동수 Views8697
    Read More
  28. [re] Kasha model의 헤드 모양

    Date2008.12.11 By최동수 Views6159
    Read More
  29. [re] 바이스게버 카피모델의 헤드사진

    Date2008.12.11 By최동수 Views7167
    Read More
  30. [re] 바이스게버 카피모델의 헤드사진

    Date2008.12.11 By최동수 Views6660
    Read More
  31. 하젤 스프르스 사진

    Date2008.12.01 By콩쥐 Views9020
    Read More
  32. 기타제작아카데미에서 제작한 스페인식 네크의 근접사진

    Date2008.11.29 By백철진 Views9676
    Read More
  33. 좀더 길은 기타줄이 없을까요?

    Date2008.11.25 By자유 Views7668
    Read More
  34. 로마닐로스가 올해(2008년) 의 제작자로 선정한 David Merrin Guitar

    Date2008.10.19 By고정석 Views18556
    Read More
  35. Jose Ramirez 1 Guitar 1909

    Date2008.10.18 By고정석 Views18567
    Read More
  36. Classic & Flamenco Guitar Plans

    Date2008.10.17 By고정석 Views10970
    Read More
  37. 기타 전판의 재질에 관한 질문.

    Date2008.10.06 By쏠레아 Views11507
    Read More
  38. 원하는 줄만 골라서 눌러주는 Capo 소개합니다.

    Date2008.09.30 By사꼬™ Views6989
    Read More
  39. 사운드홀에 스피커 달기.

    Date2008.09.24 By쏠레아 Views10090
    Read More
  40. 브릿지에 대한 질문.

    Date2008.09.22 By쏠레아 Views8350
    Read More
  41. 기타에서의 공명현상

    Date2008.09.18 By쏠레아 Views11408
    Read More
  42. 0프렛에 대해... 제로프렛???

    Date2008.09.12 By쏠레아 Views11815
    Read More
  43. 기타의 음량에 대한 한탄, 억울함...

    Date2008.09.08 By쏠레아 Views11765
    Read More
  44. 음의 분리도와 원달성

    Date2008.09.08 By쏠레아 Views8132
    Read More
  45. 기타에서 일어나는 재미있는 현상.

    Date2008.09.08 By쏠레아 Views7936
    Read More
  46. 이런 기타 이름을 뭐라해야.... ?

    Date2008.09.07 By콩쥐 Views9380
    Read More
  47. 울림통? 공명통? 어느 것이 맞습니까?

    Date2008.09.07 By쏠레아 Views7814
    Read More
  48. 현고에 대하여

    Date2008.09.04 By최동수 Views19747
    Read More
  49. 브릿지개조 기타

    Date2008.09.04 By Views14544
    Read More
  50. 울림통 이야기.

    Date2008.08.21 By쏠레아 Views9013
    Read More
  51. 스테파노 그론도나와의 인터뷰

    Date2008.09.08 By신정하 Views6914
    Read More
  52. Contraversial Violinmaker Nagyvary

    Date2008.08.31 ByKyung Yoo Views6848
    Read More
  53. [re] 수장건조

    Date2008.09.15 By콩쥐 Views7314
    Read More
  54. Bracing patterns by Descendant Guitar Makers of Manuel Ramirez

    Date2008.08.30 By고정석 Views10952
    Read More
  55. Bracing patterns by Descendant Guitar Makers of Jose Ramirez 1

    Date2008.08.30 By고정석 Views12104
    Read More
  56. 하현주 각도에 대한 생각

    Date2008.08.28 By쏠레아 Views19179
    Read More
  57. 기타의 장력이 센 이유는?

    Date2008.08.09 By궁금 Views15184
    Read More
  58. [re] 기타의 장력이 센 이유는?

    Date2008.08.22 By하진 Views11944
    Read More
  59. 기타의 과학(2)

    Date2008.08.11 By쏠레아 Views9425
    Read More
  60. 기타의 과학

    Date2008.08.11 By쏠레아 Views12571
    Read More
  61. 나무의 특성 (PDF 자료)

    Date2008.08.13 Bybluejay Views7438
    Read More
  62. Tap Tone과 Tone wood – Tap Tone의 진동모드 (A. 재료와 음질)

    Date2008.08.12 Bybluejay Views6605
    Read More
  63. Tap Tone과 Tone wood – 나무의 구조와 특성 (A. 재료와 음질)

    Date2008.08.12 Bybluejay Views14462
    Read More
  64. Tap Tone과 Tone wood – 나무의 특성과 악기의 음향 (A. 재료와 음질)

    Date2008.08.22 Bybluejay Views15177
    Read More
  65. Georg Bolin 11 string alto guitar

    Date2008.08.10 By무동자 Views8037
    Read More
  66. 명기에의 길라잡이

    Date2008.08.09 By최동수 Views29709
    Read More
  67. [re] 라미레스 상현주

    Date2008.08.27 By최동수 Views7263
    Read More
  68. Laminated Perimeter Frame

    Date2008.08.20 By최동수 Views6755
    Read More
  69. [re] Laminated Perimeter Frame

    Date2008.08.21 By최동수 Views7004
    Read More
  70. 기타 주변 용품 (1) 제습제

    Date2008.08.03 By음표 Views11230
    Read More
  71. 기타 주변 용품 (2) 케이스

    Date2008.08.03 By음표 Views10241
    Read More
  72. 하드케이스에 수납가방 만들기

    Date2008.08.04 By음표 Views10212
    Read More
  73. 기타 주변 용품 (3) 기타 써포트

    Date2008.08.03 By음표 Views9487
    Read More
  74. Göran Söllscher의 11현 기타 소개

    Date2008.07.31 Byso many strings Views9041
    Read More
  75. 결과는? 결론은?

    Date2008.07.29 By최동수 Views8246
    Read More
  76. 슈퍼칩

    Date2008.07.24 By콩쥐 Views12928
    Read More
  77. 기타의 수리와 관리

    Date2008.07.19 By최동수 Views10210
    Read More
  78. 셀락칠 마무리를 콤파운드로 하는걸...

    Date2008.07.14 By대왕세손 Views7290
    Read More
  79. Bouchet와 Weissgerber

    Date2008.07.11 By최동수 Views8950
    Read More
  80. [re] Bouchet와 Weissgerber

    Date2008.07.11 By최동수 Views5803
    Read More
  81. [re] Bouchet와 Weissgerber

    Date2008.07.11 By최동수 Views6560
    Read More
  82. [re] Bouchet와 Weissgerber

    Date2008.07.11 By최동수 Views5690
    Read More
  83. [re] Bouchet와 Weissgerber

    Date2008.07.11 By최동수 Views5270
    Read More
  84. [re] Bouchet와 Weissgerber

    Date2008.07.12 By최동수 Views6101
    Read More
  85. 오아시스 가습기와 개구리알~

    Date2008.07.06 ByJS Views16051
    Read More
  86. 제품별 쉘락칠의 차이

    Date2008.06.26 By브들레헵 Views8661
    Read More
  87. 스프루스 색깔 질문

    Date2008.06.23 By Views9442
    Read More
  88. 기타 음향판의 설계에 대하여

    Date2008.05.29 By최동수 Views9614
    Read More
  89. 기타 음향판의 구조적 검토

    Date2008.05.29 By최동수 Views8819
    Read More
  90. 기타의 음향판에 관하여

    Date2008.05.29 By최동수 Views8192
    Read More
  91. The Guitar and its Woods

    Date2008.05.29 By고정석 Views11289
    Read More
  92. JOSE RAMIREZ 1A 에 관해서

    Date2008.05.14 By최동수 Views8397
    Read More
  93. Jose Ramirez AE 모델

    Date2008.05.13 By바하조아 Views8207
    Read More
  94. 무광우레탄 vs 유광우레탄?

    Date2008.05.05 By궁금 Views10365
    Read More
  95. 쉘락칠 할 때요...

    Date2008.04.22 By쉘락 Views6183
    Read More
  96. GSP 기타 줄

    Date2008.03.31 ByGSP Views7324
    Read More
  97. 기타현 쌩뚱맞게 거는방법.

    Date2008.02.22 By콩쥐 Views8934
    Read More
  98. 세고비아의 명기에 대한 동영상.

    Date2008.02.03 By콩쥐 Views6762
    Read More
  99. 광주시민항쟁과 기타.

    Date2008.01.21 By콩쥐 Views6562
    Read More
  100. 최원호님의 CEDARUCE GUITAR.

    Date2008.01.21 By콩쥐 Views7508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