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55.179.190) 조회 수 8189 댓글 0

2006년에 내한한 기타제작가 Marvi의 워크숍에서 보충강의에 사용한 내용입니다.
작년에는 국내 월간지 CLASSIC GUITAR지에도 3개월에 걸쳐 연재한바 있습니다.

본란에도 편의상 3회로 나누어 올리겠습니다.


1. 기타의 공명(共鳴)

상식적인 사례들 :

공명이란 어차피 학술적인 과제라서 이를 쉽게 설명할 방법이 없기에, 우선 기타를 제작하는 중에 누구나 체험할 수 있는 사례들을 통해 공명이란 과연 어떤 것인지 짚고 넘어가고자 한다.
공명주파수란 어떤 물체가 외부충격에 의해 방출하는 음향의 매 초당 가장 낮은 주파수, 즉 매 초당 제일 낮게 울리는 진동(박자) 수효를 말하는 것이다.
이는 음향 실험기기인 Strobo-tuner를 사용하여 정밀하게 검측할 수 있지만, 거기까지 가지 않고도 우리 귀를 통하여 공명의 세기나 변화과정을 알아낼 수가 있는 것이다.
기타의 음향은 목재의 단단한 나이테 결을 따라서 초당 5,000m의 속도로 전파된다.
이는 일반 기상조건에서의 음속보다 무려 14배나 빠른 속도이다. 그러나 나이테의 무른 결에 이르러서는 훨씬 더디거나 이내 흡수 내지 쇠잔하게 된다.

이런 음향이란 것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발현악기인 기타에서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것만 검토해보자 :
- 사운드 홀(Sound-hole)이 작으면 저음이 발생하고, 커지면 음향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 몸통이 클수록 낮게 공명하고 ,몸통이 작을수록 공명이 높아진다.
- 음향판을 만들 때 상목(Transverse Bar)이나 부챗살(Fan Brace)로 브릿지(Bridge) 쪽을 뻣뻣하게 하면 공명이 높아지고 강성을 연하게 함에 따라 공명도 낮아진다.
- 상목이나 부챗살을 음향판 중앙부위에서 깎아주면 공명이 쉽사리 낮아지지만, 상목이나 부채살의 끄트머리를 깎아내면 아주 조금씩 낮아지게 된다.
- 결론적으로 발현체의 강성이 공명의 높낮이(주파수)를 좌우함을 알게 된다.


기타의 공명 :  

기타의 음향판(전면/Soundboard)을 설계 하려면 먼저 세 가지 물리적(기계적) 변화요소를 염두에 두어야 하는바, 이는 물체의 체적, 강성 및 내부마찰을 말한다.
탄현에 의한 운동 에너지가 쌔들(Saddle)상의 어느 지점에 가해졌을 때, 이 세 가지 변화요소가 어떻게 적절히 상호 작용하여 음향판의 전반에 걸쳐 전달되느냐가 바로 그 악기가 어떤 음을 낼 수 있는가를 결정하게 된다.

  먼저, 음향발생의 기본 원리를 잠시 관찰 해보자.
어떤 물체 내에서 음의 전달속도는 그 물체의 강성/체적 비의 평방근에 비례 한다고 한다.
이 원리에 의하면 어떤 물체 내에서 음의 전달 속도는 그 물체 고유의 주파수를 결정짓게 되며, 음의 전달 속도가 빠를수록 주파수도 높아지게 된다.
이 고유 주파수(또는 복합주파수 ; 음향판과 같은 복합구조는 여러 가지 다른 양상의 진동들이 함께 발생 하므로)는, 탄현을 하였을 때 바로 그 음향판 고유의 진동 특성을 가름하는 결정적 역할을 하게 된다.
탄현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는 순간 그 진폭과 세기는 최고조에 도달된다.
이를 공명의 절정 이라고 말하며, 이때가 그 음향판의 진동 저항이 가장 약할 때 이다.
이 절정의 예리함은 음향판의 내부마찰/체적비율에 따라 좌우 된다. 즉 진동저항이 세고 체적이 작을수록 공명의 절정은 낮고 넓어진다.

다시 말해서, 그  절정이 보다 광범위한 주파수대로 확산됨에 따라 공명의 세기는 약해진다.
한편 진동마찰은 운동 에너지를 음향 방출에 도움이 되지 않는 열로 전환시키기도 한다.  
위에 열거한 내용을 참고하여, 탄현 시 음향판이 어떻게 반응 하는가를 검토하기로 한다.
기타 음향의 특성은 크게 나누어 음량, 음의 평형 및 지속성으로 분류 할 수 있다.
그 외에 별도로 음질을 생각 할 수 있는데 기타의 경우 “황금빛, 따듯한, 부드러운 및 종소리 같은” 등으로 표현 되고 있으나 이 부분은 나중에 생각하기로 한다.
  바람직한 음향의 특성을 이야기 하려면, 무엇보다도 음향판이 울릴 때 어떤 특정한 음이 다른 음들에 비하여 현저하게 튀어 나와서는 안 된다.

바꿔 말해서, 소리의 강약에 따라 모든 범주의 음정이 고르게 나와야 된다. 북치듯이 강렬한 공명을 시키면 탄현 에너지는 더 빠르게 확산되며 곧 소멸하게 되므로, 강한 공명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발현되는 힘은 한정 되어 있기 때문에 소리를 크게 하려면 그 지속성이 희생 되거나, 음을 오래 지속 시키려면 그 세기가 약해질 수밖에 없다.

  음의 지속성을 늘리려면, 우선 탄현 하는 순간 에너지가 단번에 크게 흩어져 버리지 않고 부풀듯이 나오게끔 약간의 진동 저항이 필요하다.
여기에서 우리는 진동 저항을 두 가지로 구분해둘 필요가 있다;

  첫째, 음향판이 현의 진동과 동조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음정을 강하게 방출 시키지 못하는 저항이다.
이러한 저항은 탄현에 반응한 음향판의 진동의 세기를 단순히 감소시킨다. 따라서 음을 방출시키는 일을 제외한 다른 에너지의 소모는 없다. 이러한 것이 바로 음을 지속 시키는 저항이다.

  둘째, 다른 하나의 저항은, 탄현으로 음향판이 진동할 때 그 물체의 내부마찰로 인하여 형성되는 저항이다.
마찰저항이란 에너지의 파괴자 이다.
이러한 저항의 결과 탄현 에너지가 모두 음향으로 전환 되지 않는 한, 그 음은 점점 쇠잔하게 된다.
마찰저항은 비례적으로 주파수를 높이고, 저음부 보다는 고음부에서 더 빠르게 진폭을 좁혀서 멈추게 하는 작용을 한다.

  그런데, 저항이 순전히 해로운 요소만은 아니고 실은 필수 요소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이 저항이 공명의 절정을 낮고 넓게 퍼지게 함으로서 음의 평형을 유지 하는데 기여하기 때문 이다.
이것은 단순히 발현체의 체적만 줄임으로서 해결 되는 것이 아니다.
발현체 내에는 적당한 저항도 있어야 할뿐 아니라, 또 어느 정도 체적을 줄였다 하더라도 높은 공명의 절정이 남아 있어야만 가능 하다.

  근래에는, 음향판 설계 양식이 거의 다 알려져 있다.
세상의 모든 일이 그렇듯이 음향판의 설계에도 음량, 음의 평형 및 지속성 간의 묘한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얼마간의 절충이 필요한 것으로 귀결지어지고 있음이 사실이다.
  이를테면, 음량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저항을 조금만 줄여서 큰 공명을 얻고 싶고, 음의 평형을 위해서는 어떤 특별히 튀는 공명의 절정 뿐 아니라 음의 흑색 지대를 피하고 싶고, 지속성에 관하여는 필요한 만큼의 공명제어 저항과 최소한의 내부마찰만 유지하고 싶다.

  이와 같은 조건들을 설계에 적용하기 전에 하나 더 우리가 유념해야 될 것은, 현의 진동을 음향으로 변환 시키는 기능을 음향판 홀로 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발현체를 이루는 몸통과 그 안에 들어있는 공기도 진동 할뿐 아니라 각기 다른 고유의 주파수를 갖고 음향판과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음향판은 몸통 내 공기의 간섭을 받아서 그 체적, 강성 및 마찰효과를 가감하게 되므로 실제의 공명 주파수는 이에 따라 달라 질 수밖에 없다.  
  기타의 가장 낮은 공명은 몸통내 공기압으로부터 형성되는 주파수에 의해 이루어져 바로 음향판의 주파수와 합성된다.
그러나 공기의 공명과 목재의 제일 낮은 공명 사이에는 난해한 편차가 있어서 특히 중저음역의 공명이 방해 받아 흑색지대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음향판의 주파수를 낮추고, 공명의 절정을 넓게 유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고음부의 지속성을 유지 하면서 이와 같은 공명을 이루려면, 우리는 고음역에서 특히 최소한의 마찰로서 더 많은 공명의 절정이 잘 조절되어 겹쳐지도록 만드는데 노력해야 된다.
  위의 두 조건은 서로 상반된다.

그러나 약간의 연구로 우리는 한 개의 음향판에서 이 두 가지 조건을 어느 정도 만족 시킬 수가 있다.
이는 동축 스피커의 원리를 반영 한 것으로 비록 같은 음향판의 일부분이지만 더 낮은 주파수로 진동할 수 있도록 강성을 줄여서 그 부분의 유연성을  늘려주는 방법이다.
즉 음향판의 주변을 얇게 해주면 된다. 또 낮은 주파수로 진동하는 부위에 높은 주파수로 진동하는 강성 있는 부분을 마련할 수도 있다.

하여튼 우리는 처음부터 강성에 차등을 두되 가급적 낮은 진동에 맞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이로서 절정을 완만히 하여 예리한 공명을 방지 하며 마찰도 적게 할 수가 있다(사용재료의 두께와 체적이 늘면 마찰이 커진다).
한편 중음부를 간과해서는 안되므로 "Woofer"와 "Tweeter" 사이를 걸치는 점진적 중음대가 마련 되어야한다.

  음향판의 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강성/밀도 비가 제일 높은 재료를 찾아내야 하는바, Europe Spruce의 정목재(正目材)가 어느 목재보다 강하고 내부마찰도 낮다.
실은 Red Cedar이 강성/밀도 비는 더 높으나 재질이 연하여 긁히거나 찍히기 쉽다. (Spruce 음향판에 Cedar 상목을 대는 것이 제일 좋은 조합이 될 수도 있다).

  음향판 내에서 고음부와 저음부의 공명 기능을 분리 하려할 때 어떤 의문이 생길 수가 있는데, 이는 음향판이 동축 스피커와 같은 형상이므로 Woofer"와 "Tweeter"의 조합을 동심축의 대칭 구조로 하느냐,
아니면 "Woofer"의 기능은 저음부위에, "Tweeter"의 기능은 고음부위에 배치하여 비대칭 구조로 하느냐의 문제이다.

솔직히 말해서 이에 확실하게 대답 할 수 있는 사람은 없을 것 같다.
음향판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는 모든 영역이 모든 주파수의 진동에 관련되며 진동이 되거나 안 되는 구역도 대칭적 이다.
음향판의 어느 한쪽만을 건드려도 마치 양쪽을 똑같이 건드린 것 같이 동등하게 작용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현의 배열로 인해 탄현 시 입력 지점이 비대칭으로 될 수밖에 없으나 그 차이는 미세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기들 중에 비대칭으로 제작 된 것을 많이 발견하게 된다. 비대칭형 설계에 의해 재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절약함으로서 그 체적과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비대칭형 음향판이 소리를 내는 데에 훨씬 유리할지도 모른다.

  발현음향의 관점을 잠시 떠나, 현의 장력을 검토 해보면 음향판은 장력에 대해 변형 없이 견디어내야 되는 과제가 남는데 이는 어쩔 수 없이 음향판 본연의 작동을 예상외로 제한할 수밖에 없게 된다.
"Tweeter"의 강성을 보완하는 상목이 장력에 대비한 보강 역할을 어느 정도 감당할지도 모른다.
이것은 현의 장력이 거의 대칭에 가까우므로 대칭형 설계를 주장 할만한 논제이다.(현의 제작 시 고음 현의 장력을 얼마간 더 세게 만드는 경우도 있다).

음향판의 구조적 안정을 위해서는 발현에 필요한 상목 외에 추가  보강이 필요하게 된다.
즉 발현만을 위한 것이 아닌 한층 더한 설계상의 절충을 하지 않을 수 없다.
다시 한 번 강조 하지만 이런 문제들을 쉽게 해결하기 위해서도 강성/밀도가 가장 높은 정목재(正木材)를 사용하는 것이 절실 하다.


  마지막으로 음질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소위 “황금빛, 따듯한, 부드러운 및 종소리” 같은 소리를 어떻게 하면 이룰 수가 있을까? 결론은 간단하다.
그것은 바로 기타라는 악기 본연의 성질로서 사용된 나무와 그 악기의 모양과 크기에서 나오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할 일은 그 소리를 만드는 일이 아니고 나올 수 있는 소리를 잃지 않도록 돌보는 일이다.

  물론 기타의 음질은 악기마다 다양성이 많다. 예를 들면 투명한 "Baroque"풍, 또는 넓게 퍼지는 "Romantic"한 소리 등 두드러진 소리의 특징을 선택 할 수 있다.

기타에서 가장 융통성 있는 소리란 아마도 맑게, 뚜렷하게, 고르게 그리고 고음, 저음 모두 지속력 있게 나는 소리가 가장 바람직 할 것이다.
그것은 필경 그 악기가 최소의 저항으로 잘 조절되고 분포된 공명을 이루고 있음을 의미 하고 있다.


참고 문헌 :
American Lutherie(The Quarterly Journal of Guild of the America Luthier's)
: Roger Siminoff / Paul Wyzkowski.



?

  1. [re] 구로사와.............고악기

    Date2004.10.11 By Views6049
    Read More
  2. 미야모도 김빠지........현악기제작자의 기타.(1937년작)

    Date2004.10.08 By Views7318
    Read More
  3. [re] 헤드

    Date2004.10.08 By Views5616
    Read More
  4. [re] 헤드정면

    Date2004.10.08 By Views5015
    Read More
  5. [re] 앞판

    Date2004.10.08 By Views5343
    Read More
  6. [re] 넥과 옆판

    Date2004.10.08 By Views5490
    Read More
  7. [re] 뒤판

    Date2004.10.08 By Views5062
    Read More
  8. 12홀 브릿지 줄 매는 법(알마기타 펌)

    Date2004.10.07 By그놈참 Views7930
    Read More
  9. 12홀 브릿지에 유감 있음 (-_-)

    Date2004.10.06 Byaudioguy Views6367
    Read More
  10. audioguy님 이렇게 해보셔여~~^^

    Date2004.10.07 By Views5765
    Read More
  11. audioguy님 이렇게 해보셔여~~^^ 2

    Date2004.10.07 By Views5667
    Read More
  12. 황동 하현주

    Date2004.09.19 By우파사 Views7987
    Read More
  13. 다다리오 현 사용하시는 분들에게 질문드려요

    Date2004.09.06 Bypourquoi? Views5834
    Read More
  14. 하까란다가 꽃피었네여.

    Date2004.09.01 By*라질 Views8639
    Read More
  15. French Polishing - 쉘락칠

    Date2004.08.17 By고정석 Views7930
    Read More
  16. 기타현 가격표.

    Date2004.08.01 By Views7060
    Read More
  17. 기타 제작에 관하여

    Date2004.07.26 By기타줄 Views4842
    Read More
  18. 기타줄 소리에 대한 단상

    Date2004.07.25 By기타줄 Views6457
    Read More
  19. 소르와 아구아도???

    Date2004.07.14 By궁금 Views5489
    Read More
  20. 으하하하 기타 새로 샀는데요 정말 좋아미치겠어요

    Date2004.07.12 By송호연 Views6172
    Read More
  21. 기타에서

    Date2004.06.16 By궁금 Views4526
    Read More
  22. Greg Byers와 Paul Jacobson의 정확한 조율을 위한 해결책

    Date2004.06.07 By최창호 Views5618
    Read More
  23. 기타줄 비교

    Date2004.06.02 By최창호 Views9291
    Read More
  24. 라이징보드 사용 소감을 듣고싶습니다..

    Date2004.05.23 By김상국 Views5458
    Read More
  25. 제도로 프렛 계산해내기...

    Date2004.05.22 By토토 Views5489
    Read More
  26. 최고의 튜닝머신들..

    Date2004.05.11 By그놈참 Views6183
    Read More
  27. 기타 제작에서 가장 어려운 일은 무엇인가요?

    Date2004.05.01 Byaudioguy Views5410
    Read More
  28. 뭘까요..^^ 제기타 헤드

    Date2004.04.28 By기타 Views6417
    Read More
  29. [re] 뭘까요..^^ 제기타 로제트 지판

    Date2004.04.28 By기타 Views5286
    Read More
  30. [re] 뭘까요..^^ 제기타 뒷판

    Date2004.04.28 By기타 Views4802
    Read More
  31. [질문] 음량증가를 위한 증폭장치

    Date2004.04.24 By금모래 Views6297
    Read More
  32. 엇..옥용수님 기타만들기입문 .....다시올려주세요.(영문번역도있었는데)

    Date2004.04.22 By Views4902
    Read More
  33. 기타플랜 구하는 곳

    Date2004.04.21 By토토 Views5530
    Read More
  34. 스페인 기타 제작 마스터 클래스 문의드려요

    Date2004.04.20 By으니 Views4405
    Read More
  35. 바로크기타 만들기 입문 [일본어]

    Date2004.04.11 By옥용수 Views5259
    Read More
  36. 류트만들기 입문 [일본어]

    Date2004.04.11 By옥용수 Views6060
    Read More
  37. 기타케이스 만들기 [일본어]

    Date2004.04.11 By옥용수 Views7131
    Read More
  38. 거트현 만드는 과정 [일본어]

    Date2004.04.11 By옥용수 Views4901
    Read More
  39. 다양한 기타 & 망가진 부위에 따른 수선과정. [일본어]

    Date2004.04.11 By옥용수 Views4824
    Read More
  40. 기타의 음량증가를 위한 증폭장치...........데스데리님의 글을 퍼왔습니다.

    Date2004.04.11 By Views5634
    Read More
  41. 하까란다 이야기...

    Date2004.04.06 By Views7698
    Read More
  42. 가까이서본 하까란다..

    Date2004.04.06 By Views5527
    Read More
  43. 조앙과 함께 비교한 4대의 기타..

    Date2004.04.07 By Views6575
    Read More
  44. 기타가 다른악기에 비하여 비싸다는......

    Date2004.04.02 By김키타 Views6317
    Read More
  45. 두랄루민 보강넥에 대해

    Date2004.03.13 By질문드립니다. Views6609
    Read More
  46. [알림] 프렛계산 페이지

    Date2004.03.07 By옥용수 Views4846
    Read More
  47. [re] [알림] 프렛계산 페이지

    Date2004.03.08 Bybluejay Views5186
    Read More
  48. [질문]외국 나갈때 기타 가지고 가는 법.

    Date2004.03.05 By경호 Views6530
    Read More
  49. 기타프렛에 관해 여쭙겠사옵니다.

    Date2004.02.26 By연리지 Views5388
    Read More
  50. 상현주와 하현주의 재질.....

    Date2004.02.28 By상아 Views6369
    Read More
  51. 입이 큰 기타

    Date2004.03.05 By기타에 미친 사람 Views6395
    Read More
  52. 기타매냐를 들르는 모든 사람들에게..

    Date2004.03.01 By기타는내친구 Views4798
    Read More
  53. 스몰맨으로 연주된 음악

    Date2004.02.27 By스몰맨 Views6478
    Read More
  54. 투넥기타...^^;

    Date2004.02.27 Byz커피 Views8614
    Read More
  55. (현장길이, 장력, 왼손)과 이에 따른 오른손의 견해

    Date2004.02.16 By Views6709
    Read More
  56. 브라만 15번 조각사진 모음~~

    Date2004.02.15 By오모씨 Views7155
    Read More
  57. 혁님의 악기 ----브라만 15번 -

    Date2004.02.15 By오모씨 Views9668
    Read More
  58. -- 몸통 자세히

    Date2004.02.15 By오모씨 Views7168
    Read More
  59. -- 로제트

    Date2004.02.15 By오모씨 Views6892
    Read More
  60. -- 라벨 --

    Date2004.02.15 By오모씨 Views6586
    Read More
  61. -- 브릿지~

    Date2004.02.15 By오모씨 Views6664
    Read More
  62. -- 헤드에요~

    Date2004.02.15 By오모씨 Views6081
    Read More
  63. -- 암레스트래요~

    Date2004.02.15 By오모씨 Views6772
    Read More
  64. -- 어쿠스틱포트 1

    Date2004.02.15 By오모씨 Views6245
    Read More
  65. -- 어쿠스틱포트 2 / 라이징 보드

    Date2004.02.15 By오모씨 Views6916
    Read More
  66. -- 뒷판 하까란다~

    Date2004.02.15 By오모씨 Views6771
    Read More
  67. -- 뒷판 굽(heel)부분

    Date2004.02.15 By오모씨 Views6389
    Read More
  68. 모양은 이쁜데 소리도 이쁠지 궁금하네요.

    Date2004.02.15 By... Views5345
    Read More
  69. 기타보관 시 적정온도는 어떻게 되나요?

    Date2004.02.10 By초보 Views6466
    Read More
  70. 기타조율에 대한 여러분의 경험과 의견을 듣고 싶어요 ^.^

    Date2004.02.08 By백철진 Views6033
    Read More
  71. [re] 기타조율에 대한 여러분의 경험과 의견을 듣고 싶어요 ^.^

    Date2004.02.17 Bybluejay Views6476
    Read More
  72. 기타줄의 장력...무게 입니다..

    Date2004.01.27 By기타매냥 Views7257
    Read More
  73. 친구네 집에서 업어온 기타

    Date2004.01.26 By Views8696
    Read More
  74. [re] 친구네 집에서 업어온 기타

    Date2004.01.26 By Views5725
    Read More
  75. [re] 친구네 집에서 업어온 기타

    Date2004.01.26 By Views4497
    Read More
  76. [re] 친구네 집에서 업어온 기타

    Date2004.01.26 By Views4738
    Read More
  77. [re] 친구네 집에서 업어온 기타

    Date2004.01.31 By쿠쿠다스 Views4500
    Read More
  78. [re] 친구네 집에서 업어온 기타2

    Date2004.01.26 By Views4762
    Read More
  79. 기타의 진한 향..어디서나는걸가요?

    Date2004.01.24 By띠용 Views6099
    Read More
  80. 7현 기타~

    Date2004.01.12 By오모씨 Views6718
    Read More
  81. 제 기타 사진이네요. 제작자를 맞추어 BoA요~

    Date2004.01.11 By Views6241
    Read More
  82. [re] 제 기타 사진이네요. 제작자를 맞추어 BoA요~

    Date2004.01.11 By Views5757
    Read More
  83. [re] 제 기타 사진이네요. 제작자를 맞추어 BoA요~

    Date2004.01.11 By Views4931
    Read More
  84. [re] 제 기타 사진이네요. 제작자를 맞추어 BoA요~

    Date2004.01.11 By Views4820
    Read More
  85. [re] 제 기타 사진이네요. 제작자를 맞추어 BoA요~

    Date2004.01.11 By Views4806
    Read More
  86. [re] 제 기타 사진이네요. 제작자를 맞추어 BoA요~

    Date2004.01.11 By Views5552
    Read More
  87. 저의 기타 사진입니다. Brahmam 2003년 (넘버10번 , 624mm)

    Date2004.01.09 By고정석 Views7167
    Read More
  88. [re] 저의 기타 사진입니다. Brahmam 2003년 (넘버10, 624mm)

    Date2004.01.10 By고정석 Views6184
    Read More
  89. [re] 저의 기타 사진입니다. Brahmam 2003년 (넘버10, 624mm)

    Date2004.01.10 By고정석 Views5280
    Read More
  90. [re] 저의 기타 사진입니다. Brahmam 2003년 (넘버10, 624mm)

    Date2004.01.09 By고정석 Views5240
    Read More
  91. [re] 저의 기타 사진입니다. Brahmam 2003년 (넘버10, 624mm)

    Date2004.01.09 By고정석 Views4924
    Read More
  92. [re] 저의 기타 사진입니다. Brahmam 2003년 (넘버10, 624mm)

    Date2004.01.09 By고정석 Views6207
    Read More
  93. 저의 기타 사진입니다. Corbellari 1997년 현장 640mm

    Date2004.01.09 By고정석 Views6444
    Read More
  94. [re] 저의 기타 사진입니다. Corbellari 1997년 현장 640mm

    Date2004.01.09 By고정석 Views6033
    Read More
  95. 630mm 기타에 관한 이야기(번역)

    Date2004.01.09 Bygaspar Views10848
    Read More
  96. 서대영님 공방에서 기타를 하나 들고와서...

    Date2003.12.28 By소리난다 Views7324
    Read More
  97. 손에 맞는 기타

    Date2003.12.22 By고정석 Views6805
    Read More
  98. 합주에 필요한 기타현정보가 많은 리여석기타합주단홈페이지.

    Date2003.12.16 By Views5576
    Read More
  99. orpharion 사진입니다.

    Date2003.12.12 By학생 Views5769
    Read More
  100. 줄의 장력이 세게 느껴져요!!

    Date2003.12.12 By기타넘조아 Views5448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