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55.179.190) 조회 수 8263 댓글 0

2006년에 내한한 기타제작가 Marvi의 워크숍에서 보충강의에 사용한 내용입니다.
작년에는 국내 월간지 CLASSIC GUITAR지에도 3개월에 걸쳐 연재한바 있습니다.

본란에도 편의상 3회로 나누어 올리겠습니다.


1. 기타의 공명(共鳴)

상식적인 사례들 :

공명이란 어차피 학술적인 과제라서 이를 쉽게 설명할 방법이 없기에, 우선 기타를 제작하는 중에 누구나 체험할 수 있는 사례들을 통해 공명이란 과연 어떤 것인지 짚고 넘어가고자 한다.
공명주파수란 어떤 물체가 외부충격에 의해 방출하는 음향의 매 초당 가장 낮은 주파수, 즉 매 초당 제일 낮게 울리는 진동(박자) 수효를 말하는 것이다.
이는 음향 실험기기인 Strobo-tuner를 사용하여 정밀하게 검측할 수 있지만, 거기까지 가지 않고도 우리 귀를 통하여 공명의 세기나 변화과정을 알아낼 수가 있는 것이다.
기타의 음향은 목재의 단단한 나이테 결을 따라서 초당 5,000m의 속도로 전파된다.
이는 일반 기상조건에서의 음속보다 무려 14배나 빠른 속도이다. 그러나 나이테의 무른 결에 이르러서는 훨씬 더디거나 이내 흡수 내지 쇠잔하게 된다.

이런 음향이란 것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발현악기인 기타에서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것만 검토해보자 :
- 사운드 홀(Sound-hole)이 작으면 저음이 발생하고, 커지면 음향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 몸통이 클수록 낮게 공명하고 ,몸통이 작을수록 공명이 높아진다.
- 음향판을 만들 때 상목(Transverse Bar)이나 부챗살(Fan Brace)로 브릿지(Bridge) 쪽을 뻣뻣하게 하면 공명이 높아지고 강성을 연하게 함에 따라 공명도 낮아진다.
- 상목이나 부챗살을 음향판 중앙부위에서 깎아주면 공명이 쉽사리 낮아지지만, 상목이나 부채살의 끄트머리를 깎아내면 아주 조금씩 낮아지게 된다.
- 결론적으로 발현체의 강성이 공명의 높낮이(주파수)를 좌우함을 알게 된다.


기타의 공명 :  

기타의 음향판(전면/Soundboard)을 설계 하려면 먼저 세 가지 물리적(기계적) 변화요소를 염두에 두어야 하는바, 이는 물체의 체적, 강성 및 내부마찰을 말한다.
탄현에 의한 운동 에너지가 쌔들(Saddle)상의 어느 지점에 가해졌을 때, 이 세 가지 변화요소가 어떻게 적절히 상호 작용하여 음향판의 전반에 걸쳐 전달되느냐가 바로 그 악기가 어떤 음을 낼 수 있는가를 결정하게 된다.

  먼저, 음향발생의 기본 원리를 잠시 관찰 해보자.
어떤 물체 내에서 음의 전달속도는 그 물체의 강성/체적 비의 평방근에 비례 한다고 한다.
이 원리에 의하면 어떤 물체 내에서 음의 전달 속도는 그 물체 고유의 주파수를 결정짓게 되며, 음의 전달 속도가 빠를수록 주파수도 높아지게 된다.
이 고유 주파수(또는 복합주파수 ; 음향판과 같은 복합구조는 여러 가지 다른 양상의 진동들이 함께 발생 하므로)는, 탄현을 하였을 때 바로 그 음향판 고유의 진동 특성을 가름하는 결정적 역할을 하게 된다.
탄현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는 순간 그 진폭과 세기는 최고조에 도달된다.
이를 공명의 절정 이라고 말하며, 이때가 그 음향판의 진동 저항이 가장 약할 때 이다.
이 절정의 예리함은 음향판의 내부마찰/체적비율에 따라 좌우 된다. 즉 진동저항이 세고 체적이 작을수록 공명의 절정은 낮고 넓어진다.

다시 말해서, 그  절정이 보다 광범위한 주파수대로 확산됨에 따라 공명의 세기는 약해진다.
한편 진동마찰은 운동 에너지를 음향 방출에 도움이 되지 않는 열로 전환시키기도 한다.  
위에 열거한 내용을 참고하여, 탄현 시 음향판이 어떻게 반응 하는가를 검토하기로 한다.
기타 음향의 특성은 크게 나누어 음량, 음의 평형 및 지속성으로 분류 할 수 있다.
그 외에 별도로 음질을 생각 할 수 있는데 기타의 경우 “황금빛, 따듯한, 부드러운 및 종소리 같은” 등으로 표현 되고 있으나 이 부분은 나중에 생각하기로 한다.
  바람직한 음향의 특성을 이야기 하려면, 무엇보다도 음향판이 울릴 때 어떤 특정한 음이 다른 음들에 비하여 현저하게 튀어 나와서는 안 된다.

바꿔 말해서, 소리의 강약에 따라 모든 범주의 음정이 고르게 나와야 된다. 북치듯이 강렬한 공명을 시키면 탄현 에너지는 더 빠르게 확산되며 곧 소멸하게 되므로, 강한 공명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발현되는 힘은 한정 되어 있기 때문에 소리를 크게 하려면 그 지속성이 희생 되거나, 음을 오래 지속 시키려면 그 세기가 약해질 수밖에 없다.

  음의 지속성을 늘리려면, 우선 탄현 하는 순간 에너지가 단번에 크게 흩어져 버리지 않고 부풀듯이 나오게끔 약간의 진동 저항이 필요하다.
여기에서 우리는 진동 저항을 두 가지로 구분해둘 필요가 있다;

  첫째, 음향판이 현의 진동과 동조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음정을 강하게 방출 시키지 못하는 저항이다.
이러한 저항은 탄현에 반응한 음향판의 진동의 세기를 단순히 감소시킨다. 따라서 음을 방출시키는 일을 제외한 다른 에너지의 소모는 없다. 이러한 것이 바로 음을 지속 시키는 저항이다.

  둘째, 다른 하나의 저항은, 탄현으로 음향판이 진동할 때 그 물체의 내부마찰로 인하여 형성되는 저항이다.
마찰저항이란 에너지의 파괴자 이다.
이러한 저항의 결과 탄현 에너지가 모두 음향으로 전환 되지 않는 한, 그 음은 점점 쇠잔하게 된다.
마찰저항은 비례적으로 주파수를 높이고, 저음부 보다는 고음부에서 더 빠르게 진폭을 좁혀서 멈추게 하는 작용을 한다.

  그런데, 저항이 순전히 해로운 요소만은 아니고 실은 필수 요소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이 저항이 공명의 절정을 낮고 넓게 퍼지게 함으로서 음의 평형을 유지 하는데 기여하기 때문 이다.
이것은 단순히 발현체의 체적만 줄임으로서 해결 되는 것이 아니다.
발현체 내에는 적당한 저항도 있어야 할뿐 아니라, 또 어느 정도 체적을 줄였다 하더라도 높은 공명의 절정이 남아 있어야만 가능 하다.

  근래에는, 음향판 설계 양식이 거의 다 알려져 있다.
세상의 모든 일이 그렇듯이 음향판의 설계에도 음량, 음의 평형 및 지속성 간의 묘한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얼마간의 절충이 필요한 것으로 귀결지어지고 있음이 사실이다.
  이를테면, 음량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저항을 조금만 줄여서 큰 공명을 얻고 싶고, 음의 평형을 위해서는 어떤 특별히 튀는 공명의 절정 뿐 아니라 음의 흑색 지대를 피하고 싶고, 지속성에 관하여는 필요한 만큼의 공명제어 저항과 최소한의 내부마찰만 유지하고 싶다.

  이와 같은 조건들을 설계에 적용하기 전에 하나 더 우리가 유념해야 될 것은, 현의 진동을 음향으로 변환 시키는 기능을 음향판 홀로 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발현체를 이루는 몸통과 그 안에 들어있는 공기도 진동 할뿐 아니라 각기 다른 고유의 주파수를 갖고 음향판과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음향판은 몸통 내 공기의 간섭을 받아서 그 체적, 강성 및 마찰효과를 가감하게 되므로 실제의 공명 주파수는 이에 따라 달라 질 수밖에 없다.  
  기타의 가장 낮은 공명은 몸통내 공기압으로부터 형성되는 주파수에 의해 이루어져 바로 음향판의 주파수와 합성된다.
그러나 공기의 공명과 목재의 제일 낮은 공명 사이에는 난해한 편차가 있어서 특히 중저음역의 공명이 방해 받아 흑색지대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음향판의 주파수를 낮추고, 공명의 절정을 넓게 유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고음부의 지속성을 유지 하면서 이와 같은 공명을 이루려면, 우리는 고음역에서 특히 최소한의 마찰로서 더 많은 공명의 절정이 잘 조절되어 겹쳐지도록 만드는데 노력해야 된다.
  위의 두 조건은 서로 상반된다.

그러나 약간의 연구로 우리는 한 개의 음향판에서 이 두 가지 조건을 어느 정도 만족 시킬 수가 있다.
이는 동축 스피커의 원리를 반영 한 것으로 비록 같은 음향판의 일부분이지만 더 낮은 주파수로 진동할 수 있도록 강성을 줄여서 그 부분의 유연성을  늘려주는 방법이다.
즉 음향판의 주변을 얇게 해주면 된다. 또 낮은 주파수로 진동하는 부위에 높은 주파수로 진동하는 강성 있는 부분을 마련할 수도 있다.

하여튼 우리는 처음부터 강성에 차등을 두되 가급적 낮은 진동에 맞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이로서 절정을 완만히 하여 예리한 공명을 방지 하며 마찰도 적게 할 수가 있다(사용재료의 두께와 체적이 늘면 마찰이 커진다).
한편 중음부를 간과해서는 안되므로 "Woofer"와 "Tweeter" 사이를 걸치는 점진적 중음대가 마련 되어야한다.

  음향판의 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강성/밀도 비가 제일 높은 재료를 찾아내야 하는바, Europe Spruce의 정목재(正目材)가 어느 목재보다 강하고 내부마찰도 낮다.
실은 Red Cedar이 강성/밀도 비는 더 높으나 재질이 연하여 긁히거나 찍히기 쉽다. (Spruce 음향판에 Cedar 상목을 대는 것이 제일 좋은 조합이 될 수도 있다).

  음향판 내에서 고음부와 저음부의 공명 기능을 분리 하려할 때 어떤 의문이 생길 수가 있는데, 이는 음향판이 동축 스피커와 같은 형상이므로 Woofer"와 "Tweeter"의 조합을 동심축의 대칭 구조로 하느냐,
아니면 "Woofer"의 기능은 저음부위에, "Tweeter"의 기능은 고음부위에 배치하여 비대칭 구조로 하느냐의 문제이다.

솔직히 말해서 이에 확실하게 대답 할 수 있는 사람은 없을 것 같다.
음향판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는 모든 영역이 모든 주파수의 진동에 관련되며 진동이 되거나 안 되는 구역도 대칭적 이다.
음향판의 어느 한쪽만을 건드려도 마치 양쪽을 똑같이 건드린 것 같이 동등하게 작용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현의 배열로 인해 탄현 시 입력 지점이 비대칭으로 될 수밖에 없으나 그 차이는 미세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기들 중에 비대칭으로 제작 된 것을 많이 발견하게 된다. 비대칭형 설계에 의해 재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절약함으로서 그 체적과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비대칭형 음향판이 소리를 내는 데에 훨씬 유리할지도 모른다.

  발현음향의 관점을 잠시 떠나, 현의 장력을 검토 해보면 음향판은 장력에 대해 변형 없이 견디어내야 되는 과제가 남는데 이는 어쩔 수 없이 음향판 본연의 작동을 예상외로 제한할 수밖에 없게 된다.
"Tweeter"의 강성을 보완하는 상목이 장력에 대비한 보강 역할을 어느 정도 감당할지도 모른다.
이것은 현의 장력이 거의 대칭에 가까우므로 대칭형 설계를 주장 할만한 논제이다.(현의 제작 시 고음 현의 장력을 얼마간 더 세게 만드는 경우도 있다).

음향판의 구조적 안정을 위해서는 발현에 필요한 상목 외에 추가  보강이 필요하게 된다.
즉 발현만을 위한 것이 아닌 한층 더한 설계상의 절충을 하지 않을 수 없다.
다시 한 번 강조 하지만 이런 문제들을 쉽게 해결하기 위해서도 강성/밀도가 가장 높은 정목재(正木材)를 사용하는 것이 절실 하다.


  마지막으로 음질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소위 “황금빛, 따듯한, 부드러운 및 종소리” 같은 소리를 어떻게 하면 이룰 수가 있을까? 결론은 간단하다.
그것은 바로 기타라는 악기 본연의 성질로서 사용된 나무와 그 악기의 모양과 크기에서 나오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할 일은 그 소리를 만드는 일이 아니고 나올 수 있는 소리를 잃지 않도록 돌보는 일이다.

  물론 기타의 음질은 악기마다 다양성이 많다. 예를 들면 투명한 "Baroque"풍, 또는 넓게 퍼지는 "Romantic"한 소리 등 두드러진 소리의 특징을 선택 할 수 있다.

기타에서 가장 융통성 있는 소리란 아마도 맑게, 뚜렷하게, 고르게 그리고 고음, 저음 모두 지속력 있게 나는 소리가 가장 바람직 할 것이다.
그것은 필경 그 악기가 최소의 저항으로 잘 조절되고 분포된 공명을 이루고 있음을 의미 하고 있다.


참고 문헌 :
American Lutherie(The Quarterly Journal of Guild of the America Luthier's)
: Roger Siminoff / Paul Wyzkowski.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34 8-stringed guitar.....brahms guitar. 2000.08.28 41760
1733 명기에의 길라잡이 312 file 최동수 2008.08.09 29862
1732 메이플로즈 기타 만들기-1 165 최동수 2010.12.02 25264
1731 그것을알고싶다! 하카란다(최종판) 22 file 조국건 2011.05.23 23436
1730 Professional guitarists: their guitars - 1 리브라 2011.10.25 23348
1729 Thurman Guitar 고정석 2001.03.09 21964
1728 간단한 댐핏 만들기 13 file 리브라 2012.01.04 21194
1727 라미레즈 기타에 대하여 22 최동수 2013.09.13 20890
1726 황칠나무 17 file 고정석 2009.06.26 20549
1725 사운드홀의 비밀 15 돌바퀴 2012.06.14 20283
1724 현고에 대하여 38 최동수 2008.09.04 19840
1723 스프러스 기타와 시더 기타 17 금모래 2009.09.17 19815
1722 기타의 크기 ( 현장, 넥두께, 상현주현폭 ) 4 콩쥐 2007.12.01 19779
1721 하현주(saddle) 미세조정 6 file 쏠레아 2010.03.15 19650
1720 왜 4번줄만 끊어지는가? 8 돌빈대 2012.06.15 19354
1719 하현주 각도에 대한 생각 20 file 쏠레아 2008.08.28 19274
1718 가격과 소리 69 100호유저 2010.01.03 18781
1717 특이한 디자인 기타 (최동수선생님 봐주세요 ㅎ) 7 file 프렛 2013.08.25 18738
1716 Jose Ramirez 1 Guitar 1909 3 file 고정석 2008.10.18 18649
1715 로마닐로스가 올해(2008년) 의 제작자로 선정한 David Merrin Guitar 2 file 고정석 2008.10.19 18635
1714 탄소 섬유로 만든 기타 3 cf 2011.12.02 18453
1713 헬름홀츠의 공기공명 1 file 최동수 2012.06.08 18359
1712 스페인 제작자 2 2012.10.01 18181
1711 드디어 기타를 바꾸었읍니다 (베르나베 기타...) 9 김브림 2011.10.31 17972
1710 자연스런 습도유지. 6 file 2012.01.21 17450
1709 특별한 기타.....음향반사판기타 39 file 콩쥐 2012.06.02 17391
1708 스몰맨기타 모델 file 스몰 2010.12.14 17364
1707 시거 박스 기타(Cigar Box Guitars) 7 고정석 2011.07.13 17286
1706 하카란다 꽃 6 file 조국건 2011.05.15 17187
1705 장력(Tension)과 액션(Action) 44 쏠레아 2008.08.18 16917
1704 목공기계(테이블 쏘우, 기계톱)의 위험성. 11 콩쥐 2010.03.28 16914
1703 기타제작가 콩쥐님 보세요. 52 file 쏠레아 2010.02.25 16867
1702 현장이 짧은 기타에 대하여-1 7 최동수 2012.06.10 16747
1701 최동수 선생님이 새로 만드신 총 기타... 18 file 대건안드레아 2012.06.30 16670
1700 이병우씨 듀얼기타!!ㅋㅋ 2 file 은찬아빠 2012.02.07 16636
1699 존길버트와 알마기타 11 재미난기타 2010.03.01 16524
1698 명기파는곳 1 쥐며느리 2010.12.14 16470
1697 슈퍼칩(string tie) 7 file gitarre 2012.11.29 16214
1696 Professional guitarists: their guitars - 2 6 리브라 2011.10.25 16201
1695 오아시스 가습기와 개구리알~ 12 JS 2008.07.06 16123
1694 최동수님 2013년 9월에 완성될기타 훔쳐보기.... 21 file 기타바이러스 2013.08.24 16083
1693 최동수 선생님이 만드신 지팽이 기타..... 9 file 대건안드레아 2012.07.01 16079
1692 높은 프렛(지판에 박힌 쇠)을 구할 수 있나요? 14 highdama 2010.09.22 16053
1691 Fan Frets Guitar 8 file 고정석 2011.02.17 16040
1690 바리오스 망고레의 기타 7 file 2011.10.24 15908
1689 발 받침대 한컷 4 file 대건안드레아 2012.05.12 15891
1688 일본에 유명한 명기 클래식 기타 악기샾좀 알려주세요 7 궁금이 2010.08.02 15784
1687 황칠 도료 제품 등장 2 보리 2011.04.03 15730
1686 GFA 2011 Luthier's Showcase 2 jfs 2011.07.17 15721
1685 기타 제작용 목재와 대체목에 대해 잘 설명해 놓은 글이 있어서 링크해봅니다. 1 hesed 2011.01.31 15646
1684 국내외 기타 레이블 모음 5 오덕구 2010.09.29 15554
1683 기타 제작.. 3 가람 2011.10.24 15519
1682 하이텐션 줄/로우텐션 줄 9 쏠레아 2010.02.20 15463
1681 오일바니쉬... 4 다울랜드.. 2012.04.25 15396
1680 헐거워진 프렛 14 file 리브라 2011.06.18 15372
1679 기타의 장력이 센 이유는? 87 궁금 2008.08.09 15300
1678 Tap Tone과 Tone wood – 나무의 특성과 악기의 음향 (A. 재료와 음질) 6 file bluejay 2008.08.22 15299
1677 클래식기타 컬렉션 2008 1 file 리브라 2012.06.12 15166
1676 재미있는 기타 입니다.... 3 file 대건안드레아 2012.09.16 14888
1675 책 안내 - "기타 명기와 명장" 비우자 2012.02.14 14721
1674 고수님들....새들 가공에 대해서 질문요... 14 file 몰디브 2010.05.17 14675
1673 브릿지개조 기타 12 file 2008.09.04 14630
1672 황칠 2 2012.07.05 14601
1671 Tap Tone과 Tone wood – 나무의 구조와 특성 (A. 재료와 음질) 5 file bluejay 2008.08.12 14561
1670 최동수선생님 악기 탐방! 5 file 이호성 2012.12.11 14560
1669 2홀 슈퍼칩 3 file 리브라 2011.05.12 14532
1668 태평양 건너온 귀한물건 입니다. 3 file 프리덤 2013.01.09 14506
1667 기타 목재 문의...? 3 왔다구나 2010.03.25 14490
1666 [re] 현장 조정가능한 기타를 만들수 없나요 37 file 쏠레아 2010.03.24 14442
1665 내 "세고비아 기타"의 황당한 비밀~ 10 JS 2008.01.02 14409
1664 클래식기타 에 사용할 온습도계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4 케이스삽니다 2011.05.19 14396
1663 Anders Miolin이 연주하는 The 13-string Chiavi-Miolin Guitar 5 고정석 2011.02.18 14260
1662 Andres Marin 모델 기타 26 최동수 2011.11.13 14189
1661 공명은 음을 확대하는가? 7 EchoOff 2012.06.04 14102
1660 도미니크 필드 인터뷰 7 idf 2011.02.06 14056
1659 기타에 부착시키는 암레스트의 사진입니다. 3 file 데스데 리 2004.10.14 14052
1658 실험정신(공명) 7 제갈공명 2012.06.04 14048
1657 흑단(에보니).....최동수 3 콩쥐 2009.12.08 14025
1656 기타의 음량 6 쏠레아 2010.02.28 13947
1655 울프톤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입니다 ^^ 64 file EchoOff 2009.05.12 13943
1654 기내에 기타반입. 18 kissber 2007.12.31 13892
1653 넥, 지판가공.. 제작자님들 조언 구합니다... 7 김성일 2011.11.04 13843
1652 Agustin Barrios' original guitar (1914) 7 고정석 2011.10.25 13795
1651 기타 모델링 2 file 이동혁 2012.04.10 13702
1650 12홀 브릿지는 장력이 센가요? 17 브릿지 2010.05.18 13696
1649 Scott Tennant가 연주하는 Daniel Friederich 기타 scdj 2011.12.06 13648
1648 명기의 비교 감상 - 라그리마 14 file 파크닝팬 2009.12.06 13637
1647 기타를 만드는 남자 70 file 최동수 2009.05.28 13599
1646 브라만(Anselmo) 암레스트 13 file 2004.10.12 13559
1645 Arm rest 구입처 문의 또는 대용품 문의 17 Realforce 2010.04.06 13444
1644 기타의 수명에 관한 토론글입니다.(알마기타 펌) 2 무저갱 2007.05.16 13403
1643 기타리스트들이 애용한 기타들 12 file 고정석 2010.02.02 13245
1642 스몰맨과 죤 윌리엄스~ 25 JS 2009.11.28 13228
1641 목공기계를 쓸때는 항상 안전하게...(퍼온글) 10 file 콩쥐 2009.11.28 13178
1640 [re] Arm rest 구입처 문의 또는 대용품 문의 2 file Realforce 2010.04.23 13175
1639 기타 구조해석 - 유한요소 모델 6 file EchoOff 2009.06.11 13129
1638 왜? 49 file 쏠레아 2010.03.07 13102
1637 현장이 짧은 기타에 대하여-2 5 최동수 2012.06.11 13079
1636 슈퍼칩 1 file 콩쥐 2008.07.24 13026
1635 [re] 하카란다 꽃의 근접사진 디테일 5 file 조국건 2011.05.18 12834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