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110.162.147) 조회 수 6136 댓글 14
기타를  좋아하고 즐기는 편인데요....
우연찮게 기타매니아에 들어오고서 부터 다시 즐기는 중인데
궁금증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어느 기타공방의 홈피에 가니까
손가락의 적정현장 측정법이 있길래 함 해봤더니
놀랍게도
628 이라는 현장 길이가 나오더군요.

이걸 괜히 해봤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기타 매니아에 들어오고서 부터
기타에 조금씩 관심을 갖다보니
20년전에 구입한 기타가 현장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서 줄자를 뽑아 봤습니다.
650 이더군요.

벌써
손 놓은지 15년이 지났는데
어차피 연습하면서 손가락때문에 문제가 되는건
처음 기타를 잡을때 부터였고
카르카시에서 ~ 곡까지 어느 한곡이라도 기타에서 자유로운 적은 그리 많지 않았던거 같아요.
물론,
카르카시 25번을 칠때쯤이면 1번의 연습곡이야 당연히 자유롭겠죠.
하지만,
이런식으로 하다보면 노력의 댓가라는 답이 나올듯한데
굳이 무모하게 도전해서 (꼭 연주해보고 싶은 곡이 있을때) 내가 할 수 없다는
한계를 느끼고는 포기해 버리는 경우도 생기더군요.
독한 맘 먹고 오기로 한다해도 스스로 만족할 수 없는 연주가 되버리고요.


차이가 있어봤자 얼마나 나겠나 싶기도 하고,
지금의 기타가 많이 낡기도 해서 차후에 기타를 구입하게 되면 참고할려구요.

하여, 경험이 있으신분들의 조언을 듣고 싶군요.


* 수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6-08-06 10:14)
Comment '14'
  • 현장감독 2006.07.14 12:58 (*.80.15.112)
    절대적인건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보자면 아래가 적당해 보입니다.
    물론 직접 기타를 가지고 연주하면서 비교하면야 더 좋겠죠.

    키...178............650
    키...170............640
    키...165............630
    키...160............620

    가장 쉽게 생각해 본건데,
    다른 변수(손의 확장가능성, 나이, 손길이, 손가락굵기등등)들도 물론 있지만
    가장 큰 영향은 역시 손의 크기(키)인듯 합니다.

    650으로 안되는 운지가 많다면 당연히 더 작은 사이즈에서 수월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그리고 현장뿐 아니라 넛트에서의 현간격도 왼손이 편한데 일조합니다.
    큰키(180이상)........44~43미리
    보통키(178)..........42미리
    작은키 (170)..........41미리
    작은키(165~160).... 40미리~39미리
  • 현장감독 2006.07.14 13:07 (*.80.15.112)
    오래전기타는 모두 일반사이즈(650mm)가 대부분입니다.
    주문제작이 잘 알려진것은 그리 오래지 않은일이라....
  • 적정허니 2006.07.14 13:27 (*.76.123.252)
    손의 크기는 개인차가 너무 크기때문에 글로 피력하에기는 쪼까 거시기 하지만,
    손의 크기나 손가락길이가 소형(?)인 사람은 연주에 불리할 수밖에 없습니다.

    사람의 손에맞는 적정현장이 있다면, 기타에게는 필요한 표준현장이 있다는 점을 간과하면 안되겠죠.
    무슨말이냐하면, 표준현장 650 이라는게 수많은 세대의 기타제작가, 연주가들을 거쳐오면서 데이터베이스화 된 결과 라는점입니다.

    손이 작은사람들은 현장이 짧은기타를 사용 할 수 밖에 없는데, 그럴경우 기타고유의 음량과 음색을 잃을 수 있습니다.(현장이 짧아질수록 밴죠, 우쿨레레나 만돌린소리에 가까워질듯)
    또한, 지판의 상태가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기때문에 적정현장보다는 편안한지판의 기타에 치중하세요.
    제소견으로는 기타의 현장이 640 ~ 660 범위를 벗어나지는 않았으면 합니다.
    아마추어가 연주할수 있는 레퍼토리는 30~50곡 정도입니다. 그이상이되면 생업에 지장이 될정도의 시간을 기타에 빼앗겨야 ...
    쉽고 듣기좋은곡들 무지 많습니다. 적정현장에 너무 집착 하지마시라고 권유합니다.
  • ^^;; 2006.07.14 15:34 (*.109.215.244)
    라미네트 연습용 3E 모델이면 거의 100% 650현장이라 보시면 됩니다... 직접 주문해서 받으신 모델이

    아니라면... 일반 시중에서 구하신 연습용 3E는 모두 하청제작이므로 그냥 표준 650으로 제작합니다...
  • 노끈허니 2006.07.14 16:14 (*.76.123.252)
    노끈으로 상현주 시작점부터 하현주까지 팽팽히 당겨 연필로 표시하고 30cm 자를이용, 전체길이를 재어보세요.
    (아니면 상현주(0프렛)부터 12프렛까지 자로재어서 2배로 곱하면 현장이 나옵니다.
    아마 650 근처일거같습니다.
    우리나라사람 평균체격에 650 현장은 약간 부담되는길이 라더군요.(옜날얘기)
    그러나 지금은 국민체격이 많이 좋아져서 650현장은 아무 문제가 없을듯.
  • 당배 2006.07.14 17:03 (*.110.162.40)
    현장감독님,
    제 키가 168 인데...넛트의 간격도 참고 해야겠군요.
    적정허니님,
    사람의 손에맞는 적정현장이 있다면, 기타에게는 필요한 표준현장이 있다는...잘 참고하겠습니다.
    두분 도움말 주셔서 감사합니다.
  • 표준 2006.07.14 20:49 (*.80.15.125)
    기타현이 생산될때부터 어느정도 650에 맞춰져있기에
    650이 가장 유리할지 모릅니다만,
    장력의 종류가 로우, 미디엄 ,노말, 하이 ,슈퍼하이등등 그리고 나일론, 카본등등 다양하고
    악기자체로도 장력의 조정이 가능하고....
    등등 다양한 이유로 620미리사이즈 정도까지는 어느정도 적당한(만족할만한) 음향이 나오는듯하네요.
    여러연주자들로부터 그런 경험을 해봤죠.
    600미리정도 되니까 음량이나 다이나믹등등 약간의 아쉬움이 느껴지더라고요.
    잘만들어진 악기에서는 620정도까지는 현까지 신경쓰면 무리가 없을듯합니다.
    개인적으로는 620미리까지가 어느정도 음량,음색의 손실이 크게 없다고 생각합니다.
  • 당배 2006.07.15 10:51 (*.110.162.129)
    현장감독님!
    매번 답변 감사합니다.
    더불어 한가지만 더 물어도 될까요?
    그럼 장력의 종류가 이러할진데 이것을 어느 기준으로 맞춰야 하는지요?
    절대음을 기준으로 자신의 손가락으로 느끼는대로 시행착오를 해서 현을 찾아야 하는지,
    아니면 650이라면 노말을 쓰고, 현장이 짧으면 로우를 쓰고...해야하는가요?
    자꾸 물어서 죄송요.
  • 숏핑거 2006.07.15 13:46 (*.208.230.98)
    손가락이 짧다고 다 불리한건 아닙니다.
    장점도 있죠.
    바로 음량 음색의 발란스와 빠른 스피드 이건 손가락 짧은 것이 유리합니다~
  • 키큰허니 2006.07.15 13:53 (*.76.123.252)
    맞습니다.
    그리고 야무진 소리가 날거 같네요.
    펠레, 마라도나 모두 키가작죠. 하지만 유연한 몸놀림과 총알같은 슈팅~
  • 현장감독 2006.07.15 14:32 (*.80.15.99)
    가장 좋은건
    자신의 손가락 길이에 맞게 기타사이즈를 알아본 다음
    그다음 그 특정사이즈 기타에 맞는 구체적인 현을 찾는게 순서이겠죠.

    현장이 짧아질수록 장력이 쎈 현이 어울립니다.
    왜냐하면 짧아진만큼 부족한장력을 현으로 오히려 보상을 해줘야합니다.
    650에서 640 정도면 아주 큰 차이는 아닙니다...

    그리고 손가락이 짧으면 스피드 , 정확성 등등 장점도 많죠.

  • 당배 2006.07.15 17:48 (*.110.162.129)
    도움 말씀 주셔서 감사합니다.
    콩쥐님 감사합니다.
  • 허걱 2006.07.15 21:14 (*.80.15.99)
    어떻게 아셨죠? 콩쥔줄..
    와..컴퓨터 도사신가부다....ㅎㅎㅎ
  • 당배 2006.07.15 22:17 (*.110.162.129)
    어느 분이 답변을 이렇게 친절하게 잘해 주시나 싶어 오른쪽 휴지통 앞의 번호를 봤거덩요.
    같은 시간대에 위의 기타액션에도...
    아뭏든 답변 감사하구요.
    후에 기타를 구입할때 참고 할께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33 이게 바로..중국제 스몰맨 카피 기타..! file 으랏차차 2001.02.21 5403
932 Free Adjustable Bridge Saddle(FABS) file 고정석 2007.10.03 5396
931 사이몬 마티 file 기타마니아 2001.01.07 5395
930 뭰히 길들이기... 6 산넘 2001.09.12 5392
929 로제트는 어떻게 만드나요? 3 으랏차차 2001.04.20 5391
928 줄의 장력이 세게 느껴져요!! 19 기타넘조아 2003.12.12 5388
927 소리로 앞판 건조 시킨다면서요? 말괄량이 2000.06.17 5386
926 라이징보드 사용 소감을 듣고싶습니다.. 5 김상국 2004.05.23 5381
925 스프러스 아이힝거에 대해... 고형석 2000.06.11 5373
924 제 기타 사진입니다. 4 木香 2002.05.13 5373
923 ☞ ☞ 기타의 앞판이 이러면 어떨까..??? 수님이 답좀 안진수 2001.02.09 5369
922 축구는끝나고 심심해서 5 file 에뚜드 2006.06.25 5368
921 기타 제작자 이야기(1): 토레스 고정석 2000.11.18 5366
920 하하 ...내친구... 화음 2000.08.17 5364
919 줄을 갈다 생각난건데.. korman 2007.01.18 5363
918 기타 제작에서 가장 어려운 일은 무엇인가요? 12 audioguy 2004.05.01 5360
917 나만의 50만원대 수제기타 벤치마크 으랏차차 2001.02.01 5353
916 . 4 2002.07.13 5352
915 그라나다 기타제작 2017.08.02 5352
914 호세 루비오 과객 2001.02.20 5347
913 기타에이드에 관한 안내글. 콩쥐 2006.12.22 5345
912 전판 사포칠 장면 1 file gdream7 2005.12.15 5342
911 어떤걸 사야하나? 이병훈 2000.07.21 5337
910 평균율은 원래 고개 절래절래 하데요? 진국 2000.09.14 5336
909 [re] 미겔 로드리게스 사진입니다 1 file 10현 2006.02.14 5336
908 기타프렛에 관해 여쭙겠사옵니다. 8 연리지 2004.02.26 5334
907 [re] 바게뜨빵과 세느강... 9 file 콩쥐 2007.07.27 5334
906 강화도 수님 공방 기타제작. file 떠버기 2018.10.12 5325
905 조나단과 스프러스 아이힝거.... 형서기 2000.07.05 5324
904 Thomas Beltran file gaspar 2000.12.28 5322
903 [re] 바이스를 위해 탄생한 13현 아치기타 6 file 산골스트링즈 2007.05.01 5322
902 내가 갖고 싶은 기타(4) - Greg Smallman file 일랴나 2000.12.28 5319
901 마르비 제작클래스 이야기 - 프롤로그 1 새솔 2007.01.31 5313
900 이런 기타 스텐드... 4 file 木香 2001.07.21 5312
899 연주회 포스터할만한 사진이나 그림 없을까여? 1 은영이 2001.09.21 5306
898 ☞ 위에 기타 뒷사진. 명노창 2000.12.25 5304
897 bernabe.......kraft가 연주하는 2001.05.22 5304
896 ☞: 얼마전에 고노를 사랑한다고 했다가 님으로 부터 뒤지게 욕먹은.... 명노창 2000.09.01 5300
895 슈퍼칩만들때 노하우좀 갈쳐주세요~~ 3 Y 2003.06.24 5299
894 현장길이가 모예요? 5 chobo 2001.06.11 5289
893 기타 관리 1 orpheous 2002.04.17 5289
892 [re] BRAHMAN #6 file 차차 2003.11.24 5285
891 [re] 바로크와 스프러스!! 뽀짱 2001.11.29 5283
890 이기타 아무래도 부쉐같죠?(1) 1 file 궁금해서요 2003.07.24 5282
889 도밍고 에스테소1971년작 1 용접맨 2005.12.04 5282
888 Sitar, varanasi. 14 file ganesha 2002.06.09 5279
887 모양은 이쁜데 소리도 이쁠지 궁금하네요. 4 ... 2004.02.15 5278
886 when i dream 악보있으신분 메일로 띄어주세용~ kangyong 2000.10.09 5277
885 국산 악기에 관하여. 형서기 2001.05.06 5277
884 수님쇠줄기타도만들어주실수있나요 28 김민성 2002.01.08 5277
883 휘었다면 수리는 가능한지? 수리가 어려운가요? essene 2000.10.05 5275
882 [re] 앞판 1 file 2004.10.08 5275
881 브릿지 하현주에서 나는 잡음에대해.. JoDaC 2006.12.13 5274
880 현이 어디 묶여있나요? 2001.02.15 5273
879 감사합니다=^^=명노창님 김남호 2000.08.05 5273
878 논쟁에 끼어들고 인사도 드리며... 15 윤남식 2003.12.16 5273
877 키틴제 도료에 대해... 지우압바 2000.11.24 5272
876 기타가...목청이 하루만에??? 1 간절한 2002.01.27 5272
875 Daniel Friedrich라는 제작가에 대해 알려주세용 illiana 2000.09.17 5271
874 현은 지판에 안 닿아도 누군가는 지판에 닿아요. 4 2001.07.12 5269
873 엄씨 가문의 기타에 관한 냉철한 평을 부탁드립니다. 15 남경민 2001.05.02 5264
872 현장길이가 모냐면여.... 2 2001.06.12 5262
871 [re] 머리 file 콩쥐 2007.09.20 5262
870 제 뜻은 옆판과 뒷판은 비중적으로 앞판과 정다른 가장 단단한 나무를 사용해야... 명노창 2000.08.29 5258
869 [re] 그러나 스프러스를 사랑할수 밖에 없는 이유.. 1 으랏차차 2002.03.27 5258
868 가장 음량이 큰 기타는 ?? 지우압바 2000.08.18 5257
867 6번현보다 5번현 소리가 특히 큰데....~ 3 으랏차차 2002.03.27 5250
866 야쉘락 2 file gdream7 2005.12.24 5247
865 2005년 5/3~5. 일본동경근처의 기타문화관에서의 기타전시회. 2005.02.17 5246
864 ☞:안녕하세요..명노창입니다.80년대 당시 고노기타가격... 명노창 2000.08.05 5245
863 왜 로즈우드는 그렇게 기름기가 많은가? 1 2001.07.19 5241
862 [re] 정면님의 기타를 함께 생각하며 file 콩쥐 2006.09.19 5237
861 ☞ 써봤습니당. 엄씨가문의 기타를!!!보았습니당. 엄씨가문의 기타를!!! 간절한 2001.05.03 5236
860 [re] [요청] 내 악기 소개 게시판 만들어 주세요 초보자 2007.10.11 5235
859 [re] 마르비와 함께한 기타 제작기. 1 file 김중훈 2006.09.20 5233
858 [re] 바로쎌로나의 부엌...보께리아 file 콩쥐 2007.07.27 5233
857 [re] 저의 기타 사진입니다. Brahmam 2003년 (넘버10, 624mm) file 고정석 2004.01.10 5231
856 스페인 마드리드에세 제작된 기타이름.... 2 2002.04.25 5229
855 [re] 마르비와 함께한 기타 제작기. file 김중훈 2006.09.20 5227
854 ☞ 가야금, 거문고는 어떤줄을 쓰나요? 이재화 2000.10.28 5225
853 행복한? 기타 18 새내기 2001.06.12 5224
852 클래식과 통키타의 헤드머쉰... 으랏차차 2001.02.03 5222
851 스몰멘을 사려면.. 14 익제 2003.07.09 5222
850 ##이렇게 한 번 해보세요^^... 박성운 2000.12.16 5221
849 [re] 리 지에 .. 기타 말입니다.. 음.. 호정j 2002.10.03 5221
848 베르나베 기타가 어쩌고 저쩌고... 흠냐뤼.. 무식해서.. 변소반장 2000.12.05 5218
847 [re] 1920년 싼또스 에르난데스 file 2004.12.22 5218
846 matthias damman [2] 4 2002.10.14 5216
845 기타 제작가님들만 보셔요~ 2005.01.01 5215
844 [re] Bouchet와 Weissgerber file 최동수 2008.07.11 5215
843 기타의 앞판이 이러면 어떨까..??? 변소반장 2000.11.20 5213
842 폴 피셔. 2000.10.22 5212
841 [기사] 북한의 기타. 7 눈물반짝 2001.10.03 5211
840 [re] 디지탈 카메라.... 8 file 木香 2002.05.13 5211
839 [re] 아직 창고가 깨끗할때 콩쥐 6 file 콩쥐 2006.09.19 5210
838 [re] 산티아고와 함께.. file 콩쥐 2007.07.27 5210
837 줄리안 브림이 한국전에 오려 했는데... 2000.08.01 5209
836 할 줄 아는 것이 정말 없고낭....쩝.... 1 간절한 2001.05.08 5209
835 전판쉘락칠 하기. 4 file gdream7 2005.12.15 5208
834 Koh Jeongseock No.25 2 file 고정석 2019.11.20 5206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