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130.137.132) 조회 수 5445 댓글 3

첨부한 액셀 파일은 앞서 글에서 말한 곡선(Exponential Curve)과 다른 몇가지 (직선형, Sine파 곡선형, 타원형) 형태를 가진 지판에서의 마진과 현의 늘어남, 누르는데 필요한 장력(압력) 등을 계산, 비교한 표 입니다. 각 셀의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중 노란색 셀만 입력하고 다른 셀은 바꾸면 안됩니다.)

Scale Length (mm) – 이론적인 현장을 mm단위로 입력한다.
Bridge Recess (mm) – 하현주가 약간 뒤로 물러나 실제 현장은 이론상의 현장보다 조금 더 길게 되는데 브릿지가 약간 기울어 1번보다 6번현쪽의 현장이 더 길어진다. (이해가 안가시는 분은 그냥 0으로 하면 됩니다.)
Action at F-12 (mm) – 12 프렛에서의 액션을 mm 단위로 입력한다.
Finger Width (mm) – 그림에 보인대로 손가락의 폭을 주면 거기에 따라 Tension-1을 계산한다.
Fret – 프렛 번호 (0=상현주)
Scale – 개방현의 길이를 1로 보고 프렛을 눌렀을 때를 비교한 현장의 단축률
String – 프렛을 눌렀을 때의 줄어든 현과 하현주의 거리
Position – 상현주와 프렛과의 거리
Action – 프렛 위치에서의 액션 (개방현과 프렛과의 간격)
F-Margin – 앞의 프렛을 눌렀을 때 좁혀진 현과 프렛의 간격 (Front Margin – 현이 진동으로 프렛에 부딪혀 버징이 나지 않도록 이 간격이 유지 되어야 한다)
B-Margin – 다음 프렛을 눌렀을 때 상현주와 다음 프렛사이로 걸친 현과 프렛과의 간격 (Back Margin)
F-Slope –앞(상현주 방향)의 프렛을 눌렀을 때 하현주/프렛 사이의 현과 지판의 기울기
B-Slope –다음(하현주 방향) 프렛을 눌렀을 때 상현주/프렛 사이의 현과 지판의 기울기
Stretch – 프렛을 눌렀을 때 현의 늘어나는 길이 (이 때문에 장력이 증가하여 음정이 올라간다)
Tension-1 – 프렛에 현을 닿게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압력 (현 장력의 % – 그림 참조)
Tension-2 – 양쪽 프렛에 현을 닿게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압력 (현 장력의 % – 그림 참조)
Linear 지판의 Action 0 – 직선형 지판의 경우 상현주에서의 액션 (높이)

자, 이제 이 값들을 바꾸어보며 마진과 장력을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Action at F-12 값으로 전체적인 액션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액션은 현장이 길수록 진폭이 커지므로 그만큼 약간 더 높아야 하겠지요.
액션이 낮으면 마진이 작아져 버징이 생기고 액션이 높으면 장력(Tension-1, Tension-2)도 높아지고 줄타기가 어려워집니다. 특히 직선형의 경우 상현주가 낮으면 B-Margin이 낮아져 버징이 생기고 그렇다고 상현주를 높이면 장력이 너무 높아 집니다.

여기에 제가 주장하는 Exponential 곡선형의 지판과 직선형(Linear), 정현파형(Sine), 다원형(Elliptical) 지판의 액션과 마진, 장력을 비교해 볼수 있습니다. 이제 하나씩 비교해 보겠습니다.

[Exponential]

프렛이 올라가면서 F-Margin이 약 17/18의 일정한 비율로 정확히 줄어듭니다. 현과 지판이 이루는 기울기(F-Slope)는 모든 프렛에서 동일합니다. 즉, 모든 프렛에서 버징을 피할 최소한의 액션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Back-Margin은 프렛이 올라갈수록 점점 증가하므로 짚은 현과 상현주 사이에서 Back-Buzzing을 방지하는데 합리적 입니다.

장력은 3-11 프렛에서는 직선형 보다 약간 높긴 하지만 모든 프렛에서 비교적 고르게 나타납니다. 특히 1번 프렛에서도 장력이 다른 지판보다 낮으므로 1번에서의 세하도 훨씬 쉬울 것입니다.

[Linear]

이것이 일반적인 지판의 형태인데, 첫째 특징은 1번을 제외한 모든 프렛에서 마진이 일정하다는 것입니다. 일견 이것이 바람직하게 보일지 모르나 사실은 현이 짧아질수록 마진이 작아도 되므로 결국 불필요하게 액션만 높이고 장력을 올리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더욱 큰 문제점은 Back-Margin이 높은 프렛으로 갈수록 작아진다는 것입니다. 상현주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길어지는 현이 공명하여 위쪽 프렛에 부딪힐 가능성이 높은 데도 불구하고 말입니다. 실제 이 떄문에 Back-Buzzing이 일어나는 악기가 많으며 이를 막기위해 상현주를 높여야하고, 결과는 전체적인 액션의 증가와 높은 장력을 가져옵니다. 특히 1프렛에서의 액션이 높아져 이런 기타에서 1번 세하를 잡기는 정말 눈물겹습니다.

[Sine]

얼핏 이 곡선이 현의 진동와 유사하여 좋을것 같아 보이지만 높은 프렛으로 가면서 마진이 지나치게 줄어 듭니다. 특히 가장 많이 쓰이는 2-11 프렛에서 오히려 액션도 높고 장력도 높은 편입니다. 따라서 별로 득이 될만한 장점이 없습니다.

[Elliptical]

타원형 지판을 넣은 이유는… 음정의 정확성 때문입니다. 아시다시피 타원의 두 촛점 (기타 에서는 상,하현주)를 타원주(지판) 상의 한점을 거쳐 연결한 선의 길이는 항상 일정합니다. 다시 말하면 어느 프렛을 짚든 현의 늘어남(Stretch)이 항상 일정하므로 정확한 음정을 얻을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문제는 높은 프렛에서 마진이 낮아지고, 무엇보다도 낮은 프렛에서의 가히 살인적인(!) 장력입니다.

[Intonation에 관하여]

이전에 언급하였듯이 음정의 정확성을 위하여 브리지를 약간 뒤로 물려 현장을 늘입니다. 이 것이 액셀 파일의 Bridge Recess인데 실제 계산 결과는 현의 Stretch와 현장에 비하여 늘어나는 비율을 아주 조금 줄이는 효과밖에 가져오지 않습니다. 물론 단순한 계산상이기는 하지만 이것이 음정의 정확성에 만족할 만한 효과를 주지는 못한다는 것입니다.

제 생각에는 프렛들의 위치를 상현주 쪽으로 조금씩 이동해야하지 않을까 합니다. 이것을 다음 연구과제로 고려하고 싶지만... 여기에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현의 탄성계수인데, 이는 제품마다 모두 다르기 때문입니다. 일일이 측정하는 것도 어렵고, 어디서 탄성계수의 평균적인 측정치를 구하면 모를까...

[P.S.]

이 글을 보고 이런 의문을 가진 분이 계실것입니다.
과연 짚은 위치의 바로 앞뒤 프렛에서의 마진만 고려하면 되는가? 버징은 다른 프렛에서도 일어나지 않는가?

그럴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현파 진동과 제가 말한 Exponential Curve의 곡률을 비교해보면, 예컨데 1번 프렛에 살짝 닿는 정현파 곡선은 높은 프렛으로 갈수록 프렛과 멀어집니다. 따라서 인접 프렛 너머는 염려할 필요가 없다고 봐도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기타현의 진동은 정현파인가?
아닙니다. 탄현의 초기 진동은 이론적으로는 평행사변행을 그립니다. 그러나 Transient Noise와 높은 Partial Overtone은 급격히 소멸하여 정현파와 가까워 집니다. 사실 이부분은 제가 슬쩍 넘어간 부분인데 실용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그리 중요한 문제가 되지는 않을거라 생각하고 생략했습니다.

또 한가지, 이 액셀 파일에 입력된 Formula를 잘 들여다 보면 Tension, Stretch의 경우 근사치 계산임을 알수 있을 것입니다.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미미한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계산을 복잡하게 할 필요가 없어 (+ 귀차니즘 때문에) 그리한 것이니 양해 하시기를.
(프렛위치, 액션, 마진 등은 정확합니다.)

* 수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8-06 10:11)
Comment '3'
  • 대단허니 2006.07.15 13:46 (*.76.123.252)
    대단해요~!
    근데, 제작가님들 머리털 다빠지겠당.ㅋㅋ
  • 11 2006.07.15 19:16 (*.187.26.17)
    아무리 과학적으로 접근해도 장인들의 오랜경험과 감은 따라갈수없겠죠....
  • bluejay 2006.07.16 06:34 (*.130.137.132)
    오랜경험과 감, 그리고 과학은 서로 상충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보완관계라고 봅니다.
    경험과 감을 경시한다는 의도는 아니니 혹시라도 오해 없으시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33 ☞ 군대에서 있었던 추억담~ 기타이야기^^;; 딴따라~! 2001.04.06 4554
1232 [re] BRAHMAN #6 file 차차 2003.11.24 4555
1231 ☞:저도 한몫 거들지요.....(내용없음) 명노창 2000.09.02 4556
1230 바이올린에는 사운드포스트라는 게 있다던데..... 스기 2001.01.10 4557
1229 30분후 기타 소리가 조아지는데... 새내기 2001.04.02 4559
1228 [re] 1930년 헤르만 하우져 1세 1 file 2004.12.22 4561
1227 쇠줄기타의 난문제. file whisky 2000.08.30 4562
1226 ☞: 전 명노창님 욕한적 없는데요? 흐흐흑... 개풀 2000.09.01 4563
1225 베트남산 비단뱀 기타 1 file ganesha 2001.09.04 4564
1224 뭰히 길들이기 II 1 산넘 2001.10.09 4566
1223 기타줄에 대한 글들이 많은데여.. 7 고정욱 2001.06.18 4570
1222 [re] 디용(dyen)을 연주해보셨구낭.... 3 김경진 2001.11.14 4572
1221 ☞:aaa앞판가격은.... 명노창 2000.08.04 4572
1220 명주실에 대해 좀더 알려주셔요,,, sophia 2000.10.28 4573
1219 ☞ Ruck 애기가 나오길래. 2 서정실 2001.04.09 4575
1218 기타메이커 빠진거 확인부탁여.. 형서기형 후배 2000.09.01 4575
1217 현이 가늘죠. 2001.05.31 4577
1216 에~~~ 미워요.. 김현영 2000.10.29 4584
1215 세르게이 디용의 기타...캐나다 토론토....2000. 메니아 2001.10.07 4586
1214 기타1,2번줄 음정 다운 현상 최종일 2001.01.26 4590
1213 Khono file 기타마니아 2001.01.14 4594
1212 european spruce 2004.11.22 4595
1211 그리고요.... 2001.01.08 4595
1210 robert bouchet 2000.07.15 4596
1209 아! 이런 사람이였구나! 泳瑞父 2000.08.08 4597
1208 ☞ 피안나는 디자인.....공구편. 저도 한마디 이재화 2000.10.31 4598
1207 ☞:쇠줄기타(통기타) 한대만들라고하는데... cc 2000.08.28 4600
1206 이런 기타 있었으면 좋겠어요. 2 기타랑 2001.10.25 4602
1205 질문..스프루스기타에 대해서 질문있습니다.. 7 김희도 2001.09.05 4604
1204 테스트 해봤더니...거봐여... 지영이 2000.10.10 4606
1203 개풀환영. 개 삐다구 2000.08.31 4608
1202 도데체 어떤 마술을 부리셨길레... 수님!! 으랏차차 2001.07.11 4609
1201 군대에서 있었던 추억담~ 기타이야기^^;; 정성민 2001.04.06 4609
1200 Paul Fisher file 기타마니아 2000.11.17 4610
1199 ☞ 비올라 다 감바를 연주하면 되~~~지!! 오모씨 2000.11.21 4611
1198 [re] 우리나라 나무사정 김동선 2001.12.19 4613
1197 사바레스 하이텐션이람.. 2 뽀짱 2001.05.27 4614
1196 [re] 철공소사장님이 만든기타 file 여름은가고 2005.06.14 4618
1195 robert bouchet 2000.07.15 4621
1194 ☞:고질적 문제 3번선... 안진수 2000.09.14 4622
1193 제 기타에 대하여 알고 싶어요 성찰 2003.07.20 4628
1192 또 기타줄... 8 김진성 2001.06.13 4628
1191 기타 제작 공구 2 alex 2020.06.16 4629
1190 킁킁...논쟁을 위한 준비 운동 개코 2000.09.02 4631
1189 ☞:음정에 관해 안진수 2000.09.14 4633
1188 좋은 생각입니다.. 개털 2000.09.01 4636
1187 글 허접 번역 ㅋㅋ 복숭아 boy 2007.07.06 4639
1186 기타로 오도바일타자.... 4 멋쟁이 2001.06.20 4639
1185 ☞:평균율은 원래 고개 절래절래 하데요? 안진수 2000.09.14 4641
1184 수엔명노창님 이영남 2001.01.27 4645
1183 [re] French Polishing-번역 좀더2... 1 단조 2002.07.26 4647
1182 저도 고노인데.... 명노창 2000.07.04 4647
1181 ☞ [질문]마린의 종류? 왕초보 2001.02.15 4647
1180 [re] 8현기타는 기타의 진보된 형태다? 셰인 2002.01.23 4649
1179 기타 앞판에 쪽물 들이면 이쁘겠다... 기타랑 2001.03.15 4656
1178 담만 사운드홀.... file 명노창 2000.10.23 4658
1177 기타 제작 말입니다. 4 빵끈 2002.09.14 4662
1176 12구멍의 브릿지 file gaspar 2000.12.27 4664
1175 천만에여..... 개털 2000.10.11 4667
1174 제프리 엘리엇- 하나 더 file gaspar 2000.12.29 4668
1173 기타 제작자 이야기(3) 고정석 2000.11.18 4669
1172 이정원님의 잘못이 아닙니다... 형서기 2000.10.02 4669
1171 hermann hauser 웅수 2000.07.15 4671
1170 차라리.. 길가던나그네 2000.09.16 4671
1169 기타의 6번줄 변칙튜닝에 대해.. 3 으랏차차 2001.10.16 4671
1168 우리나라 나무사정 스기 2001.02.01 4674
1167 50호정도의 기타를 구입하려는데 조언을 17 오원근 2001.04.18 4674
1166 ☞:aaa앞판가격은.... 피어리나 2000.07.17 4677
1165 뒷판사진 file 일랴나 2000.12.28 4677
1164 기타계 인물 소사-수정10차-1/3부 최동수 기타 2020.07.12 4677
1163 ☞ ☞ 바이올린에는 사운드포스트라는 게 있다던데..... 피어리나 2001.03.18 4678
1162 Classical Guitar Construction 사이트 3 토토 2002.09.21 4679
1161 비브라토 기타. 귀똘이 2000.06.07 4680
1160 어제 미제 GSP하이텐션 기타줄을 몇벌 구했습니다. 명노창 2000.10.03 4680
1159 ☞ 스몰맨 기타에 대해... 형서기 2001.02.18 4682
1158 ☞ 현재 사용중입니다. 평이라...글쎄요.. 4 2001.05.03 4686
1157 [re] 울림구멍...(포트) 나래지기 2003.12.08 4687
1156 [re]흑!!!... 뭘 해도 안된당... 2 간절한 2001.12.26 4687
1155 다들 왜 이러지? 호호호! 99.9% 2000.09.16 4688
1154 뒷판사진 file 일랴나 2000.12.28 4689
1153 스몰맨..................... 7 YO 2001.06.28 4697
1152 멋뜨러진 기타가 좋아요!!!!!!!!!!!!!!!!!!!!!!근데 돈이 엄따 2 기타살앙 2001.04.21 4699
1151 [re] 친구네 집에서 업어온 기타 file 2004.01.26 4703
1150 Jonathan Hinves는... 마~당발 2001.03.01 4708
1149 ☞ 일이되는 디자인 .....사포편. 저도 한마디........ 이재화 2000.11.01 4713
1148 Jonathan Hinves는요.. 형서기 2001.03.02 4713
1147 ☞ 형석님 글 정말 잘 읽었습니다. 2001.05.06 4714
1146 ☞:음정에 관해 개뼈다구 2000.09.14 4716
1145 술취한 기타소리 들어는 보셨는지요? 泳瑞父 2000.08.08 4716
1144 [re] 친구네 집에서 업어온 기타2 file 2004.01.26 4718
1143 <font color=blue>구경이라도 하고 싶은데 어찌 안될까요?</font> 泳瑞父 2000.09.01 4722
1142 난 이런 기타가 조아 file 기타리스트 리 2001.01.28 4725
1141 대불대에 클래식 기타아과가? 김남호 2000.08.16 4726
1140 엄태흥님과 엄태창님의 관계는? 으랏차차 2001.02.02 4726
1139 Koh Jeongseock No.18 2 file 고정석 2018.11.03 4733
1138 제가 갖고 싶은 기타 file 기타마니아 2001.01.13 4735
1137 기타의 순결? 말괄량이 2000.06.12 4736
1136 ☞ kasha- schneider file 눈물반짝 2001.06.18 4738
1135 베르나베 좋긴 좋더군여.. hochma 2000.09.02 4741
1134 기타에서 부채살은 무슨 역할을 하나요? 인성교육 2002.01.06 4744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