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73.48.253) 조회 수 9099 댓글 13
우리나라 나무는 전혀 안되나요?

Spruce는 가문비나무인데, 가문비나무는 우리 주변에도 있잖아요...

그리고 거문고 만드는 나무가 무엇인가요? 그걸로 시도나 함 해봤으면 해요...


가능성만 보는 거죠.    나무에 대한 상식이 없어서...

목재공학도 배워보고 싶어요.


목재의 비중, 조직밀도, 수분함유량, 건조방법, 채벌시기.  한국 나무중에도 스프루스, 시다와 비슷한 목재공학적 조건을 가진 것들이 있을 텐데요..


심지어 이런 생각도 해보았지요.

한지로 기타를 만들어 본다.  제가 낚시를 즐기는데, 한지로 찌 몸통을 만듭니다.  여러장을 풀로 붙이는데 굳으면 강도가 목재와 같습니다.  한지가 원래 닥나무로 만드니까 결국 나무아닙니까.

여러장을 붙이자는 것이 아니고, 한지 공장에다 주문해서 종이를 얇게 만들것이 아니라 기타 앞판, 뒷판 두께만큼 만드는 겁니다.   나무 같지 않아 성형하기가 편하리라 봅니다.

문제는 사운드인데, 쉘락이 아니라 우리의 전통칠이 있짆아요?  옻칠,  시도나 한번 해봐야죠.  옻칠 한 20회 하면 혹시 알아요? 강도도 높아지고 쉘락보다 좋은 소리가 날지...   이미 누가 한번 해보았을까요...

저는 여건은 안되고 괜한 궁상을 떨어봅니다.
Comment '13'
  • 고정석 2006.05.05 09:58 (*.92.51.203)
    한지 이야기가 나와서 전에 번역해 올린글 소개합니다. 음악은 지워져서 안나옵니다.
    http://www.guitarmania.org/z40/view.php?id=gowoon29&page=1&sn1=&divpage=1&sn=off&ss=on&sc=on&keyword=고정석&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979
  • 국산나무 2006.05.05 15:58 (*.76.122.172)
    로 기타를 만들면 소리가 나지를 않습니다. 한지위에 쉘락칠을 해보세요, 한지가 남아 있겠습니까. 종이가
    젖어서 버려야 합니다. 생각과 현실은 틀립니다. 직접한번 해보심이 좋을듯,,,,,,,,,,.
  • ,,, 2006.05.05 19:34 (*.172.105.28)
    국산나무가 소리가 안난다구요? 음,,,,, 저는 앞판을 오동나무로 원목으로(옆,뒤판은 일반적인 기타 합판) 만든
    약 30 만원 대의 기타를 2개월여 전부터 사용하고 있는데요,,, 스푸루스,시더 에비해 전혀, 정말 전혀
    손색이 없습니다, 음색 음량 등에서,,,
  • 박수를,, 2006.05.05 22:17 (*.215.89.108)
    오동나무 원목 기타 화이팅,,,,,,,,,,,,,,,,,,,,,.
  • 토토 2006.05.05 22:38 (*.205.43.81)
    비탄성계수가 악기에 적합해야죠. 어느정도 성능의 악기제조에 도움이 되는 재료는 있을지 모르겠습니다만, 최상급의 재료는 우리나라에선 구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스프루스도. 여러가지거든요. 메이플이나 로즈우드도 산지에 따라 다 다르고요. 바이올린 옆판 뒷판(옆판과 뒷판을 메이플로 만드는 기타도 있죠.) 에 쓰이는 메이플도 베트남에도 있고, 우리나라에도 있고 중국에서도 나오긴합니다. 하지만 최상급의 악기재료로 쓰이는 재료들은 특정산지에서,, 우연히 적당한 비탄성계수를 갖는 그런 재료들이죠.

    일본의 키소지방에서 나는 스프루스로 바이올린을 만드는 이들도 있고요.
    하지만 알파인 스프루스를 최고로 치죠.

    어쨌든,, 앞판은 침엽수류.. 옆판뒷판은 활엽수류.. 이게.. 정석입니다.
    만들 수는 있다.. 다만, 최상급의 악기소리에는 적합하기 어려울 것 같아.. 정도랄까요..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대량생산용으로.. 적합할지는..

    참, 그리고 스프루스 국내산은. 그만한 크기가 없을 것 같네요.. 우리나라 나무들은 휘어서 자라는 것도 많고,, 일정크기도 확보되어야.. 북한에는 좀 있을까요?

    알프스 산맥의 스프루스를 최고로 쳐주는 것은.. 영양분 공급이 어려운 상태에서,, 매년 1mm 정도씩.. 그레인이 성장하면서,, 촘촘하게.. 성장해야하기 때문이죠. 우리나라 기상환경에선,, 어려운 얘기일 것 같네요.
  • ... 2006.05.05 23:28 (*.232.11.126)
    예전에 엄상옥님께서 좋은 재료를 구하기 힘들어 오동나무로도 기타를 만들었다는 얘기를 읽은 적이 있습니다.

    결과는....기타가 거문고 소리를 내더라는군요..^^; 위에 토토님 말씀대로 기타의 음색에 적절한 비탄성계수가

    있기 때문에 각 악기마다 만드는 재료가 일부 정해져 있는 것 같습니다. 기타가 거문소 소리를 내면 특이하기야

    하겠지만 좋은 기타 소리는 아니겠지요.
  • ,,,, 2006.05.06 10:54 (*.172.105.28)
    기타가 거문고 소리로 변신???? ,,,,,위에 오동나무 기타를 가지고 있는 사람인데요,,,,
    이런 저런 견해, 참고 자료,,,,다 일리있겠습니다만,,,, 실제 물건이 저한테 있는데요,,,이것 보다 더
    정확할순 없겠죠?ㅎㅎ 참고로 저는 약 30년 정도이런 저런 기타(국산, 외제, 통판, 합판 등등등등,,,하이고오,,)
    들을 두루 경험해 봤습니당^^
  • 재료 2006.05.06 12:15 (*.238.191.62)
    좋은재료를 한꺼번에 많이 구입해서 오래동안 잘건조한후 제작할려면 현재의시세로는 부담이 됩니다
    오동나무로 만들면 한국적인 소리가 나지않을까요.,,,,
    일산맨님 100년 말린 오동나무,무지 아깝겟네욤

  • 오동나무 2006.05.07 07:08 (*.22.221.178)
    는 오동나무 소리가나겠죠,,,,,,,,,,,,,,
  • 오동나무는 2006.05.07 11:17 (*.53.38.72)
    오동동타령을 치면 좋아요.....
    믿거나 말거나??????
  • 스님 2006.07.21 09:57 (*.117.162.37)
    우리나라에 수입원목이 들어오기이전 50~70년대에는 강원도에서 벌목되어진 사송(?)이라는 재료로 악기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대전 만인산 청소년수련원에 가보니 천연기념물급 금강소나무와 전나무의 원목샘플을 볼 수 있었습니다. 500~700년 이상된 고목절개단면들이었는데 바깥면들은 나이테두께가 0.3~0.7mm미만의 아주 촘촘한 샘플들이었습니다. 원목지름이 1.3m~1.8m정도되는 엄청난 크기였습니다. 첼로앞판크기정도 나오더군요. 업어가고 싶은 마음을 간신히 불심으로 가다듬고 나왔습니다. 1970년대 초반 남대문 보수작업때 나온 금강소나무 재료로 고엄상옥선생님께서 기타를 만드신 적이 있다고 합니다. 악기소리를 녹음한 릴테이프원본을 엄태창선생님께서 보관하시고 있습니다. 들어보니 아주 오래되어 무르익은 류트의 음색이었습니다. 물론 그당시에도 남대문이 지어진지 500년이상 되었으니 최소 500년 자연건조된 재료였을 겁니다. 악기는 현재 국내에 없고 70년대 당시 한국을 방문하셨던 나이 많으신 미국의 기타과교수님이 가지게 되셨고 80년대에 작고하셨다고 합니다. 혹시 오래된 고찰에서 보수작업때 나오는 재료들 주목하세요. 아! 그리고 국내산 고로쇠나무로 바이올린 만들었다는 기사를 본적있습니다. 고로쇠나무도 단풍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 알고 있습니다. 캐나다 매플시럽처럼 고로쇠나무 수액도 달더라고요. 캐나다 매플과 약간은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을지(?). 그리고 우리나라도 유럽 알프스지방과 북미산악지방과 조금비슷한 기후를 갖고있는 지역이 있으니 매플이나 스프루스게열의 원목을 200~500년후에는 기대해보아도 될것 같습니다. 강원도 고산지대나 무주구천동 그리고 개마고원 정도면 유럽 알프스에 못지않은 기후를 갖고 있지요. 토양은 어떨지 잘모르지만 기후적으로 지리적으로 조금은 비슷하니 이탈리아의 크레모나와 독일 프랑스의 명장인 길드가 이나라에서 하루빨리 나오길 기대합니다.
  • 콩쥐 2006.07.21 12:19 (*.80.23.111)
    백두산과 북한고산지대에
    스프르스가 잘 자란다고 들었었는데
    어서 통일되어 수백년되어 수명이 다해 죽은 스프르스를
    기타를 통해 다시 만날수있기를 희망합니다....

    오동나무로 만든기타..멋지네요...소리한번 들어보면 참 좋겠어요...
  • 면벽 2006.12.05 01:29 (*.129.235.166)
    스프러스랑 비슷한 음향적특성을 가진 나무가 국내에 있으리라 확신합니다 그러나 비용면에서는 큰차이가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오동나무는 너무 밀도와 비중이 낮을것 같고 백두산 미인송이나 잣나무가 비슷할것 같습니다
    그러나 국내산은 대재를 구하기 어렵고 옹이나 셀룰로이드질의 분포가 고르지않아 원목을 구한다해도 많은부분을 버려할 할듯 합니다 독일산 스프러스가 가장 좋다고하나 그건 오랜 제작 경험에의한 데이타를 신뢰성이 확보되서일것같고 새로운 실험들을 통해 국내산 혹은 가격이 저렴한 북미타코마산 스프러스도 좋은 대안이 될듯 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3 일본에서 고토해드머신 가격 더 쌀까요?ㅎㅎ 16 file j 2006.07.13 6557
532 [질문] 기타의 적정 현장이란게... 14 당배 2006.07.14 6126
531 David Rodgers 튜닝머신을 주문했는데요. 5 허걱 2006.07.15 9178
530 현높이가 너무 높아졌습니다....어쩌죠? 10 이지현 2006.08.08 7626
529 게르노트 바그너 3 file 콩쥐 2006.08.19 6334
528 스몰맨기타의 부채살사진. 13 file 콩쥐 2006.09.03 9528
527 Knobloch 기타줄 1 최창호 2006.09.09 6447
526 갈릭...줄 말인데요.. 13 korman 2006.09.21 5926
525 [re] 정면님의 기타를 함께 생각하며 file 콩쥐 2006.09.19 5228
524 [re] 무쟈게 성실한 마르비 1 file 콩쥐 2006.09.19 5712
523 [re] 아직 창고가 깨끗할때 콩쥐 6 file 콩쥐 2006.09.19 5200
522 [re] marvi와 김중훈님. 1 file 콩쥐 2006.09.19 6364
521 [re] 기타-바보님 작업사진. 1 file 콩쥐 2006.09.20 6237
520 marvi와 함께 기타만들기 사진한장. 4 file 콩쥐 2006.09.19 6909
519 [re] 마르비와 함께한 기타 제작기. file 김중훈 2006.09.19 6456
518 [re] 마르비와 함께한 기타 제작기. file 김중훈 2006.09.19 5442
517 [re] 마르비와 함께한 기타 제작기. 1 file 김중훈 2006.09.19 5694
516 [re] 마르비와 함께한 기타 제작기. 1 file 김중훈 2006.09.19 5538
515 [re] 마르비와 함께한 기타 제작기. 7 file 김중훈 2006.09.19 5694
514 [re] 마르비와 함께한 기타 제작기. 1 file 김중훈 2006.09.19 5619
513 [re] 마르비와 함께한 기타 제작기. 1 file 김중훈 2006.09.20 5226
512 [re] 마르비와 함께한 기타 제작기. 1 file 김중훈 2006.09.20 5134
511 [re] 마르비와 함께한 기타 제작기. 2 file 김중훈 2006.09.20 5414
510 [re] 마르비와 함께한 기타 제작기. file 김중훈 2006.09.20 5222
509 [re] 마르비와 함께한 기타 제작기. file 김중훈 2006.09.20 5522
508 마르비와 함께한 기타 제작기. 3 file 김중훈 2006.09.19 6944
507 마르비 워크샾때 만든 내기타 설계도 5 정면 2006.09.25 8010
506 네크의 재료에 대해서? 3 np 2006.11.15 4997
505 스몰맨, 담만 이메일, 주소입니다. 1 로빈 2006.11.20 6122
504 [re] 토레스 플렌입니다... file 박민병 2006.12.11 4844
503 토레스 플렌입니다... 1 file 박민병 2006.12.11 5813
502 울동네서 발견한 기타에이드 22 file 2006.12.06 6847
501 나의 습도 유지방법 1 file phr 2006.12.12 5992
500 브릿지 하현주에서 나는 잡음에대해.. JoDaC 2006.12.13 5267
499 실내 가습 문제 해결 강추! 21 기타문화원 2006.12.08 8202
498 나의 습도 유지방법 4 file phr 2006.12.12 6397
497 나의 습도 유지방법(계속) 6 file phr 2006.12.12 6557
496 숯을 이용한 기타보관 침대~~ 4 file 스타 2006.12.12 6374
495 기타가 손상되는 가장 많은 원인들. 33 Jason 2006.12.16 9559
494 이거이 뭐하는데 쓰는 물건인공??? 10 file 쏠레아 2006.12.17 7652
493 기타에이드에 관한 안내글. 콩쥐 2006.12.22 5342
492 [기타사진] 강한액션과 장력을...위해서? 1 file 아드미라 2006.12.25 6700
491 [기타사진] Phil Green의 커스텀 전기 클래식 기타.. file 아드미라 2006.12.25 5458
490 [기타사진] 2004 Traugott 8-String(각각다른 현장길이..) 2 file 아드미라 2006.12.25 5652
489 Graf Tuning Maschine. 1 file kissber 2007.01.07 5592
488 기타를 항공으로 보내는방법. 4 2007.01.07 5794
487 [re] 42현 피카소기타 조성찬 2007.01.14 5012
486 42현 피카소기타 12 file Amigo 2007.01.08 8781
485 줄을 갈다 생각난건데.. korman 2007.01.18 5360
484 콘트레라스 1 아무개 2007.01.18 5445
483 마르비 제작클래스 이야기 - 프롤로그 1 새솔 2007.01.31 5306
482 스몰맨과 마티가 애용한다는 케이스 4 file kissber 2007.02.01 7127
481 마르비 제작클래스 이야기 - 기타의 스타일 2 새솔 2007.02.01 5561
480 마츠무라선생님과... file SG guitarra 2007.02.02 5636
479 마르비 제작클래스 이야기- 기타제작과정 새솔 2007.02.02 5133
478 마르비 제작클래스 이야기 - 기타의 재료에 대해서 2 새솔 2007.02.05 5778
477 마르비 제작클래스 이야기 - 성실한 마르비 새솔 2007.02.06 5428
476 [re] 기타 사진 (앞쪽) file 새솔 2007.02.13 5061
475 [re]기타사진 - 태양의 문양 1 file 새솔 2007.02.13 6827
474 마르비 제작클래스 이야기 - 에필로그 9 새솔 2007.02.13 5928
473 프렛계산 엑셀표 file 강나루 2007.03.11 7130
472 [re] 바이스를 위해 탄생한 13현 아치기타 6 file 산골스트링즈 2007.05.01 5315
471 바이스를 위해 탄생한 13현 아치기타 21 file 산골스트링즈 2007.05.01 6950
470 기타의 수명에 관한 토론글입니다.(알마기타 펌) 2 무저갱 2007.05.16 13117
469 스페인에서 앙휄과 함께 ^^ 2 file SG guitarra 2007.05.25 6675
468 손톱손질용 버퍼모음 4 file 손톱손질 2007.06.14 8604
467 중국 기타 공장(공방아닙니다.)인데... 6 밀롱가. 2007.06.15 7654
466 라미네스 공방앞에서... 1 file SG guitarra 2007.06.19 7936
465 미야모토 김빠치 1937년 42호 작품을 복각품 수준으로 제작하셨습니다. 7 file 스님 2007.06.26 7808
464 1년 걸려 부쉐 모델로 Gregorio 2호 완성했어요 24 file 그레고리오 2007.08.28 8433
463 사이좋은 그레고리오 형제 4 file 그레고리오 2007.08.28 5545
462 채문식선생님 기타공방 싸이트 (참고하세요) 1 초보궁금이 2007.09.03 7277
461 그새 또 지팡이기타 만드셧네여. 7 file 콩쥐 2007.08.20 6738
460 최동수님의 로맨틱기타. 10 file 콩쥐 2007.09.18 7713
459 [re] 머리 file 콩쥐 2007.09.20 5259
458 [re] 나무상감. 1 file 콩쥐 2007.09.20 6530
457 바리톤기타. 최동수님 작품. 6 file 콩쥐 2007.09.20 9579
456 프리드리히의 구조적 특징은 어떤게 있을까요.. bina 2007.09.30 6341
455 기타리뷰 2007.10.11 5039
454 글 허접 번역 ㅋㅋ 복숭아 boy 2007.07.06 4598
453 dominique field in paris. 9 file soo 2007.06.20 8338
452 [re]1.Dieter Hense 편 - 추가사진 file Robin 2007.06.20 6421
451 [re]1.Dieter Hense 편 - 추가사진 1 file Robin 2007.06.20 8194
450 [re]1.Dieter Hense 편 - 추가사진 1 file Robin 2007.06.20 5599
449 [re]1.Dieter Hense 편 - 추가사진 1 file Robin 2007.06.20 6332
448 독일의 명장 탐방기 - 1.Dieter Hense 편 15 file Robin 2007.06.20 8642
447 질문 있읍니다~~~ 5 아이모레스 2007.06.25 5118
446 독일의 명장 탐방기 2편 - 헤르만과 브라만 1. 15 file 로빈 2007.06.25 8410
445 독일의 명장 탐방기 2편 - 헤르만과 브라만 2. 23 file Robin 2007.06.27 10004
444 인도의 악기들 - 조오지 헤리슨과 시타르 5 file 항해사 2007.07.18 6243
443 [re] 못난이 납작복숭아를...... 1 file 콩쥐 2007.07.28 6300
442 [re] 바게뜨빵과 세느강... 9 file 콩쥐 2007.07.27 5325
441 [re] 산티아고와 함께.. file 콩쥐 2007.07.27 5200
440 [re] 바로쎌로나의 부엌...보께리아 file 콩쥐 2007.07.27 5228
439 [re] 파리 하지절축제(solidays) 3 file 콩쥐 2007.07.27 5018
438 [re] L'auditori 카탈루냐. file 콩쥐 2007.07.27 5160
437 [re] 바로셀로나의 palau de la musica 공연장..... 1 file 콩쥐 2007.07.27 5687
436 [re] casa luthier 바로셀로나 기타전문점..... 5 file 콩쥐 2007.07.27 7670
435 하우저작업실에서.... 4 file 콩쥐 2007.07.27 7785
434 짧은현장악기 이런 디자인은 어떨까요? 2 file 최병욱 2007.09.11 6454
Board Pagination ‹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