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겨울철 악기 관리에 제일 신경쓰이는것이 적당한 실내 습도 유지 일것입니다.
여러 방법이 있겠지만 제일 좋은 방법은 악기를 보관하는 실내 습도를 약 50% 정도로 일정하게 유지하는것입니다. 지금 까지 사용해본 가습기로는 일정하게 습도를 유지하는게 상당히 어려웠습니다. 가습기 가동 중일때는 너무 습도가 높아지고 꺼지면 너무 낮아지고.....  그래서 방안에 빨래를 잔뜩 널어 놓기도
하면서 일정하게 유지시키려고도 해봤습니다만 그것도 하루 이틀 이지 계속하기는 힘들었습니다.
가습기에 관한 글이 있어 소개하면서 밀폐된 방등에서 악기 보관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새로운 방식의 가습기를 하나 소개합니다.


현재 시장에는 3가지 방식의 가습기가 나와있다. 각 가습 방식별로 장단점을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

① 초음파식 가습기  
초음파식은 물을 넣은 용기의 밑부분에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물을 작은 입자로 쪼개서 내뿜는 방식이다.
가습기에서 나오는 증기는 차가운 수증기이다.

장 점 가장 전기료가 적게 들면서, 분무량이 많다.
기계를 작동하고 나서 가습 효과가 빠르고 소음이 적은 편이다.
가격 또한 저렴한 편.

단 점 가습기 안의 물에서 미생물이 번식하여 그대로 분무 될 수 있다. (중금속 포함)
가습기에서 나오는 수증기의 온도가 낮아 실내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방바닥에 물기가 고일 수 있다.
증기가 몸에 직접 닿으면 바로 물기로 변해서 체온 소실의 우려가 있다.



② 가열식 가습기  
가습기 안의 물을 끓여 수증기로 뿜어주는 방식이다. 가습기에서 나오는 증기는 뜨거운 증기이다.

장 점
물을 끓어 분무하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우수하다.
따뜻한 수증기로 실내온도 유지에 도움이 된다.
따뜻한 수증기가 나오기 때문에 호흡기에 부담이 적다.

단 점 전기료가 많이 나오면서, 분무량은 적은 편이다.
기계를 작동하고 나서 가습 효과가 느리며, 특유의 소음이 있다.
화상을 입을 수 있다.



③ 복합식 가습기  
초음파식과 가열식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가열식과 초음파식의 장점을 살렸다.
먼저 가열관에서 물 온도를 섭씨 60~85도로 올려 살균시킨 뒤 초음파를 이용해서 뿜어주는 방식이다. 상황에 따라 `따뜻한 수증기' `차가운 수증기'를 선택할 수 있다.
전기료는 많이 들지 않으면서 초음파보다 많은 분무량을 낼 수 있고, 살균능력이 뛰어나다.

1. 가습 방식에 따른 선택

가습기는 가습 방식의 차이와 가습량 자동 조절 기능에 따라 가격 차이가 나게 된다. 그 중 가습 방식을 우선 선택 할 필요가 있다. 각 가습 방식에 따른 장단점이 분명하기 때문에 무엇이 좋다고는 말할 수 없다.

보통은 가격대가 저렴하고, 전기료도 적게 나오는 초음파식을 선택하면 무난하다. 그러나 호흡기 질환이 있는 환자나, 기관지가 아주 예민한 사람은 초음파식의 가습기가 맞지 않을 수 있다.
초음파 가습기는 수증기가 나오는 것이 아니라 미세한 물분자를 내뿜는 것이므로 먼지 등에 흡착하여 같이 들이마실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이유 중 하나는 차가운 수증기가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가열식 가습기의 경우 가장 큰 문제점은 화상을 입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전기세 또한 초음파 가습기에 비해 약 6∼8배정도 더 나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생적으로 살균된 수증기와 따뜻한 수증기가 호흡계에 부담이 적다는 이유로 아직까지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
그래서 요즘 많이 찾는 가습 방식은 복합식이다. 가격대는 조금 비싸지만 '뜨거운 가습'과 '찬 가습'이 둘 다 가능하기 때문에 장점이 많다. 또한 전기세도 초음파식에 비교하여 약 2배정도 수준이다.

그 다음으로 가습량 자동 조절 방식을 선택해 보자. 물론 전자식의 자동 가습량 조절 방식은 사용하기에 편하다. 그러나 가습기를 사용하는 공간이 5평 이상이라면 자동 조절 방식은 그 의미가 적다고 할 수 있다. 값싼 수동식이라 할지라도 습도계와 같이 사용한다면 보다 확실하게 습도를 맞출 수 있다.



2. 구매하는 방법보다는 사용 방법이 중요하다.

어린 자녀가 감기에 걸려서 병원에 갔는데, 어떤 병원에는 가습기를 사용하지 말라고 하고, 다른 곳에서는 가습기 사용을 권유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를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제대로 가습기를 사용한다면 약해진 기관지에 도움이 되는 것은 확실하다. 그러나 의사가 가습기 사용을 금지하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이 가습기를 잘못 사용하기 때문이다.


▷ 청결 관리
가습기는 가전제품 중 가장 위생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가습기에 분무 되는 물을 바로 호흡하여 들여 마시기 때문이다. 물 속에 중금속, 세균 등 유해한 물질이 있다면 그것을 그대로 마시게 되는 셈이다. 최근에 출시된 제품들은 필터나 항균 물통 등의 항균, 정화 기능을 장착한 경우가 많다.

가열식 가습기도 마찬가지다. 물을 완전히 끓여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순간적으로 가열하기 때문에 100% 완전 멸균은 되지 않는다. 통 속의 물이 가열되어 따뜻해져 세균이 더 잘 자랄 수 있기 때문에 물통의 청소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 그리고 곰팡이 포자 등은 장시간 끓여도 죽지 않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사항을 지키면 좋겠다.


매일 물을 간다

적어도 2∼3일에 한번은 청소를 한다

깨끗한 물을 사용한다.


▷ 놓는 장소에 유의한다.
가습기는 놓는 장소에 따라 가습 효과의 차이가 크다. 보통 공간의 구석에 놓는 경우에는 가습 효과는 떨어진다. 구석에 있으면 공간 전체로 수증기가 퍼지기 힘들기 때문이다.
가습기는 바닥으로부터 0.5∼1m 높이의 평평한 받침대나 선반에 놓는 것이 좋으며 방 가운데나 벽의 중앙에 놓는 것이 좋다.
가습기의 수증기가 호흡기에 들어가 자극이 될 수 있으므로 머리맡에 두지 않도록 한다. 기관지가 예민한 사람은 가습기와의 거리를 멀리 해서 간접 가습 방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전자파의 영향도 있기 때문에 최소한 30cm의 거리를 두어야 한다.
가습기의 수증기가 벽이나 가구, TV, 가스 레인지 등에 직접 닿지 않아야 한다. 수증기가 가구나 가전제품의 표면에 달라붙으면 형태와 색깔이 변할 수 있으며, 가스 레인지 근처에서 가습기를 사용할 경우 불완전 연소가 일어날 수 있다.


3. 기타

매일 청소하기 위해서는 청소하기 쉬운 구조이면 좋다. 제조사들도 이런 점을 충분히 알고 있기 때문에 요즘 출시되는 가습기들은 그 구조가 간단하고 청소하기도 편하다. 몰 통의 입구가 손이 쉽게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넓이면 충분하다.
가습기 모양들이 대부분 넙적한 것은 혹시라도 실수로 건드렸을 때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안정감을 주기 위해서 이다. 놓은 위치의 크기와 가습기 크기를 어느 정도 고려해야 한다.


얼마전 광고에 나온 새로운 방식의 가습기를 보고 마침 가습기를 하나 더 장만해야겠기에 구입해서 사용해봤는데 악기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하기 적합하여 소개합니다.
원리는 매우 간단했습니다. 실내에 빨래를 많이 널어 놓은것 같은 효과를 이용하는것입니다. 자동차의 에어 크리너와 같은 필터를 여러장 세워놓아 표면적을 넓히고 필터 밑으로 물이 스며 들게하여 공기 대류를 이용하여 수분이 증발하면서 습도 유지를 할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가격도 6 - 8 만원 정도로 비교적 저렴하고 물통에 2-3일에 한번씩 물만 갈아주면 되고 전기가 필요없어 전기료도 안들어 편리했습니다. 무었보다도 가습기를 껐다 썼다 할 필요가 없이 그냥 그대로 놔두면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습니다. 밀폐된 방에서 놓고 습도계를 보니 약 50% 정도로 악기에 (물론 사람 건강도 이 정도가 제일 알맞습니다.) 적합하게 유지되었습니다. 방안 공기가 너무 습하지 않고 촉촉한 느낌이 좋았고 기타를 꺼내 쳐봤더니 소리가 최상의 상태를 유지했습니다.
이것을 쓰면서 부터는 뎀핏도 치워버렸고 다른 가습기는 거실로 옮겨버렸습니다. 아직 한 겨울철이 아니어서 나중은 어떻게 될지는  아직 모르겠습니다만
현재까지 방에서 사용하기에는 가습기중 제일 마음에 들었습니다.

단점은 3-4개월에 한번씩 필터를 교환해야 한다고 하는데 겨울철 한 철 쓰고 내년에나 갈면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리고 큰 거실에서 사용하기에는 용량이 작지 않나 생각됩니다.

이름은 "자연식 가습기 촉촉이"입니다.

사진
                
* 수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3-12-03 12:12)
Comment '16'
  • pepe 2003.11.29 16:24 (*.172.214.149)
    가습기 청소해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고선생님...^^
  • 2003.11.29 18:57 (*.151.202.149)
    와...감사합니다.... 얼렁사야겠어여....저런물건 정말 기다렸거든요....
  • 고정석 2003.11.29 20:16 (*.75.228.251)
    인터넷 쇼핑몰(LG홈쇼핑등)에서 검색해보시면 나옵니다. 자연 대류방식이여서 밀폐된 방에서 사용하기에 제일 좋은것 같았습니다. 적극 추천합니다.
  • 가격이 2003.11.29 20:34 (*.54.9.136)
    GAIA-3114 와 GAIA-3214 의 차이점은 무엇인지요? 가격차이가 꽤 나던데요.
  • 고정석 2003.11.29 20:40 (*.75.228.251)
    저는 싼것만 사용해봐서 어떤 차이가 나는지는 모르겠어요.
  • gg 2003.11.29 23:20 (*.85.251.69)
    이런건 좋은기타에만 해당되는거같은데... 합판은 잘해봐야 댐핏...
  • # 2003.11.29 23:30 (*.180.99.50)
    가격이 다른 이유는 가습효과가 크기 때문이 아닐까요..?
  • # 2003.11.29 23:41 (*.180.99.50)
    가습기능이 있는 제습기도 추천하고 싶은데요.. 워낙 비싸서 쓸려고 하지 않을 것 같네요..
  • spachino 2003.11.30 13:35 (*.112.125.249)
    전부터 가습기 하나 살려고 생각했었는데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고정석 2003.12.01 09:23 (*.92.51.46)
    겨울철에 가습기 안틀어 놓고 환기 계속 시켜주면 몇 일 안가서 기타가 휘거나 터져 버립니다. 가끔 환기 하는것은 좋지만 습도를 50% 정도 계속 유지하는게 좋습니다.
  • 고정석 2003.12.01 09:27 (*.92.51.46)
    겨울철에는 곰팡이나 세균등도 사람이 살기 좋은 온도와 습도에서 더 잘 자랍니다.
  • 으니 2003.12.01 13:49 (*.46.8.213)
    저도 이거 하나 장만해야겠네요^^;;
  • peaceonu 2003.12.01 16:32 (*.247.145.52)
    제 기타는 출장을 다녀왔더니..등판이 절반으로 나뉘었어요..차마 울수는 없구..제작자에게 달려가서 울다시피 하소연을 했었죠..
  • 바..팬 2003.12.01 19:04 (*.230.184.138)
    예...알겠습니다.
  • 고정석 2003.12.08 10:09 (*.92.51.205)
    새로 이사를 가서 새로운 환경에서 사용해봤습니다. 겨울철 날씨가 추워지고 방안 온도가 이전보다 높아서 인지 가습이 최적상태로 유지를 못하는군요.
  • 고정석 2003.12.08 12:01 (*.92.51.205)
    그래서 초음파 가습기도 함께 사용하면서 습도 유지를 위해 보조적으로 사용하고있습니다. 역시 가습 용량이 작은가 봐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34 ☞:gsp? 궁금하네요.. 고은별 2000.10.05 5251
1133 ☞:gsp? 고은별님 명노창입니다. 명노창 2000.10.06 5583
1132 ☞:paulino Bernabe 헤드 사진 file 형서기형 후배 2000.09.01 5690
1131 ☞:TORRES PLAN BACK ☞ 그럼 모조? file 토러스플랜 2000.09.04 6237
1130 ☞:weissgerber가 맞아요.. 말괄량이 2000.07.04 4310
1129 ☞:감사합니다=^^=명노창입니다. 명노창 2000.08.05 4550
1128 ☞:감사합니다=^^=명노창입니다. 김남호 2000.08.06 4309
1127 ☞:개발입니다. 개발 2000.09.01 5080
1126 ☞:개코입니다. 개코 2000.08.31 4628
1125 ☞:거문고 가야금 오리발이 세개인 이유? 이재화 2000.10.19 5010
1124 ☞:게놈기타. 화음 2000.07.21 4330
1123 ☞:고노기타 가격이....2. 2000.08.25 5582
1122 ☞:고질적 문제 3번선... 안진수 2000.09.14 4734
1121 ☞:고질적 문제 3번선... 개발 2000.09.09 4567
1120 ☞:고질적 문제 3번선... 동감함다. 개뼈다구 2000.09.08 4538
1119 ☞:곰발바닥아이힝어 햐, 존 기타구나... cc 2000.08.10 5252
1118 ☞:구멍많은 기타들.... CC 2000.06.11 5274
1117 ☞:귀찮지 않으시다면...고은별님... 가스파르 2000.10.10 4196
1116 ☞:기타 냄새....제기타는 장미향이 납니다. hochma 2000.09.27 4505
1115 ☞:기타줄 받으셨는지 궁금하군요... 명노창 2000.08.16 4288
1114 ☞:깔레바로형 기타-Contreras 2000.09.23 6155
1113 ☞:꼬벨라리가???? 고형석 2000.06.12 5569
1112 ☞:내가 원하는 기타는... 김남호 2000.08.27 4032
1111 ☞:내가 원하는 기타는... 개풀 2000.08.25 4305
1110 ☞:노창님~ 어떤음반 듣고싶어요? 명노창 2000.10.08 3917
1109 ☞:대박찬스....기회는 자주없수다. 개풀 2000.09.16 4380
1108 ☞:마티아스 담만...... 명노창 2000.10.22 5817
1107 ☞:바이스 버거? 지우압바 2000.07.01 6802
1106 ☞:베렌트의 사망원인. file whisky 2000.08.24 5147
1105 ☞:베이스 기타좀.... 2000.10.06 4577
1104 ☞:비밀스런 이야기는요... 웅수 2000.07.12 5172
1103 ☞:빠진게 있네요. 이재화 2000.10.19 4541
1102 ☞:쇠줄기타(통기타) 한대만들라고하는데... cc 2000.08.28 4655
1101 ☞:스프러스 아이힝거에 대해... 고형석 2000.06.12 5308
1100 ☞:안녕하세요..명노창입니다. 명노창 2000.08.04 3995
1099 ☞:안녕하세요..명노창입니다. 김남호 2000.08.16 4223
1098 ☞:안녕하세요..명노창입니다. 명노창 2000.08.04 5201
1097 ☞:안녕하세요..명노창입니다.80년대 당시 가격표 명노창 2000.08.05 5727
1096 ☞:안녕하세요..명노창입니다.80년대 당시 고노기타가격... 명노창 2000.08.05 5381
1095 ☞:앞판은 세상에서 가장연한 나무로 그리고 옆판과 뒤판은 대리석을 얇게 짤라서.... 개풀 2000.08.31 3995
1094 ☞:웅수엉아............. 명노창 2000.10.04 4390
1093 ☞:음....그 플레타... 형서기 2000.09.16 4424
1092 ☞:음메 어려운거...... 명노창 2000.09.16 4007
1091 ☞:음정에 관해 안진수 2000.09.14 4712
1090 ☞:음정에 관해 개뼈다구 2000.09.14 4806
1089 ☞:음정에 관해 안진수 2000.09.14 4538
1088 ☞:자기 악기를 바꾸는 것은 바보? 명노창 2000.07.09 5134
1087 ☞:저도 한몫 거들지요.....(내용없음) 명노창 2000.09.02 4609
1086 ☞:제가아는 정도 명노창 2000.07.13 5527
1085 ☞:컥.. 이정원 2000.10.01 4448
1084 ☞:탄현에너지의 분산에 관하여... cc 2000.06.14 5123
1083 ☞:탄현에너지의 분산에 관하여... hiena 2000.06.12 4182
1082 ☞:평균율=> 실용적인 악기 제작을 위한 타협 개발(CC) 2000.09.16 4982
1081 ☞:평균율은 원래 고개 절래절래 하데요? 안진수 2000.09.14 4729
1080 ☞:평균율은 원래 고개 절래절래 하데요? 개풀 2000.09.14 4608
1079 ☞:현의 길이에 대한 생각.... 안진수 2000.09.19 5733
1078 ☞:홀에 대해서 질문... bronto 2000.06.15 4047
1077 ☞:홀에 대해서 질문... 몽자삼촌 2000.06.12 4192
1076 ☞:홀에 대해서 질문... cc 2000.06.14 4556
1075 ☞:홀에 대해서 질문... cc 2000.06.14 4214
1074 ☞:확실히... 개털 2000.09.16 4590
1073 ☞:확실히... 개풀 2000.09.16 4322
1072 ☞개풀님은 나머지 98%를 어따 뒀어? 개풀 2000.08.19 4408
1071 ☞뜨아..울림은 좋을것 같은데 맑지는 않을것 같다... 명노창 2001.03.10 4037
1070 ☞흐어~ 제가 파는게 아니오라 그냥 퍼온광고임다. (내용무) 셰인 2001.05.11 4411
1069 가격과 소리 69 100호유저 2010.01.03 18667
1068 가격대별 기타 사진(headstock, rosette, label) 고정석 2001.04.08 6082
1067 가격이 싼 습도측정기 4 2005.07.13 6907
1066 가까이서본 하까란다.. 2 file 2004.04.06 5551
1065 가습방법 및 제 삼겹살 기타((triple top , cedaruce guitar ?) ㅋ 27 file 오모씨 2005.12.14 6550
1064 가야금, 거문고는 어떤줄을 쓰나요? sophia 2000.10.27 4806
1063 가오리가 치는 로마닐료스 3 기타리스트 2004.12.23 6470
1062 가장 음량이 큰 기타는 ?? 지우압바 2000.08.18 5361
1061 가장큰음량의 기타? 지우압바 2000.08.18 4495
1060 가즈오 사또 3 강명구 2001.04.12 4168
1059 간단의견만으로는 좀 미흡해서... 형서기 2001.02.02 4285
1058 간단한 댐핏 만들기 13 file 리브라 2012.01.04 21085
1057 갈라짐 수리 file 2024.01.01 1243
1056 갈릭...줄 말인데요.. 13 korman 2006.09.21 6055
1055 감사합니다=^^=명노창님 김남호 2000.08.05 5377
1054 강남길 주문제작 5호 Khkhw 2023.02.13 1911
1053 강화도 수님 공방 기타제작. file 떠버기 2018.10.12 5473
1052 같이 잠수함 타게요.. 지우압바 2000.10.31 4113
1051 개발님의 글은... 희정 2000.09.09 4170
1050 개풀님 기타 알아맞추기.... 개풀 2000.09.14 4545
1049 개풀님~ 하하 ...다혈질이시져? 개풀 2000.08.18 4060
1048 개풀입니다1 개풀 2000.08.31 5120
1047 개풀입니다2 개풀 2000.09.01 4582
1046 개풀환영. 개 삐다구 2000.08.31 4658
1045 거문고 가야금 오리발이 세개인 이유? 곁눈질 2000.10.18 5707
1044 거트현 만드는 과정 [일본어] 옥용수 2004.04.11 4928
1043 건강한 프렛 file 2022.09.04 1944
1042 게놈기타. 말괄량이 2000.07.07 4143
1041 게르노트 바그너 3 file 콩쥐 2006.08.19 6450
1040 겨울과 기타 박 장 규 2002.01.30 5131
» 겨울철 악기관리에 신경쓰세요. - 가습기 종류와 장단점 16 고정석 2003.11.29 8436
1038 겨울철에 습도유지하는 방법.... 명노창 2000.12.12 4278
1037 결과는? 결론은? 9 최동수 2008.07.29 8273
1036 경험으로 깨달은 장력의세기 26 블루고추 2010.02.19 12150
1035 계열이가 여기에?! 기혀니 2001.07.08 3970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