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9.212.165) 조회 수 5058 댓글 7
그림 없이도 A4 20장에 달하는 분량이군요..워드와 게시판을 오가며 번역하려니 좀 버겁습니다.
완성되면 워드파일로 정리해서 어디 올려놓겠습니다. 번역하면서 보니까 설명이 참 잘 나와있네요.

[재료]

French polishing에 쓰이는 도구와 재료는 매우 적고 간단하다. 사실 몇 달러만 투자하면 당신도 많은 장비(악기)에 쓸 만큼을 얻을 수 있다. 이 글 끝에 필요한 재료들을 구입할 수 있는 곳의 목록을 달아두겠다.

쉘락
락은 락 딱정벌레라고도 하는 '코쿠스 랔카'라는 곤충에 의해서 모아지는 자연물질이다. 이 물질은 곤충의 집 역할을 하는 많은 종류의 나무에서 모아진다. 락(Lac)은 나무의 가지와 껍질에서 얻어진다. 수확된 락은 정제되고 따뜻한 락 주머니에 싸인 수공의 형태(쉘락)를 포함해 수많은 형태로 가공된다.
수확된 락의 주머니는 열린 불-번역하기에 적당한 말이 생각 안 나네요-에서 가열된다. 락이 녹으면 락 주머니를 락이 주머니 바깥쪽으로 새어 나올 만큼의 충분한 압력으로 교압기를 이용해 짠다. 락의 많은 양은 쉽게 저장하기 위해 바삭바삭한 조각으로 부숴지기 쉬운 얇은 판으로 가공된다. 쉘락은 대개 공업에 쓰이는데 페인트가게나 기자재점에서 살 수 있는 일부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가공되어있다. 쉘락 조각의 상당부분은 고급 수제품 전문 마무리공들에게 들어간다. 시간이 흐르면서 '쉘 락'은 '쉘락'으로 불리게 되었다. 쉘락이 수확되고 가공되는 과정에 대한 가장 좋은 설명서는 "American Lutherie No. 54, summer 1998."이다. 이것은 미국 최고의 Luthier이며 French polisher 중 한 명인 Cyndy Burton이 쓴 것이다. 우리가 쓸 쉘락은 조각으로 팔고 있는 것이다. 쉘락 조각은 적어도 네 가지가 될 수 있다. 쉘락의 타입은 색깔을 표시하는데 밝은 것부터, white, blonde, orange, dark(garnet)이라고 부른다. 일단 쉘락을 필요한 만큼만 알콜에 녹인다. 용해된 쉘락은 유효지속시간(shelf-life)이 짧기 때문이다. 쉘락과 알콜 혼합물은 시간이 지나면 습기를 흡수하면서 가수분해되어 질이 떨어진다. 수개월 내에 사용할 만큼만 섞는 것이 바람직하다. French polishing에는 가게에서 파는 기혼합 쉘락이나 캔에 담긴 것을 사용하면 안 된다. 기혼합 쉘락에는 유효지속시간을 늘리고, 유동성을 높이고 브러쉬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들기 위해 건조를 지연시키는 첨가물이 많이 들어있다. 믿을 만한 가게에서 양질의 쉘락 조각을 사기 바란다. 이 글 끝에 쉘락 조각을 살 수 있는 곳의 이름과 주소를 적어 두겠다.

알콜
알콜을 많이 사용하게 될 것이다. 알콜은 쉘락 조각을 녹이는 데, 희석하는 데, 공극을 메꾸는 데, 그리고 French polishing의 다른 과정에도 쓰일 것이다. 양질의 기자재점에서 파는 알콜이면 충분하다. 하지만 일부 사람들은 변성과정에서 알콜에 첨가된 물질에 예민하다. 변성알콜은 메탄올이 약간 들어간 에탄올이다. 무엇보다도, 변성알콜은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안전한 곳에 닫아두어야 한다. 사려깊은 사람이라면 알콜 취급점-또는 주류점-에서 순수한 알콜을 살 것이다. 이렇게 하면 많은 돈이 들긴 하지만 순수한 에탄올을 구할 수 있다. 변성알콜의 증발하는 정도가 좀 문제가 될 수 있다. 알콜의 라벨을 잘 보고 메탄올만으로 변성작업 된 에탄올을 구입해야 한다. 다시 말하지만, 필요한 만큼만 섞어야 한다. 알콜은 열어두면 증발하면서 수분을 흡수하게 되므로 순도를 유지하기 위해 병의 뚜껑을 닫아 두어야 한다.

속돌(Pumice)
Pumice는 갈고 pore filling하고 연마하는 데 쓰인다. Pumice는 다른 마무리작업에서 광택재로 쓰이기도 하며 특수도장재상점에서 구할 수 있다. 여기서는 아주 좋은 FFFF등급의 속돌을 쓴다. 처음에는 pore filling과 Pumice를 사용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지만 익히고 나면 작업이 쉽게 진행될 것이다.

기름
올리브유는 French Polish를 할 때 윤활유로 쓰인다. 쉘락에는 뮤네카(정확히 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후반부에 만드는 법이 나옵니다)나 접은 패드(부드러운 소재의 두툼한 조각을 pad라고 하는데 이것도 그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만 사용해야 한다. 뮤네카는 쉘락이 제대로 퍼지게 하기 위해 나무 표면에 잘 눌려야 한다. 이렇게 잘 누르는 것은 각각의 미세한 쉘락 층이 기존의 쉘락 층과 융합되어 풍부하고 깊은 칠을 만드는 작업이기도 한데, 쉬운 작업이 아니다. 기름을 현명하게 사용하면 뮤네카가 붙거나 끌리는 일 없이 나무에 강하게 누를 있다. 쉘락이 표면에 앉으면서 기름은 칠을 통과해 위로 올라오려고 한다. 따라서 칠의 아래 갇혀 칠을 망치지 않는 기름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순도 100%의 올리브유(100% virgin olive oil)를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왈넛오일(호두기름)이나 베이비오일, 파라핀 오일 등은 산화방지제나 향신료 같은 불순물이 포함되어 도장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초보자는 우선 순수한 올리브유를 사용해야 한다.

연마용구
French polishing을 위한 세부사항과 기타(guitar)의 준비사항도 도장 그 자체만큼 중요하게 다루겠다. 모든 등급과 형태의 연마도구 목록이다;
·        220 grit open-coat dry sandpaper 3M "Gold" 216U
·        320 grit open-coat dry sandpaper 3M "Gold" 216U
·        400 grit wet/dry automotive sandpaper 3M "Imperial 401Q
·        800 grit wet/dry automotive sandpaper 3M "Imperial" 401Q
·        1200 grit wet/dry automotive sandpaper 3M "Imperial" 401Q
·        Micro-Mesh "Cushioned abrasive" 3200
·        Micro-Mesh "Cushioned abrasive" 3600
위의 연마도구가 당신이 처음으로 French polishing을 완성하는 데 필요한 전부이다.


일단 모직물이나 수술용 거즈를 내부재로, 티셔츠 재료와 같은 100% 면직물을 외부재로 하여 문지르개 또는 뮤네카(헝겊인형의 스페인 말)를 만든다. 울이나 거즈를 쓰는 것은 뮤네카 안의 쉘락이 손이 누름에 따라 바깥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깨끗한 면 거즈나 순수한 모직물을 내부재로 쓰지 않는다면 쉘락은 제대로 퍼지지 않을 것이다. 인조직물이나 인조 합성물은 뮤네카에 절대 쓰면 안 된다. 낡은 티셔츠는 외부재에 적합하고 모직양말 조각은 내부재에 적합하다. 부드러운, 닦아낼 천(wiping clothes)도 많이 준비해 둬야 한다. 직물점에서 한 야드쯤 되는 티셔츠 소재를 좀 나으면 두어 벌의 낡은 티셔츠를 준비하고 싶을지도 모르겠지만 그렇게 많은 양은 필요 없다. 기타와 닿는 것들은 전부 불순물이나 먼지가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아주 작은 먼지 입자도 도장에 눈에 띌 만한 상처를 낼 수 있다. 도장은 굳기 전엔 아주 약하다.

광택재
전에 말했듯이, French polishing에는 광택재가 전혀 쓰이지 않는다. 그러나 도장을 끝내고 나서 남은 기름 찌꺼기를 제거하고 지문을 없애기 위해 악기를 닦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Meguiar’s No.7 Show Car Glaze’를 사용한다. Meguiar’s #7은 연마제가 들어있지 않으므로 지속적으로 반복해서 써도 안전하다. 좀 더 강한 광택재가 필요하다면 ‘Meguiar’s #9 Swirl Remover’를 쓰면 된다. #9은 고급의 연마제가 들어있어 도장을 일부 제거할 것이다. 미세한 상처들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기에 알맞지만 지속적으로 쓸 수는 없다. 이들은 도장이나 나무에 상처를 낼 수 있는 실리콘 성분이 전혀 첨가되지 않은 양질의 상품들이다. 자동차 부품점이나 자동차 도색점에 가면 구할 수 있다.

기타
0.        폭 1”, 길이 5/4, ?인치 두께의 갈아낼 조각(rubber sanding block). 정확히 사각형인 나무조각에 아래쪽에 코르크가 붙어있으면 충분하다. 대개의 페인트 가게에 가면 작게 자를 수 있는 ‘갈아낼 조각’을 판다. 다른 데서도 비슷한 것들을 구할 수 있을 것이다. 코르크를 붙일 때는 에폭시를 이용해서 붙여야 한다. 다른 접착제는 기름과 용매에 의해서 떨어질 수 있다.
1.        압착할 때 쓸 작은 병도 쉘락과 알코올을 퍼뜨리기 위해 중요하다. 작은 풀통 정도면 적당하다. 최소한 두 개는 준비해야 한다.
2.        뮤네카와 문지른 천들이 마르지 않게 저장할 밀폐용기가 있으면 좋다.
3.        pumice를 퍼뜨릴 소금통 하나(salt shaker)
4.        기름을 퍼뜨릴 약통 하나(medicine dropper bottle)
5.        나프타 용매 1.14리터 정도(a quart)
6.        기타 넥 지지대. French polishing을 하는 동안 기타는 넥으로 지지되어야 할 경우가 많다.
7.        강력접착제와 5분에폭시(SuperGlue and 5-minute epoxy)
8.        스탑워치
9.        작은 깔대기
10.        타이핑 페이퍼

끝으로, 작업할 공간이 필요하다. 당신은 작고 밝은 곳이나 집에 남는 방을 작업실로 쓰려고 할지 모르겠다. 온도가 적당하고 먼지가 없는 곳이 적절하다. 먼지를 좀 적은 구석이 좋을 것이다(공기중의 먼지는 작업 후반에 고려한다). 이제 French polishing에 필요한 것들을 전부 살펴봤다. 시작이다…
Comment '7'
  • 2002.07.23 13:07 (*.236.102.10)
    pore filling은 "공극 메꿈" 입니다
  • 단조 2002.07.23 16:25 (*.209.212.165)
    조언 감사합니다
  • 2002.07.23 21:33 (*.62.26.150)
    내용이 참 좋군요...감사합니다.
  • 단조 2002.07.24 02:40 (*.209.212.165)
    최대한 직역에 가깝게 하고 원문을 조금씩 사용했는데요
  • 단조 2002.07.24 02:41 (*.209.212.165)
    공구명 같은 전문적인 부분은 해석이 어렵네요 뭔지 대충은 알겠는데..
  • 단조 2002.07.24 02:41 (*.209.212.165)
    전문가 분들 위의 원문 보시고 조금씩 조언 부탁드립니다
  • 고정석 2002.07.24 12:19 (*.193.15.224)
    수고했어요. 번역작업은 시간이 많이 걸리지요? 완성되면 그림이랑 같이 넣어서 다시 올릴께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33 [사진] Antonio Picado - Model 49 file 으랏차차 2002.03.24 6395
1232 가오리가 치는 로마닐료스 3 기타리스트 2004.12.23 6395
1231 프렛방식의 상현주---아벨가르시아. 1 간절한 2002.01.10 6394
1230 숯을 이용한 기타보관 침대~~ 4 file 스타 2006.12.12 6394
1229 [re] 장력 1 콩쥐 2007.12.21 6390
1228 꿈은 이루어진다. 5 file 기타바이러스 2016.12.10 6389
1227 [re] marvi와 김중훈님. 1 file 콩쥐 2006.09.19 6384
1226 뭘까요..^^ 제기타 헤드 3 file 기타 2004.04.28 6379
1225 악기선택의 생각할점. 2 콩쥐 2006.05.21 6376
1224 banister price. brawman 2000.07.06 6374
1223 [re]1.Dieter Hense 편 - 추가사진 1 file Robin 2007.06.20 6360
1222 프리드리히의 구조적 특징은 어떤게 있을까요.. bina 2007.09.30 6359
1221 입이 큰 기타 15 file 기타에 미친 사람 2004.03.05 6357
1220 게르노트 바그너 3 file 콩쥐 2006.08.19 6357
1219 TORRES PLAN FRONT ☞ 왠지 짜가? file 토러스플랜 2000.09.04 6350
1218 마르비 사진 1 1 file Limpman 2005.12.08 6344
1217 기타박물관 ......placio de la guitarra(동경) 6 file 2004.10.11 6342
1216 시더랑 스프루스 차이점좀 알려주세요... 아따보이 2002.10.08 6337
1215 곰발바닥이란 2 file gaspar 2003.04.08 6334
1214 현대기타 디자인 file 2018.09.06 6329
1213 red violin 말괄량이 2000.07.07 6324
1212 조나단 힌베스.... 1 고형석 2000.05.30 6320
1211 깔레바로형 기타-Contreras file 가스파르 2000.09.23 6318
1210 [re] 못난이 납작복숭아를...... 1 file 콩쥐 2007.07.28 6317
1209 Gila Eban의 부챗살... 4 file 간절한 2002.06.21 6312
1208 대중음악에서 다현 기타 3 abcde-kld 2009.03.14 6311
1207 Build a Guitar 비디오 콩쥐 2015.09.29 6308
1206 - 7현기타 브릿지 file 오모씨 2005.01.31 6306
1205 상현주와 하현주의 재질..... 13 상아 2004.02.28 6304
1204 [re]Olivier Fanton d'Andon 6 file 간절한 2002.06.15 6300
1203 우리나라 아열대기후로 바뀐거 맞나봐여. 10 콩쥐 2007.11.02 6298
1202 기타 가격?? 5 권진수 2005.02.04 6291
1201 12홀 브릿지에 유감 있음 (-_-) 11 file audioguy 2004.10.06 6287
1200 내가 갖고 싶은 기타(3) - Daniel Friederich file 일랴나 2000.12.28 6286
1199 기타가 다른악기에 비하여 비싸다는...... 12 김키타 2004.04.02 6267
1198 인도의 악기들 - 조오지 헤리슨과 시타르 5 file 항해사 2007.07.18 6265
1197 피치가 완벽한 기타는? 2 지얼 2001.11.16 6264
1196 [re] 기타-바보님 작업사진. 1 file 콩쥐 2006.09.20 6260
1195 쉘락마무리 17 file gdream7 2005.12.26 6251
1194 기타줄 장력에 대한 자료입니다 5 단조 2002.07.30 6247
1193 [re] 줄의 장력이 세게 느껴져요!! 12 file 2003.12.14 6240
1192 플라스틱 피크.. 2 file 고정욱 2002.05.23 6239
1191 [질문] 음량증가를 위한 증폭장치 5 금모래 2004.04.24 6239
1190 황미나의 레드문과 밤과꿈 8 EGOIST 2001.09.04 6232
1189 존 윌리암스가 기타를 스몰맨으로 바꾼이유. 11 file 길벗맨 2001.05.08 6226
1188 [사진] Ramirez Spanish 木香 2002.07.29 6223
1187 기타 나무재료 국내전문취급점 하늘 2006.03.25 6216
1186 내가 쉘락칠한 기타 8 file gdream7 2006.01.08 6216
1185 11현 기타의 조율...진철호님의 글에서 퍼왔습니다. 1 2002.03.10 6210
1184 제 기타 사진이네요. 제작자를 맞추어 BoA요~ file 2004.01.11 6205
1183 [사진] Antonio Picado - Model 49 2 file 으랏차차 2002.03.24 6200
1182 -- 뒷판 굽(heel)부분 1 file 오모씨 2004.02.15 6195
1181 리 지에 .. 기타 말입니다.. 음.. 8 아따보이 2002.09.28 6193
1180 ☞ 정말 좋은 기타 안토니오 마린 몬테로..... 명노창 2000.11.11 6192
1179 French Polishing 2 고정석 2002.05.28 6191
1178 [re] 저의 기타 사진입니다. Brahmam 2003년 (넘버10, 624mm) 8 file 고정석 2004.01.09 6184
1177 전설적인 명기 2003.07.11 6171
1176 -- 어쿠스틱포트 1 2 file 오모씨 2004.02.15 6165
1175 africa blackwood. 19 file 콩쥐 2006.04.16 6162
1174 스몰맨, 담만 이메일, 주소입니다. 1 로빈 2006.11.20 6156
1173 [re] 미겔 로드리게스 사진입니다 4 file 10현 2006.02.14 6153
1172 코흐연주회 다녀왔어요. 4 file 콩쥐 2007.10.01 6153
1171 Herman Hauser 1세 1 file ganesha 2016.06.25 6152
1170 [re] [알림] A.D.MARVI (마르비) 기타제작클라스 매니아창고사진 file 2006.07.22 6151
1169 [질문] 기타의 적정 현장이란게... 14 당배 2006.07.14 6151
1168 [re] 저의 기타 사진입니다. Brahmam 2003년 (넘버10, 624mm) file 고정석 2004.01.10 6142
1167 Brahman (fleta-humphrey model ) 1 file sangsik 2003.05.04 6136
1166 최고의 튜닝머신들.. 2 그놈참 2004.05.11 6136
1165 으하하하 기타 새로 샀는데요 정말 좋아미치겠어요 2 송호연 2004.07.12 6135
1164 플라멩꼬 기타 제작 콩쥐 2015.08.03 6126
1163 [re]도미니크 필드기타로 연주하시는 콕토님.. 1 file 2007.09.12 6124
1162 ☞:TORRES PLAN BACK ☞ 그럼 모조? file 토러스플랜 2000.09.04 6118
1161 [re] Kasha model의 헤드 모양 3 file 최동수 2008.12.11 6116
1160 기타의 장력과 헤드각도 9 철공소사장 2006.01.15 6115
1159 울림구멍...(포트)... 6 file 나래지기 2003.12.08 6112
1158 [re] 손톱이 약해서 쉽게 뿌러 지시는 분들........ 김동선 2002.01.26 6108
1157 쉘락칠 할 때요... 3 쉘락 2008.04.22 6106
1156 . 2 2001.12.27 6103
1155 프렛과 음정 이야기. -_-; 안진수 2000.09.16 6092
1154 휜것도 가지가지..... 말괄량이 2000.10.05 6090
1153 호세 오리베란 사람을 찾습니다. 3 작은곰 2002.11.04 6080
1152 휘었다면 수리는 가능한지? 수리가 어려운가요? 2000.10.06 6076
1151 클래시컬 기타 스트링에 대한 기초지식 김재승 2006.02.09 6075
1150 ☞:깔레바로형 기타-Contreras 2000.09.23 6074
1149 sanzano concert기타 2 은둔.. 2005.05.22 6073
1148 적당한 습도와 황홀한 경험. 8 2002.01.27 6072
1147 원목구성과 소리의 관계에 대한 가르침 원합니다 7 superman 2007.09.17 6070
1146 기타재료.... 3 궁굼아 2007.11.18 6070
1145 Ignasio M. Rozas 헤드. file 형서기형 후배 2000.09.01 6056
1144 [re] Bouchet와 Weissgerber file 최동수 2008.07.12 6055
1143 granada school 2015.08.03 6053
1142 험프리는 특허 냈습니다. (US patent NO. 4,873,909 ) 6 학생 2003.12.08 6051
1141 -- 헤드에요~ 2 file 오모씨 2004.02.15 6049
1140 paulino Bernabe 헤드 사진 형서기형 후배 2000.09.01 6045
1139 BRAHMAN #6 3 file 차차 2003.11.24 6040
1138 k.hofner 클래식기타... 4 file 木香 2001.08.18 6039
1137 기타의 진한 향..어디서나는걸가요? 18 띠용 2004.01.24 6037
1136 스페인식 vs 독일식. 풀만먹고. 2000.06.13 6027
1135 류트만들기 입문 [일본어] 2 옥용수 2004.04.11 6025
1134 쉘락칠 하기 9 file gdream7 2005.12.15 6024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