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115.119.28) 조회 수 5676 댓글 0
수님이 세락칠을 능가하는 칠이 우리나라에 존재한다고 이전에
말씀하셨는데 그 실체인 황칠에 관한 기사가 있기에 기사전문을
올립니다. 황칠로 기타를 만들면 과연 어떤 명기가 나올까?



천년 만에 부활하는 신비의 도료 ‘황칠’

황금빛 비색 탁월한 내열, 내구성… 전자파 완전 흡수, 이용 가능한 곳 무궁무진
칭기즈칸 테무진의 갑옷과 천막은 황금색으로 빛나고 있는데, 이는 ‘황칠’이라는 비기(秘技)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궁전과 집기류 등 황제의 것이 아니고는 사용치 못했으며 불화살로도 뚫을 수 없는 신비의 칠이라고 전한다.’(마르코 폴로 ‘동방견문록’)

‘백제의 서남쪽 바다 세 군데 섬에서 황칠이 나는데 수액을 6월에 채취하여 기물에 칠하면 황금처럼 빛이 난다’ ‘백제로부터 토공(공납)으로 황칠 5되 3홉을 거두었다.’(중국 통전)

‘황칠’(黃漆). 옻칠에만 익숙한 우리에겐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중국의 역사가들은 이를 한결같이 한반도 서남해안에서만 나는 ‘신비의 도료’라고 적고 있다. 중국 25사와 영파사지(英坡寺誌), 책부원구(冊府元龜) 등 각종 역사책들은 진시황제가 ‘불로초’라 믿으며 해동국에서 가져온 나무가 바로 ‘황칠나무’이며, 통일신라 때 해상왕 장보고의 교역상품 중 최상품이 황칠액이었다고 전한다. 심지어 중국의 사서(四書) 가운데 하나인 주역의 서문에도 ‘황칠판 위에서 이 책을 명상하라’고 쓰여 있을 정도다.

황칠나무의 국제학명조차도 덴드로-파낙스(Dendro Panax), 라틴어로 만병통치약을 지칭하는 인삼나무를 의미하는 말이다.

그렇다면 지구상에서 한반도 서남해안에만 존재했다던 황칠나무는 도대체 어디로 갔을까. 이토록 유명했던 황칠을 우리는 왜 모르고 있는가. 중국의 사서(史書)들은 낯설기만 한 황칠나무에 대해 많은 의문을 가지게 한다.


해남에 ‘황칠나무’ 3천 그루 자생

하지만 황칠나무는 이제 전남 해남군 일대와 완도지역에서 더 이상 ‘비밀’이 아니다. 순금의 비색과 신비한 약효로 ‘사라진 나무’라 칭해졌던 황칠나무가 전남 해남군 서남해 일대에 실존한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기 때문. 그것도 한두 그루가 아닌 수만 그루가 자생하고 있으며, 이 나무에 대한 양묘사업까지 이루어지고 있다.

1000년 동안 숨겨졌던 황칠나무가 그 ‘비밀’의 빗장을 풀고 우리 앞에 모습을 나타내기까지에는 황칠에 ‘미친’ 한 농부의 20여 년의 추적과 집념이 있다. 전남 해남군 마산면 상등리 ‘아침재 산막’ 주인 정순태씨(49)가 그 주인공.

공학도로 방위산업체에 근무하던 그는 지난 80년 한학자인 아버지의 유고를 정리하다 다산 정약용 선생의 시선(詩選)에서 ‘황칠’ 이라는 시를 우연히 발견한다.

“그대 아니 보았는가. 궁복(장보고의 호)산 가득한 황금빛 수액을. 그 빛이 맑고 고와 반짝반짝 빛이 나네. 껍질 벗겨 즙을 받길 옻칠 받듯 하는데 아름드리 나무에서 겨우 한 잔 넘칠 정도. 상자에 칠을 하면 검붉은 색 없어지니 잘 익은 치자물감 어찌 이와 견주리요. 이 나무의 명성이 천하에 자자해서 박물지에 줄줄이 그 이름 올라 있네….”

이후 그는 중국 문헌은 물론 우리의 사서를 뒤지기 시작했다. ‘천금목(千金木)이라 하여 그 진은 안식향(安息香)으로 쓴다’ (임원십육지), ‘황칠의 주산지는 전라도 완도’(해동역사)….

문헌을 바탕으로 10년간 틈틈이 서남해안 섬들과 해남 지역을 헤매던 그는 결국 완도 상황봉과 보길도, 진도 첨찰산, 해남군 두륜산 등 전남 도서지역과 해안 일대 19개 지역에서 황칠나무가 자생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지난 90년 서울 생활을 정리했다. 가족과 함께 해남 땅으로 내려와 귀농 생활에 들어간 것.

순금으로 착각을 일으킬 정도의 황금빛 비색과 상상을 초월하는 내열성과 내구성, 벌레를 쫓아내고 정신을 맑게 하는 안식향(安息香), 중풍`-`오십견`-`항암제로도 사용되는 약용 성분 등 각종 문헌들에서 밝혀진 황칠의 역사적 효능들은 그를 유혹하기에 충분했다.

“다산의 황칠시에서 ‘아름드리에 겨우 한 잔’이라고 표현했듯, 문헌상의 채취 방법으로는 도저히 경제성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는 각 지역에 흩어진 자생림이 모두 50년생 안팎의 황칠나무인 것을 알고는 크게 낙담했다. 그 수액을 채취한 결과 극소량인 점을 알게 된 것. 동시에 바로 이 점이 황칠나무의 존재를 우리 역사에서 증발시킨 장본인이었다는 사실도 찾아냈다.

‘…공납으로 해마다 공장에게 옮기는데 관리들 농간을 막을 길이 없다. 지방민이 이 나무를 악목(惡木)이라 여기고서 밤마다 도끼 들고 몰래 와서 찍었다….’

다산의 황칠시의 한 부분은 황칠의 희귀함에서 오는 민폐가 얼마나 심했는지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중국 자금성의 용상과 어좌를 비롯한 각종 집기류와 천장, 벽면을 모두 도장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황칠액이 필요했겠는가. 병자호란을 거친 후 청나라는 조선의 임금에게까지 황칠 사용을 금지한 뒤, 세계 유일의 황칠 생산지인 전남 해안에 대한 감시와 수탈을 강화한다.

‘수탈을 견디다 못한 백성들은 황칠나무에 구멍을 뚫고 호초를 넣어 나무를 말라죽게 하거나 밤에 몰래 도끼로 아예 베어내 버렸다’ (목민심서 ‘산림’편) ‘갑인년 어느날 소금비 내린 뒤로 모조리 말랐다.’ (다산 탐진촌요 제2수) 다산은 황칠나무의 ‘멸종’을 중국 황실의 횡포와 1801년에 내린 소금비 때문이라고 진단한다.

“다산에서 시작해서, 그에게 절망하고, 다산에서 다시 희망을 얻었습니다.” 정씨는 다산의 시 모음집인 탐진촌요(耽津村謠) 제8수에서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다.

‘지난해 황칠 공납이 없어진 뒤 베어낸 밑둥치에서 새싹이 나고 가지가 뻗었다.’ 1803년에 쓰인 이 시가 해남 유배 당시 쓰인 점에 착안한 그는 해남 지역 산지를 샅샅이 훑었다. 그 당시에 다시 싹이 났다면 대단위 군락지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일말의 희망 때문이었다. 지성이면 감천이랄까. 지난 95년 그는 해남 모 지역에서 200년 이상 된 3000여 그루의 황칠나무 군락을 발견한다.


인공조림 성공… 상품개발 박차

이에 고무된 그는 아침재 산막 인근 2000여 평 비닐하우스 11동에 2만5000그루의 황칠나무 묘목을 심어 5년 만에 완전한 성공을 거뒀다. 자라나는 시기를 앞당김으로써 칠액 채취 시기도 10년생 이상에서 5년생으로 앞당겼다. 시험삼아 황칠액을 칠한 전통 태극선 부채를 700만원에, 가구를 6000만원에 내놓았더니 사겠다는 문의전화가 쇄도했지만 팔지 않았다. 조림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마구 팔다보면 황칠이 고갈된다는 게 그의 소신이다.

황칠나무에 대한 소식이 알려지자 전남도는 자생 실태의 전면 조사에 나서는 한편, 연구진들을 동원해 대대적인 황칠 연구를 벌였다.

산림청의 이명수 사무관은 “전남도의 최종 보고서에 의하면 200도를 견뎌내는 내열성과 내구성, 내습성, 빛깔의 우수성을 확인했다”며, “이로써 황칠이 래커나 니스, 옻칠 등 기존 도료와는 상대가 안 되는 초특급 도료임을 증명한 셈”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이번 조사를 통해 안식향의 성분이 밝혀졌다고 전했다. 황칠 속에 든 ‘베타큐버빈’이라는 방향성 정유성분이 머리를 맑게 하고 기분을 상쾌하게 해주는 효과를 낸다는 것.

정씨는 이런 연구 성과를 토대로 지난해 6월 ‘파낙스 골드’라는 농업벤처를 설립하고, 황칠을 이용한 상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황칠 염료, 도료, 향료, 신약, 전자파 흡수제 등 갖가지 종류의 상품이 출시되기만을 기다리고 있는 것. 그의 이런 도전과 함께 농협은 이를 전남 지역의 주력상품으로 지정했으며, 서울대 생명공학부 등 국내 굴지의 연구소까지 경제적 효용가치에 대해 그 가능성을 인정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민승규 박사는 “조사 결과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조할 아이템임이 충분한 것으로 판명됐다”며 “이제는 어떻게 경영을 할 것인지의 문제만 남았다”고 단언했다.

“미래에는 레이더에도 잡히지 않는 전투기의 도장재료로 이용될 것입니다.” 정씨는 지난해 12월 벤처농업포럼이 주최하는 심포지엄에서 충격적인 발언으로 청중을 놀라게 했다. 하지만 그가 근거로 내놓은 목포해양대학교의 실험 자료는 그의 말을 거짓말이라고 치부하기 어렵도록 만들었다. 전자파 흡수율에 대한 연구 결과 대부분의 도장제가 전자파를 반사시키거나 통과시킨 반면, 황칠은 전자파를 완전히 흡수해 버린 것.

“스텔스 폭격기의 도장사가 일본인인 걸 아십니까? 일본이 일제시대를 거쳐 1970년대까지 황칠을 훔쳐간 사실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그들은 이미 황칠의 비밀을 풀었지만, 일본의 황칠나무에서는 수액이 나오지 않으니 어쩌겠습니까.”

정씨는 ‘황제의 나무’ 황칠나무로 ‘산림부국’(山林富國)을 이룰 꿈을 꾸고 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33 ☞ 스몰맨 기타에 대해... 형서기 2001.02.18 4671
1432 부산가서 베르나베 6현 쳐 보고... 미니압바 2001.02.18 4217
1431 스몰맨 기타에 대해... 으랏차차 2001.02.18 4438
1430 기타 수리에 대하여 alteclub 2001.02.19 3874
1429 덜렁이님 기타 넘 좋다!!!!!! illiana 2001.02.19 4070
1428 호세 루비오 과객 2001.02.20 5364
1427 궁금 guitarra 2001.02.20 3985
1426 마린몬테로 아저씨....아니 할아버지..... file 명노창 2001.02.20 5069
1425 이게 바로..중국제 스몰맨 카피 기타..! file 으랏차차 2001.02.21 5415
1424 로버트 락 아저씨...... file 명노창 2001.02.22 5197
1423 지금 내가 치는기타... (심심해서 올려요..^^) file 으랏차차 2001.02.22 4407
1422 ☞ 스테판 슈미트의 악기.... 미니압바 2001.02.26 4074
1421 시적왈츠 악보구해요~ 은표 2001.02.24 4163
1420 스테판 슈미트의 악기를 알고싶읍니다. 매니선 2001.02.25 4016
1419 수님............ 이재화 2001.02.28 4142
1418 Jonathan Hinves 덧붙여.. file 형서기 2001.03.08 5789
1417 ☞ Jonathan Hinves는요..(형서기님 설명 좀 더해줘요) 궁금이 2001.03.07 4435
1416 ☞ Jonathan Hinves악기 사진..... file 명노창 2001.03.02 6498
1415 Jonathan Hinves는요.. 형서기 2001.03.02 4703
1414 이작펄먼의 바이올린. 2001.02.28 4051
1413 Jonathan Hinves는... 마~당발 2001.03.01 4692
1412 줄이 두겹씩 되어있는 기타? 해피보이 2001.03.01 4086
1411 어린칭구가 연주할 기타는 얼마나 작아야죠? 김종표 2001.03.02 3939
1410 어린이용 기타아 문병준 2001.03.02 3942
1409 어린이용 기타 마~당발 2001.03.03 4041
1408 ☞ 라미레즈 갖고시퍼라 csr 2001.03.07 4165
1407 라미레즈 갖고시퍼라 라미레즈팬 2001.03.03 4422
1406 몇번본 베르나베. 2001.03.06 4289
1405 베르나베라는 악기가 궁금합니다 악기사랑 2001.03.06 3986
1404 ☞ 8현사랑. 피어리나 2001.03.17 3960
1403 ☞ 중국은 황사로 너무 건조한가보네요. 으랏차차 2001.03.09 4073
1402 다현기타의 특징및 제작가는? illiana 2001.03.06 5096
1401 ☞ ☞ 중국은 황사로 너무 건조한가보네요.(정정) 으랏차차 2001.03.09 4013
1400 ☞뜨아..울림은 좋을것 같은데 맑지는 않을것 같다... 명노창 2001.03.10 3989
1399 기타 뒷판이 터지면???? 으랏차차 2001.03.08 4489
1398 Thurman Guitar 고정석 2001.03.09 21831
1397 기타 계간지가 있다고 들었는데.. 윤성규 2001.03.13 3961
1396 수님 반갑습니다....그리구요.. yosip 2001.03.14 4065
1395 ☞ ☞ 수제품기타의 정의....개인적인 생각. 피어리나 2001.03.17 4534
1394 기타를 사랑한다 하면서도 maria 2001.03.15 3935
1393 수제품기타의 정의는? 으랏차차 2001.03.16 3927
1392 지나가던 녀석입니다.. (-.-) (_._) 꾸벅! 변태원숭이 2001.03.17 4057
1391 직업때문에 연주회 구경 못가는 심정 백영업 2001.03.17 3932
1390 셸락칠의 단점극복에 기대하며... 2001.03.18 4091
1389 ☞ 베르나베 연습용은 하청... ^_^ 2001.03.19 4051
» 세락을 능가하는 한국 고유의 "황칠" 일랴나 2001.03.17 5676
1387 나의 베르나베는 이렇게 1 LAEL 2001.03.18 4424
1386 이병우의 기타 컬렉션.. file ganesha 2001.03.22 8164
1385 ☞ ☞ ☞ ☞ 중국 사업 으랏차차 2001.03.27 4216
1384 ☞ ☞ ☞ 앙...으랏차차님 이구나..... 명노창 2001.03.26 4036
1383 ☞ ☞ 댐핏대용으로 쓸 수 있는것,,, 명노창 2001.03.26 4274
1382 ☞ photo of my guitar-1 으랏차차 2001.03.26 4006
1381 ☞ 내기타에 문제들..웅수님도 보셔요~ ^^ 길손입니다. 2001.03.26 3908
1380 photo of my guitar-1 file UraCHaCha 2001.03.25 4384
1379 자잘한 상처들은 좋아요. 2001.03.27 4472
1378 ☞ ☞ ☞기타 사느라 장가 포기를 포기.... 간절한 2001.04.01 4164
1377 ☞ ☞ 정말 스페인에 가면 바로 살수..... 간절한 2001.03.29 3937
1376 ☞ 기타 추천 2001.03.28 4251
1375 ☞ 몬테로 부쉐모델 명노창 2001.03.29 4814
1374 기타 추천 바랍니다. 1 박재만 2001.03.28 3981
1373 몬테로 부쉐모델 쓰시는 분 안계시나요? 간절한 2001.03.29 4052
1372 안녕하세요 ^^ 제 기타입니다 file 나이스드림 2001.03.29 4808
1371 [초보]질문있습니다 기타치고시퍼 2001.03.29 3935
1370 최근에 기타제작 콩쿨이 있었다는데.. 방문객 2001.03.31 4014
1369 국산기타와 외제기타 으랏차차 2001.03.31 4790
1368 기타제작콩쿨은 아무도 .. 방문객 2001.04.01 4195
1367 30분후 기타 소리가 조아지는데... 새내기 2001.04.02 4547
1366 정말 놀랬습니다 기타지존 2001.04.03 4274
1365 수제품을 구입하려는데... 세고비아 2001.04.03 4050
1364 험프리, 밀레니움 모델, 경사진 앞판 디자인. 서정실 2001.04.07 5074
1363 두분 의견 감사드립니다. 길벗맨 2001.04.06 4290
1362 ☞ 가오리가 쓰는 기타가? 왕초보 2001.04.05 3941
1361 세고비아의 기타. 2001.04.05 4396
1360 안토니오 마린 몬테로에 관한 나의 견해 길벗맨 2001.04.05 4859
1359 ☞ 군대에서 있었던 추억담~ 기타이야기^^;; 딴따라~! 2001.04.06 4543
1358 나의 기타 수집걸 2001.04.06 4184
1357 군대에서 있었던 추억담~ 기타이야기^^;; 정성민 2001.04.06 4591
1356 가격대별 기타 사진(headstock, rosette, label) 고정석 2001.04.08 6012
1355 유명악기에 대한 평이 엇갈리는건... 1 2001.04.09 4090
1354 질문요. 1 방문객 2 2001.04.08 3923
1353 ☞ Ruck 애기가 나오길래. 2 서정실 2001.04.09 4570
1352 무대용과 녹음용 악기의 차이?? 4 일랴나 2001.04.09 4077
1351 카즈오 사또 시몬(?)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5 청년 2001.04.10 3900
1350 30분전에 준비된 소리가... 새내기 2001.04.10 4458
1349 가즈오 사또 3 강명구 2001.04.12 4108
1348 아름다운 CF 한편... 木香 2001.04.13 3991
1347 연주회합니다~ 3 정호중 2001.04.14 4035
1346 김희주양 클래식기타독주회(현 서울음대2년재학중) 1 guitar~ 2001.04.16 4114
1345 50호정도의 기타를 구입하려는데 조언을 17 오원근 2001.04.18 4661
1344 고노와 사쿠라이의 가격 2 기타좋아 2001.04.19 5077
1343 네크의 두께.. 2 으랏차차 2001.04.20 3939
1342 기타케이스...skb 2 목향. 2001.04.22 5084
1341 기타 머리 11 file Lacote 2001.04.26 4923
1340 제 생각엔요.. 형서기 2001.05.03 4974
1339 ☞ 써봤습니당. 엄씨가문의 기타를!!!보았습니당. 엄씨가문의 기타를!!! 간절한 2001.05.03 5245
1338 해드가 신기하게 생겨서... 4 file 목향 2001.04.30 5778
1337 ☞ 현재 사용중입니다. 평이라...글쎄요.. 4 2001.05.03 4668
1336 엄씨 가문의 기타에 관한 냉철한 평을 부탁드립니다. 15 남경민 2001.05.02 5278
1335 기타내부에 칠을 하면... 2001.05.06 3904
1334 기타도료에 관한 사소한 질문입니당-특히 수님께 여쭙니다용??? 3 간절한 2001.05.05 4022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