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48.67.111) 조회 수 3321 댓글 0
Q) 작곡가가 지니는 독특한 색깔에 관한 질문입니다. 우리들은 흔히 처음 들어보는 곡이라도 그 곡을 듣고서는 누가 작곡했는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즉 작곡자 개개인이 가지는 독특한 색채가 있다는 이야기인데요. 그러한 작곡상의 독특한 색깔을 유지하려고 하시는지 아니면 되도록 절제하려고 하는지요?

A) 작곡자가 지니는 작품상의 색깔을 의미하는 것이겠죠. 저도 한때 제가 가지고 있는 나만의 개성에서 벗어나려고 시도한 적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곡을 쓸 때마다 항상 같은 경향이나 비슷한 방향으로 갈 가능성을 피해보려는 의도에서 였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독특한 색깔은 계속 존재해 왔으며 사람들도 인식하고 있는 점입니다. 실제 음악은 독특한 경향이나 색채를 띄면서 발전해 왔고 사람들 모두 은연중에 그것을 인정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음악가가 음악적으로나 기술적으로 인정을 받는다는 것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바꾸어 말하면 다른 음악가의 아류가 아니라 자신만의 창조적인 작품세계를 인정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어제 수업시간에 똑 같은 파트를 두 개의 다르게 편곡된 곡을 연주하게 되었습니다. 어느 편곡으로 할까 고민 중에 한 학생이 두 번째 편곡으로 하자고 제안하였습니다. 이유는 두 번째 편곡이 더 Dyens답다는 것이였죠. 저는 당시 매우 기뻤습니다. 바로 저의 음악적 존재가 인정되는 순간 이였기 때문이죠.

Q) 다른 악기와 비교할 때 아니면 과거와 비교할 때 기타 레파토리 문제에 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A) 기타 레파토리는 굉장히 아름답고 다양합니다. 단지 여러가지 이유로 잊어져 있다는 점이 문제이죠. 클래식기타는 수 십년 동안 어둠 속에 놓여 있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들 잊어진 작품들은 재발견하고 있죠. 예를 들면 19세기에는 많은 훌륭한 작곡자가 있었습니다. 이태리학파, 비엔나학파 등, 클래식 기타 레파토리에 관해서 불만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상당히 다양합니다.

Q) 하지만 클래식 기타가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에 초대되는 경우는 아주 드문 것 같습니다. 이러한 악기로서 제대로 대접 받지 못하는 이유는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A) 그것은 기타가 악기 라기 보다는 그냥 대중 속에 존재하는 유흥적인 악기라는 인식이 사람들 사이에 잠재하고 있기 때문일 겁니다. 제가 어릴 적 경험을 이야기해 볼까요. 음악이론 시간에 선생님 저를 포함한 10명의 학생들에게 어떤 악기를 연주하느냐고 물어본 적이 있습니다. 제 차례에 저는 기타라고 대답하니까, 선생님이 다시 되 물었습니다. “그래 기타말고 연주하는 악기는 없니?”라고. 또 다른 예는 음악원 연주 프로그램을 보면 첼로, 피아노, 플룻과 함께 클래식 기타라고 쓰여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겁니다. 바로 기타라는 일반인의 인식과 차별화시키기 위해서죠. 어쨌든 수 백년 동안 기타는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는 악기로서 모호함 속에 존재 해 왔습니다. 이러한 점이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죠.

Q) 그렇다면 기타라는 악기를 좀 더 진지하게 인식시키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충실하게 기획된 연주회, 우수한 연주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연주자는 다양한 색깔을 지니면서도 아름답고도 매력을 끌만한 프로그램을 선택하여야만 합니다. 기타라는 악기는 어려운 악기에 속합니다. 한시간 반 정도의 시간을 훌륭하게 이끌어가는 연주자를 찾기는 쉽지 않습니다. 이 말은 연주자가 음악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음악성에서 원인을 찾을게 아니라 보다 기술적인 문제에서 실마리를 찾아야 합니다. 바꾸어 말하면 연주를 보러 온 청중들에게 기술적인 문제는 잊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연주자는 기술적인 문제에서 강해져야만 합니다. 연주회의 프로그램이 어설프게 기획되거나 선곡이 잘못되어지면 일반 청중들은 연주를 지겨워 하게 되고 다시는 연주회를 찾지 않을 것 입니다.

Q) 개인적으로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하시는 지요?

A) 저는 가급적 많은 사람들을 접하려고 노력합니다. 이 세상은 기타에 관한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지는 않기 때문이죠. 제가 바라는 것은 일반 청중들을 끌어들이는 거죠. 제가 여기에서 말하는 일반 청중들이란 모든 사람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음악을 좋아하고 음악을 들으면서 마음이 움직이거나 감동을 느낄 수 있는 사람을 지칭합니다. 저는 운 좋게도 제 방식대로 작곡이나 편곡을 통해 청중들을 감동시키는 연주회를 여러 번 가진 적이 있습니다. 청중들 중에 연주회가 끝난 후 저를 찾아와 “당신의 기타연주가 저를 감동시켰읍니다”라는 이야기를 자주 듣습니다. 이러한 청중들의 말은 여러 가지를 시사해 줍니다. 청중들의 이러한 반응을 역설적으로 짚어보면 기타라는 악기에 대한 불신감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다른 각도에서 이야기하자면 기타연주를 통해 청중과 교감을 이루어 내지 못했다는 거죠. 결국은 청중들이 다시 기타 연주회장을 찾게 만들기는 어렵다는 사실입니다.
또 다른 원인을 짚어보면 전자기타가 아닌 어쿠스틱 기타는 음량적인 문제에서 약점을 가지고 있고 자신을 카리스마를 보여주기에는 힘이 드는 악기입니다. 저는 연주회장에 자주 가고 10여일 동안 지속되는 축제에도 자주 초대를 받습니다. 거기에서도 청중들을 끌만한 프로그램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연주 자체가 훌륭하지 못하기 때문이 아니라 청중들의 수준이 이제는 상향평준화 되었기 때문일 겁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연주자는 지나치게 자기 중심적이거나 지나치게 부담스럽지 않는 잘 짜여진 프로그램과 동시에 연주력도 겸비하고 있어야 합니다. 기타리스트들은 지나치게 자기 중심적인 경우가 많아 무미건조하거나 지루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연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제 연주회에 기타협회와 관련된 사람들만이 찾아오는 것을 바라지 않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2 호세 루이스 곤잘레스...그인생 5 신정하 2000.09.19 5290
101 레온 코데락....그의 연주. 기타랑. 2001.03.29 5195
100 [JULIAN BREAM]기타계의.... 2 file 반짱 2001.02.25 5168
99 개성연주 크리스토퍼 파크닝 WilliamDin 2013.10.12 4949
98 여류기타리스트 Berta Rojas 2 file illiana 2001.03.21 4833
97 <font color=green>기타계의 거성 세고비아 예찬</font> 세고비아 2000.09.30 4764
96 새로운 여류기타리스트 Martha Masters file illiana 2000.12.24 4719
95 야마시타 이제는 일본최고중 한사람이 아닌 세계적인... 매니악 2000.12.13 4586
94 중국여류기타리스트 Yang Xuefei(楊雪菲) 1 file 일랴나 2001.01.31 4552
93 turibio santos(튜리비오 산토스)가 누굽니까? 4 2001.03.13 4411
92 체코출신 기타리스트 Leon Koudelak 일랴나 2001.02.08 4346
91 Ana Vidovic : John W. Duarte 변소반장 2000.10.18 4325
90 올해 사랑받은 연주자(1) - Paul Galbraith file 일랴나 2000.12.30 4249
89 David Russell (데이비드 러셀) 변소반장 2000.10.30 4218
88 carlos barbosa lima. 29장의 음반을 낸 화제의 인물 2000.10.21 4181
87 엘레나 파반드루 1 file 변소반장 2000.10.05 4163
86 [여류기타리스트] Margarita Escarpa file 일랴나 2000.12.22 4129
85 올해 사랑받은 연주자(4) - Franco Platino file 일랴나 2000.12.30 4119
84 오스카 길리아 2000.11.05 4088
83 안나 비도비치....ana vidovic 2000.10.14 4067
82 Ana Vidovic : Compositor y Guitarrista Espa&ntilde;ol 에서 퍼온글 변소반장 2000.10.18 4056
81 볼프강 랜들(Wolfgang Lendle) file 변소반장 2000.10.24 4014
80 까를로스 보넬 carlos bonell.....그의 음반들. 2000.11.15 4004
79 ☞ [여류기타리스트]Maria Esther Guzman file 일랴나 2000.12.22 3968
78 [여류기타리스트]Maria Esther Guzman 일랴나 2000.12.22 3966
77 franco platino 플라티노 2000.10.22 3936
76 1999년 GFA콩쿨 우승자 Lorenzo Micheli file illiana 2001.02.24 3932
75 중국 여류기타리스트 3인방중 막내 Shanshan Chen(진산산)소개,음반 file illiana 2001.02.02 3928
74 누군지 모른다고여?? 헉.. 자 사진~~ file 변소반장 2000.10.07 3923
73 ana vidovic 어릴적 모습 링크 변소반장 2000.10.18 3886
72 ☞ 볼프강 랜들의 CD 리스트 변소반장 2000.10.24 3880
71 ☞ 까를로스 보넬 carlos bonell.....그의 음반들. 지나가는이 2000.11.30 3847
70 세고비아가 사용하던 기타는 무엇이었을까?? 변소반장 2000.10.06 3820
69 여러 연주가들의 소개.. 변소반장 2000.12.18 3808
68 Ana Vidovic의 오빠도 기타리스트... 변소반장 2000.10.18 3792
67 초창기 수님의 연인이었던 Elena Papandreou 일랴나 2000.12.22 3765
66 ☞ 새로운 여류기타리스트 Martha Masters illiana 2000.12.24 3760
65 ☞ 얼굴이 궁금하시죠? file 일랴나 2000.12.22 3759
64 joaquin clerch 2001.02.18 3737
63 [여류기타리스트] Raphaella Smits file illiana 2000.12.24 3734
62 올해 사랑받은 연주자(2) - Ana Vidovic file 일랴나 2000.12.30 3721
61 Lima사진! 대성당은 어디에? file 泳瑞父 2000.10.23 3718
60 올해 사랑받은 연주자(5) - Roland Dyens 일랴나 2000.12.30 3702
59 Ana Vidovic의 최신 앨범... file 변소반장 2000.10.18 3660
58 ☞ 일본연주가 다이기무라가 궁금합니다 roberto 2001.07.11 3646
57 엘레나 파반드루 홈페이지 file 변소반장 2000.10.06 3633
56 얼굴도 봤으니까 기타치는거도 봐야져... ^^ file 변소반장 2000.10.09 3628
55 짱 환영파티... 2000.10.06 3620
54 Andrej Grafenauer (1958) 고정석 2000.11.14 3619
53 마리아 루이사 아니도(Maria Luisa Anido,1907- ) 1 고정석 2001.03.07 3586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Next ›
/ 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