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110.140.222) 조회 수 14101 댓글 0
[클래식 토크]

정준호: 지난달 디트로이트 심포니 오케스트라가 흥미로운 연주회를 열었습니다.
인간 대신 로봇 아시모(Asimo)가 이 교향악단의 지휘봉을 잡았죠.

김성현: 혼다가 만든 그 로봇 말인가요?

정: 예. 뮤지컬 《맨 오브 라 만차》의 삽입곡인 〈임파서블 드림(The Impossible Dream)〉을
지휘했다고 하죠. 지휘 동작은 나무랄 데 없이 유연했지만, 실은 이 악단의 교육 책임자인 찰스 버크의
동작을 6개월 전에 녹화해서 프로그램으로 만든 것이라고 합니다. 로봇 지휘자가 단원들의 반응까지
일일이 챙기는 시대에는 아직 이르지 못한 거죠.

김: 지휘자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스포츠 감독은 경기 중간 선수교체도 하고 작전 타임이라도
부를 수 있는데 지휘자가 연주를 멈출 수는 없잖아요?

정: 흔히 작곡가의 의도를 가장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이라고 하지만,
사실 말처럼 그리 쉬운 건 아니에요.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는 자신의 작품 〈죽음과 변용〉
을 푸르트벵글러의 지휘로 들은 뒤 "평생 내가 들었던 것 가운데 가장 훌륭한 연주였다.
때때로 내가 작곡한 대로 연주하지 않았지만 그 편이 더 좋았다"고 말했어요.
반면 라벨은 지휘자나 연주자들이 자신의 뜻을 왜곡하는 것을 참지 못해
"제발 해석하려 들지 말고 연주만 하라"고 말했죠.

김: 잘해도 욕먹고, 못해도 욕먹고…. 작곡가의 깊은 뜻을 알기란 쉬운 일이 아니군요.
가장 흔히 들을 수 있는 질문 가운데 하나도 '정말로 지휘자에 따라 연주가 다르게 들리느냐'는 겁니다.

정: 20세기 초반 지휘계에 양대 산맥이 있었어요.
독일의 명지휘자 푸르트벵글러와 이탈리아 출신의 거장 토스카니니죠.
토스카니니가 악보에 적힌 것에 충실한 연주를 강조해서 '객관주의자'라고 불렸다면,
푸르트벵글러는 악보의 행간을 읽어내는 데 지휘자의 존재 이유가 있다고 생각했어요.
한 악절(樂節) 내에도 템포가 들쭉날쭉한 경우도 있을 정도예요.

김: 들어보면 당장 둘은 확실히 구분이 되겠군요.


정: 그런가 하면, 뮌헨 필하모닉을 오랫동안 이끌었던 지휘자 첼리비다케는 다른 지휘자들보다
연주 시간이 통상 1.5배 길었어요.

김: '느림의 미학'을 대표하는 음악가군요.

정: '졸림의 미학'이 될 수도 있겠죠. 토스카니니는 작곡가의 의도에 충실한 것이 최우선이라고 말했지만,
구(舊)소련 작곡가 쇼스타코비치는 정작 토스카니니가 지휘한 자신의 교향곡 7번을 들은 뒤
'형편없고 흐리멍덩하고 진부한 연주'라고 비판했죠.

김: 정말 허탈했겠군요. 한 세기를 대표했던 지휘자조차 작곡가에게 퇴짜를 맞았는데,
청중들이 그 해석을 받아들이는데 '정답'이 있는 건 아니겠네요.

정: 직업적으로 지휘를 한 전문 지휘자의 첫 세대로 한스 폰 뷜로(1830~1894)를 꼽습니다.
브람스보다 3년 먼저 태어나 3년 먼저 타계한 뷜로는 브람스의 절친한 친구였고
브람스와 바그너의 주요 작품을 여럿 초연했습니다. 당시에는 살아있는 작곡가의 작품을 연주하는 것이
지휘자의 역할이었다면, 언젠가부터 과거의 음악을 재생 반복하는 데 그치고 있는 감도 없지 않아요.

김: 미래에 남을 고전을 발굴하고 알리는 것 역시 지휘자의 중요한 역할이라는 뜻이군요.

정: 결국 아시모에게 내줄 수 없는 우리의 마지막 자존심이기도 하고요.

[김성현 기자 danpa.chosun.com]

[정준호 음악 칼럼니스트 hanno21@hanmail.net]

[☞ 모바일 조선일보 바로가기] [☞ 조선일보 구독] [☞ 스크린신문 다운로드]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수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8-06-09 07:5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3 박자에 대해 질문 7 ZiO 2006.07.05 7082
312 밥할때 불의세기. 2 2003.11.16 7109
311 현악5중주 이야기 (2) - 모차르트편 3 1000식 2005.04.02 7123
310 J. S. BACH CHACONNE FROM PARTITA II, BWV 1004 - 제4부 쩜쩜쩜 2003.09.02 7126
309 고대 그리스의 테트라코드와 음계... 2 신동훈 2003.04.28 7133
308 나의 꿈, 나의 사랑 스페인음악 7 1000식 2004.09.14 7134
307 류트조곡 연주자소개.(사랑방님의 글) 2003.11.17 7154
306 [re] 바로크시대의 연주 스타일.... ^^ 5 eveNam 2003.12.19 7182
305 박두별 선생님... 12 지나가는띨띨이 2003.12.23 7189
304 바이올린소나타 BWV1017의 첫악장.... eveNam 2003.12.17 7217
303 오디오에서의 24 bit 기술 file np 2006.07.24 7232
302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file 정천식 2006.03.22 7234
301 한줄만 더. 37 ZiO 2004.09.18 7235
300 음악하는 사람이 공부를 못한다는 의견에 대해 - 음악의 천재들 에피소드 소개 3 으니 2006.09.06 7239
299 "tone" 에 관한 모토미와의 대화. 8 2005.07.11 7240
298 [까딸루냐 자장가] Mareta, mareta, no'm faces plorar 8 eveNam 2003.12.11 7244
297 투우장에 울려퍼지는 정열적이고도 우아한 음악(3) 3 정천식 2004.02.07 7245
296 3번째 개인레슨.....기타리스트가 노래를 잘 부르기 어려운 이유. 3 1000식님제자 2005.07.19 7250
295 안녕하세요. 숙젠데..^^; 도레미파 솔라시도.. 이름의 유래에대해 알고 싶습니다. 6 hesed 2004.04.06 7250
294 [re] 피아졸라의 음악은 과연 탱고인가 ? 51 gmland 2003.11.28 7257
293 피아졸라의 밀롱가 3 정천식 2003.11.28 7257
292 틸만 홉스탁연주 듣고...그리고 카를로스 몬토야.... 7 최성우 2001.06.06 7257
291 공개질문입니다요~ 52 기타사랑 2003.09.19 7262
290 타레가의 "무어인의 춤" 3 정천식 2004.03.10 7274
289 아! 『기타 화성학』1 10 com 2003.04.26 7287
288 영화음악 씨리즈 (2)... 골드베르크와 양들의 침묵... 6 이브남 2004.11.30 7290
287 J. S. BACH CHACONNE FROM PARTITA II, BWV 1004 - 제2부 쩜쩜쩜 2003.09.02 7296
286 아래 순정율과 평균율에 대한 짧은 이야기 16 최영규 2001.06.02 7299
285 그라나도스의 또나디야 - La maja dolorosa No.1 정천식 2003.12.26 7300
284 [까딸로니아 민요] La filla del marxant 4 file 옥용수 2003.12.10 7328
283 바루에꼬 마스터클래스 실황녹음(BWV996) 4 iBach 2003.06.29 7334
282 Fandango... 기타와 현악4중주... 4 이브남 2004.11.07 7337
281 La Guitarra California 2003 (후기) 7 bluejay 2003.10.28 7347
280 피하시온(fijación)이 무엇인가요? 3 궁금해요 2005.12.19 7362
279 Carloe Saura의 "Carmen" 정천식 2006.03.30 7365
278 Mikulka의 연주 - The toy soldiers 정천식 2003.12.07 7396
277 한 마리 새가 된 여인 - 로스 앙헬레스의 타계를 애도하며 9 file 1000식 2005.02.05 7418
276 [re] 비발디를 듣다...! (차차님 보세요 ^^) 3 신동훈 2002.11.02 7425
275 쇼팽의 백조의 노래 - 마주르카 OP. 68-4 4 1000식 2005.03.13 7447
274 피아졸라의 Oblivion(망각) 7 정천식 2003.11.29 7457
273 Dust in the wind - Kansas 1 gmland 2004.07.03 7466
272 음악과 수학(1) - 음악의 엔트로피 33 file bluejay 2003.11.20 7466
271 [re] 조선의 힘 15 2003.08.29 7503
270 ◈ 이 곡 제목 좀 알려주세요 1 file 쭈미 2006.03.27 7504
269 Stairway to Heaven 9 gmland 2004.07.02 7508
268 빌라로보스 연습곡 전곡 부탁드립니다. 9 file 기타초보 2005.08.08 7534
267 로드리고... 안달루즈 협주곡 25 file eveNam 2004.01.25 7535
266 현악5중주 이야기 (3) - 드보르작편 3 1000식 2005.04.04 7541
265 바흐작품목록 입니다~~ 한번 보세요~~~~ ^^ 1 1 lovebach 2002.04.03 7542
264 1월 16일 배장흠님 Recuerdos 연주회 후기 8 으니 2004.01.17 7543
263 Eduardo Fernandez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3 꺄하하^^ 2001.04.12 7580
262 1/f ???? ! 2 채소 2001.11.15 7585
261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file 정천식 2006.03.22 7594
260 후쿠다 신이치 공연 후기... 33 jazzman 2005.11.05 7626
259 마르찌오네 그의 사진 한 장 2 file 손끝사랑 2005.11.15 7640
258 바하의 기타음악이란 18 샤콘느1004 2006.02.27 7674
257 갈브레이스가 사용한 악기에 대하여 12 file 1000식 2004.09.13 7688
256 -- 제가 생각하는 갈브레이스의 샤콘느, 그리고 옜날 음악~ 26 오모씨 2004.09.14 7691
255 [re] (고클에서 펀글) 랑그와 빠롤이라... 글쓴이 표문송 (dalnorae) 고충진 2002.09.18 7705
254 Fantasia(S.L.Weiss) 에 대한 곡설명을 알고 싶습니다.( 뱅이 2004.08.12 7718
253 디지털 악학궤범 1 1000식 2006.02.28 7723
252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file 정천식 2006.03.22 7742
251 추억속의재회개머 sadaa 2014.02.24 7744
250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file 정천식 2006.03.22 7750
249 카를로 마키오네 연주회 후기 18 file 해피보이 2005.11.15 7764
248 ☞ 클라비어(Clavier)란... 5 신동훈 2001.06.01 7781
247 일랴나님... BWV1027-1029에 대해서!!! 3 신동훈 2002.01.28 7810
246 [까딸로니아 민요] El testament d'Amelia (내용추가) 1 file 옥용수 2003.12.10 7811
245 현악5중주 이야기 (4) - 슈베르트편 5 1000식 2005.04.05 7814
244 기타와 가장 잘 어울리는 악기는? 12 천지대야망 2003.06.27 7838
243 천사의 죽음 - Suite del Angel 5 file 차차 2004.01.05 7839
242 Dm 관계조 Scale 연습과 Chaconne (4) 1 file gmland 2003.04.10 7840
241 피아졸라의 대표곡은? 5 정천식 2003.11.27 7854
240 J. S. BACH CHACONNE FROM PARTITA II, BWV 1004 - 제5부(참고문헌) 9 쩜쩜쩜 2003.09.02 7861
239 BWV997 듣고싶어요~ 혹시 있으신분 올려주시면 안될까요~(냉무) 2 이승한 2001.07.02 7870
238 전지호의 음악백과사전 소개 1 file 1000식 2006.02.23 7890
237 F.J.Obradors 의 기타 협주곡을 아시나요? 2 해피보이 2005.05.18 7902
236 기타곡 중에 가장 어려운곡은? 4 으랏차차 2001.05.10 7938
235 정천식님께... BWV1025에 대한 견해입니다... 19 eveNam 2003.12.21 7961
234 쇼팽의 마주르카에 대하여 3 1000식 2005.03.12 7977
233 Bach의 푸가의 기법 12번에 대하여 7 file 정천식 2003.11.19 7987
232 클래식기타는 왜 일렉만 못할까?(퍼온글) 7 2002.01.23 8012
231 페라이어... 이건 에러야~ -_-; 3 file eveNam 2003.12.08 8032
230 역사상 최초의 녹음 - Mary had a little lamb. 1 file 정천식 2003.12.20 8041
229 사랑의 꿈 - 리스트 클레식기타로 연주한.. 4 박성민 2005.11.04 8053
228 segovia 샤콘느 51 file niceplace 2004.08.31 8110
227 히메네스 - 알론소의 결혼 4 정천식 2004.01.30 8131
226 Ave verum corpus... 내 사랑, 콘스탄체! 13 이브남 2004.10.25 8144
225 로르까의 <스페인 옛 민요집> 4 정천식 2004.02.06 8146
224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file 정천식 2006.03.22 8195
223 척추측만증... 1 아이고허리야 2015.04.14 8206
222 악상기호 x는 무슨뜻이죠? 6 으랏차차 2002.03.28 8216
221 [카르카시비판]수많은 악플과 비판에 맞아죽기를 고대하며... 35 기타리새디스트 2003.05.29 8252
220 전사(戰士)들의 땅 바스크, 그 소박한 민요 1 정천식 2006.03.17 8287
219 바흐의 역행 카논 1 file 정천식 2003.11.19 8333
218 Naxos 기타 컬렉션 中 명반은??? 11 세곱이야 2003.07.24 8336
217 첼로 3대 협주곡 반짱 2001.01.26 8368
216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1 file 정천식 2006.03.22 8372
215 자신의 순결을 뿔로 범하게 될 젊은 처녀 30 file 1000식 2004.09.16 8382
214 12월 6일 도메니코니 연주회 후기 - I'm just a guitar player. 6 으니 2003.12.08 8439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