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144.184.109) 조회 수 11455 댓글 11
대가들  연주곡들을 듣다보면 연주도중에 호흡 소리가 크게 들리는데요.
특히 첼로 연주에서는 '흡~' 하는 소리가 무지 크던데.
멋있어 보이기도 하여 따라 하려고 해 보았는데,
도저히 그러한 숨쉬는 부분에서 쉬어지지 않더라구요...

그리고 호흡과 기타 연주와 깊은관계가 있을것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보통 무협지를 보면 내공이 호흡과 깊은 관련이 있다는...
(만사를 무협지화 하다보니..ㅋㅋㅋ)

저는 연주 호흡을 기타로 노래부른다고 동일하게 생각하고,
쉽표부분이나, 프레이즈에서 숨을 들여 마시고,
연주중에 조금씩 내쉬는데,

특히 프레이즈가 없는 긴 연주부분에서 들여 마시는 공기가 항상 충분하지 못해서
중간에 숨을 쉬어버리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연주가 틀어지는것 같더라구요...

고수님들께서는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수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6-10-17 17:16)
Comment '11'
  • 콩쥐 2006.10.16 14:51 (*.80.23.42)
    저는 고수는 아니지만
    호흡에 관심이 많거든요...

    고딩때 연탄까스먹구 디지는줄 알았어요...
    호흡이 중요한줄 그때부터 눈치챘죠.

    음악에서는 그런 숨쉬기호흡보다는 음악적인 호흡이 아마도 관심사일텐데,
    어떤 음악이던지 그 음악적 리듬(호흡)이 있더라고요....
    그것은 박자와는 다른것이고 메트로놈이랑은 무쟈게 다른것이죠.
    그것은 리듬이고 호흡이죠.
    이 리듬을 타면 거기서 음악은 끝장을 보는거 같습니다.
    대가라는 말은 보통 그런경우에 우리들이 하게 되는거 같아요..리듬을 탄경우.

    흐름을 놓쳐도, 어물쩡해도, 연습부족해도, 손톱에 문제가 있어도, 간신히 외워서 연주해도,
    곡이 눈에 훤이 보이지 않아도, 맘속으로 노래가 절로 나오지 않아도, 전체가 보이지 않아도,
    어느 경우든 리듬을 탈 방법은 없다고 느껴집니다...
    그러니 리듬을 탔다는것은 모든 부분적인것이 다 해결된 상태를 뜻한다고 보여져요.
    명상쪽에서는 이것을 해탈했다고 하고,
    화투판에서는 타짜가 떴다고하고,
    음식에선 맛있다고하는거 처럼,
    종교에서는 절대자를 만났다고 하는거랑 같은게 아닌가 생각들어요.

    개개인의 호흡과 심장박동수의 차이는 전혀 상관없다고 느껴지는데
    이유는 느리던 빠르던 리듬만 타면 어느경우던 짱이거든요.....
    10월20날 딴 홍옥이나 10월 30일날 딴 홍옥이나 맛만 있으면 상관없쟈나요.

    걍 ...연탄까스먹은 뼈아픈 경험으로 한마디 하고 갑니다....
    그이후로 머리 무쟈게 나뻐진게 확실합니다.
    그전엔 전화번호 9자리도 한번에 다 외울 수 있었거든요.




  • bradpitt 2006.10.16 15:04 (*.231.202.53)
    넘 웃긴데.. 웃으면 안되는 건가요...
  • 차차 2006.10.16 16:15 (*.59.12.138)
    그런의미에서. 후안호 도밍게즈 아저씨 짱 !!!!!!!!!!!!!!

    (-_-)=b
  • jazzman 2006.10.16 16:42 (*.241.147.40)
    흠... 하수의 입장에선... 왼손, 오른손, 따라가는 것만도 머리 복잡한데, 숨 언제 쉴지까지 생각하다보면... 머리에서 쥐납니다. 전 그냥 호흡에 관해선 암 생각도 안하는데요. 연주하다가 숨이 차지는 않는 걸 보니 대충 알아서 쉬고 있나봅니다. ^^;;;;

    레코딩 등에서 숨소리가 조금 거칠게 들리는 순간은... 제 느낌으론 단순한 호흡이라기 보단, 일종의 기합 소리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만... 기를 모을 때 얍! 하고 소리를 지르지 않습니까... 그렇다고 연주하면서 소리를 지를 순 없고 그걸 숨을 확 모으는 걸로 대신하는 게 아닐까... 하는 짐작만 해봅니다. 제가 알 수 있는 경지는 도저히 아니라서... ^^
  • 차차님 2006.10.16 16:59 (*.80.23.42)
    콩순이님이 도밍게즈음반 3장 몇일전 오셔서 빌려갔으니
    하는김에 님것도 **해달라고 메일 해 보세요....공시디 보내준다고 하고...
  • 밀롱가. 2006.10.16 17:30 (*.144.184.109)
    저는 한장짜리 악보인데도 연주 하다가 숨이 "컥"하고 차는경우가 많더라구요. (힘이 달려서 그런가??)
    아무래도 고수이신 jazzman님은 호흡에 관련해서는 초월 하셨나 보군요...
    초월하고 연주하시니 말이죠...

    차차님, 후안도밍게스 꼭 들어보겠습니다.

    그리고, 연탄가스는 저의 친형도 중학교때 부엌에서 목욕하다가 연탄가스 마셔서 다운된 적이 있었는데...
    콩쥐님도... ... 연탄가스 중독에 그런 부작용이 있었군요.
  • 누룽지 2006.10.16 18:36 (*.192.142.82)
    호흡. 녜... 아주 좋은 화두라고 생각됩니다.
    성악하는 사람들이나 부는 악기를 다루는 사람들은 호흡 무쟈게 신경 쓰는데..
    기타 치는 사람들은 별로 신경 안쓰는 거 사실인것 같아요.
    그래서 어떤 프로 기타리스트는 (누군지 까먹었슴다..)
    악보에 어디에서 숨을 쉴지 아예 숨표까지 표시해서 연습한다고 그러더군요.
    호흡이 깊지 길지 않으면 연주도 조급하고 경박해질 것 같아요.
  • 열쇠 2006.10.16 19:05 (*.107.250.120)
    호흡은 무슨 종류의 일을 하던, 무슨 상황에 놓여 있건,
    그 일에서의 성공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기타도 당연하죠.
    특히 한쪽 다르를 올린 기본 자세가 깊은 호흡을 방해하는 자세이므로,
    요걸 여하히 극복하느냐가 성공의 열쇠라고 할 만합니다.


  • 하늘다래 2006.10.16 22:20 (*.143.219.8)
    어떤 악기로 연주를 하던간에 호흡은 이루어지겠지만 아무래도 관악기 보다는 호흡에서 필요성을 덜 느끼겠더라구요. 몇가지 관악기도 취미로 연습하는데 관악기의 경우는 호흡을 안지킬수가 없자나요. 중간에 숨 잘못쉬면 음이 끊어지구... 그런데 관악기를 제외하면 거의 숨쉬는데 지장이 없으니까 별로 신경을 안쓰는듯 하네요
    그렇지만 아주 무시할수 없는게 곡의 흐름에 따라 어느정도는 호흡이 따라가지 않나요? 느린곡에서는 좀 천천히 빠른곡에서는 숨쉬는 속도도 좀 자동적으로 빨라지는거 같던데. 곡의 흐름에 따라 곡을 살리려고 호흡을 맞추는 수준이 아직 못되서 대략 만족하고 산답니다...ㅎㅎ
  • 당배 2006.10.16 22:58 (*.110.162.22)
    아! 콩쥐님도 연탄가스땜시 머리에 영향을...
    저도 연탄가스 때문에 고등학교때 여러번 빠졌는데...
    그래도 콩쥐님은 저보다 양호하네요.
    저는 전화번호는커녕 주소의 번지 수 외우는데도 3년이 넘게 걸렸는디...불쌍타...

    호흡이요
    처음 기타배울때는 모르니까 그냥 했는데, 후에 ㅊ선생님께 기타를 배울때 호흡을 하라해서 조금 했거든요.
    처음엔 도무지 이해가 안갔는데 음이 흐르는데로~ 마치 지휘자자 연주자를 리더해가듯이~호흡으로 그렇게 ...하라말씀하셨는데... 조금은 하지만 저도 이런말할 자격은 없네요.
  • hochma 2006.10.18 20:05 (*.104.44.82)
    저 같은 경우는 호흡을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 합니다.
    저는 기본적으로 아주 어린 학생들을 레슨할때도 숨쉬는 곳을 정해주고 연습을 시킵니다.
    우리가 평소에 문장을 말할때 띄어서 말하는것과 마찬가지로 음악도 글과 동일하게 기본적으로 호흡을 바탕으로 선율들이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어색한 곳에서의 호흡은 음악의 구조를 망가뜨리는 일이 되겠지요.
    얼토 당토 않은 곳에서 숨이 끊어지면 당연히 음악도 단절 되는 느낌이 들거 같습니다.

    잠시 샛길로 빠지면...
    저 같은 경우는 플룻, 성악 하고 많이 같이 연주 했었는데 그런 경우 다른 연주자와 동일하게 호흡을 합니다.
    연주하는 동안은 두명의 연주자가 같은 호흡을 하는거죠.
    서로에게 완전히 집중하는 그 순간 만큼은 연인들이 느끼는 일체감 과는 또 다른 어떤 교감이 형성되는거 같습니다.

    호흡 잘하는 사람이 좋은 프레이즈를 만들어내는것 같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13 Lecture of Jordi Savall... Early Music Today... 9 eveNam 2003.10.11 6114
912 나의 연탄 이중주에 대한 거짓말 으니 2003.10.03 4900
911 "콤파냐 보칼레" 연주회 후기... 10 file eveNam 2003.10.02 6108
910 망고레에 대하여~ 23 file 2003.09.20 7021
909 공개질문입니다요~ 52 기타사랑 2003.09.19 7259
908 [re] ★★★ 조국을 사랑한 바리오스 망고레 ( 글 & 번역 gmland ) 완결판 ★★★ 2 2003.09.16 5689
907 파가니니의 기타와 바이올린을 위한 대소나타[바이올린이 반주해주는] 좀 올려주세요. 1 메르츠 2003.09.07 8720
906 로드리고의 곡들좀 감상실에 올려주십시오... 2 손님 2003.09.06 5020
905 Cuban Landscape with Rain verve 2003.09.04 5661
904 [re] 나누어서 번역할 자원봉사 찾습니다. 7 gmland 2003.09.04 5197
903 ★★★ 화음의 진행 27 file bluejay 2003.09.03 8577
902 전체적으로는 공감합니다만 약간... 오로라 2003.09.02 4614
901 J. S. BACH CHACONNE FROM PARTITA II, BWV 1004 - 제5부(참고문헌) 9 쩜쩜쩜 2003.09.02 7860
900 J. S. BACH CHACONNE FROM PARTITA II, BWV 1004 - 제4부 쩜쩜쩜 2003.09.02 7124
899 J. S. BACH CHACONNE FROM PARTITA II, BWV 1004 - 제3부 쩜쩜쩜 2003.09.02 48204
898 J. S. BACH CHACONNE FROM PARTITA II, BWV 1004 - 제2부 쩜쩜쩜 2003.09.02 7289
897 J. S. BACH CHACONNE FROM PARTITA II, BWV 1004 - 제1부 쩜쩜쩜 2003.09.02 10508
896 [re] 무뇌중 어록중에서. 4 천지대야망 2003.09.01 6327
895 [re] 클래식은 리듬이 약하다는 논리에는 이견이 있습니다. 12 gmland 2003.09.01 6234
894 [re] 바하와 헨델, 바로크 - 약간의 딴지... ^^; 2 신동훈=eveNam 2003.09.01 5034
893 무뇌중 어록중에서. 44 B612 2003.09.01 8692
892 바하와 헨델, 바로크 7 천지대야망 2003.08.31 6370
891 무척 혼란스럽습니다. 자중들 하십시오 !!! 1 gmland 2003.08.31 6012
890 총평(디게 잼있어요) 3 B612 2003.08.31 4846
889 지극히 개인적인. 9 B612 2003.08.31 5418
888 [re] ★★★ 조국을 사랑한 바리오스 망고레 ( 글 & 번역 gmland ) 완결판 ★★★ 2 고정석 2003.08.29 8657
887 음악의 호불호에도 객관적 보편타당성이 존재하는가? 1 gmland 2003.08.29 5046
886 [re] 조선의 힘 15 2003.08.29 7502
885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6 아롱이 2003.08.29 5169
884 한국적인 것. 30 B612 2003.08.29 7046
883 음악에서의 호불호 6 2003.08.29 6317
882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28 B612 2003.08.29 5236
881 . 13 . 2003.08.28 6006
880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13 B612 2003.08.28 5071
879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10 B612 2003.08.28 4796
878 . 37 . 2003.08.27 5623
877 Agustín Barrios Mangore:The Folkloric, Imitative, and the Religious Influence Behind His Compositions by Johnna Jeong 2 고정석 2003.08.14 6746
876 [re] 코드진행님 질문과 답변 2 gmland 2003.07.29 4957
875 [re] 피날리 가진 분을 위한 피날리 악보 - 별첨 file gmland 2003.07.27 5044
874 기타-화성학이란 무엇인가? - 예제를 통한 코드의 이해 (2) 8 file gmland 2003.07.27 9825
873 이곡 제목 뭔지 아시는분? 7 차차 2003.07.24 5743
872 Naxos 기타 컬렉션 中 명반은??? 11 세곱이야 2003.07.24 8333
871 기타-화성학이란 무엇인가? - 예제를 통한 코드의 이해 (1) file gmland 2003.07.24 13899
870 또 질문 있습니다...^0^ 33 file 아랑 2003.07.20 6529
869 페르시안마켓에 대해서.. 2 케텔비 2003.07.19 8663
868 [re] 루이스 밀란의 파반느요.. 4 루이스 2003.07.19 5100
867 루이스 밀란의 파반느요.. 3 루이스 2003.07.19 4914
866 [re] 2001년 9월 1일자 외국어대 영자신문중에.... 5 seneka 2003.07.18 5005
865 [re] Guitar의 정의 - 번역 19 gmland 2003.07.18 5086
864 Guitar의 정의 - The Guitar 5 일랴나 2003.07.18 5523
863 [re] 채소님, 음악에 대한 인용구 번역입니다. 2 gmland 2003.07.16 4795
862 [펌] 피아졸라에 관한 글 3 삐아솔라 2003.07.16 6672
861 [re] 트레몰로. 5 기타 이상자 2003.07.16 5569
860 Music Quotes.. 채소 2003.07.15 15845
859 멋있게 해석좀 해주세요.. 94 아랑 2003.07.15 6512
858 퐁세의 발레토 5 iBach 2003.07.01 5982
857 바루에꼬 마스터클래스 실황녹음(BWV996) 4 iBach 2003.06.29 7332
856 [re] 7화음의 이름 2 file gmland 2003.06.29 6759
855 장화음과 단화음의 비밀 28 file Bluejay 2003.06.29 10397
854 기타와 가장 잘 어울리는 악기는? 12 천지대야망 2003.06.27 7834
853 기타 하모닉스에 관한 물리학적 접근 2 익제 2003.06.23 5905
852 트레몰로. 2 2003.06.23 4792
851 음악도 분명히 현재의 모습을 반영하는 곡들이 지금가득합니다. 9 cool 2003.06.23 4286
850 바루에꼬 마스터클래스 실황녹음(아랑훼즈협주곡) 5 iBach 2003.06.21 4978
849 바루에꼬 마스터클래스 참관기 13 iBach 2003.06.21 5167
848 야마시타 11 천지대야망 2003.06.20 5242
847 현대음악이란 이런걸 말하는게 아닐까요? 14 2003.06.19 5925
846 칼카시 토론을 하면서....... 14 gmland 2003.06.18 4799
845 정규 소품은 연습곡이 되지 말아야 할 이유가 있을까요? 7 gmland 2003.06.17 4788
844 토론실에 있는, 저작권에 대한 글들에 관하여 10 gmland 2003.06.14 5233
843 음악의 예술성과 과학성, 음악과 음학 10 gmland 2003.06.11 5915
842 코드... 2 얼떨결에지나가는넘 2003.06.10 5287
841 마누엘 바루에꼬 마스터클래스(前記) 8 iBach 2003.06.10 5406
840 ★ Krystian Zimerman 마스터 클래스 후기 ★ 28 으니 2003.06.09 5574
839 카르카시 교본에 대하여....제 생각에는...^^;; 6 망고레 2003.06.07 6543
838 제가 야마시타를 좋아하는 이유는,,,, 5 seneka 2003.06.06 4855
837 카르카시교본비판에 관하여3 4 기타방랑자 2003.06.04 4712
836 [re] '뺑뺑이' 얘기 나온 김에..... 18 file 아랑 2003.06.04 4889
835 카르카시교본비판에 관하여2 6 기타방랑자 2003.06.04 5182
834 이것보쇼... 3 기타새디스트 2003.06.04 4764
833 제가 생각하는 카르카시. 12 file 아랑 2003.06.04 5891
832 카르카시교본비판에 관하여 6 기타방랑자 2003.06.03 5603
831 [re] 고수님들이 음악을 들을때요.. 1 cool 2003.05.31 4992
830 [re] 고수님들이 음악을 들을때요.. 12 고수(?)임 2003.05.31 4724
829 [re] 고수님들이 음악을 들을때요.. 1 고수아님 2003.05.31 4617
828 고수님들이 음악을 들을때요.. 8 she 2003.05.31 4886
827 [카르카시비판]수많은 악플과 비판에 맞아죽기를 고대하며... 35 기타리새디스트 2003.05.29 8246
826 고정도법과 이동도법 - 음명과 계명 7 gmland 2003.05.28 9235
825 [re] 질문입니다.. 46 seneka 2003.05.27 5837
824 아람브라, 화성진행 및 프레이징 (3) - 총론 끝 gmland 2003.05.26 5613
823 좋은 자료를 올리셨네요^^감사 1 narsis 2003.05.24 5371
822 아람브라, 화성진행 및 프레이즈 분석과 프레이징 (2) 10 gmland 2003.05.23 5589
821 아람브라, 화성진행 및 프레이즈 분석과 프레이징 (1) 10 file gmland 2003.05.21 8537
820 [re]프레이징을 어떤 수단으로써 어떻게 처리하나? (2) - she님의 질문에 대한 답글. 7 gmland 2003.05.19 5205
819 [re] 프레이즈는 이 것입니다. (1) 5 gmland 2003.05.16 5115
818 프레이즈가 뭐지요? 10 바실리스크 2003.05.15 6774
817 요즘 누가 세고비아 듣느냐구요?? ㅠ_ㅠ 10 아랑 2003.05.14 6446
816 베토벤시대에 일반서민은 베토벤 만나기 힘들었다. 3 2003.05.13 4906
815 [re] 화성학은 바하요, 바하는 화성학일 겁니다. 22 gmland 2003.05.13 6460
814 gmland 님께... 13 아랑 2003.05.13 6039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