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27.72.62) 조회 수 6573 댓글 3
audioguy님의 글을 퍼온것입니다.

기술의 진보 때문에 사라지는 것들이 아쉬울 때가 있습니다.
비행기가 생겨서 여객선 여행의 낭만(?)이 사라졌고,
휴대폰이 생기는 바람에 애틋한 기다림 같은 것도 없어졌고...
씨디가 생기는 바람에 엘피판을 소중히 닦고 세심하게 조정된 턴테이블 톤암을 살포시~ 얹으면서
번쩍이는 엘피판이 돌아가는 것을 보는 낭만도 사라졌죠.
서서히 달아 오르는 진공관 불꽃을 바라보며 음악이 울리는 것을 기다리는 느낌도 좋았는데.....

그러나 트랜지스터 앰프가 진공관 앰프보다 앰프 본연의 기능에 더 충실하며
씨디가 엘피보다 음향 신호의 기록에 더 충실한 것은 사실입니다.
트랜지스터 앰프나 씨디의 출현이 생산 단가를 낮추기 위한 목적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한 때 뉴스거리가 되었던 대구 엠비씨 프로그램은 그런 결론을 내리기에는 너무 부족합니다.
그리고 수작업으로 해야 만들어야 더 좋은 제품도 있겠지만
앰프를 수작업으로 만들어서 좋을 이유가 없습니다.
위의 앰프처럼 기판을 사용하지 않고 배선만 사용해서 만들어서 좋을 이유도 전혀 없지요.
재미난(재미 안 날 수도 있겠지만) 이야기 한가지 더 해드리자면
20년대 쯤 마이크로폰이 나와서 최초의 전기 녹음을 한 디스크가 나왔습니다.
그랬더니 그 당시 레코드 애호가들이 '이제 레코드에서 영혼이 사라졌다'라고 한탄을 했답니다.
그 이전에는 연주가나 가수들이 커터에 붙은 나팔통에 직접 대고 노래나 연주를 했거든요.
그리고 50년대에 PVC 재료인 엘피가 나왔을 때
SP 카본판을 듣고 있던 애호가들이 엘피의 소리가 안 좋다고 맹비난을 했답니다.
베토벤 교향곡을 한곡 들으려면 판을 열몇장씩 갈아 부쳐도 엘피보다는 그게 소리가 좋다고 했지요.
그리고 스테레오 음반이 나왔을 때도 마찬가지로 비난을 퍼 부었습니다.
옛 물건에 대한 향수, 익숙했던 것에 대한 그리움... 이런 것도 의미가 있겠지만
때로는 과거의 것을 과하게 미화하게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디지탈 녹음에 대한 오해가 너무 심해서 제가 한마디 거들지 않을 수가 없네요.
자, 아날로그 애호가들께서 좋아하신다는 엘피나 릴테이프를
현재의 CD 표준인 44kHz 16bit PCM으로 복사한다고 합시다.
그런 다음 엘피나 릴테이프의 소리와 복사 CD의 소리를 구별할 수 있을까요?
없습니다. 그만큼 현재의 디지탈 녹음
방식은 완벽에 가깝고 극히 투명한 것입니다.
어떤 것이 음원이든지 극히 충실하게 기록할 수 있는 방식인
것입니다. 아날로그 기술로 도저히 달성할 수 없는 경지입니다.
씨디의 소리가 나쁘다면 녹음 대상인 음원에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디지탈이기 때문이 아닙니다.

아날로그는 자연스럽고 디지탈은 인위적이고 부자연 스럽다?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디지탈 녹음 방식을 공부해보시면 이 방식이 얼마나 자연스러운 것인지 아시게 됩니다. 연속성이 없다는 이야기도 전혀 사실이 아닙니다.
디카와 필카의 차이에 대한 이야기는 좋은 비유가 아닙니다.
아날로그 녹음 방식은 녹음 매체의 한계 때문에 녹음 대상 음원이 상당히 손상됩니다.
강약의 압축이나 잡음, 찌그러짐의 혼입, 그리고 회전 매체의 회전 불규칙에 의한 음정 불안정이 불가피 합니다.
그래서 과거의 음악가들이 오디오로 듣는 음악을 통조림 음악이라고 했지요.
원음의 맛이 크게 손상될 수 밖에 없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씨디가 나온 후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가 이야기 했지요.
이제는 레코드만 들어도 어느 오케스트라가 일류인지 이류인지 알 게될 것이다...
제가 엘피를 애지중지 하시는 애호가들께 권하고 싶은 것은 엘피 소리를 씨디로 복사해 놓으시라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시면 엘피를 반복 플레이 하여 엘피가 상하는 것도 막을 수 있고 좋아하시는 엘피의 소리를
무한정 반복 청취 하실 수 있습니다. 조금만 공부하시면 그 방법을 배우실 수 있습니다.
엘피도 보호하시고, 디지탈 녹음 공부도 하시고...

디지탈 녹음은 우선 아날로그 음원을 샘플링하고 그것을 디지탈 부호화하여 기록합니다. (AD 변환)
이 부호가 기록된 매체가 보급되면 그것을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복원합니다(DA 변환).
씨디 표준인 44KHz 16bit PCM 방식은 원음인 아날로그 음원을 매우 충실하게 기록 재생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그 아날로그 음원이 어떤 것이든 마찬가지 입니다.
그래서 엘피의 소리 역시 완벽에 가깝게 디지탈 복사를 하여 청취자가 전혀 구분하지 못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아날로그의 '신비함' 역시 디지탈 복사가 된다는 것이지요.
그리고 다른 이야기이지만 악기들의 소리는 구형파로 전달되지 않습니다.
악기의 종류에 따라서, 연주되는 음정에 따라서 전혀 다른 음향 방사 패턴을 갖습니다.
스피커의 한계, 마이크로폰의 한계, 그리고 녹음 장소와 재생 장소가 다른 문제,...
이런 것들이 하이파이 오디오의 한계로 남아 있습니다.


(자유게시판에 아날로그에 대한 글에서
audioguy님의  디지털에 대한  간단의견을  
칭구분들의 공부에 자료로 남기기위해 퍼왔습니다.)  
Comment '3'
  • schnabel 2006.09.30 17:12 (*.148.138.55)
    덕분에 많이 배웠습니다.
    예전에 오래되서 기억이 나지 않지만 어떤 방송프로그램에서 cd와 lp, sacd를 식물에 들려주었습니다. 이중 CD를 듣고 자란 식물의 성장이 가장 낮았습니다. 또 한가지, 같은 곡을 CD와 SACD인지 LP인지 기억이 나지 않지만 한사람에게 들려주었을때 어깨힘의 정도가 달라지는 실험을 보여주었습니다. 청각이 다가 아니지 않을까요?
    아날로그를 디지탈로 환원하게 되면 양자화는 피할수 없는 선택일텐데 분명 본래의 정보를 상실하지 않을까요?
    예전에 같은 연주자 , 같은곡 같은 레이블,, 하나는 LP, 하나는 CD,, 이를 비교감상했을때 그 차이는 굉장히 차이가 났습니다.
  • 2006.09.30 19:30 (*.60.235.192)

    십수일전에" 배철수의 음악캠프"에 모 라디오 방송국 PD 가 게스트로 참여 했었습니다.
    라디오방송국에서만 20년을 근무했다고 합니다. 그분의 말인즉 ... 요즘 라디오방송은
    거의 음원을 컴퓨터하드저장으로 방송하는데 자신이 십수년전에 LP나 릴테이프로 틀어
    방송할때의 음질에는 못미치는것 같다고 하더군요. (배철수씨는 잘모르겠다고 함 ^_^ ;;)
    그것이 예전것에 대한 향수에서 기인한것인진 모르겠으나 시사하는 바는 있다고 봅니다.
  • 아나로그 2006.11.26 20:02 (*.152.115.66)
    카세트 테이프도 릴의 변행인데 어찌 그 음이 확연히 차이가 날까요..
    물론 테입의 넓이 녹음의 속도 그런 문제가 있겠지만 아날로그가 그립내요..
    예전에 천일전자가 만들 모델명 에로이카(CD9000)가 그리워 지내요. 이놈 분명 소리 좋은놈 이었는데..
    아 ..천일전자..의 "에로이카"..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13 ☞ 울트라 인스트루먼트!! 왕초보 2001.02.09 4321
1012 ☞ 위에 님 말씀중 한부분...... 명노창 2001.02.02 4089
1011 ☞ 음악?? 7 채소 2001.08.23 4997
1010 ☞ 이 사람을 아시는지? 1 딴따라~1 2001.04.17 4398
1009 ☞ 이곡은 유명한 일렉기타버전도 있습니다. 왕초보 2000.10.24 4676
1008 ☞ 저는 견해가 좀 다르군요. 4 셰인 2001.05.20 4432
1007 ☞ 저도 초보입니다. 많이들 도움주시기를...꾸벅... 김웅찬 2000.10.24 4128
1006 ☞ 저도요... 비도비치팬 2001.02.09 4511
1005 ☞ 저두^^ 오모씨 2000.11.28 3991
1004 ☞ 전 실제로 가봤는데여.... 음... 2001.01.19 3861
1003 ☞ 제 생각에는... 3 木香 2001.08.13 4856
1002 ☞ 제 잡문 넘 신경쓰지 마세여 셰인 2001.01.15 4037
1001 ☞ 조금 다른 내용이지만... 4 서정실 2001.05.19 4253
1000 ☞ 존 윌리암스와 그렉 스몰맨 미니압바 2001.01.26 5102
999 ☞ 존경하는?....형서기님....보셔.. illiana 2000.12.26 4063
998 ☞ 좋은 기타 음색이란...? 1 2001.07.04 5955
997 ☞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1 서정실 2001.08.17 4356
996 ☞ 처음 맛의 고정관념... 9 행인7 2001.06.29 4447
995 ☞ 쳄발로로 연주된 곡모음..퍼온글 2000.11.27 6215
994 ☞ 컴에서 음악(파일)을 들을때 .... 2001.01.19 4523
993 ☞ 클라비어(Clavier)란... 5 신동훈 2001.06.01 7814
992 ☞ 트레몰로는 타레가의 발명품? 09 2001.03.31 4423
991 ☞ 푸가여??? 푸가를 말쌈하십니까??? 신동훈 2001.06.01 4292
990 ☞ 푸가의 기법... 1 채소 2001.08.05 6401
989 ☞ 한가지만 참고로 언급하면요... 문진성 2000.12.11 4270
988 ☞ 형 장흠 영산아트홀연주..여깃어.. 오모씨 2001.02.13 4552
987 ☞ 혹시 도움이 되시기를... 김웅찬 2000.10.25 4074
986 ☞ 확실히... 공감 2000.12.03 4054
985 ☞:NAXOS음반 정말 싸여. 2000.10.07 4604
984 ☞:NAXOS음반 정말 싸여.NAXOS는원래저가형시디전문회사.. 원제원제 2000.10.13 4307
983 ☞:NAXOS음반 카타로그를 구하는 방법 illiana 2000.10.07 4772
982 ☞:[급구] 거트현으로 연주한 음반. 빌스마.. essene 2000.10.14 4480
981 ☞:골루세스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illiana 2000.10.07 4619
980 ☞:그남자와 그여자의 사정...이런 것을??? 형서기 2000.08.30 5210
979 ☞:당신 음악못듣게하면? 여우 2000.07.05 4887
978 ☞:당신 음악못듣게하면? 이승한 2000.07.26 4735
977 ☞:무조건 일단 환영........환영...짝짝짝... 명노창 2000.10.19 4161
976 ☞:바루에코의 최신 소식은.... 미니아부지 2000.10.20 4489
975 ☞:승한님 두번째 부탁입니다. 2000.07.26 4784
974 ☞:야마시타의 비디오를 보고..저악보 있어요 hochma 2000.09.04 4988
973 ☞:왕야맹때문에 디지게 혼났쟈나... maria 2000.09.21 4686
972 ☞:저... 어떻하면 아르페지오를 잘할 수 있나여? 은석 2000.10.06 4798
971 ☞:지우압바의 음악듣기..... 변소반장 2000.10.16 4718
970 ☞:최근 왕야맹 소식... 퍼온글..저... 씨디 보내주신다구여? 저요!저요! essene 2000.10.14 4171
969 ☞:캬!!!!!! 죽이는 Bylsma의 Cello Suites...2장짜리? 영자 2000.09.17 4686
968 ☞:현대 미술작품은 어떻게 감상하시나요? 신정하 2000.09.25 4848
967 ☞:현대기타음악에 대한 저의 생각들 왕초보 2000.09.26 4871
966 ☞:현대기타음악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요? 지우압바 2000.09.25 4634
965 ☞:화가로 전향했을껄.... 나그네 2000.07.05 5038
964 ☞bwv1000번 푸가에 대해 고정석 2001.03.11 4188
963 ☞갈브레이스의 하이든 소나타엘범 changs 2000.12.15 4767
962 ☞기타연주 2 file 민성 2001.08.10 5443
961 ☞문제제기가 좀? gaspar 2001.02.02 4310
960 ☞미니압바님 정말 감사합니다...질문 하나만 더요!! 왕초보 2001.03.13 4176
959 ☞여기까지...(내용 없음) 아라 2001.02.21 4209
958 ☞지우압바에게 보내는 경? gumpjang 2000.10.25 4312
957 世네car.... 님....이 궁금해 하시는 것들... 17 eveNam 2003.12.19 5354
956 가사 내용 및 배경 정천식 2003.12.26 5110
955 가사의 얽힘과 그 이후의 역사적 전개과정 정천식 2003.12.28 4975
954 가장 권위있는 국제 콩쿨이었던 파리 기타 콩쿨의 軌跡(1) 미니압바 2000.11.01 5362
953 가장 연주하기 어려운곡은? 1 채소 2001.08.16 6137
952 가장 중요한 건. 눈물반짝 2000.12.18 4542
951 각 조성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신동훈 2000.12.22 4705
950 갈브레이스가 사용한 악기에 대하여 12 file 1000식 2004.09.13 7714
949 갈브레이스의 샤콘느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세요? 43 file 1000식 2004.09.13 9276
948 갈브레이스의 연주 모습 5 file 1000식 2004.09.13 6243
947 감동을 주는 연주를 하려면 ? 34 np 2005.11.23 9011
946 감상-연주가 또는 레파토리 선택 이세원 2001.03.20 4534
945 강추!!!] 괜찮은 실시간 클래식 방송 사이트 5 illiana 2001.05.20 6984
944 거럼 고롬 2000.07.06 4842
943 거문고, 가야금 음반 소개해주셔요. 2000.11.04 4617
942 거트현 집에서 직접 만들면 안돼나여? 지영이 2000.10.11 4448
941 거트현 추가... 형서기 2000.10.10 4247
940 거트현요? 변소반장 2000.10.10 4545
939 게시판 제대로 안찾아올리면.... 2000.12.25 4214
938 결정적 순간 야먀시타의 샤콘느 2000.12.07 4162
937 결혼식같은 곳에서 축가로 연주해줄수 있는 곡 어떤게 있을까요? 11 화음 2002.01.13 5349
936 고대 그리스의 테트라코드와 음계... 2 신동훈 2003.04.28 7163
935 고대지명과 음계에 관한 단상... 7 신동훈 2003.04.22 10686
934 고대지명과 음계에 관한 단상... 4 신동훈 2003.04.22 5628
933 고려해 보겠습니다. 지우압바 2000.10.17 4270
932 고맙습니다! 잘 듣겠습니다! (냉무) 반짱 2000.12.25 4111
931 고석호선생님 감상실의 연주자 소개 좀 부탁드립니다 진짜초보 2000.11.10 4539
930 고선배님 홈페이지에 무라지가오리 연주실황이 있네요^^ 2 illiana 2001.05.25 4179
929 고수님들이 음악을 들을때요.. 8 she 2003.05.31 4919
928 고은별님 반갑습니다. illiana 2000.09.16 4505
927 고은별님 반갑습니다. maria 2000.09.16 4433
926 고은별님 아직 사지 마셔요. 2000.09.16 5001
925 고음악에 대한 좋은 싸이트를 소개합니다. 신정하 2001.11.29 4922
924 고정관념을 버리시구... 신동훈 2001.03.20 4252
923 고정도법과 이동도법 - 음명과 계명 7 gmland 2003.05.28 9282
922 곡 선정을 해 주셩~~~ㅇ` 4 qball 2001.05.02 4935
921 곡 외우기... 5 채소 2001.06.10 5192
920 곡에 맞는 분위기.... 애기엄마. 2001.05.21 4345
919 골루세스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김소희 2000.10.05 4969
918 곰팽이 천하통일 곰팽이 2000.11.11 4188
917 공개질문입니다요~ 52 기타사랑 2003.09.19 7292
916 괜찮으시다면 몇가지 짚어보겠습니다. 신정하 2000.09.26 5048
915 구하기 쉬운 거트현으로 연주한 음반! 여페빵~짱 2000.10.09 4494
914 궁금한게 있는데... 5 지얼 2001.05.24 4299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