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06.02.27 22:34

바하의 기타음악이란

(*.21.122.74) 조회 수 7669 댓글 18
전문가는 아니지만 정말 바하곡들은 대단한거 같아요
예전에 연주회때 구경가면 바하곡은 다 지루하게만 느껴지고 그랬었어요 사실
귀에 쏙 들어오지 않더라구요 첨에는..
마치 팝을 좋아하고 댄스음악을 좋아하는 사람이 롹이나 재즈를 싫어하는것처럼
그런데 바하곡은 정말 들으면 들을수록 또다른 기타의 세계를 표현하고있다는걸
느낍니다. 제가 즐겨 듣는 브림의 바하시리즈 ..샤콘느가 들어있고 998,1006 시리즈가
들어가있는 이 음반은 처음에 사고는 좀 후회를 했었는데 ..얼른 귀에들어오지않아서
그런데 들으면 들을수록 곡에 이야기가 담겨있고 거기서 모든감정이 다 담겨져있구나
하는걸 느끼게되었습니다,.
마치 구수한 트로트처럼 저에게는 이제 바하곡이 너무도 친숙해지고 좋아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직접 연주해보면 그 맛을 살리기란 도데체 너무 어렵다는것
전공을 하지않는 이상 제대로 표현하기가 어렵다는걸 무지하게 많이 느끼고있습니다.

여기서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
도데체 바하의 곡은 전부 몇곡이나 되나요
곡명도 상당히 길고 작품번호가 쭈루룩 달려있는데
몇번부터 몇번까지 있나요
BWV 란 무엇을 뜻하는건가요

일반에는 바하라면 음악의 아버지.. 바로크시대의 음악가 정도로 알려져있는데
클래식기타곡을 수없이 작곡했다는 사실은 잘 모르자나요
바하도 직접 기타연주를 했나요..뛰어난 연주자였을까요
가발 큰거 쓰고있는 모습만봤지 기타를 들고있는 모습이나 그림은 본적이 없는데

너무 무식한 질문이 아난지 ㅋ
* 수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3-02 08:57)
Comment '18'
  • pain69 2006.02.27 23:01 (*.84.117.197)
    http://www.greatjsbach.net/
    이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바흐에 대한 자세한 것들을 알 수 있습니다.
    이곳 운영자님께서, 거의 모든 바흐의 곡들을 들을 수 있게 해 놓으셨습니다.
    기타 바흐 관련 자료도 많고요...
  • 오모씨 2006.02.27 23:01 (*.223.123.116)
    바하가 로베르또아우셀과 롤랑디용의 연주를 듣고 감동한 나머지
    기타조곡을 많이 남겨 지금 많은 연주자들이 연주하고 있답니다.
    그 대표적인 곡이 샤콘느인데 롤랑디용을 만나 얻은 영감을 담은 곡이라고 합니다.
  • 아랑 2006.02.27 23:04 (*.55.53.171)
    너무 광범위한 질문인데.. ^^
    일단 바하는 기타곡을 쓴 적이 없어요.
    현재 기타로 연주되는 995-1000, 1006a 는 류트를 위한 모음곡입니다.(여기에도 이설이 있긴 합니다)
    그걸 기타로 편곡해서 치는거죠. 현재 살아남아있는 발현악기는 기타와 하프뿐이니까요.
    위의 곡들의 깊이가 사실 다른 무반주 독주곡에 비해 약간 떨어지는 감이 없지 않습니다.
    그래서 1001번부터 뒤를 잇는 바이올린 파르티타, 첼로조곡을 편곡하여 많이 연주합니다..
    800번대의 키보드 모음곡이나 1013의 플륫 파르티타쪽으로 마수(?)를 뻗는 연주자들도 있구요..^^
  • 2006.02.27 23:27 (*.189.42.7)
    저도 세어 보진 않아서 잘모르겠는데
    하여튼 엄청난 양의 작품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바하의 작품 어느 하나도 수준이 크게 뒤떨어
    지는게 없다는 놀라운 사실입니다.

    그런데 실상 바하의 작품은 지금도 가끔 작품이 발견되고 있고
    바하의 작품이라고 알고 있는게 모작으로 드러난것도 많이 있습니다.

    바하는 궁중악장신분으로서 궁과 귀족의 의뢰 그리고 성당미사에 사용하기 위한
    곡을 의뢰받아 무수히 많은 작품을 작곡했는데 이것은 직업음악가로서
    당연히 그래야 했을겁니다.

    그러다보니 자신이 작곡한 곡을 악상은 그대로 두고 계속 변주형태로
    이곡 저곡에 사용했습니다. 어떤것은 거의 비슷한곡을 여러 악기에
    맞게 편곡을 하여 재사용하기도 하구요.

    그와중에 나온게 류트(기타의 전신으로 알려진 악기)모음곡 류입니다.
    그러나 류트작품은 그다지 많지 않고요 .

    바하는 클래식기타(류트)를 위한 음악은 거의 작곡을 한게 없는셈입니다.
    기존곡을 여러악기에 적용하여 실험해보는중에 탄생한게 류트조곡 류입니다.

    1004님이 들어신 바하시리즈는 거의 바하의 무반주첼로조곡.무반주바이얼린소나타
    그리고 류트조곡 몇곡 , 피아노(당시엔 하프시코드) 소나타류,평균률 ,몇몇 클라비어,
    쳄발로,오른간을 위한 작품 그외 미사곡 등등을 현대의 편곡자가 기타에 맞게 편곡한것일 겁니다.
    류트조곡 몇곡을 제외하곤 예시당초 기타를 위해 작곡된 곡은 없다고 보면 됩니다.
  • 1000식 2006.02.27 23:55 (*.164.249.133)
    BWV는 Bach Werke Verzeichnis의 첫 이니셜로 바흐의 작품 번호라는 의미입니다.
    이 정도는 인터넷 검색으로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

    그리고 오모씨의 허무맹랑함은 가히 무협지 수준입니다.ㅋㅋㅋㅋ
    조금 있으면 바흐의 기타 연주가 동영상으로 나올려나?
  • 이헌 2006.02.28 14:17 (*.79.30.6)
    오모씨형님...^^ 반갑습니다..기억하시지요
    지지난주... 배모씨형님 음악원에서 뵌...^^
    전 오모씨형님의 글이 진짠줄 알았잖아요.. 좀 이상했지만..^^
    그리고 천식 선배님도 넘 반갑습니다^^
    담에 안동 함 놀러갈께요^^
  • ㅎㅎ 2006.02.28 15:11 (*.197.99.118)
    오모씨님 넘 웃겨요 ㅎㅎ
  • 1000식 2006.02.28 15:12 (*.164.249.133)
    이헌 후배님~ 반가워요.
    담에 만나면 중앙동의 유명한 모밀국수 먹으러 가요.
  • 샤콘느1004 2006.02.28 16:17 (*.253.244.104)
    제가 많은 부분을 잘못알고 있었군요... 그럼 기타로 편곡한사람들은 누구죠
  • 샤콘느1004 2006.02.28 16:26 (*.253.244.104)
    pain69님 소개해주신데 들어가보니 정말 방대한 바하음악이 있네요 ...감사드립니다.
  • 아랑 2006.02.28 17:15 (*.144.22.172)
    그 곡을 연주한 모든사람들이 자신의 편곡으로 연주합니다.
    연주자마다 그래서 모두 편곡이 다릅니다. 편곡작업은 자신의 밑천을 그대로 드러내는
    살떨리는 한판 승부입니다.
  • 아랑 2006.02.28 17:20 (*.144.22.172)
    풍부한 화성에 주력한 세고비아 판..
    곡의 건축미에 중점을 둔 예페스..
    원보에 충실한 페페로메로와 윌리암스..
    가장 기타적인 테크닉을 과시한 앙헬 로메로와 니콜라 홀...
    왼손의 확장에 관계없이 4성부 구성에 비교적 충실하려 한 야마시타...
    모두 다릅니다..
  • 해피보이 2006.03.01 03:37 (*.137.102.169)
    그래서 저는 오늘도 제 마음에 드는 바흐곡 악보만 찾아서 헤메입니다. ㅋㅋㅋ 편곡자의 무한한 노력과 그 댓가를 다시 생각케 하는 이야기네요.
  • 고른이 2006.03.01 08:18 (*.143.153.196)
    바하의 칸타타 곡들을 클래식 기타로 찬양하는 것을 보면 클래식 기타의 목적이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졌다고 봅니다.. 특히 파크닝의 연주가 그 백미죠...
  • 봄 소리 2006.03.01 10:03 (*.169.79.131)
    말 그대로 음악의 아버지 입니다....

    아버지가 어떤 존재 입니까? 우리들 에게... 간단히 ㅎㅎㅎ

    모든 음악가는 바하의 영향을 받았죠. 음악의 매카니즘을 구성한 분...

    베에토벤 모짜르트 등..... 음악을 감상 하다보면 바하인듯한 부분이 있는데....

    클레식 작곡가 뇌리에 바하의 음악의 선입견이 있어요.

    전 바하를 너무 사랑 합니다... 영혼의 공감..
  • stardust 2006.05.27 02:27 (*.178.75.82)
    우와...저는 구경만 하다가..갑자기 공부도 하고 갑니다^^
  • 카오숭이 2006.05.27 13:55 (*.87.255.74)
    바흐 가문의 음악 역사는 르네상스부터 바로크시대까지 꽤 깊은데요 그 중 현대에 와서

    음악의 아버지라 불리우는 우리가 아는 바흐는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입니다.

    제바스티안의 경우는 어려서 음악에 굉장한 재능을 보였고 학교에서도 우등생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어려서 부모님을 잃은 바흐는 형에게 키워지게 되었고 그러한 사정에 부담이간

    형은 음악을 못하게도 했지만 바흐는 그에 굴하지 않고 음악의 한길에만 정진 하게 됩니다.

    위에 글을 보면 바흐가 여러 작곡가에게 영향을 많이 주었는데요, 그에 못지않게

    당대의 유명한 작곡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받게 됩니다.

    북독일(동독일?)의 유명한 작곡가이자 오르간 주자였던 디트리히 북스테후데의 경우는

    바흐의 오르간 곡들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요 (실제 많은 부분에서 귀에 들어옵니다.)

    이탈리아의 안토니오 비발디가 정립했던 협주곡의 형식에 영향을 받아서 더욱 발전 시킵니다.

    그리고 당대 독일 최고의 음악가였던 (그당시 바흐 보다 훨씬 인기가 많았죠) 필립 텔레만과

    교류를 통해서 음악의 발전을 이루게 됩니다. (텔레만은 6000곡이상 작곡한 작곡가이고

    현재도 많은 곡들이 연주되고 있습니다.) 바흐의 음악적 특징은 대위법을 많이 사용한

    작곡으로 유명하고요 바흐 전기와 후기의 음악적 특색은 약간 차이가 있습니다.

    (지명을 잘 외우지 못해서) 초기와, 쾨텐, 말기의 음악적 특색의 차이가 있습니다.

    바흐가 죽기 전까지 작곡한 곡들은 1080곡 정도로 알고 있고요(정확하게 푸가의 기법인지 음악의 헌정인지)

    죽기 전에 안과 수술을 받았는데 참 아이러니한것은 바흐에게 수술을 집도한 의사가 몇년뒤 핸델에게도

    같은 수술을 집도했고 음악의 아버지와, 어머니가 이후 얼마 되지않아 타계했다는 점입니다.

    (책에 보면 당시로서는 어려운 수술에 매우 불결한 방식으로 했다고 나와있던것 같은데요..)

    두서 없이 쓰다보니 여기까지 쓰게 됬는데 쑥쓰럽네요

    제가 추천을 하는 바흐곡들이 몇가지 있는데요 기타매니아는 기타 음악을 다루는 곳이라서

    우선 류트조곡이나 바이올린조곡 첼로조곡을 기타로 편곡한 곡들을 많이 접할 수 있을거라보구요

    그 외 추천하는 곡들은 클라비어 평균율곡집 1권(쾨텐) 2권(라이프치히)를 추천하구요 연주자는

    글렌 굴드(피아노) 구스타프 레온하르트(쳄발로)를 추천하구요 (푸가에 대한 계념을 잡을 수 있슴다)

    어떤책에 나온 글귀인데 한 평론가가 이렇게 말했다고 하더군요 "지금 전 세계의 도서관의 악보가

    불타 없어져도 클라비어 평균율곡집 단 두권만 남게 된다면 지구상의 모든 음악은 복원 할 수 있다."

    라고 한 어떤 평론가의 글귀가 생각이 나는군요 ("컴으로 저장 시켰는데" 라는 딴지는 걸지 마시길)

    그리고 골든베르그 변주곡, 오르간 곡집, 2성 인벤션과 3성 신포니아(대위법 이해하기 가장 쉽습니다.),

    영국조곡, 프랑스조곡, 바이올린 협주곡, 쳄발로 협주곡, 두대의 쳄발로를 위한 협주곡, 네대의 쳄발로를 위한

    협주곡(아들들하고 같이 연주하기 위해 만들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등등 너무 많은 작품들이 있기 때문에 눈에 띄는 데로 들으실 기회가 닿는데로 들어 보시길 바라고

    기타로만 바흐의 음악을 접하는 것은 상당한 무리라는 것을 생각하시면서 다양한 악기를 통한

    해석에 접근 하시길 바랍니다. 악기는 음악을 위한 수단이지 음악의 전부가 아니니까요..

    추천할 만한 책들은 (디스커버리) 천상의 선율 "바흐"와, 두번째 부인인 안나 막달레나 바흐가쓴

    회고록 내남편 바흐, 등등 자료는 많이 있고 또 인터넷에도 많은 자료들이 있으니 많이 참고 하시고

    위의 샤콘느 얘기는 좀 황당했는데 샤콘느는 바흐의 첫번째 부인이 죽었을때 즈음 작곡된 곡입니다.

    어떤 느낌인지 좀 참고 하시고 리플달지않고 지켜만 보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는것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BACH2138 2008.06.15 01:40 (*.190.52.77)
    이글도 참 좋군요. 김은호님 싸이트 이야기도 나오구요. 몇년 전인가 김은호님과 바흐 기타악보인가 이야기하다가 기타매냐를 추천하시던데, 그땐 무심결에 지났답니다. 왜 진작 미리 몰랐나 생각되네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3 ☞ ☞ 본인 글에 대한 본인의 대답 차차 2001.02.05 4014
312 ☞ ☞ 바루에코의 샤콘느. 1 채소 2001.05.11 4373
311 ☞ ☞ 미니디스크 녹음기 SONY MZ-R70PC 를 써 봤는데... 셰인 2001.02.02 4128
310 ☞ ☞ 러쎌미오님의 의견에 대하여 4 고정석 2001.04.07 4678
309 ☞ ☞ 내가 좋아하는 연주자 top5 1 가난한 유학생 2001.05.23 4317
308 ☞ ☞ 내가 좋아하는 연주자 top5 가난한 유학생 2001.05.23 4106
307 ☞ ☞ 나 또 울었쟈나......그게여.... 2000.12.17 4068
306 ☞ ☞ 김남중선생님의 논문 아라 2001.03.01 4434
305 ☞ ☞ 글쎄요...... 광범 2000.12.17 4167
304 ☞ ☞ ☞반론은 아닙니다만... 6 셰인 2001.05.11 4332
303 ☞ ☞ ☞bwv1000번 푸가에 대해 고정석 2001.03.11 4111
302 ☞ ☞ ☞ 이걸 언제 다 스캔하나여...-.- 윤서비 2000.12.16 4172
301 ☞ ☞ ^^ 감사..... 오모씨 2000.10.25 4048
300 ☞ ☞ Sunburst 를 좀 연습해봤는데요.... 안진수 2000.11.25 5772
299 ☞ ☞ #, b 가 다른 음인가요? (이명동음에 대해서...) filliads 2000.12.21 4334
298 ☞ The Best of LAGQ 2000.12.02 4287
297 ☞ Sunburst 를 좀 연습해봤는데요.... 안진수 2000.11.25 5229
296 ☞ NAXOS의 기타음반에 관한 이야기 매니악 2000.12.25 4186
295 ☞ NAXOS의 Laureate(월계관)시리즈 고정석 2001.02.24 4313
294 ☞ Feuilles d'automne op.41에 대해 illiana 2001.04.22 4125
293 ☞ copyleft라고 쓰는 이유는... 지우압바 2000.10.25 4225
292 ☞ Chaconne.. 롱롱 2001.05.21 4132
291 ☞ #, b 가 다른 음인가요? (이명동음에 대해서...) 지우압바 2000.12.21 6036
290 ★★★ 화음의 진행 27 file bluejay 2003.09.03 8569
289 ★ Krystian Zimerman 마스터 클래스 후기 ★ 28 으니 2003.06.09 5568
288 ^^ 그런거 같아요 망상 2000.12.14 3958
287 [화음] 그것이 알고 싶다. 42 금모래 2009.10.15 17235
286 [펌] 피아졸라에 관한 글 3 삐아솔라 2003.07.16 6671
285 [펀글] 편곡 연주에 대한 셰인님의 견해 형서기 2001.01.15 4025
284 [퍼온글] 녹터널, 리브라 소나티네등의 곡설명 1 왕초보 2000.11.10 4777
283 [퍼온글] 기타와 다른악기와의 쉽지않은 중주에 관하여...(오모씨님의 글) 5 2004.04.11 6228
282 [카르카시비판]수많은 악플과 비판에 맞아죽기를 고대하며... 35 기타리새디스트 2003.05.29 8237
281 [추천요망] 오케스트라로 연주되는 샤콘느. 눈물반짝 2001.02.16 4521
280 [추천도서] 기타奇打와 나눈 이야기.. 4 전병철 2001.06.08 4635
279 [추천도서] Power Performance 성공연주 어떻게 할 것인가 2 채소 2001.05.02 4360
278 [책소개] 스탠다드 팝송기타솔로 말괄량이 2000.06.20 5451
277 [질문]부에노스 아이레스조곡에 관하여 알고 싶습니다. 장재민 2001.08.22 4672
276 [질문]바하와 건축 3 으랏차차 2002.06.06 4818
275 [질문]고전파시대음악 딸기 2005.08.01 6735
274 [질문]Paco de Lucia의 Fuente Y Caudal 1 의문의 2004.04.30 5781
273 [질문] 바하 샤콘느를 연주하기 위한 기본 준비에는 어떤것이 있을까요? 40 밀롱가. 2008.03.03 17051
272 [질문] 난해한 현대음악을 어떻게 들어야 할까요? 13 익명 2003.05.12 4659
271 [읽을거리] 소녀와 베토벤 ...퍼온글... 1 채소 2001.05.04 4395
270 [요청] 브라우워의 곡중 Suite No.2 Mebae는? 6 file 옥용수 2004.04.12 6175
269 [업그레이드판] 파리콩쿨 역대 입상자 명단(2): 1976-1987 미니압바 2000.11.09 4516
268 [업그레이드판] 파리콩쿨 역대 입상자 명단(1): 1959-1975 미니압바 2000.11.08 4566
267 [아우셀의 비밀] 무대에서 결코 곡을 까먹지 않는 방법 - 로베르토 아우셀 인터뷰 14 으니 2005.02.20 16143
266 [모셔온글] 피아노 이야기에서 - 러셀셔먼 4 밀롱가. 2007.09.03 12933
265 [딴소리] 러시아 그리고 스키..... 2000.10.28 5030
264 [눈으로듣는음악이야기] 쳄발로, 사방에 별 으니 2002.07.05 4559
263 [까딸루냐 자장가] Mareta, mareta, no'm faces plorar 8 eveNam 2003.12.11 7240
262 [까딸로니아 민요] La pastoreta 10 file 옥용수 2003.12.10 6459
261 [까딸로니아 민요] La nit de Nadal file 옥용수 2003.12.10 5621
260 [까딸로니아 민요] La filla del marxant 4 file 옥용수 2003.12.10 7318
259 [까딸로니아 민요] La filadora 2 file 옥용수 2003.12.10 6057
258 [까딸로니아 민요] L'hereu Riera file 옥용수 2003.12.10 5474
257 [까딸로니아 민요] El testament d'Amelia (내용추가) 1 file 옥용수 2003.12.10 7807
256 [까딸로니아 민요] El Noi de la mare file 옥용수 2003.12.10 4969
255 [까딸로니아 민요] El mestre file 옥용수 2003.12.10 5937
254 [까딸로니아 민요] Canco del Lladre 5 file 옥용수 2003.12.10 6348
253 [기사] 국제 음악콩쿠르 韓-中-日이 휩쓸어 1 고정석 2005.11.01 5363
252 [급구] 거트현으로 연주한 음반 지영이 2000.10.09 4272
251 [공지]탱고이야기 나머지회에 대하여.. 변소반장 2001.03.09 4120
250 [강추도서] 자기발견을 향한 피아노 연습(With Your Own Two Hands) 9 전병철 2001.05.26 20315
249 [re]프레이징을 어떤 수단으로써 어떻게 처리하나? (2) - she님의 질문에 대한 답글. 7 gmland 2003.05.19 5202
248 [re]또 하나 클래식 좋은글 ... 2008.06.08 14083
247 [re]Milonga Del Angel과 옥타브하모닉스 1 nitsuga 2002.05.24 6663
246 [re] 화성학은 바하요, 바하는 화성학일 겁니다. 22 gmland 2003.05.13 6460
245 [re] 호기심 killed 으니 - 바루에코의 겨울 연주는 누구의 편곡? 2 으니 2002.10.09 4848
244 [re] 한국에 사는것이... 2 2002.02.12 4260
243 [re] 피카소의 기타그림들 file Dr.K 2005.06.07 8680
242 [re] 피아졸라의 음악은 과연 탱고인가 ? 51 gmland 2003.11.28 7252
241 [re] 피날리 가진 분을 위한 피날리 악보 - 별첨 file gmland 2003.07.27 5042
240 [re] 프레이즈는 이 것입니다. (1) 5 gmland 2003.05.16 5105
239 [re] 트레몰로. 5 기타 이상자 2003.07.16 5568
238 [re] 클래식은 리듬이 약하다는 논리에는 이견이 있습니다. 12 gmland 2003.09.01 6227
237 [re] 클래식기타는 왜 일렉만 못할까? 이레네오 2002.02.13 4409
236 [re] 코드진행님 질문과 답변 2 gmland 2003.07.29 4957
235 [re] 커트 코베인이 뭘 어쨎길래.. 1 마왕 2004.02.06 5059
234 [re] 채소님, 음악에 대한 인용구 번역입니다. 2 gmland 2003.07.16 4794
233 [re] 채보 요령 12 지얼 2002.02.08 8924
232 [re] 참고로~ 1 seneka 2004.02.04 6050
231 [re] 질문입니다.. 46 seneka 2003.05.27 5837
230 [re] 질문. 2 file 정천식 2004.03.11 4946
229 [re] 조선의 힘 15 2003.08.29 7499
228 [re] 이건 MCA 랑 무슨 차인지... 2 file 찾던이 2004.09.01 6634
227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13 B612 2003.08.28 5067
226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6 아롱이 2003.08.29 5162
225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10 B612 2003.08.28 4792
224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28 B612 2003.08.29 5234
223 [re] 음악성.........꼬추가루 넣은 안동식혜. 4 2004.02.06 5036
222 [re] 음악듣기.... 반성... 1 지얼 2001.09.22 4802
221 [re] 운지에 대한 내 생각은 이러합니다. 24 아랑 2003.04.09 5678
220 [re] 연주와 나이... 어려운 문제네요? 1 gmland 2003.04.23 4632
219 [re] 연주와 나이... 2003.04.24 4738
218 [re]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곡들.... 1 willie 2001.09.18 5024
217 [re] 어떤분들에겐 클래식음악하는분들이 어떻게 보일까? 7 지나다가 2003.03.21 4409
216 [re] 악보가 안 외워질때... 채소 2001.11.13 5255
215 [re] 악기별 트레몰로 주법 gmland 2003.11.16 12251
214 [re] 아차 이거 빠뜨려써요 ㅠ-ㅠ 5 으니 2005.02.20 5667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