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28.153.162) 조회 수 7393 댓글 4
작곡 : F. Chopin(1810~1849)
곡명 : Mazurka in F Minor, OP. 68-4
연주 : Artur Rubinstein(Pf.)



음악 듣기는 아래의 링크로

http://www.guitarmania.org/z40/view.php?id=gowoon35&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121


◆ 쇼팽과 타레가


타레가는 쇼팽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마주르카에 깊이 경도되었고 실제로 여러 곡의 작품도 남기고 있다.

비교적 많이 알려진 아델리타나 마리에타와 같은 작품은 전형적인 마주르카이다.

매냐의 여러 칭구들은 타레가의 “Mazurka en Sol”과 같은 작품을 많이 들어보았으리라 생각한다.

쇼팽의 다른 매력적인 작품들이 많이 있음에도 왜 마주르카에 깊이 빠지게 되었을까?

쇼팽은 마주르카와 같은 가장 작은 형식에 자신의 깊은 내면세계를 담았다.

타레가는 기타라는 악기에 자신의 영혼을 담고자 했고 소나타와 같은 대규모 형식보다는 마주르카와 같은 소규모 형식이 자신에게 적합한 것임을 깨달았을 것이다.

타레가의 전 작품을 조사해보지 않아 자신할 수는 없지만 필자가 아는 한 소나타와 같은 큰 형식의 작품은 남기고 있지 않다.

실제로 타레가가 남긴 프렐류드나 에튀드, 마주르카와 같은 소품에서 그의 내면세계가 잘 드러나고 있다고 생각한다.



◆ 쇼팽의 백조의 노래 - Mazurka in F Minor, OP. 68-4


이 곡은 쇼팽이 3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기 직전에 작곡한 마지막 작품으로 죽음을 앞둔 초췌한 감정이 그대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상하리만치 신비로운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다.

쇼팽은 병이 너무 악화되어 이 곡을 피아노로 쳐보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전체적으로 어딘지 을씨년스럽고 모호한 분위기를 풍기며 마치 미로 속을 끝없이 헤매는듯한 느낌을 준다.

F단조로 8마디의 주제가 제시된 후 9마디째부터는 주제를 변형, 반복하는데 이상하게도 6마디밖에 없다.

그리고 연속적인 미해결의 딸림7화음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쇼팽이 자주 사용한 중요한 특성 중의 하나이다.

연속적인 딸림7화음 혹은 감7화음의사용은 쇼팽의 다른 작품에서도 자주 나타나고 있는데 이 작품에서는 이국적 색채와 더불어 춤곡의 단조로운 규칙성을 상쇄하는 역할을 한다.

더 나아가 이 같은 작법은 경과구의 시발점이 되기도 하고 조바꿈의 시발점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Comment '4'
  • 느끼 2005.03.13 03:42 (*.111.73.11)
    실제로 타레가가 남긴 프렐류드나 에튀드, 마주르카와 같은 소품에서 그의 내면세계가 잘 드러나고 있다고 생각한다....

    절로 공감이 갑니다. 스케일이 커지면
    그 거대함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형식'이라는 보편성의 힘을 빌게되죠.
    우리가 흔히 소품들이라고 하는 것들에서 작곡자와 더욱 친밀해지게 되는 것 같습니다.

    올려주신 마주르카를 들으면서 그만, 잠을 청해야 할 것 같습니다.
  • 1000식 2005.03.13 11:10 (*.228.153.162)
    쇼팽의 이 곡을 감상함에 있어 조성이 어떻게 변해가는지를 더듬어 보시길...
    잦은 조바꿈으로 인해 어딘지 불안한 느낌을 주는군요.
    죽음을 앞둔 불안하고 허트러진 심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봅니다만...
  • LaMiD 2005.03.13 12:42 (*.48.141.222)
    Swan Song인걸까요?
    모짜르트는 레퀴엠을 자신의 Swan Song으로 완성시키지 못해서 아쉬워 했다던데..
  • 1000식 2005.03.13 19:16 (*.228.153.162)
    LaMiD님~ 모차르트 레퀴엠의 Lacrimosa(눈물의 날) 였지요?
    이 곡이 모차르트의 백조의 노래,
    쇼팽의 백조의 노래는 바로 이 마주르카.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4 [re] 맞아요. 지금 재미없으면 영원히 재미없을 확률이 높지요. 2 gmland 2003.05.13 4600
1213 [re] 무뇌중 어록중에서. 4 천지대야망 2003.09.01 6313
1212 [re] 밑의 글들을 일고... 푸하하하하 2006.01.21 4642
1211 [re] 바로크시대의 연주 스타일.... ^^ 5 eveNam 2003.12.19 7163
1210 [re] 바하는 어떤 악보로 공부하여야 하나........!!?? 6 정천식 2004.02.16 5662
1209 [re] 바하와 헨델, 바로크 - 약간의 딴지... ^^; 2 신동훈=eveNam 2003.09.01 5025
1208 [re] 비발디를 듣다...! (차차님 보세요 ^^) 3 신동훈 2002.11.02 7414
1207 [re] 산젠인 퍼스트만 녹음해 주실 분 없으신가요? 2 file gogododo 2005.03.10 5885
1206 [re] 새솔님께 질문!(답변입니다.) 11 file 새솔 2002.10.29 6223
1205 [re] 스카보로우의 여인 19 gmland 2004.07.01 6841
1204 [re]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3) 2 정천식 2004.03.14 5031
1203 [re]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큰 별, 알베니스(3) 차가운기타 2004.03.16 5274
1202 [re] 아! 『기타 화성학』1 9 09 2003.04.26 5346
1201 [re] 아차 이거 빠뜨려써요 ㅠ-ㅠ 5 으니 2005.02.20 5638
1200 [re] 악기별 트레몰로 주법 gmland 2003.11.16 12238
1199 [re] 악보가 안 외워질때... 채소 2001.11.13 5245
1198 [re] 어떤분들에겐 클래식음악하는분들이 어떻게 보일까? 7 지나다가 2003.03.21 4406
1197 [re]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곡들.... 1 willie 2001.09.18 5013
1196 [re] 연주와 나이... 2003.04.24 4731
1195 [re] 연주와 나이... 어려운 문제네요? 1 gmland 2003.04.23 4624
1194 [re] 운지에 대한 내 생각은 이러합니다. 24 아랑 2003.04.09 5664
1193 [re] 음악듣기.... 반성... 1 지얼 2001.09.22 4795
1192 [re] 음악성.........꼬추가루 넣은 안동식혜. 4 2004.02.06 5025
1191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13 B612 2003.08.28 5057
1190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6 아롱이 2003.08.29 5153
1189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10 B612 2003.08.28 4782
1188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28 B612 2003.08.29 5229
1187 [re] 이건 MCA 랑 무슨 차인지... 2 file 찾던이 2004.09.01 6618
1186 [re] 조선의 힘 15 2003.08.29 7490
1185 [re] 질문. 2 file 정천식 2004.03.11 4933
1184 [re] 질문입니다.. 46 seneka 2003.05.27 5828
1183 [re] 참고로~ 1 seneka 2004.02.04 6045
1182 [re] 채보 요령 12 지얼 2002.02.08 8907
1181 [re] 채소님, 음악에 대한 인용구 번역입니다. 2 gmland 2003.07.16 4786
1180 [re] 커트 코베인이 뭘 어쨎길래.. 1 마왕 2004.02.06 5049
1179 [re] 코드진행님 질문과 답변 2 gmland 2003.07.29 4950
1178 [re] 클래식기타는 왜 일렉만 못할까? 이레네오 2002.02.13 4402
1177 [re] 클래식은 리듬이 약하다는 논리에는 이견이 있습니다. 12 gmland 2003.09.01 6220
1176 [re] 트레몰로. 5 기타 이상자 2003.07.16 5562
1175 [re] 프레이즈는 이 것입니다. (1) 5 gmland 2003.05.16 5087
1174 [re] 피날리 가진 분을 위한 피날리 악보 - 별첨 file gmland 2003.07.27 5034
1173 [re] 피아졸라의 음악은 과연 탱고인가 ? 51 gmland 2003.11.28 7247
1172 [re] 피카소의 기타그림들 file Dr.K 2005.06.07 8657
1171 [re] 한국에 사는것이... 2 2002.02.12 4255
1170 [re] 호기심 killed 으니 - 바루에코의 겨울 연주는 누구의 편곡? 2 으니 2002.10.09 4846
1169 [re] 화성학은 바하요, 바하는 화성학일 겁니다. 22 gmland 2003.05.13 6454
1168 [re]Milonga Del Angel과 옥타브하모닉스 1 nitsuga 2002.05.24 6655
1167 [re]또 하나 클래식 좋은글 ... 2008.06.08 14041
1166 [re]프레이징을 어떤 수단으로써 어떻게 처리하나? (2) - she님의 질문에 대한 답글. 7 gmland 2003.05.19 5177
1165 [강추도서] 자기발견을 향한 피아노 연습(With Your Own Two Hands) 9 전병철 2001.05.26 20289
1164 [공지]탱고이야기 나머지회에 대하여.. 변소반장 2001.03.09 4117
1163 [급구] 거트현으로 연주한 음반 지영이 2000.10.09 4235
1162 [기사] 국제 음악콩쿠르 韓-中-日이 휩쓸어 1 고정석 2005.11.01 5340
1161 [까딸로니아 민요] Canco del Lladre 5 file 옥용수 2003.12.10 6338
1160 [까딸로니아 민요] El mestre file 옥용수 2003.12.10 5931
1159 [까딸로니아 민요] El Noi de la mare file 옥용수 2003.12.10 4958
1158 [까딸로니아 민요] El testament d'Amelia (내용추가) 1 file 옥용수 2003.12.10 7793
1157 [까딸로니아 민요] L'hereu Riera file 옥용수 2003.12.10 5466
1156 [까딸로니아 민요] La filadora 2 file 옥용수 2003.12.10 6048
1155 [까딸로니아 민요] La filla del marxant 4 file 옥용수 2003.12.10 7310
1154 [까딸로니아 민요] La nit de Nadal file 옥용수 2003.12.10 5608
1153 [까딸로니아 민요] La pastoreta 10 file 옥용수 2003.12.10 6451
1152 [까딸루냐 자장가] Mareta, mareta, no'm faces plorar 8 eveNam 2003.12.11 7234
1151 [눈으로듣는음악이야기] 쳄발로, 사방에 별 으니 2002.07.05 4555
1150 [딴소리] 러시아 그리고 스키..... 2000.10.28 4988
1149 [모셔온글] 피아노 이야기에서 - 러셀셔먼 4 밀롱가. 2007.09.03 12907
1148 [아우셀의 비밀] 무대에서 결코 곡을 까먹지 않는 방법 - 로베르토 아우셀 인터뷰 14 으니 2005.02.20 16120
1147 [업그레이드판] 파리콩쿨 역대 입상자 명단(1): 1959-1975 미니압바 2000.11.08 4533
1146 [업그레이드판] 파리콩쿨 역대 입상자 명단(2): 1976-1987 미니압바 2000.11.09 4500
1145 [요청] 브라우워의 곡중 Suite No.2 Mebae는? 6 file 옥용수 2004.04.12 6165
1144 [읽을거리] 소녀와 베토벤 ...퍼온글... 1 채소 2001.05.04 4391
1143 [질문] 난해한 현대음악을 어떻게 들어야 할까요? 13 익명 2003.05.12 4654
1142 [질문] 바하 샤콘느를 연주하기 위한 기본 준비에는 어떤것이 있을까요? 40 밀롱가. 2008.03.03 17018
1141 [질문]Paco de Lucia의 Fuente Y Caudal 1 의문의 2004.04.30 5771
1140 [질문]고전파시대음악 딸기 2005.08.01 6720
1139 [질문]바하와 건축 3 으랏차차 2002.06.06 4814
1138 [질문]부에노스 아이레스조곡에 관하여 알고 싶습니다. 장재민 2001.08.22 4668
1137 [책소개] 스탠다드 팝송기타솔로 말괄량이 2000.06.20 5444
1136 [추천도서] Power Performance 성공연주 어떻게 할 것인가 2 채소 2001.05.02 4355
1135 [추천도서] 기타奇打와 나눈 이야기.. 4 전병철 2001.06.08 4626
1134 [추천요망] 오케스트라로 연주되는 샤콘느. 눈물반짝 2001.02.16 4514
1133 [카르카시비판]수많은 악플과 비판에 맞아죽기를 고대하며... 35 기타리새디스트 2003.05.29 8217
1132 [퍼온글] 기타와 다른악기와의 쉽지않은 중주에 관하여...(오모씨님의 글) 5 2004.04.11 6218
1131 [퍼온글] 녹터널, 리브라 소나티네등의 곡설명 1 왕초보 2000.11.10 4739
1130 [펀글] 편곡 연주에 대한 셰인님의 견해 형서기 2001.01.15 4018
1129 [펌] 피아졸라에 관한 글 3 삐아솔라 2003.07.16 6663
1128 [화음] 그것이 알고 싶다. 42 금모래 2009.10.15 17190
1127 ^^ 그런거 같아요 망상 2000.12.14 3945
1126 ★ Krystian Zimerman 마스터 클래스 후기 ★ 28 으니 2003.06.09 5554
1125 ★★★ 화음의 진행 27 file bluejay 2003.09.03 8551
1124 ☞ #, b 가 다른 음인가요? (이명동음에 대해서...) 지우압바 2000.12.21 6034
1123 ☞ Chaconne.. 롱롱 2001.05.21 4124
1122 ☞ copyleft라고 쓰는 이유는... 지우압바 2000.10.25 4189
1121 ☞ Feuilles d'automne op.41에 대해 illiana 2001.04.22 4118
1120 ☞ NAXOS의 Laureate(월계관)시리즈 고정석 2001.02.24 4305
1119 ☞ NAXOS의 기타음반에 관한 이야기 매니악 2000.12.25 4175
1118 ☞ Sunburst 를 좀 연습해봤는데요.... 안진수 2000.11.25 5206
1117 ☞ The Best of LAGQ 2000.12.02 4264
1116 ☞ ☞ #, b 가 다른 음인가요? (이명동음에 대해서...) filliads 2000.12.21 4319
1115 ☞ ☞ Sunburst 를 좀 연습해봤는데요.... 안진수 2000.11.25 5756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