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 스크롤의 압박이 심하오니, 맘이 급하신 분들은 뒷부분에 정리된 것을 읽어주셔요^^;;


데이비드 러셀 기타 마스터 클라스, 2004년 10월 4일, 예술의 전당 근처 코스모스 홀

마스터클라스는 영어로 진행되었습니다. 이병우 선생님이 예정에 없던 통역을 갑자기 맡으셔서 수고해주셨고, 원래는 스펜어로 진행하고 장승호 선생님께서 통역하시려 했으나, 시작하기 직전에 러셀 선생님의 제안으로 영어로 진행하는 것으로 이야기가 된 거였어요.

전 사실 몸이 너무 안 좋아서 붓구 춥구 그랬거든요. 마스터 클라스에 간 것도 즉흥적으로 결정한 것이었구, 여러모로 무리였어요. 하지만 러셀 선생님을 가까이에서 볼 수 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 저는 가슴이 막 터질 것 같았습니다. 그리고 코스모스홀은 원래가 작은 규모의 연주도 가능한 홀인만큼 소리를 잡아먹거나 할만한 물품들이 없는 뻥 뚤린 공간이었구요. 더군다나 선생님은 당신의 담만 기타를 은색 케이스에 넣어 들고 나오시지 않았겠어요? 오오오 "생소리"를 들을 수 있다.. 오오오오.. 정말로 기대 가득한 마스터클라스였구, 러셀 선생님은.. 기대 이상이었습니다!!!

선생님은 홀을 둘러보시더니 직접 피아노 의자를 끌어 앞에다가 두셨습니다. 악보대가 준비되어 있지 않았거든요. 아.. 저런 인간적 모습이. 예전에 짐메르만 선생님이 직접 칠판을 옮기셨던 일이 떠오르면서.. 어느정도 명성이 있다해서 권위적인 모습을 당연하게 여기는 것은 혹 우리나라뿐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했습니다.

결론부터 말해서 러셀 선생님은 아주 좋은 선생님이셨습니다. 그리고 오랜 마스터클라스 경력이 있다는 것이 역시 한 눈에 보였습니다. 시간을 무쟈게 잘 지키시는 편이고(이건 정말 경력의 산물--;;) 고쳐야할 점을 알려준 후에 학생이 잘 안되는 부분이 있다면 그것을 계속 교정하는 것이 아니라 "연습은 집에 가서 하면 돼" 라고 하시면서 짧은 시간에도 보다 곡의 더 많은 부분을 다루어주려 애쓰셨지요. 또 한 학생 한 학생을 대하실 때마다 강조하는 부분이 다르셨어요. "너는 정말 핑거링이 좋아. 하지만 리듬에 더 신경을 쓰자." 라든가 하는 식으로 학생의 장점과 단점을 한눈에 꿰둟고 명쾌하게 이야기해주시는 선생님이셨습니다.

마스터 클라스는 총 4 파트로 진행되었는데, 참가자들의 기량도 대단한 편이었습니다. 첫번째 학생이 끝나고 잠깐 제가 질문을 하고 (궁금한게 너무 많아 탈인 으니 --;;) 그리고 일반적인 질문은 끝나고 받기로 하셨는데, 끝나고는 KBS 방송 녹화 시간 때문에 급히 가시느라 충분히 질문 시간을 주시지는 못했습니다. 그래두 전 두 분 학생 끝나구 중간 쉬는 시간에 재빨리 다가가 싸인을 받구 가까이에서 숨결을 느껴보았습니다.. 쿨럭.

그러면 각 마스터 클라스에서 이야기 된 자세한 것들을 올려보겠습니다.



1. Walton, "5 Bagatelles" 서울예고 유지선양.

유지선양.. 이 얼마나 오랫만에 보는 것인지 모릅니다. 예전에 보았던 모습과는 달리 성숙한 아가씨의 기운이 느껴졌고 결정적으로 예쁩니다!!! 눈매며 입가가 어찌나 다부지고 또렷하게 이쁜지, 조만간 판만 낸다면 무라지 카오리.. 음.. 화장하지 않으면 평범한 얼굴에 가까운 카오리양보다.. 화장 전혀 하지 않고도 화장 한것처럼 또렷한 생김새의 우리 유지선양.. 훨씬 더.. 음..

러셀 선생님은 지선양이 연주하는 동안 직접 악보를 넘겨주시거나 발로 박자를 맞추는 등 귀여운 모습을 보이시다가 연주가 끝나자마자 "브라보~" 하시면서 박수를 청하셨습니다. 그리고 나서.. 정말로 중요한 말씀들을 드디어 시작하셨습니다. 지선양의 테크닉은 정말로 뛰어났지만 곡의 모든 부분을 모두 강하고 빠르게 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모든 음악은 청중들에게 전달하는 방법으로 두가지를 갖고 있습니다. 멜로디와 리듬이죠. Most music has two way, melody and Rhythm. 또한 모든 곡들은 리드미컬합니다. 관중과 연주자를 연결해주는 것은 바로 리듬입니다. 여기를 연주해볼 수 있겠어? 내면의inside 박자를 세어야합니다. 어려운 곡을 연주할 때, 보통은 음이 너무나 많지요. 하지만 이 때도 관중과 연결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박자이기 때문에 스스로 곡의 리듬을 들어야 합니다."

1악장  보면 왜 딴따따다 딴따따다 하는 부분 반복해서 나오잖아요. 거기서 악센트를 줄 곳을 설명하시면서는 재미있는 비유를 들어 설명해주셨습니다.

"마치 공을 바닥에 떨어뜨렸을 때 튀어오르는 정도가 맨 첨에 가장 많이 튀어오르고 그 다음엔 줄어드는 것같은 기분으로."

그리고 러셀 선생님의 연주의 핵심이랄 수 있는 부분을 설명하셨습니다.

"Could you make the sound easy? You know it is difficult. But the audience can not know"

그리고 다음 주제는 좀 더 부드럽게, 스타카토가 아니라 더 재즈같이 연주해보라구 하셨습니다.

또 한가지 현대 음악에 대해서도 중요한 말씀을 하셨는데요. 역시 선생님 연주의 핵심입니다.

"아주 모던한 음악 말고, 조금 모던한 것들은.. 오히려 편안하고 이해하기 쉽게 연주해야합니다. 오히려 모던하게 연주할 생각을 말아야해요."

또 주제가 바뀌자.. 연주를 중단시키면서 말씀하셨습니다.

"Can you change your mood? 마치 아주 다른 사람처럼. 아까 그건 끝났어요. 이젠 다른것이 시작된거예요."

정말로, 연주라는 것은 단순히 연주가 아니라 치는 사람의 감정인데, 아주 다른 사람처럼 스스로 감정을 바꾸어야만 듣는 이에게도 그 다른 것이 효과적으로 보일 수 있다는.. 어쩌면 당연한 이야기지만, 러셀 선생님의 연주를 그간 들어온 저에게는 정말 마음에 와 닿는 말씀이셨습니다.

"wait. 베이스 음이 가장 중요합니다. so give your audience the bace note. (그리고는 악보에 음들을 표시해주시면서) so you flow the line. Walton had written this line. as long as possible."

즉, 악보에 있는 베이스 음들의 중요성을 말씀하시면서, 다른 음들을 연주하더라도 베이스음이 끊어지지 않게 길게 끝까지 연주하라 하셨어요. 그래서 베이스 음을 너무 크게 강조하지 않을 경우엔 개방현을 쓰는 것도 좋다고 하셨구요, 그렇게 해서 베이스 음들이 끝까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셨어요. easy to join the end.

또한 악보에 틀린 부분도 수정해주셨고, 곧이어 아까 말씀하신 박자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말씀하셨는데..

"연주를 하는 동안 청중들은 발로 박자를 툭툭 맞추고 있어요. 그들이 세고 있는 박자에 맞게 연주를 해야합니다. 만약 반드시 뭔가를 해야해서 예외적인 경우가 있다면 except you do something, 그 때는 말해줘야만 합니다. you say.. (이렇게 말씀하시면서 담만을 들고 그 앞의 음을 리타르단도 하셨습니다.)"

루바토를 주기 전엔 그 음 전에 미리 청중들에게 박자가 어긋날것이란 예고를 해야한다는 말씀이셨습니다.
또한 운지에 대해서도 말씀하셨는데요, 최대한 쉬운 운지를 찾아야만 연주가 더욱 아름다워진다는 말씀이었습니다.

"두 개의 노래처럼 들리게 해요. 하모닉스를 할 때에도 베이스 코드를 잡고 하고, 운지를 바꿔줄 때도 한 포지션에서 다 잡을 수 있게.. 또 왼손을 가능하면 적게 움직이면 하모닉스가 훨씬 더 좋아져요. 조금은 어렵지만 음악은 훨씬 편해지죠."

그리고 2악장으로 넘어갔습니다.

"try to make the guitar sound more longer. image you little bit lazy. be gentle." 이라고 하시면서 들고 계시던 기타로 아기 얼르는 듯한 모습을 취하셨습니다. 즉 2악장은 매우 부드럽고 편안한 맘으로 연주하라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2악장의 피치카토는 월튼의 작곡에는 없었고, 브림의 아이디어라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좋은 아이디어지만, 연주하는 사람이 고민해볼 필요는 있다고요.

또한 3악장에서는 너무 "push"만 계속 하지 말 것을 당부하셨습니다. 뒤로 릴렉스 하는 부분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죠. 3악장은 또 구성이 그렇게 "주고받는" 형식이잖아요. 그래서 재미있는 부분이 있었는데, 유지선양의 연주에 맞추어 코드-스트로크 반주를 하시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이 부분은 훨씬 더 쉬운 코드 soft chord 로 이루어져있으며 좀 더 편하게 연주하라는 뜻인 것 같았습니다. 이런 방법을 쓰자 각 마디의 박자가 훨씬 더 뚜렷하게 살아나는 듯한 느낌을 저는 받았습니다.

Help the audience to fine the foot note 라고 하셔서 아까 말씀하신 것 다시 강조하셨구요. 또 정말 선생님 연주의 핵심적인 말씀을 하셨습니다.

"어떤 부분이 완전하지 않을 때, 즉, 내 연주에 나쁜 것과 좋은 것이 있을 때에는, 나쁜 부분을 보여서는 안됩니다. you must not show your problem. 기타치기가 원래부터 힘들어요. 그러니 안 좋은 것은 숨기고, 좋은 것을 최대한 드러내 보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높은 음이 힘들다 하면, 베이스 음을 강조해서 청중들을 속일 수 있는거죠."

어찌보면 청중을 속이란 말이 오해의 소지가 있는 것 같긴 하지만, 이것은 정말로 중요한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연주자는 청중에게 최상의 아름다움을 전달하려고 하는 거라는 러셀 선생님의 생각이시니까요.

유지선 양의 마스터클라스가 끝난 후, 질문할 기회를 주셔서 저는 여쭈어보았습니다.

"원 작곡자에 의해 쓰여진 리듬과 연주자로서의 자신의 리듬과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What is the different between the rhythm written by original composer and your own rhythm as player."

러셀 선생님은 의욕적으로 설명하시면서 정말 의외의 대답을 해주셨는데요..

"기타리스트들은 늘 자기 손가락과 싸워야합니다. 왜냐하면 작곡자는 뮤직을 쓴 것이고, 기타리스트들은 그것을 손가락으로 재현해내야하기 때문이죠. 자기도 모르게 음을 잘라야 하고 , 나쁜 습관으로 핑거링을 합니다. (즉, 연주하기 쉽게 하다보니 리듬이 엉망이 되는거죠) 그래서 우리는 핑거링과 원래 음악 사이에서 싸워야하고fighting, 그것을 또한 청중들이 이해하도록 표현해야합니다. 말은 이렇게 하지만 사실은 어려워요. 그래서 그게 아닐 때는 아니라고 반드시 먼저 말을 해줘야합니다. 이해가 되어요?"

러셀 선생님은 이 설명을 하시면서 저를 뚫어져라 쳐다보시면서 직접 기타를 들구 리듬을 기타리스트가 끊어버리는 경우와 손가락이 힘들더라도 연결해내는 경우를 보여주셨는데.. 음.. 으니 쓰러졌습니다. 음들이 어찌 그리 하나하나 아름다울 수 있는지요? 정말 무지개가 아롱아롱 비치는 물방울같은 음들이었습니다. 물론 무게감있고 파고드는 소리는 아니지만, 러셀 선생님의 매력이 거기에 있는 것은 아니잖아요?

그리구 원래 음악과 핑거링과 싸우게 된다는 말씀은 정말로 크게 공감할 수 있었습니다. 기타를 치면서 그렇게 자기도 모르는 실수들을 많이 하게 마련인 것을 말씀해주신 것 같았구요.

유지선 양의 레슨에서 마스터클라스 전체에서 하신 말씀의 절반 이상이 나와버렸지만, 2,3,4 부에서도 역시나 귀담아 들을 말씀을 많이많이 해주셨습니다. 제가 쓰다보니 너무 길어지구 지금 시간이 부족해서 일단 여기까지 전편으로 마무리하구요.. 곧 후편을 올리겠습니다.. 헉헉.. 사진은 마스터클라스가 진행된 코스모스 홀의 전면입니다. 저 의자 중 가장 오른쪽에 선생님이 앉아계셨었답니다^^

전편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스크롤의 압박을 느끼신 분들은 아래만 읽어주셔도 됩니다.. 쿨럭쿨럭.


1. 청중이 가진 리듬감을 존중하라.
만약 그것과 다른 표현을 하고싶다면, 충분한 예고를 해라.

2. 현대음악이라 해서 너무 "현대적으로" 연주하지 말고 더 편안하고 쉽게 들릴 수 있도록 연주하라.

3. 곡의 분위기가 바뀔 때는 마치 내 자신이 다른 사람이 되는 것처럼 완전히 감정을 바꾸어 연주하라.

4. 베이스 음들이 끊이지 않게 라인을 살려 끝까지 잘 다다를 수 있도록 하라.

5. 운지는 최대한 쉽게 하라. 그것이 더욱 아름다운 음악을 만든다.

6. 연주하면서 불완전한 부분이 있을 때는 좋은 부분을 더욱 강조하여 청중들이 그것을 눈치채지 못하게 하라.

7. 원래 곡의 음악을 다 살릴 수 있도록 자신의 핑거링과 끊임없는 싸움을 해라.
그것이 잘 되지 않는다면 어떻게 타협한 것인지를 청중에게 알려라.

  




    
Comment '5'
  • 오모씨 2004.10.07 16:05 (*.85.123.76)
    청중이 가진 리듬감을 존중하라.
    만약 그것과 다른 표현을 하고싶다면, 충분한 예고를 해라. => 이 말이 넘 멋지네요^^ 연주자만이 할 수 있는 말인듯.
  • ggg 2004.10.08 20:44 (*.120.41.18)
    으니님.좋은 후기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 유진 2004.10.08 21:22 (*.249.128.105)
    공감이 많이 가는 말씀이군요..
    음악을 살릴 수 있도록 운지를 만들어라..

    (실제 연주회에선 음악적 표현을 위해서..
    서커스에 가까운 운지를 하는 걸 여러번 보긴 했지만요..
    러셀에겐 그다지 어렵지 않았나 봐요..ㅡㅡ;)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 2004.10.10 01:41 (*.119.95.16)
    음... 으니님의 글을 보니 마치 제가 그곳에 있었던 느낌이 들군요..
    이렇게 좋은 정보를 주시다니... 감사합니다.
  • fishmans 2004.10.22 10:01 (*.82.50.4)
    정말 잘 봤습니다.
    느끼는게 많네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14 도깨비불의 노래 4 정천식 2003.11.20 4783
813 도서안내...인류와 기타.....정상수님과 토레스회원들의 편집. 2001.01.09 4287
812 독일 바이얼린이스트 ........짐머만(짐메르만?) 1 2001.10.29 5061
811 동경 국제콩쿨 요강 입니다. 신인근 2003.04.03 4469
810 동훈님 질문있슴다. 1 illiana 2001.10.16 4541
809 동훈님, 바흐 1027,28,29 설명 좀 5 일랴나 2002.01.22 5144
808 동훈님이 고민하는 것 같아서 도움을 드리고자.. 1 일랴나 2001.10.31 4614
807 뒤늦은 연주회 후기 - 바루에코 2002/9/8 13 으니 2002.09.27 4500
806 듀엣곡 좋은 거 뭐 없을까요? 1 병신이 2004.07.30 6069
805 드디어 어느 사형수의 아침을 들었어요 2001.01.11 4119
804 듣는 것과 연주하는 것. 눈물반짝 2000.11.30 4030
803 디용 전주 황추찜닭 공연 후기. 17 오모씨 2004.03.31 8596
802 디지털 악학궤범 1 1000식 2006.02.28 7666
801 또 질문 있습니다...^0^ 33 file 아랑 2003.07.20 6482
800 라고스니히의 음반은... 행인10 2001.07.12 4539
799 라디오에서 무라지 카오리를 듣다. 눈물반짝 2001.01.19 4242
798 라쿰파르시타.. 있자나여.. 영어로 어떻게 쓰죠? 2 기타살앙 2001.05.16 5056
797 라틴풍의 사중주 추천좀 해주세요. bluehair7 2005.07.22 6155
796 라흐마니높 피아노협주곡음반은... 2000.08.22 4986
795 랑그와 빠롤...........타인의 취향. 4 2002.09.18 4644
794 랑그와 빠롤로 이해해본 음악! (수정) 14 고충진 2002.09.17 6809
» 러셀 마스터 클라스 후기 2004년 10월 5일 코스모스 홀 - 전편 (스크롤의 압박) 5 file 으니 2004.10.07 6879
792 러셀 선생님 마스터 클라스 - 후편 (귀차니즘과 기록본능의 더블 압박) 8 file 으니 2004.10.09 6388
791 러셀연주 잘들었어요~ 10 이브남 2004.10.05 5179
790 러시아 기타음악에 대해 조언 부탁드립니다 illiana 2000.10.28 4235
789 러쎌의 바리오스. 4 러쎌미오 2001.04.06 4292
788 레오 브라우어의 11월의 어느날 ...죄송함다. 잘못올려서 다시 올립니다 변소반장 2000.10.16 4220
787 레오 브라우어의 11월의 어느날... 미니아부지 2000.10.16 4695
786 레오 브라우어의 "11월의 어느날"...죄송함다. 잘못올려서 다시 올립니다 file 미니아부지 2000.10.16 4432
785 레온하르트의 필립스 음반 중에... 미니압바 2000.11.10 4348
784 레이프 오베 안스네스, 그의 울림이 내게로 전해져왔다 으니 2002.09.21 4515
783 로드리고... 안달루즈 협주곡 25 file eveNam 2004.01.25 7514
782 로드리고의 곡들좀 감상실에 올려주십시오... 2 손님 2003.09.06 4987
781 로르까의 <스페인 옛 민요집> 4 정천식 2004.02.06 8124
780 로마 교황청 : 이 곡을 외부로 유출시 파문에 처하노라 - Allegri의 Miserere 13 정천식 2003.12.25 5931
779 로스 로메로스 공연과 핸드폰소리.... 명노창 2000.05.29 5205
778 롤랑디옹 flying wigs에 대해서.. 3 kanawha 2004.08.03 5148
777 루바토 [rubato] 27 모카 2005.05.12 11020
776 루이스 밀란의 파반느요.. 3 루이스 2003.07.19 4889
775 류트 시대의 음유시인의 시를 혹 가지고 계신 분은? 3 2001.05.10 4643
774 류트 연주 악보와 류트-기타 양수겸장 연주자 미니압바 2001.02.08 4597
773 류트와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의 장식음 3 이브남 2006.11.26 44564
772 류트와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의 트릴연주 5 이브남 2006.11.26 12454
771 류트음악과 현대기타의 몇가지 문제 미니압바 2001.02.08 5249
770 류트음악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파뿌리 2001.02.07 4238
769 류트조곡 1번 듣고싶어요! 7 김종표 2001.07.09 4543
768 류트조곡 연주자소개.(사랑방님의 글) 2003.11.17 7140
767 리얼오디오 고려하시라니까요... 미니아부지 2000.10.16 4089
766 리얼오디오자료실은 어떠실런지... 신정하 2000.09.18 4955
765 마누엘 바루에꼬 마스터클래스(前記) 8 iBach 2003.06.10 5372
764 마뉴엘 바루에코.... 5 예진아빠 2001.05.23 4393
763 마드리드의 야간행군 6 1000식 2005.03.30 6465
762 마르찌오네 그의 사진 한 장 2 file 손끝사랑 2005.11.15 7582
761 마르코 소시아스 마스터클래스(2008.11.6) 3 YEON 2008.11.08 13986
760 마리나 음반사진 16 file 1000식 2004.09.16 6510
759 마술의 소리를 지닌 악기 백영업 2000.12.01 4109
758 마이클 호페의 'beloved' 2 돈이 2004.09.19 8584
757 마자!! 마자!! 신동훈 2001.01.15 4081
756 마적 주제에 의한 변주곡 난이도가? 1 후라이곤 2006.06.07 8493
755 마지막 트레몰로 천진우 2001.04.01 4693
754 많이 안어려운 클래식기타곡좀 추천해주세요 11 Rookie 2009.03.03 20670
753 말러의 "현세의 고통에 대한 술 노래" - 병호 형을 생각하며 6 file 정천식 2013.08.02 17139
752 망고레는 악보를 정말 출판하지 않았는지... 오원근 2001.04.09 4588
751 망고레에 대하여~ 23 file 2003.09.20 6979
750 망고레와 세고비아.. 1 으랏차차 2001.04.10 5776
749 망고쉐이크 망고 2014.06.28 13053
748 매력적인 쇼루 - 그대는 어디를 떠돌고 있나 1 정천식 2003.12.02 5476
747 멋있게 해석좀 해주세요.. 94 아랑 2003.07.15 6471
746 메일공개....일랴나님 꼭좀 구해줘여... 2000.11.22 3952
745 메트로놈보다는.... 3 untouchable 2001.08.15 5119
744 명문 피바디 음대에서 돌아온 권대순 기타 연주회를 보고.. 김재홍 2001.02.20 4868
743 몇가지 음악용어들에 대한 질문.. 29 으랏차차 2001.05.31 4685
742 몇가지 짚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왕초보 2000.09.26 5638
741 몇자 안되는 간단의견 넘 아까워서 퍼왔습니다......."무한이 확장되는 경험 2004.03.28 4963
740 몇장 있져! 그럼 다음 기회에... 나 콜라예바 2000.09.04 4743
739 모든 기타협주곡에 대하여 수배령을 내립니다. 59 정천식 2004.04.20 8451
738 모짤트냄새나는 바하? 2000.12.19 4135
737 몰입의 즐거움. 눈물반짝 2000.09.04 4566
736 무뇌중 어록중에서. 44 B612 2003.09.01 8648
735 무대에 올라가면 너무 떨려요... 16 채소 2001.05.26 4491
734 무라지 카오리 5 나잘나니 2001.04.10 4562
733 무척 혼란스럽습니다. 자중들 하십시오 !!! 1 gmland 2003.08.31 5984
732 문제의 제기 4 정천식 2003.12.18 5670
731 뭐 좀 물어볼께요. 망상 2000.12.13 4366
730 미국에서 사는 것이... 3 셰인 2002.02.11 5269
729 미니디스크 녹음기 SONY MZ-R70PC 를 써 봤는데... 셰인 2001.02.02 4176
728 미니말리즘 좋아 하세요? 15 채소 2001.12.11 5021
727 미니압바 넘 재밌어여~ 2000.11.08 4138
726 미니압바의 글을 기다리는 설레임을 안고..... illiana 2000.10.29 4446
725 미운 illiana... 2000.09.17 4670
724 민중음악의 생명력이 살아 숨쉬는 사르수엘라 7 file 1000식 2004.09.16 8437
723 밀고당기기 13 2007.09.20 14575
722 밀롱가를 잘 연주하는 방법(?) 좀.........^^; Clara 2000.11.30 4615
721 밑에분과 다른 견해... 으랏차차 2001.02.21 3888
720 밑의 글들을 일고... 18 vandallist 2004.02.06 5882
719 바닷가에서 dsaaa 2014.05.26 13431
718 바덴재즈 곡좀 부탁할수 있을까요. 기타맨 2001.02.11 4902
717 바람직한 연주자가 되려면 8 gmland 2003.03.24 5859
716 바람직한 음악감상을 하고 계시네요... 지영이 2000.11.06 4471
715 바로에코 연주곡에 대해 알려주실 분 2000.10.20 4389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