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43.135.89) 조회 수 5937 댓글 2
◆ 파야의 삶과 작품세계(계속)

  그리고 이어서 발표한 《스페인 정원의 밤 Noches en los jardines de Espana》은 파리 시절부터 구상하던 것으로 오케스트라의 반주에 독주 피아노가 나오지만 협주곡 형식과는 거리가 멀다. 파야는 이를 '관현악과 피아노를 위한 교향적 인상'이라는 부제를 붙였다. 3개의 악장은 각기 독특한 매력을 담고 있는데 드뷔시의 영향을 받은 인상주의적 색채와 스페인 남부 안달루시아의 정서가 결합된 걸작이다.

  1악장 '헤네랄리페(En el Generalife)'는 알함브라 궁전에 부속된 아름다운 정원을 말한다. 이 정원은 무어인들이 알함브라 궁전을 건설할 때 시에라 네바다 산맥으로부터 물을 끌어와 멋진 분수를 만들었다. 아름다운 정원이 눈앞에 펼쳐지는 듯 무척 회화적인 곡이지만 이 정원에서 펼쳐진 무어인들의 아픈 역사까지 느껴지는 건 필자의 상상력이 너무 과한 탓일까?

  2악장 '먼 곳의 무도(Danza lejana)'에서는 스페인 출신답게 멋진 춤이 펼치고 있다. 2악장에 이어 쉬지 않고 3악장 '꼬르도바 산의 정원에서(En los jardines de la Sierra de Cordoba)'이 이어진다. 이 곡은 파리 유학시절부터 친교를 맺어 온 스페인 출신의 대피아니스트 리카르도 비녜스(R. Vines 1875~1943)에 의해 초연되었으며 그에게 헌정되었다.

  1919년에 파야는 《삼각모자 El sombrero de tres picos》라는 발레곡을 발표하는데 이 곡은 디아길레프(S. Diaghilev 1872~1929)가 파리에서 결성한 러시아 발레단(Ballets Russes)의 위촉으로 작곡된 것으로 클래식 발레를 스페인의 플라멩꼬와의 접목을 시도한 작품이다. 당시의 러시아 발레단은 스트라빈스키(I. Stravinsky 1882~1971) 의 《봄의 제전 Le Sacre du Printemps》과 《불새 L'oiseau de feu》, 드뷔시(C. Debussy 1862~1918)의 《목신의 오후 L'Aprs-midi d'un faune》와 같은 발레를 공연하였는데 니진스키(V. Nijinsky 1890~1950)와 같은 대스타로 인해 인기 절정에 있었다. 이 작품은 원래 《시장과 방앗간집 마누라 El Corregidor y la Morinera》라는 무언극을 개작한 것이다. 이 곡을 들어보면 판당고, 세기디야, 파루까, 호따와 같은 스페인의 토속적인 춤이 극적인 클라이막스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1923년에는 《페드로 주인의 인형극 El Retablo de Maese Pedro》를 작곡하여 파리에서 초연하였는데 스페인의 전통에 바탕을 둔 작품이다. 파야와 평소에 친분이 두터웠던 피아니스트 리까르도 비녜스, 기타리스트 에밀리오 뿌홀, 쳄발리스트 반다 란도프스카, 지휘자 블라디미르 골쉬만 등이 초연의 연주나 배역에 직접 참여하였다.

  1926년 파야는 폴란드 출신의 쳄발리스트 반다 란도프스카(Wanda Landowska 1879~1959) 여사를 위하여 《쳄발로 협주곡 Concerto for Harpsichord》을 완성하였다. 란도프스카 여사는 쳄발로라는 악기를 현대에 부활시킨 사람으로서 중후한 리듬과 액센트, 다이내믹한 연주로 20세기 전반기를 주름잡던 여걸이었고 고음악에 대한 여러 저술도 남기고 있다. 그녀가 쳄발로로 연주한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은 명연 중의 명연으로 꼽힌다.

  《쳄발로 협주곡》은 신고전주의적인 기법에 의한 작품으로 1악장은 15세기 스페인의 마드리갈(Madrigal)에서 따온 선율에 바탕을 두고 있고, 2악장은 종교적인 내용이고, 3악장은 18세기에 유행했던 스페인의 춤곡에 바탕을 두고 있다. 《쳄발로 협주곡》은 협주곡이라고는 하지만 쳄발로라는 악기가 음량이 작으므로 오케스트라의 반주가 아니라 5개의 악기가 반주를 하는 실내악적인 편성을 하고 있다. 이 작품은 란도프스카 여사에게 헌정되었다.

  1930년대로 들어서자 스페인은 정치적인 격변에 휘말리게된다. 공화국 정부를 지지하는 세력과 우익 보수세력을 지지하는 파시즘 세력간에 내전의 기운이 감돌고 있었다. 스페인 내전은 2차대전의 전초전의 성격을 띠는데 공화국 정부를 지지하는 공산세력과 국제여단, 프랑코 장군의 파시스트를 지지하는 독일과 이탈리아의 지원 아래 스페인은 양분되었다. 이 와중에서 파야와 절친했던 스페인의 민족시인이자 극작가인 가르시아 로르까(F. G. Lorca 1898~1936)가 야만의 총칼 아래 희생되고 말았다. 정치적인 활동과 무관했던 로르까에게 공산주의자라는 누명을 씌워 총살해버린 것이었다.

  1938년 프랑코 장군의 명에 따라 파야는 '스페인 음악연구소장'으로 임명되었으나 내키지 않아 자택에서 임명식을 거행하는 것으로 양해를 받았다. 프랑코 총통이 통치하는 스페인에서 더 이상 자신의 꿈을 펼칠 수 없음을 직감한 파야는 1939년 연주회를 핑계로 아르헨티나로 망명길에 올랐다.

  1946년 세상을 뜨기까지 칸타타 《아틀란티다 Atlantida》의 작곡에 매달렸으나 완성을 보지 못하고 눈을 감고 말았다. 《아틀란티다》는 까딸루나의 시인 베르다게르(Verdaguer 1845~1902)의 서사시를 텍스트로 한 작품인데 파야의 필생의 역작이다. 이 작품은 파야의 제자인 에르네스또 알프테르(E. Halffter 1905~1989)에 의해서 완성을 보게된다.

  파야의 선배 작곡가인 알베니스와 그라나도스는 작품이 피아노라는 악기에 한정되어 있어 음악의 세계가 다양하지 못하다. 그리고 이 선배 작곡가들의 작품이 스페인적인 색채로 채색되어 있다고는 하나 스페인의 음악적 전통에 대한 진지한 고민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는다. 그저 솟아나는 음악적 욕구에 의해 나이팅게일처럼 울어댔던 것이다.

  그러나 파야는 다양한 장르에 작품을 남기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작품 하나 하나가 모두 대표성을 가지는 작품이다. 파야는 무척 강직하고 경건한 삶을 산 사람이었으며 하나의 기법이나 경향에 의해 여러 작품을 작곡하는 일이 없었던 사람이었다.

  따라서 그의 작품 하나 하나는 모두 다른 각도에서 접근해야 하므로 감상자의 입장에서 무척 접근이 어려운 작곡가 중의 하나이다. 그가 작곡한 작품의 양은 그가 활동한 시기에 비해 많지 않으며 작품이 어느 한 시기에 치우쳐 있지 않고 고른 분포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파야가 하나의 작품을 구상할 때 매우 신중을 기했음을 대변해준다.

  파야가 선배 작곡가인 알베니스와 그라나도스의 음악세계와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은 아무래도 태어나고 자라온 환경적인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즉, 알베니스와 그라나도스는 프랑스와 가까운 까딸루냐 지방 출신인데 이 지방은 문화적 자부심이 대단하며 '천박한 남부의 플라멩꼬 음악과는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높은 음악수준을 가지고 있다'고 스스로 굳게 믿고 있는 지방으로 인근의 프랑스 남부와 문화적으로 근친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음악이 스페인적인 색채가 강하다고는 하지만 아무래도 서유럽(영국, 독일, 프랑스)의 음악을 은연중에 닮아간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든다.

  이에 비해 파야는 스페인 남부 안달루시아 지방 출신으로 이 지역은 아랍의 지배가 15세기 말까지 행해졌으며, 지리적으로 아프리카와도 가까울뿐더러 집시들의 플라멩꼬 음악이 생겨난 지역으로 미신이나 무속적인 전통도 많이 남아 있는 지역이다. 여기서 자라난 파야가 자신의 음악 속에 이러한 요소들을 용해시킨 것은 극히 자연스런 귀결이었을 것이다.

  파야는 전통적인 것에서 소재를 이끌어 내어 새롭게 조명하는 작업을 계속했지만 당시 유럽을 휩쓴 쇤베르크(A. Schonberg 1874~1951)의 음열주의(Serialism)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드뷔시를 주축으로 한 인상주의(Impressionism)와 스트라빈스키에 의해 주도된 신고전주의(Neoclassicism)라는 도구를 가지고 알베니스나 그라나도스와 같은 선배 작곡가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전통적인 것이 현대적인 것이다'라는 명제를 다시금 되새기게 한다.
Comment '2'
  • 2004.03.30 01:02 (*.105.92.6)
    전통적인것이 현대적인것이다..............명언.

    흔하게 듣던 파야라는분을 오늘에사 조금 이해할수있을거 같아요..감사합니다.
    지폐에도 파야의 얼굴이 나오더군요....................
  • 아이모레스 2004.03.30 20:39 (*.204.203.76)
    감사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14 ☞ ☞ ^^ 감사..... 오모씨 2000.10.25 4023
1113 ☞ ☞ ☞ 이걸 언제 다 스캔하나여...-.- 윤서비 2000.12.16 4156
1112 ☞ ☞ ☞bwv1000번 푸가에 대해 고정석 2001.03.11 4107
1111 ☞ ☞ ☞반론은 아닙니다만... 6 셰인 2001.05.11 4320
1110 ☞ ☞ 글쎄요...... 광범 2000.12.17 4150
1109 ☞ ☞ 김남중선생님의 논문 아라 2001.03.01 4428
1108 ☞ ☞ 나 또 울었쟈나......그게여.... 2000.12.17 4059
1107 ☞ ☞ 내가 좋아하는 연주자 top5 1 가난한 유학생 2001.05.23 4306
1106 ☞ ☞ 내가 좋아하는 연주자 top5 가난한 유학생 2001.05.23 4097
1105 ☞ ☞ 러쎌미오님의 의견에 대하여 4 고정석 2001.04.07 4672
1104 ☞ ☞ 미니디스크 녹음기 SONY MZ-R70PC 를 써 봤는데... 셰인 2001.02.02 4123
1103 ☞ ☞ 바루에코의 샤콘느. 1 채소 2001.05.11 4367
1102 ☞ ☞ 본인 글에 대한 본인의 대답 차차 2001.02.05 4004
1101 ☞ ☞ 부족하지 않은 답변입니다... 광범 2000.11.30 3974
1100 ☞ ☞ 아랑페즈는 일본식표기를 한글로 읽은것이 아닐른지요? 매니악 2000.12.11 4169
1099 ☞ ☞ 아포얀도와 알 아이레 에 대한 개인적 의견.. 2000.12.16 4229
1098 ☞ ☞ 아포얀도와 알 아이레의 구분은 중요하지 않을 까요? 이정원 2000.12.17 4162
1097 ☞ ☞ 업적과 연주는 별개 셰인 2001.03.05 4188
1096 ☞ ☞ 이걸 언제 다 스캔하나여...-.- 2000.12.16 4170
1095 ☞ ☞ 전 실제로 가봤는데여.... 눈물반짝 2001.01.19 3981
1094 ☞ ☞ 한계? 구조상의 특징이 아닐까요? 왕초보 2001.02.05 4317
1093 ☞ ☞bwv1000번 푸가에 대해 염해석 2001.03.11 4417
1092 ☞ ☞갈브레이스의 하이든 소나타앨범...글쎄요... 형서기 2000.12.16 4021
1091 ☞ ☞아라님아...잘 받았습니다. 명노창 2001.02.26 4549
1090 ☞ ☞여기까지...(내용 없음) 김웅찬 2001.02.26 4149
1089 ☞ ☞여기까지...(내용 없음) 김희도 2001.02.27 4334
1088 ☞ 가장 연주하기 어려운곡은? 지얼 2001.08.16 4551
1087 ☞ 각 조성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종인원 2000.12.23 4407
1086 ☞ 감사합니다. (내용없음) filliads 2000.12.22 3960
1085 ☞ 감사합니다.... 1 채소 2001.07.04 4289
1084 ☞ 거문고, 가야금 음반 소개해주셔요. 이재화 2000.11.05 4357
1083 ☞ 고마워요... 이렇게 해보면 되겠네요... 1 채소 2001.05.30 4315
1082 ☞ 곡 난이도의 몇가지 평가기준.. 으랏차차 2001.08.17 5412
1081 ☞ 그렇다면 가네샤님 만나러 갑시닷! 김종표 2001.03.20 4121
1080 ☞ 그림의 떡이군...... 예진아빠 2000.12.28 4164
1079 ☞ 그의 콩쿨우승 기념 음반을 들어보았는데 셰인 2001.02.12 4114
1078 ☞ 기타 연주에 있어서 초견능력.. 채소 2001.08.17 5897
1077 ☞ 기타 연주에 있어서 초견능력.. 6 서정실 2001.08.17 6930
1076 ☞ 기타 음악은 왜 .... 고정석 2001.02.02 4219
1075 ☞ 김남중 선생님 논문. 눈물반짝 2000.12.16 4477
1074 ☞ 김남중선생님의 논문 김웅찬 2001.02.21 4239
1073 ☞ 김남중선생님의 논문 김희도 2001.02.21 4438
1072 ☞ 김남중선생님의 논문 명노창 2001.02.20 4335
1071 ☞ 김남중선생님의 논문 지우압바 2001.02.20 4466
1070 ☞ 김남중선생님의 논문 변소반장 2001.02.20 4673
1069 ☞ 나 또 울었쟈나...... 신동훈 2000.12.17 4026
1068 ☞ 난 슈미트가 무지 미웡^^* 수님..메롱??? 간절한 2001.04.07 4739
1067 ☞ 내가 좋아하는 연주자 top5 1 왕초보 2001.05.22 4284
1066 ☞ 니콜라에바, 튜렉, 길버트 10 셰인 2001.05.30 4369
1065 ☞ 답변 감사합니다..제 자신이 너무 부끄럽습니다(내용무) Loreena 2001.05.18 4141
1064 ☞ 답변 고맙습니다. 셰인 2001.03.12 4351
1063 ☞ 당신 음악못듣게하면? 만돌린 2001.02.26 4583
1062 ☞ 대성당..사우데데.. 왕초보 2001.04.06 4596
1061 ☞ 도서안내...인류와 기타.....정상수님과 토레스회원들의 편집. 21대 토레시안 2001.01.10 4058
1060 ☞ 러쎌의 바리오스2.(간단의견 꽉차서) 6 러쎌미오 2001.04.07 4711
1059 ☞ 마지막 트레몰로 망상 2001.04.02 4421
1058 ☞ 마지막임당!!! 춤곡, 페달, 글구 카프리스 4 신동훈 2001.06.01 4599
1057 ☞ 망고레와 세고비아.. 9 서정실 2001.04.10 6124
1056 ☞ 모짤트냄새나는 바하? 눈물반짝 2000.12.20 4102
1055 ☞ 무대에 올라가면 너무 떨려요... 1 지얼 2001.05.26 4264
1054 ☞ 무슨생각으로 편곡하려 하는가....... 오모씨 2001.01.15 4023
1053 ☞ 뭐 좀 물어볼께요. filliads 2000.12.21 4147
1052 ☞ 뭐? 샤콘느를 강간한다구? (내용무) 오모씨 2000.12.01 4220
1051 ☞ 미니디스크 녹음기 SONY MZ-R70PC 를 써 봤는데... 고정석 2001.02.02 4695
1050 ☞ 바람직한 음악감상을 하고 계시네요... 눈물반짝 2000.11.06 4096
1049 ☞ 바루에코의 샤콘느. 5 뽀짱 2001.05.11 4374
1048 ☞ 바루에코의 샤콘느. 2 zosel 2001.05.13 4402
1047 ☞ 바하의 알파벳을 더하면요.. 7 채소 2001.06.14 4961
1046 ☞ 바흐 샤콘느를 다시 포기함..... 광범 2000.11.30 3965
1045 ☞ 박자기... 써야되나요? 말아야되나요? 지얼 2001.08.22 4616
1044 ☞ 박자기... 써야되나요? 말아야되나요? 문병준 2001.08.12 5521
1043 ☞ 베네주엘라 왈츠에 관한 짤막한 글(빙산의 일각임)... 2 미니압바 2000.11.20 5983
1042 ☞ 본인 글에 대한 본인의 대답 filliads 2001.02.04 4302
1041 ☞ 부탁드려요.. 안진수 2000.11.26 3985
1040 ☞ 빨리요...푸꾸다와 바덴째즈에 대해 좀 알려주세요... 1 망상 2000.12.12 4011
1039 ☞ 상단 칭구네집에 가면 대식이네집이 있걸랑요... 망상 2000.12.07 4754
1038 ☞ 샤콘느... mess 2000.11.26 4116
1037 ☞ 소나타와 파르티타라... 악장두... 신동훈 2001.06.01 5124
1036 ☞ 소르의 러시아의 회상에 관한 질문 매니악 2001.02.14 4581
1035 ☞ 순정률, 평균율, 글구 류트... 1 신동훈 2001.06.01 5180
1034 ☞ 스승님..한수 가르쳐주세요.소주와 함께 謁見하고 싶군요.. 명노창 2000.10.30 4087
1033 ☞ 실황연주를 보았는데... 셰인 2001.02.19 4120
1032 ☞ 아! 갈브레쓰를 깜빡했습니다... 갈브레쓰.... 2000.11.25 4088
1031 ☞ 아랑페즈는 일본식표기를 한글로 읽은것이 아닐른지요? 갸우뚱 2000.12.11 4143
1030 ☞ 아이렌다이즈.. 1 서정실 2001.05.25 5113
1029 ☞ 아포얀도와 알 아이레의 구분은 중요하지 않을 까요? changs 2000.12.15 4409
1028 ☞ 악보를 찾는데여...부탁해여 mess 2000.11.24 4037
1027 ☞ 안 초라한심판. 셰인 2001.04.07 4113
1026 ☞ 안타깝게도... 조상근 2000.11.26 4150
1025 ☞ 알레망드? 사라방드? 코우란테? 프렐류드? 신동훈 2001.06.01 9359
1024 ☞ 야마시따 연주를 보고.. 아라 2001.02.21 4287
1023 ☞ 야마시따가 빠르다고요? 이승한 2000.12.21 4190
1022 ☞ 야마시따와 가오리... 명노창 2000.12.21 4087
1021 ☞ 야마시타의 오른손 셰인 2001.01.06 4190
1020 ☞ 어제 오모씨랑 빌스마에 대하여 다퉜다. 눈물반짝 2000.11.06 4339
1019 ☞ 역대 파리콩쿨의 숨은 이야기도... 미니압바 2000.10.29 4710
1018 ☞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곡들.... 2 셰인 2001.08.22 4679
1017 ☞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곡들.... 5 서정실 2001.08.22 5054
1016 ☞ 온고지신... 솔개 2001.03.04 4115
1015 ☞ 와~ 역시 실천에 옮기시는군요~ ^^ Clara 2000.12.26 3961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