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43.135.89) 조회 수 6041 댓글 7
작곡 : 루이스 밀란 Luys Milan(1500~1566)
곡명 : 거장 El Maestro 중 Triste estava muy quexosa(Romance)
연주 : M. Figueras(Sop.), Hopkinson Smith(Vihuela)
녹음 : Astree E 7777(CD), Astree E 7748(CD)




  유구한 기타의 역사에 있어 맨 먼저 나타나는 이름이 바로 루이스 밀란. 그의 《거장 El Maestro》 중 《파반느 Pavane》는 오늘날에도 자주 연주되는 곡이지요. 이 음반은 기타 연주가 아닌 기타의 전신인 비우엘라(Vihuela)로 연주하고 있습니다. 별첨 음악은 16세기에 스페인에서 유행했던 로만세(Romance 이야기식의 노래)입니다. 노래는 사발의 부인인 피게라스.

++++++++++++++++++++++++++++++++++++++++++++++++++++++++++++++++++++++++++++++++++++++++++++++++++++++++++++++++++++

  기타(Guitar)는 유구한 역사와 빛나는 전통을 지닌 악기이다. 기타는 그 속에 불꽃같은 정념(情念)을 갈무리하고 있는 카르멘(Carmen)과 같은 여인이며, 그 음색이 너무도 관능적이고도 매혹적이어서 카르멘과 사랑에 빠진 이후 주체할 수 없는 숙명의 굴레에서 허우적대던 돈 호세(Don Jose)처럼, 나로 하여금 10살 때 첫사랑을 시작한 이래 아직도 사랑에 목말라 애태우게 만드는 악기이다. 기타는 그 모양새부터가 여체를 닮아있다. 울림통의 가운데는 잘룩하게 들어가서 여인의 허리를 연상케 하며, 그 아래로 이어지는 부드럽고 풍만한 곡선은 영락없이 성숙한 여체를 연상케 한다.

  잘룩한 허리를 무릎 위에 누이고 풍만한 하체를 부드럽게 감싸 안은 기타리스트의 모습은 무척이나 관능적이다. 마치 사랑의 밀어를 속삭이는 연인처럼... 기다랗게 목을 빼고서 사랑하는 사람을 기다리던 여인이 그대로 굳어져 기타로 환생한 것은 아닐까? 슈베르트의 《세레나데》가 전형적인 기타의 반주형식을 모방하고 있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기타는 사랑을 노래하는 가장 적합한 악기이기 때문이다.

  쇼팽의 "기타만큼 아름다운 음색을 내는 악기는 없다. 아마도 기타 2중주를 제외한다면..."이라는 말처럼 기타는 혼자서 연주해도 아름답지만 둘이서 연주하는 이중주의 매력은 각별하다. 같은 악기 2개가 어울려 기타보다 아름다운 매력을 발산하는 악기를 나는 알지 못한다. 2대의 바이올린이 그런가? 아니면 2대의 피아노가? 기타는 때론 격렬하게, 때론 달콤하게, 때론 촉촉하게 우리의 메마른 영혼을 적셔준다.

  기타는 선율악기이기도 하지만 화성적인 악기이며 리듬악기이기도 하다. 라스게아도(Rasgueado) - 손가락 전체를 사용해서 격렬하게 리듬을 표현하는 기타의 연주법 - 로 연주하는 기타의 섬세한 리듬감은 그 어떤 악기로도 표현이 불가능하다. 기타는 그 자체로 완벽한 악기라서 그런지 오케스트라의 일원으로 참여하지도 않고 홀로 고고한 매력을 발산한다. 그래서 악성 베토벤은 기타를 일러 '작은 오케스트라'라고 하지 않았던가!

  기타는 바로크 음악에 잘 어울리는 악기이지만 고전파, 낭만파 음악에도 무척 잘 어울린다. 그리고 기타는 현대음악에서 기막힌 매력을 발산한다. 영국의 현대작곡가 왈톤(W. Walton:1902~1983)이 작곡한 《Five Bagatelles 5개의 잡동사니》를 들어 보면 기타가 얼마나 현대적인 정서에 잘 어울리는가를 알 수 있다. 자! 이제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 머나 먼 시간여행을 떠나보자. 기타가 스페인 민중들로부터 폭넓은 사랑을 받으며 스페인 사람들의 심성을 대변해주는 악기로 정착하게 된 역사적인 배경은 이러하다.

  서기 632년, 이슬람교의 창시자 마호메트(Mahomet:570?~632)가 후계자(칼리프 Caliph)를 지명하지 않은 채 사망하자 정통 칼리프를 자처하며 최초의 이슬람 국가를 건설한 우마이야 왕조(Umayyad dynasty:661~750)는 다마스커스에 수도를 두고 한 때 동으로는 중국의 당(唐)나라와 국경을 접하고 서로는 북아프리카 전역과 이베리아 반도에 이르는 아랍 최대의 제국이었다.

  우마이야 가(家)와 인척관계인 압바스 가(家)는 750년, 우마이야 가(家)의 왕족들을 연회에 초대해서 모조리 죽임으로써 우마이야 왕조를 무너뜨리고 바그다드를 수도로 하는 압바스 왕조(Abbas dynasty:750~1258)를 세운다. 80여명의 왕족들이 살육을 당한 이 와중에서 구사일생으로 살아남은 왕자 압둘 라흐만 1세는 압바스 가(家)의 추격을 뿌리치고 어머니의 고향인 북아프리카의 세우타에 도착한다. 그리고 이베리아 반도(현재의 스페인)의 꼬르도바(Cordoba)에 있던 우마이야 왕조의 직할령을 접수함으로써 후기 우마이야 왕조(756~1031)를 연다.

  압둘 라흐만 1세(재위:756~788)는 압바스 왕조에 대한 적개심으로 꼬르도바를 바그다드에 뒤지지 않는 도시로 건설하는데 박차를 가하게 되며, 압둘 라흐만 2세(재위:822~852) 때에는 "바그다드를 따라잡고, 앞지르라"는 정책에 따라 스페인은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게 된다. 문화정책에도 힘을 기울여 바그다드로부터 쫓겨난 대음악가 지르얍(본명은 아블 하산 789~857)을 꼬르도바로 초빙한다.

  지르얍은 바그다드의 궁정음악가 이스하크의 제자였는데 약관의 나이에 4현 우드(Al-Ud) - 탄현(彈絃)악기의 일종으로 류트의 선조가 된다 - 를 5현으로 개조하여 연주한 천재였으며, 나무 조각으로 줄을 퉁기던 것을 독수리의 발톱을 사용함으로써 연주법에 일대 혁신을 가져오게 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스승을 능가하는 넘치는 재능 때문에 결국 쫓겨나게 된 것이었다. 꼬르도바에 온 지르얍은 스페인 각지에 유럽 최초의 음악학교를 세워서 음악가들을 양성하는 한편 스페인 전역에 남아있는 민요를 정리하였다.

  지르얍이 스페인 음악에 끼친 영향은 지대하여 스페인에는 유능한 음악가들로 넘쳤으며 스페인 사람들의 뛰어난 음악성은 이 때에 토대가 만들어졌다. 압둘 라흐만 3세(재위 929~961)때의 스페인은 유럽 최고의 문화국가였다. 당시의 꼬르도바는 모스크(이슬람 사원)가 700개, 병원이 50개, 학교가 17개, 공중 목욕탕이 900개에 달하는 인구 80만의 유럽 제일의 거대도시였으며, 도로는 포장이 되어 있었고 밤에는 가로등까지 켜져 있었다고 한다.
            
Comment '7'
  • 오모씨 2004.03.10 03:37 (*.218.221.89)
    압둘 라흐만 1세 짱!
    정말 대단한 사람이네요.
    내가 만지고 있는 이 기타에 그런 역사의 숨결이 다져져 있군요...
    놀랍습니다.
    선생님 너무 재밋었어요 이번에도!
  • 2004.03.10 14:19 (*.227.73.189)
    코르도바, 압둘, 우드, 압바스, 하산, 바그다드,우마이야,마호멭,....
    이색적인 언어들이 우덜에게 스며들고....
  • 2004.03.10 15:34 (*.147.113.179)
    돌로 퉁기던 것에서 독수리 발톱을 사용한 일대혁신.. 멋져요
  • 정천식 2004.03.10 16:25 (*.243.135.89)
    서양악기의 기원을 보면 아랍(특히 수메르 왕국)에 기원을 둔 것이 많지요. 기타, 바이얼린, 하프, 플루트 등...
    서양의 르네상스 운동도 그리스에선 사라진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소크라테스, 호머 등의 저술들을 아랍어로 번역한 것이 남아 있었기에 가능했지요.
    요즈음 우리들이 보는 이같은 책은 아랍어를 거꾸로 서양에서 번역한 것이 많답니다.
    성경에 보면 아브라함의 두 아들인 이삭과 이스마엘은 각각 유태인과 아랍인의 조상이지요.
    세계의 역사가 근세 이후 기독교 국가가 주류를 이루는 바람에 아랍의 역사가 제대로 조명되지 못한 점이 많습니다.
    로빈슨 크루소를 보면 스페인을 지배했던 무어인들이 야만(식인)족으로 나오는데 이건 완전히 모함에 가까운 거예요. 비록 소설이긴 하지만...
    타레가의 유명한 작품인 단자 모라(Danza Mora 무어인의 춤)를 들어보면 무어인들을 희화적으로 묘사하고 있지요.
  • 2004.03.10 20:40 (*.105.91.191)
    아랍과 무어인......우리가 앞으로 연구해야할 신비로운대상..
  • 2004.03.11 09:53 (*.149.79.76)
    AD 0년에 가장 번성했던 도시는 이집트의 Alexandria,
    AD 1000년에 가장 번성했던 도시는 Cordoba,
    AD 2000년에 가장 번성하고있는 도시는 New York 이라고
    National Geographic지가 특집을 낸 적이 있었습니다.
    특히 흥미로운 부분은 그 당시 Cordoba가 어느 정도로 문화가 발달하였는가 하는
    대목이었습니다. 위의 설명처럼 말이지요...그 당시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도서관도 그 곳에 있었답니다..
    또한 Cordoba는 Miguel Rodriguez가 기타를 제작했던 곳이지요...한 번 가 보고 싶은 곳입니다...
  • 정천식 2004.03.11 16:00 (*.243.135.89)
    '구'님의 말을 들으니 우리들이 Cordoba에 대해 너무도 모르고 있는 게 많다는 생각이 듭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려요. National Geographic을 한 번 살펴봐야겠군요.
    무어인들은 후기 우마이야 왕조(756~1031)가 무너진 이후 1492년까지 스페인 남부를 통치했습니다.
    무어인은 스페인에서 찬란한 문화를 꽃피웠는데 대표적인 건축물이 바로 알함브라 궁전입니다.
    무어인은 아랍인과 흑인의 혼혈이라고 하는데 북아프리카에 넓게 살고 있죠.
    피부색이 흰 무어인들도 있으므로 특정한 인종을 가리키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아마도 유럽인들은 기독교적인 세계관으로 세상을 바라보았기 때문에 이교도인 무어인을 야만인으로 묘사했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

  1. 가사의 얽힘과 그 이후의 역사적 전개과정

    Date2003.12.28 By정천식 Views4976
    Read More
  2. 시간여행 : 800년 전의 음악은 어땠을까요?

    Date2003.12.28 By정천식 Views5707
    Read More
  3. 해피보이님께.................거지의 사랑노래(?)

    Date2003.12.29 By정천식 Views8986
    Read More
  4. 산사나이들의 밝고 유쾌한 노래

    Date2003.12.29 By정천식 Views6963
    Read More
  5. 카운터 테너와 카스트라토 그리고 소프라니스트(수정)

    Date2004.01.04 By정천식 Views11292
    Read More
  6. 천사의 죽음 - Suite del Angel

    Date2004.01.05 By차차 Views7874
    Read More
  7. 프랑코 코렐리를 추모하며

    Date2004.01.05 By정천식 Views6427
    Read More
  8. 1월 16일 배장흠님 Recuerdos 연주회 후기

    Date2004.01.17 By으니 Views7575
    Read More
  9. 정경화의 샤콘느...

    Date2004.01.22 ByeveNam Views5499
    Read More
  10. LP예찬

    Date2004.01.22 By정천식 Views5579
    Read More
  11. LP를 CD로 만들기

    Date2004.01.24 By정천식 Views5483
    Read More
  12. 합창교향곡... 에리히 라인스도르프...

    Date2004.01.25 ByeveNam Views6862
    Read More
  13. 로드리고... 안달루즈 협주곡

    Date2004.01.25 ByeveNam Views7576
    Read More
  14. 히메네스 - 알론소의 결혼

    Date2004.01.30 By정천식 Views8166
    Read More
  15. 히메네스 - 알론소의 결혼(야마시타의 연주)

    Date2004.01.31 By정천식 Views6771
    Read More
  16. 20세에 요절한 바스크 출신의 천재 작곡가 - 아리아가

    Date2004.02.03 By정천식 Views12228
    Read More
  17. [re] 참고로~

    Date2004.02.04 Byseneka Views6092
    Read More
  18. 척박한 황무지에서 피어난 찬란한 꽃, 그라나도스

    Date2004.02.04 By정천식 Views8783
    Read More
  19. 테크닉과 음악성에 대한 이런 생각도 있습니다..

    Date2004.02.05 Byseneka Views5584
    Read More
  20. 밑의 글들을 일고...

    Date2004.02.06 Byvandallist Views5988
    Read More
  21. 위의 글을 읽고...

    Date2004.02.06 By지나가다 Views5852
    Read More
  22. [re] 답답...

    Date2004.02.06 By답답... Views5270
    Read More
  23. 한말씀만...

    Date2004.02.06 Byjazzman Views6425
    Read More
  24. [re] 커트 코베인이 뭘 어쨎길래..

    Date2004.02.06 By마왕 Views5095
    Read More
  25. 근데...음악성이란게 정확히 뭘 말하는거에요?

    Date2004.02.06 By마왕 Views5580
    Read More
  26. [re] 근데...음악성이란게 정확히 뭘 말하는거에요?

    Date2004.02.06 By... Views4712
    Read More
  27. [re] 음악성.........꼬추가루 넣은 안동식혜.

    Date2004.02.06 By Views5060
    Read More
  28. 로르까의 <스페인 옛 민요집>

    Date2004.02.06 By정천식 Views8182
    Read More
  29. 투우장에 울려퍼지는 정열적이고도 우아한 음악(1)

    Date2004.02.07 By정천식 Views6938
    Read More
  30. 투우장에 울려퍼지는 정열적이고도 우아한 음악(2)

    Date2004.02.07 By정천식 Views6433
    Read More
  31. 투우장에 울려퍼지는 정열적이고도 우아한 음악(3)

    Date2004.02.07 By정천식 Views7274
    Read More
  32. Obligato on Etude in B minor

    Date2004.02.08 By정천식 Views5533
    Read More
  33. 내 첫사랑의 추억이 어린 그리그의 <페르 귄트>(1)

    Date2004.02.10 By정천식 Views6100
    Read More
  34. 내 첫사랑의 추억이 어린 그리그의 <페르 귄트>(2)

    Date2004.02.10 By정천식 Views5200
    Read More
  35.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선구자 - 솔레르 신부(1)

    Date2004.02.11 By정천식 Views5822
    Read More
  36.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선구자 - 솔레르 신부(2)

    Date2004.02.11 By정천식 Views17213
    Read More
  37.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선구자 - 솔레르 신부(3)

    Date2004.02.11 By정천식 Views5386
    Read More
  38. 바하는 어떤 악보로 공부하여야 하나........!!??

    Date2004.02.16 By해피보이 Views5810
    Read More
  39. [re] 바하는 어떤 악보로 공부하여야 하나........!!??

    Date2004.02.16 By정천식 Views5712
    Read More
  40. 음악과 수학(2) &#8211; 피타고라스 음계와 선법

    Date2004.02.17 Bybluejay Views9179
    Read More
  41.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큰 별, 알베니스(1)

    Date2004.02.24 By정천식 Views5337
    Read More
  42.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큰 별, 알베니스(2)

    Date2004.02.25 By정천식 Views5501
    Read More
  43.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큰 별, 알베니스(3)

    Date2004.02.26 By정천식 Views5295
    Read More
  44. 스트라디바리 사운드의 비밀, 기후 탓?[잡지 월간객석에서 퍼옴]

    Date2004.02.29 By김동선 Views5998
    Read More
  45. 쵸콜렛을 좋아하세요?(1)

    Date2004.03.02 By정천식 Views4715
    Read More
  46. 쵸콜렛을 좋아하세요?(2)

    Date2004.03.03 By정천식 Views5002
    Read More
  47. 쵸콜렛을 좋아하세요?(3)

    Date2004.03.04 By정천식 Views4877
    Read More
  48. 커트코베인과 클래식기타

    Date2004.03.09 By한민이 Views5791
    Read More
  49.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1)

    Date2004.03.10 By정천식 Views6041
    Read More
  50. 타레가의 "무어인의 춤"

    Date2004.03.10 By정천식 Views7296
    Read More
  51. 질문.

    Date2004.03.11 By진성 Views4869
    Read More
  52. [re] Omar Bashir의 우드(Oud)연주..

    Date2004.03.11 By옥용수 Views5434
    Read More
  53. [re] 질문.

    Date2004.03.11 By정천식 Views4974
    Read More
  54.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2)

    Date2004.03.11 By정천식 Views5666
    Read More
  55.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3)

    Date2004.03.13 By정천식 Views5220
    Read More
  56. [re]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3)

    Date2004.03.14 By정천식 Views5065
    Read More
  57.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4)

    Date2004.03.14 By정천식 Views5408
    Read More
  58. 인류 평화의 염원이 담긴 새의 노래

    Date2004.03.15 By정천식 Views5679
    Read More
  59. [re]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큰 별, 알베니스(3)

    Date2004.03.16 By차가운기타 Views5325
    Read More
  60. 세고비아 & 망고레

    Date2004.03.17 By지어 ㄹ Views9299
    Read More
  61. 바하곡을 연주한다는 것...

    Date2004.03.17 By황유진 Views5562
    Read More
  62. 역시~디용.....Roland Dyens 의 인터뷰.............(97년 soundboard잡지)

    Date2004.03.23 By맹구 Views5363
    Read More
  63.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완성자, 파야(1)

    Date2004.03.23 By정천식 Views5789
    Read More
  64. 파야의 스페인 무곡 오페라 버전

    Date2004.03.23 By정천식 Views6419
    Read More
  65. 파야의 스페인 무곡(기타2중주)

    Date2004.03.24 By정천식 Views6200
    Read More
  66.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완성자, 파야(2)

    Date2004.03.26 By정천식 Views5579
    Read More
  67. 파야의 폴로 - 수페르비아의 노래

    Date2004.03.26 By정천식 Views6208
    Read More
  68. 파야의 폴로 - 후쿠다 신이치의 연주

    Date2004.03.26 By정천식 Views6354
    Read More
  69. 파야의 폴로 - 예페스의 연주

    Date2004.03.26 By정천식 Views6114
    Read More
  70. 파야의 도깨비불의 노래

    Date2004.03.26 By정천식 Views6467
    Read More
  71. 몇자 안되는 간단의견 넘 아까워서 퍼왔습니다......."무한이 확장되는 경험

    Date2004.03.28 By Views5015
    Read More
  72.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완성자, 파야(3)

    Date2004.03.29 By정천식 Views5978
    Read More
  73. LAGQ - 파야의 도깨비불의 노래

    Date2004.03.30 By정천식 Views4899
    Read More
  74. LAGQ - 파야의 괴로운 사랑의 노래

    Date2004.03.30 By정천식 Views5067
    Read More
  75. 파야 - 물방아꾼의 춤(오케스트라)

    Date2004.03.30 By정천식 Views5724
    Read More
  76. 파야 - 물방아꾼의 춤(기타연주)

    Date2004.03.30 By정천식 Views6142
    Read More
  77. 파야 - 시장의 춤(오케스트라)

    Date2004.03.30 By정천식 Views5742
    Read More
  78. 파야 - 시장의 춤(기타연주)

    Date2004.03.30 By정천식 Views5922
    Read More
  79. 디용 전주 황추찜닭 공연 후기.

    Date2004.03.31 By오모씨 Views8645
    Read More
  80. 변태가 되어가는 나의 귀.......

    Date2004.04.02 By오모씨 Views5507
    Read More
  81.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완성자, 파야(4)

    Date2004.04.02 By정천식 Views6351
    Read More
  82. 안녕하세요. 숙젠데..^^; 도레미파 솔라시도.. 이름의 유래에대해 알고 싶습니다.

    Date2004.04.06 Byhesed Views7282
    Read More
  83. Ut queant laxis(당신의 종들이) 악보

    Date2004.04.07 By정천식 Views8635
    Read More
  84. [퍼온글] 기타와 다른악기와의 쉽지않은 중주에 관하여...(오모씨님의 글)

    Date2004.04.11 By Views6255
    Read More
  85. 저작권에 관하여...(FAQ)..

    Date2004.04.11 By Views4798
    Read More
  86. [요청] 브라우워의 곡중 Suite No.2 Mebae는?

    Date2004.04.12 By옥용수 Views6203
    Read More
  87. 탱고와 아르헨티나 민속문화

    Date2004.04.17 By정천식 Views8749
    Read More
  88. 모든 기타협주곡에 대하여 수배령을 내립니다.

    Date2004.04.20 By정천식 Views8504
    Read More
  89. [질문]Paco de Lucia의 Fuente Y Caudal

    Date2004.04.30 By의문의 Views5820
    Read More
  90. 클래식 기타곡좀 추천해주세요...

    Date2004.05.05 Bykalsenian Views5027
    Read More
  91. 20세기를 예비한 바이올리니스트 - 사라사테

    Date2004.05.11 By정천식 Views9299
    Read More
  92. 여섯개의 은빛 달빛, 망고래의 생과 시간들. (리차드 디. 스토우버)

    Date2004.05.24 By데스데 리 Views4986
    Read More
  93. 하프의 마음, 하프의 영혼 사발레타

    Date2004.06.19 By정천식 Views8653
    Read More
  94. 사발레타가 연주하는 알베니스의 말라게냐

    Date2004.06.19 By정천식 Views5894
    Read More
  95. 장대건님 연주회 끝난 후 이야기 한 토막

    Date2004.06.21 By으니 Views4958
    Read More
  96. 추억의 스카보로우

    Date2004.06.30 ByLSD Views6971
    Read More
  97. [re] 스카보로우의 여인

    Date2004.07.01 Bygmland Views6879
    Read More
  98. Scarborough Fair 영상시

    Date2004.07.02 By고정석 Views5213
    Read More
  99. Stairway to Heaven

    Date2004.07.02 Bygmland Views7549
    Read More
  100. Dust in the wind - Kansas

    Date2004.07.03 Bygmland Views7502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