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126.250.156) 조회 수 9121 댓글 1
[Disclaimer]

여기에 쓰는 글의 내용은 책에서 읽은 것도 있지만 잘못 이해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그외 많은 부분은 인터넷에서 얻은 신빙성을 입증할 수 없는 이론이나 귀동냥으로 줏어들은 단편적인 지식, 개인적인 추론및 짐작으로 쓴 사견이 모두 뒤섞인 것이므로 그 내용의 신뢰성에 대하여는 읽으시는 칭구분들의 판단에 맡기는 바입니다. (이럴때 아마추어라는게 참 편리합니다. 단지 아마추어라는 핑계로 책임을 피할수 있으니까요. ^^)

지난번의 엔트로피에 이어 피타고라스 음계와 선법, 순정조와 평균률, 피보나치 수열과 황금율, 프랙탈, 카오스, 노이즈(White/Brown/Pink), 1/f이론... 음악과 관련된 수학의 이런 이야기들을 풀어나가 보려고 하는데 앞으로도 위의 Disclaimer는 계속 유효합니다. 이 글의 목적은 이러한 수학이론을 설명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 이론들이 음악에 어떻게 적용되는가 하는 것이 주된 관점입니다. 이들 이론에 관한 것은 저의 어줍잖은 수박 겉핥기 상식보다 좋은 책과 자료가 얼마든지 많이 있습니다.


[음의 어울림]

화음에 관한 이야기때마다 나오는 것이지만, 음의 어울림의 기본원리는 주파수의 간단한 정수비에 있습니다. 1:2는 한 옥타브 차이로서 너무 완벽하게 어울리기에 우리는 그런 음을 '같은 음정'이라고 간주합니다. 그 다음으로 간단한 비는 2:3 으로서 우리가 완전5도 음정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일설에 의하면 피타고라스가 대장간의 망치소리(두사람이 무게가 다른 망치로 번갈아 치는)를 듣고 음의 어울림에 착안하여 음계를 만들었다는 썰이 있지만 신빙성이 의심스럽고, 고대의 그림으로 전해지는 바와 같이 현의 길이로 연구했을것 같은데 그 시대에는 주파수같은 개념은 없이 아마도 현의 길이에만 초점이 모아지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어디선가 본 기억으로 중국에서도 2진3분법(?)인가 하는, 즉, 현의 길이를 2배 늘렸다가 3등분 한다는 원리가 있다는데 이것 역시 주파수비 2:3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피타고라스 음계는 바로 현 길이 또는 주파수의 2:3 비율에 기초하여 만들어 집니다. 우선 결론적으로 피타고라스 음계가 어떻게 구성되는 지를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주: 여기서 음의 표기는 C를 예로들면,
. . . CCC, CC, C, c, c', c'', c''', . . .
로 표기하겠습니다. 이는 가온다를 c로하여 한 옥타브씩 올라가는 C를 나타냅니다.)

[피타고라스 음계]

c를 1로보고 먼저 주파수가 2/3(완전5도) 낮은 음이 F가 됩니다. 다시 c로부터 3/2 올리면 g, 거기서 또 3/2 올리면 d'(d의 한옥타브 위),... 이런 식으로 계속 쌓아 올리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F = 2/3
c = 1
g = 3/2
d' = 9/4
a' = 27/8
e'' = 81/16
b'' = 243/32

이 음들은 4 옥타브에 걸쳐있으므로 2를 곱하거나(1 옥타브 위로), 2 또는 4로 나누어(1 또는 2 옥타브 아래로) 1과 2 사이(한 옥타브 안)에 들어가게 다시 배열하면;

c = 1
d = 9/8 = 1.125
e = 81/64 = 1.266
f = 4/3 = 1.333
g = 3/2 = 1.5
a = 27/16 = 1.688
b = 243/128 = 1.898
c' = 2

이렇게하여 피타고라스 음계가 구성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c'는 단순히 c를 한 옥타브 올려 2로한 것으로 3/2로 쌓아올려 도달한 것이 아닙니다. 몇 옥타브 위가 됐건 간에 처음 시작한 음정에 도달하려면 3/2비로 12번 올려 2^n(2의 n제곱)과 같아져야 하지만 이것이 정확한 제 음정에 일치하지 않습니다. 즉, (3/2)^12 = 531441/4096 = 129.746으로 c'''''''(7 옥타브 위의 c)인 2^7 = 128과는 오차가 있는데 이를 피타고라스의 코머라고 합니다. (3^12 / 2^19 = 531441 / 524288 = 1.013643265)

이러한 오차를 보정하려는 노력으로 오랜 역사에 걸쳐 여러가지 시도가 있었지만 결국은 평균율로 그 최종 결론이 도달하여 더 이상의 진화가 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이에 관하여는 다음에 평균율에서 다시 언급하겠습니다.

[Pentatonic]

한가지 주목할 점은 2:3의 진행이 B에서 중단되었다는 사실입니다. 계속 진행한다면 F#, C#, ...이 나왔을텐데 말입니다. 그러나 당시엔 반음계같은 것이 존재하지 않았다기 보다는 인정되지 않았다고 하는편이 더 맞을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근접한 두 음은 심한 불협화음을 만듭니다. 혹시 '반음껭판'이라는 것을 아시나요? 친구가 연주할때 옆에서 같은 곡을 반음 틀리게 연주해보세요. 정말 못들어 줍니다. (단, 즉시 도망갈 준비를 갖추어야합니다. 안그러면 아포얀도로 한대 맞을수 있습니다. ^^) 그래서 F와 G사이에 너무 근접한 F#에서 2:3 진행을 중단했는 지도 모릅니다.

5음계도 이러한 음의 근접성에 기인한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두개의 음이 반음 간격으로 근접하는 것을 아예 인정하지 않는다면 E에 근접한 F와 C에 근접한 B가 인정받지 못하고 없어지게 됩니다. 반면에 E-F가 근접하기는 하지만 F-G간격은 온음이고 F 없이는 E-G간격이 너무 넓어 F와 B(같은 이유로)를 받아들이면 7음계가 됩니다. 이것이 바로 C-D-E-G-A의 5음계의 근거라고 생각하는 것은 저의 사견일 뿐입니다.

[선법(Mode)]

위의 2:3 진행을 보면 또 한가지 의문이 생깁니다. 7음계는 결국 2:3 비율로 음을 7개 쌓아올려 만든 것인데(F-C-G-D-A-E-B) 왜 하필이면 두번째 음을 기준음 C로 했을까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고대 그리스에서 이 기준음이 각각 다르게 설정되어 사용되었으니 그것이 선법입니다.

이오니아 선법 (Lydian) : C-D-E-F-G-A-B-c (제2음 기준, 장조에 해당됨)
도리아 선법 (Phrygian) : D-E-F-G-A-B-c-d (제4음 기준)
프리기아 선법 (Doric) : E-F-G-A-B-c-d-e (제6음 기준)
리디아 선법 (Syntonolydian) : F-G-A-B-c-d-e-f (제1음 기준)
믹소리디아 선법 (Ionic) : G-A-B-c-d-e-f-g (제3음 기준)
에올리아 선법 (Eolic) : A-B-c-d-e-f-g-a (제5음 기준, 단조에 해당됨)
(Mixolydian) : B-c-d-e-f-g-a-b (제7음 기준)

그런데 왜 한글과 영문표기가 틀리냐구요? 한글표기는 Glarean의 Dodecachordon(1547년)에서 쓴 교회음악의 선법이름입니다만 이것은 그가 그리스 이름을 좀 헷갈려 잘못 쓴 것이라는데, 음악에서는 이 선법이름이 통용된다하고 괄호안의 영문표기가 실제 그리스 이름이라고 합니다.

Pentatonic에서도 마찬가지로 선법이 존재합니다. 선법이름은 따로 없는 것 같습니다.

C-D-E-G-A-c (예: Scotch air - major)
G-A-c-d-e-g (예: 한국국악?, 중국음악)
D-E-G-A-c-d (예: Gaelic or old bagpipe tune)
A-c-d-e-g-a (예: Scotch air - minor)
E-G-A-c-d-e

[Lyre의 조율과 선법]

지금까지는 숫자로 음계와 선법을 설명하였습니다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리라의 조율로 선법을 설명하는 것이 더 현실적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리라의 현의 숫자는 계속 변하였지만 그리스 전성기의 대표적인 형태는 Tetratonic(4음계) 두개를 붙인 8현이라 합니다. 그 현을 저음부터 1~4, 5~8번이라 하겠습니다.

우선 1번을 c, 8번을 한 옥타브 위인 c'로 조율하여 이를 으뜸음(Tonic)으로 합니다. 다음에 1번(c)에서 2:3으로 5번을 g에 조율하여 Dominant(딸림)음으로하고, 4번은 8번(c')로부터 3:2로 내려 f로 조율하면 Sub-Dominant(버금딸림)음이 됩니다. 그러면 이제 1(c) - 4(f), 5(g) - 8(c')의 두 Tetratonic음계의 기준이 섰습니다. 남은 것은 그 중간의 2,3현과 6,7현을 어떻게 조율하는가 입니다. (음정을 말할때 왜 1,4,5,8도는 완전음정, 2,3,6,7도는 장/단음정이라 하는지 감이 잡힙니다.) 이때 조율의 기본 원칙은 2:3(완전5도), 그 것이 옥타브를 벗어나면 2:3을 한 옥타브 꺾어내린 3:4(완전4도) 간격으로 조율하는 것입니다. 이 비율은 바이올린족 악기의 조율처럼 귀로들어 쉽게 조율할 수 있습니다.

아마 리디아에서는 5(G) → 2(D) → 6(A) → 3(E) → 7(B)의 순서로 오름차순 조율하여 후일 이오니아 선법으로 알려진 음계가 되고 도리아에서는 4(F) → 7(Bb) → 3(Eb) → 6(Ab) → 2(Db)으로 내림차순 조율하여 프리기아 선법으로, 다른 지방에서는 이 두가지의 중간형태로 조율하여 각기 다른 선법이 된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를 알기 쉽게 온음 간격은 =로, 반음 간격은 –로 표시하여 다시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됩니다. (프렛b때문에 모든 음을 대문자로 표기합니다.)

조율순서 : 리라현의 음정 (실제 그리스 이름)
C→G→D→A→E→B→F# / C' : C=D=E=F#, G=A=B–C' (Syntonolydian)
C→G→D→A→E→B / F←C' : C=D=E–F, G=A=B–C' (Lydian)
C→G→D→A→E / Bb←F←C' : C=D=E–F, G=A–Bb=C' (Ionic)
C→G→D→A / Eb←Bb←F←C' : C=D–Eb=F, G=A–Bb=C' (Phrygian)
C→G→D / Ab←Eb←Bb←F←C' : C=D–Eb=F, G–Ab=Bb=C' (Eolic)
C→G / Db←Ab←Eb←Bb←F←C' : C–Db=Eb=F, G-Ab=Bb=C' (Doric)
C / Gb←Db←Ab←Eb←Bb←F←C' : C–Db=Eb=F, Gb=Ab=Bb=C' (Mixolydian)

이중 Syntonolydian과 Mixolydian은 Dominant, Sub-Dominant까지 묵살하고 조율하여 나갔기에 그 불협화성으로 인하여 도태되고 나머지 5개의 선법이 주로 쓰였을 것으로 짐작합니다. 결국 5음계의 도,레,미,솔,라 선법이 남게 되었나봅니다.

Comment '1'
  • 정천식 2004.02.19 23:46 (*.243.135.89)
    bluejay님의 이야기는 항상 흥미롭군요. 계속 좋은 글 당부드립니다.
?

  1. [re] 이건 MCA 랑 무슨 차인지...

    Date2004.09.01 By찾던이 Views6619
    Read More
  2. [re] 녹음기술

    Date2004.09.01 Byniceplace Views5293
    Read More
  3. Segovia의 샤콘느 - EVEREST 녹음

    Date2004.08.31 By1000식 Views5533
    Read More
  4. [re] segovia 샤콘느-CD

    Date2004.08.31 Byniceplace Views6021
    Read More
  5. segovia 샤콘느

    Date2004.08.31 Byniceplace Views8052
    Read More
  6. 기타역사에는 누구의 이름이 기록될까..요?...........

    Date2004.08.29 By Views5352
    Read More
  7. 혹시

    Date2004.08.12 By안녕하세요^^ Views6353
    Read More
  8. Fantasia(S.L.Weiss) 에 대한 곡설명을 알고 싶습니다.(

    Date2004.08.12 By뱅이 Views7691
    Read More
  9. 롤랑디옹 flying wigs에 대해서..

    Date2004.08.03 Bykanawha Views5166
    Read More
  10. 앤드류요크의 4중주곡 Spin 가지고 계신분 없나요?

    Date2004.08.02 By Views4900
    Read More
  11. 뿌욜의 땅벌...

    Date2004.08.01 By기타사랑 Views4902
    Read More
  12. 듀엣곡 좋은 거 뭐 없을까요?

    Date2004.07.30 By병신이 Views6086
    Read More
  13. 티비 cf중에서 '보성녹차'에 나오는 음악의 제목을 알고싶습니다~

    Date2004.07.21 By챠우챠우 Views6132
    Read More
  14. (박자와 관련하여..) 흐름을 깨서 죄송합니다.

    Date2004.07.11 By포에버클래식 Views8757
    Read More
  15. Dust in the wind - Kansas

    Date2004.07.03 Bygmland Views7442
    Read More
  16. Stairway to Heaven

    Date2004.07.02 Bygmland Views7491
    Read More
  17. Scarborough Fair 영상시

    Date2004.07.02 By고정석 Views5163
    Read More
  18. [re] 스카보로우의 여인

    Date2004.07.01 Bygmland Views6841
    Read More
  19. 추억의 스카보로우

    Date2004.06.30 ByLSD Views6924
    Read More
  20. 장대건님 연주회 끝난 후 이야기 한 토막

    Date2004.06.21 By으니 Views4922
    Read More
  21. 사발레타가 연주하는 알베니스의 말라게냐

    Date2004.06.19 By정천식 Views5849
    Read More
  22. 하프의 마음, 하프의 영혼 사발레타

    Date2004.06.19 By정천식 Views8578
    Read More
  23. 여섯개의 은빛 달빛, 망고래의 생과 시간들. (리차드 디. 스토우버)

    Date2004.05.24 By데스데 리 Views4948
    Read More
  24. 20세기를 예비한 바이올리니스트 - 사라사테

    Date2004.05.11 By정천식 Views9261
    Read More
  25. 클래식 기타곡좀 추천해주세요...

    Date2004.05.05 Bykalsenian Views4984
    Read More
  26. [질문]Paco de Lucia의 Fuente Y Caudal

    Date2004.04.30 By의문의 Views5771
    Read More
  27. 모든 기타협주곡에 대하여 수배령을 내립니다.

    Date2004.04.20 By정천식 Views8466
    Read More
  28. 탱고와 아르헨티나 민속문화

    Date2004.04.17 By정천식 Views8657
    Read More
  29. [요청] 브라우워의 곡중 Suite No.2 Mebae는?

    Date2004.04.12 By옥용수 Views6165
    Read More
  30. 저작권에 관하여...(FAQ)..

    Date2004.04.11 By Views4756
    Read More
  31. [퍼온글] 기타와 다른악기와의 쉽지않은 중주에 관하여...(오모씨님의 글)

    Date2004.04.11 By Views6218
    Read More
  32. Ut queant laxis(당신의 종들이) 악보

    Date2004.04.07 By정천식 Views8575
    Read More
  33. 안녕하세요. 숙젠데..^^; 도레미파 솔라시도.. 이름의 유래에대해 알고 싶습니다.

    Date2004.04.06 Byhesed Views7237
    Read More
  34.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완성자, 파야(4)

    Date2004.04.02 By정천식 Views6299
    Read More
  35. 변태가 되어가는 나의 귀.......

    Date2004.04.02 By오모씨 Views5468
    Read More
  36. 디용 전주 황추찜닭 공연 후기.

    Date2004.03.31 By오모씨 Views8607
    Read More
  37. 파야 - 시장의 춤(기타연주)

    Date2004.03.30 By정천식 Views5885
    Read More
  38. 파야 - 시장의 춤(오케스트라)

    Date2004.03.30 By정천식 Views5697
    Read More
  39. 파야 - 물방아꾼의 춤(기타연주)

    Date2004.03.30 By정천식 Views6094
    Read More
  40. 파야 - 물방아꾼의 춤(오케스트라)

    Date2004.03.30 By정천식 Views5677
    Read More
  41. LAGQ - 파야의 괴로운 사랑의 노래

    Date2004.03.30 By정천식 Views5032
    Read More
  42. LAGQ - 파야의 도깨비불의 노래

    Date2004.03.30 By정천식 Views4845
    Read More
  43.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완성자, 파야(3)

    Date2004.03.29 By정천식 Views5937
    Read More
  44. 몇자 안되는 간단의견 넘 아까워서 퍼왔습니다......."무한이 확장되는 경험

    Date2004.03.28 By Views4972
    Read More
  45. 파야의 도깨비불의 노래

    Date2004.03.26 By정천식 Views6412
    Read More
  46. 파야의 폴로 - 예페스의 연주

    Date2004.03.26 By정천식 Views6063
    Read More
  47. 파야의 폴로 - 후쿠다 신이치의 연주

    Date2004.03.26 By정천식 Views6319
    Read More
  48. 파야의 폴로 - 수페르비아의 노래

    Date2004.03.26 By정천식 Views6151
    Read More
  49.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완성자, 파야(2)

    Date2004.03.26 By정천식 Views5542
    Read More
  50. 파야의 스페인 무곡(기타2중주)

    Date2004.03.24 By정천식 Views6161
    Read More
  51. 파야의 스페인 무곡 오페라 버전

    Date2004.03.23 By정천식 Views6379
    Read More
  52.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완성자, 파야(1)

    Date2004.03.23 By정천식 Views5730
    Read More
  53. 역시~디용.....Roland Dyens 의 인터뷰.............(97년 soundboard잡지)

    Date2004.03.23 By맹구 Views5318
    Read More
  54. 바하곡을 연주한다는 것...

    Date2004.03.17 By황유진 Views5514
    Read More
  55. 세고비아 & 망고레

    Date2004.03.17 By지어 ㄹ Views9239
    Read More
  56. [re]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큰 별, 알베니스(3)

    Date2004.03.16 By차가운기타 Views5276
    Read More
  57. 인류 평화의 염원이 담긴 새의 노래

    Date2004.03.15 By정천식 Views5642
    Read More
  58.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4)

    Date2004.03.14 By정천식 Views5367
    Read More
  59. [re]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3)

    Date2004.03.14 By정천식 Views5032
    Read More
  60.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3)

    Date2004.03.13 By정천식 Views5179
    Read More
  61.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2)

    Date2004.03.11 By정천식 Views5623
    Read More
  62. [re] 질문.

    Date2004.03.11 By정천식 Views4934
    Read More
  63. [re] Omar Bashir의 우드(Oud)연주..

    Date2004.03.11 By옥용수 Views5396
    Read More
  64. 질문.

    Date2004.03.11 By진성 Views4831
    Read More
  65. 타레가의 "무어인의 춤"

    Date2004.03.10 By정천식 Views7260
    Read More
  66.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1)

    Date2004.03.10 By정천식 Views5994
    Read More
  67. 커트코베인과 클래식기타

    Date2004.03.09 By한민이 Views5737
    Read More
  68. 쵸콜렛을 좋아하세요?(3)

    Date2004.03.04 By정천식 Views4818
    Read More
  69. 쵸콜렛을 좋아하세요?(2)

    Date2004.03.03 By정천식 Views4960
    Read More
  70. 쵸콜렛을 좋아하세요?(1)

    Date2004.03.02 By정천식 Views4672
    Read More
  71. 스트라디바리 사운드의 비밀, 기후 탓?[잡지 월간객석에서 퍼옴]

    Date2004.02.29 By김동선 Views5944
    Read More
  72.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큰 별, 알베니스(3)

    Date2004.02.26 By정천식 Views5253
    Read More
  73.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큰 별, 알베니스(2)

    Date2004.02.25 By정천식 Views5459
    Read More
  74.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큰 별, 알베니스(1)

    Date2004.02.24 By정천식 Views5294
    Read More
  75. 음악과 수학(2) – 피타고라스 음계와 선법

    Date2004.02.17 Bybluejay Views9121
    Read More
  76. [re] 바하는 어떤 악보로 공부하여야 하나........!!??

    Date2004.02.16 By정천식 Views5663
    Read More
  77. 바하는 어떤 악보로 공부하여야 하나........!!??

    Date2004.02.16 By해피보이 Views5758
    Read More
  78.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선구자 - 솔레르 신부(3)

    Date2004.02.11 By정천식 Views5336
    Read More
  79.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선구자 - 솔레르 신부(2)

    Date2004.02.11 By정천식 Views17139
    Read More
  80.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선구자 - 솔레르 신부(1)

    Date2004.02.11 By정천식 Views5781
    Read More
  81. 내 첫사랑의 추억이 어린 그리그의 <페르 귄트>(2)

    Date2004.02.10 By정천식 Views5147
    Read More
  82. 내 첫사랑의 추억이 어린 그리그의 <페르 귄트>(1)

    Date2004.02.10 By정천식 Views6051
    Read More
  83. Obligato on Etude in B minor

    Date2004.02.08 By정천식 Views5488
    Read More
  84. 투우장에 울려퍼지는 정열적이고도 우아한 음악(3)

    Date2004.02.07 By정천식 Views7235
    Read More
  85. 투우장에 울려퍼지는 정열적이고도 우아한 음악(2)

    Date2004.02.07 By정천식 Views6385
    Read More
  86. 투우장에 울려퍼지는 정열적이고도 우아한 음악(1)

    Date2004.02.07 By정천식 Views6884
    Read More
  87. 로르까의 <스페인 옛 민요집>

    Date2004.02.06 By정천식 Views8133
    Read More
  88. [re] 음악성.........꼬추가루 넣은 안동식혜.

    Date2004.02.06 By Views5027
    Read More
  89. [re] 근데...음악성이란게 정확히 뭘 말하는거에요?

    Date2004.02.06 By... Views4677
    Read More
  90. 근데...음악성이란게 정확히 뭘 말하는거에요?

    Date2004.02.06 By마왕 Views5527
    Read More
  91. [re] 커트 코베인이 뭘 어&#51726;길래..

    Date2004.02.06 By마왕 Views5050
    Read More
  92. 한말씀만...

    Date2004.02.06 Byjazzman Views6373
    Read More
  93. [re] 답답...

    Date2004.02.06 By답답... Views5226
    Read More
  94. 위의 글을 읽고...

    Date2004.02.06 By지나가다 Views5816
    Read More
  95. 밑의 글들을 일고...

    Date2004.02.06 Byvandallist Views5890
    Read More
  96. 테크닉과 음악성에 대한 이런 생각도 있습니다..

    Date2004.02.05 Byseneka Views5528
    Read More
  97. 척박한 황무지에서 피어난 찬란한 꽃, 그라나도스

    Date2004.02.04 By정천식 Views8734
    Read More
  98. [re] 참고로~

    Date2004.02.04 Byseneka Views6045
    Read More
  99. 20세에 요절한 바스크 출신의 천재 작곡가 - 아리아가

    Date2004.02.03 By정천식 Views12168
    Read More
  100. 히메네스 - 알론소의 결혼(야마시타의 연주)

    Date2004.01.31 By정천식 Views6713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