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04.01.22 21:48

LP예찬

(*.243.135.89) 조회 수 5535 댓글 7
작곡 : C. Debussy
곡명 : En Bateau(Boating 뱃놀이)
연주 : F. Kreisler

대략 보름만에 올리는 글입니다. 오늘이 설날이라 덕담 한마디하고 시작하겠습니다. 기타 매니아의 모든 분들 복 많이 받으시고 올해엔 하시고자 하는 모든 일들을 다 이루시기 바랍니다.
.
.
.
.
eveNam님이 짱박혀 있던 턴테이블로 LP를 듣겠다기에 우선 반가움이 앞서네요. LP에 얽힌 여러 이야기와 함께 LP에 대한 예찬을 해보겠습니다. 제 개인적인 경험에 의한 글이라 다소 지나친 측면도 있으리라 생각되는데 너그럽게 이해바랍니다.
.
.
.
.
  CD에 길들여진 요즈음의 젊은 세대들에게 있어 LP는 지나간 시대의 구닥다리 유물쯤으로 여겨질지도 모르겠다. 우선 LP는 불편하다. CD는 간편하게 리모콘으로 조작하면 되지만 LP는 직접 카트리지를 음반 위에 올려놓아야 하고, 음반을 매 번 정성껏 잘 닦아주어야 하고, 카트리지도 자주 청소해주어야 하므로 여간 불편한 게 아니다.

  그리고 음반에 따라 카트리지를 바꾸어서 듣는 경우가 많은데 매 번 침압(針壓)과 안티-스케이팅(Anti-skating)과 오버행(Overhang)을 조정해야 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다소 전문적인 것이라 생략을 하겠지만 요즈음의 세대들에게는 이러한 불편함 외에도 현실적인 여러 제약들이 존재한다.

  요즈음에 판매되는 앰프는 포노 앰프(EQ. Amp.)가 내장되지 않은 라인 앰프(Line Amp.)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LP를 들어보려면 포노단이 내장된 앰프를 구하거나 포노 앰프를 별도로 구입해야 한다. 또한 턴테이블과 카트리지도 구입해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Setup 트랜스까지 별도로 구입해야 하므로 금전적인 부담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LP를 멀리하는 이유는 원하는 음반을 구하기가 쉽지 않다는 데 있다. 그리고 음반은 가격이 장난이 아니다. 마음에 드는 음반을 10여장 고르려면 원반의 경우 대충 40~50만원은 준비를 해야한다. 결론적으로 CD보다 가격이 몇 배로 비싸다는 것이다. 싼 음반도 있지만 원반의 경우 한 장에 기십만원하는 음반도 부지기수로 많다. 거의 모든 취미가 그렇지만 LP에 눈을 뜨게 되면 비싼 초반(First Pressing)이 갖고 싶어지는 게 인지상정이라 결혼한 남자라면 마누라의 호된 잔소리를 각오해야 한다. 이 때가 되면 얇은 내 주머니를 한탄하게 된다. 다른 쓰임새를 줄이는 수밖에...

  그리고 중고 LP Shop에 가면  음반이 분류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오랫동안 서서 다리품을 팔아 보물찾기를 해야 한다. 이처럼 LP 수집은 CD 수집에 비해 몇 배의 시간과 금전을 투자해야 하는 소모성 취미이다.
  
  하지만 내가 LP를 자주 듣는 이유는 옛부터 쭉 들어온 것도 있지만 지난 세대의 연주가들에 대한 호기심이 한 몫을 한다. 인기 있는 유명 연주가는 CD로 복각한 음반이 많이 나오고 있지만 그래도 빠진 음반이 있게 마련이고, 인기 있는 연주가가 아닌 경우에는 아예 복각이 되지 않거나 기껏해야 한 두장이 고작이다. 복각이라는 작업은 어차피 상업적인 목적을 달성해야 하는 만큼 이를 탓할 이유는 없지만 자기가 좋아하는 연주가에 대한 갈증은 LP로 해결할 수밖에 없다.

  한 예로, 스페인출신의 리카르도 비녜스(Ricardo Vines)라는 피아니스트가 있다. 그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반에 알베니스, 드뷔시, 라벨 등의 피아노 작품들을 초연했던 대가였다. 그의 연주가 CD로 복각(OPAL)이 되긴 했으나 다른 연주자와 함께 한 장의 음반에 담겨 있어 양에 차지 않았다.

  LP 동호인 여기 저기에 운을 떼어놓고 기다린 지가 10년도 더 지난 어느 날, 동호인으로부터 이 음반을 발견했다는 연락이 왔다. 이 음반을 부여잡고 턴테이블에 거는 순간 넋을 잃고 말았다. 더구나 이 연주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반의 인상주의 음악의 시대정신을 그대로 담고 있는 귀중한 기록이었다.

  또 LP를 자주 듣는 이유는 LP에서만 느낄 수 있는 아름다움이 있기 때문이다. 샤를르 뮌쉬(Charles Munch)가 보스톤 심포니를 지휘한 베를리오즈의 "환상교향곡"은 RCA에서 녹음되었는데 Living Stereo라는 레이블의 녹음은 그야말로 환상적이다. 나는 이제껏 이 음반에서 들은 오케스트라의 현의 소리보다 더 아름다운 소리를 들어보지 못했다. 마치 소리가 미세한 가루가 되어 귀를 향하여 날아오는 듯한 착각에 빠졌으니까. 하지만 CD로 복각된 음반에서 이런 느낌이 전해지지 않았다. 물론 빠리 관현악단을 지휘한 음반(EMI)도 명연으로 꼽히지만 아무래도 소리의 아름다움이란 측면에서는 불만이 느껴지는 게 사실이다.

  대략 10년쯤 전에 이 음반이 LP로 제작되어 재발매 되었는데 국내 수입상에서 이 음반의 초반을 보유한 사람에게 3천만원을 지급하겠다는 광고를 할 만큼 이 음반은 음향적인 미감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이 음반을 듣고 있으면 기술이 발전한다는 말이 거짓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또한 모노 LP에서 느껴지는 곰삭은 맛은 일품이다. 크라이슬러(F. Kreisler)가 연주하는 모노 LP는 각별한 느낌으로 다가온다. 라디오 세대에 속하는 40대 이상의 경우 인기리에 방송되던 "전설따라 삼천리"라는 프로를 기억할 것이다. 이 라디오 드라마의 시그널 뮤직이 바로 크라이슬러가 연주한 드뷔시의 "En Bateau(뱃놀이)"라는 곡인데 나는 이 곡을 듣고 거의 까무러칠 뻔하였다. 마치 목마른 사막에서 오아시스를 만나 꿀맛 같은 물을 한없이 들이키는 느낌이었다면 이해가 되려나?

  또한 이 음반에는 지금은 사라지고 없는 비엔나 스타일의 연주법을 느껴볼 수 있는 기쁨도 있다. 요즈음의 감각으로 듣기로는 약간 촌스럽다는 느낌이 드는 이 연주는 들으면 들을수록 매력이 넘친다. 크라이슬러의 대표적인 곡인 "사랑의 슬픔"도 너무나 좋았다. 눈물이 떨어져 발등을 찧을 뻔했다면 너무 과장된 표현일까? 하지만 복각한 CD에서는 소리가 가늘어져서 분위기가 제대로 살아나지 않았다.

  흔히 모노 LP를 싫어하는 사람들이 더러 있는데 이는 잘못된 상식에서 비롯된 것이 대부분이다. 우선 모노용 카트리지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고 모노용 Setup 트랜스도 갖추어야 한다. 모노와 스테레오 카트리지는 서로 임피던스(Impedance 내부저항)가 다르기 때문에 적정하게 맞추어 주어야 충분한 음량이 나온다. 모노 음반을 싫어하던 한 동호인이 나의 집으로 놀러와서 들어 보고는 골수 아날로그 모노음반 매니아로 변한 사실은 내 말이 그저 수사가 아니란 사실을 대변해준다.

  나는 대략 20년 전부터 오디오에 빠져 비싼 수업료(아마도 기천만원은 될듯하다)를 지불하였는데 나이가 지긋한 선배 동호인들은 젊은 사람이 곰팡이 냄새가 진동하는 모노 LP를 즐겨 듣는다고 놀려댄 적이 많았다. 하지만 지금은 골수 아날로그 모노당(黨)으로 변신하였다. 사설이 다소 길어졌는데 다음 번에는 LP를 CD로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겠다. 별첨 파일은 모노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MP3 파일로 만든 것이다.            
Comment '7'
  • 2004.01.22 22:59 (*.105.92.241)
    많은분들이 아날로그(LP)의 아름다움에 다시 돌아가는것을 부러움속에 바라보는 ....
  • 2004.01.22 23:01 (*.105.92.241)
    그 고귀함이 아니라 편리함에 기술발전이 목표한다는것은 설득력있는거 같아요.
  • 으니 2004.01.23 19:13 (*.91.14.14)
    정천식님 새해 행복한 일만 있으시기를 기도드립니다!!
  • 오모씨 2004.01.24 16:24 (*.218.211.145)
    아.. 진짜 LP듣는거 같이 잡음도 들리고.. 좋네요...ㅋㅋㅋ
  • eveNam 2004.01.24 16:47 (*.219.146.124)
    아르농쿠르의 음반 두장... 원반인줄 모르고 계산하려다 각 10만, 6만 하길래 도로 꽂았다는... ㅠㅠ
  • eveNam 2004.01.24 16:51 (*.219.146.124)
    지금은 구하지도 못하겠지만... 걍 큰맘 먹구 구입할껄...하는 미련도 남네요...
  • 2004.01.24 17:02 (*.105.92.241)
    위에 원본 잘구하면 냉중에 3천만원에 사겠다는사람도 나타난다쟈나여....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14 로마 교황청 : 이 곡을 외부로 유출시 파문에 처하노라 - Allegri의 Miserere 13 정천식 2003.12.25 5940
913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완성자, 파야(3) 2 정천식 2004.03.29 5940
912 [re] 내사랑 폴 갈브레히쓰. 6 2004.09.13 5935
911 트레몰로에 대한 변증법적이 고찰........지얼님의 글을 퍼왔습니다. 8 2002.04.16 5933
910 [까딸로니아 민요] El mestre file 옥용수 2003.12.10 5931
909 비욘디와 에우로파 갈란테의 레코딩 모습... 비발디..."con molti strumenti" 8 eveNam 2003.11.11 5912
908 현대음악이란 이런걸 말하는게 아닐까요? 14 2003.06.19 5910
907 Tchaikovsky Symphony No.5 형서기 2001.01.23 5909
906 파리 국제 기타 콩쿨의 軌跡(2)-역대 수상자의 辯 [1편] 미니압바 2000.11.02 5904
905 음악의 예술성과 과학성, 음악과 음학 10 gmland 2003.06.11 5903
904 트레몰로에 관하여 18 트레몰로미친 삐꾸 2003.11.04 5900
903 ☞ 기타 연주에 있어서 초견능력.. 채소 2001.08.17 5899
902 기타 하모닉스에 관한 물리학적 접근 2 익제 2003.06.23 5894
901 밑의 글들을 일고... 18 vandallist 2004.02.06 5892
900 퍼온글.......추천협주곡,실내악곡,독주곡. 2001.01.07 5891
899 sadbird 라는 곡.. 1 아따보이 2003.10.12 5891
898 [re] 산젠인 퍼스트만 녹음해 주실 분 없으신가요? 2 file gogododo 2005.03.10 5888
897 이번에 기타콩쿨에 나가는 칭구에게 보내는편지. 3 콩쥐 2006.05.21 5886
896 파야 - 시장의 춤(기타연주) 정천식 2004.03.30 5885
895 제가 생각하는 카르카시. 12 file 아랑 2003.06.04 5881
894 ☞ 좋은 기타 음색이란...? 1 2001.07.04 5880
893 바람직한 연주자가 되려면 8 gmland 2003.03.24 5879
892 완벽한 트레몰로란? J.W. 2003.11.04 5867
891 스케일 연습의 종류 - 알파님께 답글 13 gmland 2003.03.26 5866
890 방랑화음 Wandering chords file gmland 2003.04.24 5866
889 사발레타가 연주하는 알베니스의 말라게냐 1 정천식 2004.06.19 5851
888 히데가 최고야~~~~~! file 히데사마 2000.10.08 5838
887 트레몰로~ 5 j.w 2003.11.10 5836
886 [re] 질문입니다.. 46 seneka 2003.05.27 5828
885 예술성 1 2005.01.12 5819
884 위의 글을 읽고... 6 지나가다 2004.02.06 5816
883 질문 한가지(bwv1000번 푸가에 대해) 정성민 2001.03.11 5813
882 플라멩코 이야기 1 김영성 2002.07.23 5812
881 안나 비도비치의 bwv1006 를 듣고나서..^^ 기타라 2000.12.28 5811
880 망고레와 세고비아.. 1 으랏차차 2001.04.10 5797
879 형서기형 넘 고마워여...요셉 숙(josef suk) 2001.01.27 5791
878 예술가와 예술작품.................................지얼님의 명언(퍼온글) 2005.01.13 5783
877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선구자 - 솔레르 신부(1) 정천식 2004.02.11 5781
876 [질문]Paco de Lucia의 Fuente Y Caudal 1 의문의 2004.04.30 5771
875 martha argerich 의 연주는... 2000.09.30 5768
874 우리가 [크다] 라고 말하는 것들 !! 15 com 2003.04.11 5765
873 바하는 어떤 악보로 공부하여야 하나........!!?? 6 file 해피보이 2004.02.16 5758
872 ☞ ☞ Sunburst 를 좀 연습해봤는데요.... 안진수 2000.11.25 5757
871 형서기님 요기.... 화음 2000.08.31 5749
870 #, b 가 다른 음인가요? (이명동음에 대해서...) filliads 2000.12.21 5749
869 차차님~~~ 한번 심호흡하시구... 7 신동훈 2002.01.08 5746
868 플라멩코 이야기 3 5 김영성 2002.07.25 5745
867 커트코베인과 클래식기타 10 한민이 2004.03.09 5737
866 "혁명"... 나의 사랑하는 조국, 폴란드! 24 이브남 2004.10.22 5735
865 자유로운 영혼: 집시 8 고정석 2001.12.17 5732
864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완성자, 파야(1) 2 정천식 2004.03.23 5732
863 이곡 제목 뭔지 아시는분? 7 차차 2003.07.24 5731
862 피스크? 테크니션? brawman 2000.06.11 5724
861 Francis Kleynjans와 brilliant guitarists알려주세요. 2 wan 2002.08.02 5724
860 오디오에서의 아날로그의 매력 ( 레거리즘) 콩쥐 2006.07.21 5721
859 베드로의 통곡 8 정천식 2003.12.17 5714
858 현대인의 의식분열. 의식분열 2000.09.24 5711
857 음질은 료벳꺼보다 세고비아가 오히려 나아요... 신정하 2000.10.10 5699
856 파야 - 시장의 춤(오케스트라) 정천식 2004.03.30 5697
855 [re] ★★★ 조국을 사랑한 바리오스 망고레 ( 글 & 번역 gmland ) 완결판 ★★★ 2 2003.09.16 5681
854 파야 - 물방아꾼의 춤(오케스트라) 정천식 2004.03.30 5679
853 문제의 제기 4 정천식 2003.12.18 5677
852 전설의 부활 - 위젠느 이자이의 연주 8 정천식 2003.12.19 5668
851 시간여행 : 800년 전의 음악은 어땠을까요? 8 file 정천식 2003.12.28 5667
850 [re] 운지에 대한 내 생각은 이러합니다. 24 아랑 2003.04.09 5665
849 [re] 바하는 어떤 악보로 공부하여야 하나........!!?? 6 정천식 2004.02.16 5663
848 바하... 플루우트 소나타여~~~(겁나게 긴글...한번 생각하구 보셔여 ^^;) 5 신동훈 2001.10.17 5657
847 Cuban Landscape with Rain verve 2003.09.04 5647
846 인류 평화의 염원이 담긴 새의 노래 4 정천식 2004.03.15 5644
845 몇가지 짚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왕초보 2000.09.26 5642
844 . 정천식 2003.04.28 5639
843 [re] 아차 이거 빠뜨려써요 ㅠ-ㅠ 5 으니 2005.02.20 5639
842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2) 1 정천식 2004.03.11 5623
841 . 37 . 2003.08.27 5612
840 [까딸로니아 민요] La nit de Nadal file 옥용수 2003.12.10 5608
839 아람브라, 화성진행 및 프레이징 (3) - 총론 끝 gmland 2003.05.26 5598
838 카르카시교본비판에 관하여 6 기타방랑자 2003.06.03 5596
837 인간의 목소리... 비올 9 이브남 2005.01.10 5589
836 기타녹음시 테크닉에 대하여... 2 햇새벽 2001.11.04 5581
835 고대지명과 음계에 관한 단상... 4 신동훈 2003.04.22 5580
834 석굴암 화음 2000.08.20 5578
833 아람브라, 화성진행 및 프레이즈 분석과 프레이징 (2) 10 gmland 2003.05.23 5575
832 원전연주 이야기(5)원전연주에 쓰이는 악기는...둘!! 2 신동훈 2001.11.02 5564
831 [re] 트레몰로. 5 기타 이상자 2003.07.16 5563
830 ★ Krystian Zimerman 마스터 클래스 후기 ★ 28 으니 2003.06.09 5556
829 형서기님 다 보고선 2000.08.31 5551
828 암기의 이해와 암보력 향상을 위한 제안 1 고정석 2001.12.17 5546
827 [re] Bach fuga in A minor 줄리안 브림 5 file 이웅재 2004.09.02 5543
826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완성자, 파야(2) 3 정천식 2004.03.26 5542
825 기타 연주에 있어서 초견능력.. 1 으랏차차 2001.08.17 5535
824 데이비드 러셀의 옛 내한공연에 대한 질문입니다.. 18 으니 2003.11.10 5535
» LP예찬 7 정천식 2004.01.22 5535
822 Segovia의 샤콘느 - EVEREST 녹음 8 1000식 2004.08.31 5533
821 테크닉과 음악성에 대한 이런 생각도 있습니다.. 15 seneka 2004.02.05 5528
820 근데...음악성이란게 정확히 뭘 말하는거에요? 19 마왕 2004.02.06 5528
819 ☞ 박자기... 써야되나요? 말아야되나요? 문병준 2001.08.12 5521
818 헐...어케여..--;;;;;;;; 형서기 2000.08.31 5514
817 Guitar의 정의 - The Guitar 5 일랴나 2003.07.18 5514
816 바하곡을 연주한다는 것... 23 황유진 2004.03.17 5514
815 D 단조 Scale 연습과 Chaconne (3) file gmland 2003.04.04 5509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