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46.8.213) 조회 수 7543 댓글 8
기타리스트 배장흠의 연주는 매우 서정적이다. 그는 길고 두툼하며 힘있는 왼손가락(왼손이 오른손보다 훨씬 길다, 처음 그 손가락을 봤을 때 얼마나 감동했는지)과 여자손만큼이나 예쁜 오른손을 지녔지만 그것으로 기타를 난타하지 않는다. 힘이 있어도 그 힘을 다 드러내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그의 연주를 들었던 것은 작년 "로드리고 페스티벌" 이었다. 그 때 "어느 귀인을 위한 환상곡"은 절제를 바탕으로 한 서정성을 잘 보여준 좋은 연주였다고 기억한다.

어제의 연주회는 조금은 색다른 시도였다. 항상 다른 악기와의 만남을 통하여 더 넓은 영역을 개척해왔다는 것을 생각하면 색다르다고 하기가 좀 그럴 수도 있겠지만 첼로와의 만남은 기타리스트로서는 매우 용기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첼로가 양장현을 사용하고 바로크 주법으로 연주를 한다고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첼로가 갖는 음의 무게와 기타 음이 제대로 맞아 떨어지기는 매우 힘들 것이었다.

물론, 모든 음악회가 어떠했냐하는 질문은 그 연주의 본질만이 답할 수 있다. 첼로와 하는 것이 아니라 대규모의 오케스트라 속에 파묻혀 연주를 했다하더라도 기타가 가진 영혼을 울려준다면 그것은 음량의 문제를 이미 떠나 음악의 문제로 들어간 것일터이다. 하지만 한 악기가 가진 영혼을 최대한 울려주기란 쉽지 않다. 연주자의 상태, 악기 상태, 무대의 상태, 협연자, 레파토리, 그리고 귀를 쫑긋 세우고 마음을 연 관객들까지.. 모든 것이 다 완벽한 상황을 이루어 주기가 쉽지 않은 탓이다. 게다가 이런 공연은 협연하는 이와의 음악적 지향점이 맞아떨어지는가가 중요한 문제인데, 그것도 꼭 같이 되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어제의 공연은 첼리스트 성소현씨가 더욱 빛나도록 꾸며진 무대였다. 그녀의 자작곡(주제의 반복을 좀 더 변주해주었더라면 훨씬 더 좋았을 것 같았다) 곁들여진 시낭송, 스크린 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레파토리가 그랬다. 만일 연극을 하는데, 주연배우와 조연배우가 있다고 하자. 조연이 아무리 연기력이 뛰어나도 조연 때문에 주연이 가려진다면 그것은 썩 보기에 좋은 일이 아닐 것이다. 밴드가 공연을 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 대학 때 베이시스트 선배에게 공연 후 오빠가 가장 멋있어요 라고 하자 반기는 대신에 씁쓸하게 웃으면서 말했다. 보컬이 멋있었다는 것은 성공한 공연, 기타가 멋있다고 하면 70% 성공한 공연.. 드럼이 멋있다고 해도 한 50%. 그런데 가장 주목받지 못해야만하는 베이스가 가장 멋있었다고 하면 그 공연은 실패야.

또한 무대에 데뷔한 고운악기의 소리도 매우 아름다웠는데, 과감히 사견을 말하자면, (나의 귀가 트이지 않은 탓으로 다른 이들의 의견보다는 훨씬 개인적이다) 고운악기는 힘이 넘치는 악기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고운악기는 상승하는 기운을 갖고 있다. 음색은 더할수록 밝아지는 빛의 색에 가깝고, 투명하다. 그리고 섬세하다. 어떤가 하면, 베이스 소리마저 둔탁하지 않다. 기타 전체가 마치 곱게 물들인 한지로 만들어져 울리는 것 같다. 예전의 전축이 종이로 울렸던 것처럼. 음악을 만들어주어 전달하는 것이 악기이지만, 정말 음악적인 악기는 흔치 않다. 고운악기는 음악을 듣는 악기였다. 아름답다. 기타의 음량도 무시할 수 없는 기초적인 요소인데, 고운악기의 음량은 의외로 크다. 배장흠님의 터치를 보니 일년새에 변화가 있었다. 힘을 전달하지 않고 톡톡 건드리는 터치이다. 저정도의 힘에, 저정도의 터치에 그만한 전달력이라면 놀랍다. 모든 것은 한가지만 봐서는 가늠할 수 없다.

바하 소나타에서의 실수 이후 역시 기타톤이 위축되기 시작했다. 실수는 누구나 할 수 있다. 그리고 실수에서 쉽게 떨쳐나오기란 원래 어렵다. 또랑또랑함이 줄어들고 조금은 성긴 듯한 연주에 2부에서는 첼로의 음량이 더 커졌고, 사바레스 알리앙스는 점점 더 쳐지기 시작했다. 알리앙스 현은 예쁜 소리를 내주지만 공연 때에는 아무래도 힘이 약하다고 한다. 때문에 기타를 기대하고 가신 분들은 조금 실망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어제 공연은 기타 컨서트가 아니라 프로젝트 공연 Recuerdos였음을 기억한다면 그것이 크게 이상할 것이 없다는 점을 이해해주셨으면 한다.

시간을 만들어쓰지 못하고 쫓기며 사는 탓에 연주회장에도 헐레벌떡 도착했다. 그래서 인사도 제대로 나누지 못함을 아쉬워하며 늦은 시간에도 연주회 후의 작은 모임 자리에 따라갔는데, 배장흠님을 아끼고 사랑하는 분들이 참 많다고 느꼈다. 아마 여러가지 사정으로 자리하지 못한 친구분들이 더 많을 것이다. 배장흠님은 특유의 애교섞인 표정으로 "다음엔 잘할게요"라고 하셨다. 그는 좋은 연주자임에 틀림없다. 말하지 않아도 모든 것을 알고 있으며, 모두가 말하지 않은 것에 대해 말할 용기를 갖고 있다.

음악은 긴 여정이다. 인류의 여정이기도 하며, 한 개인의 여정이기도 하다. 어제의 연주회도 그 길 위에 있는 것이다. 그 곡에 숨겨진 최대의 아름다움을 찾아가는 길이며, 기타와 조금 더 아름다운 음악을 빚어내어줄 수 있는 짝꿍을 찾아가는 길이다. 또한, 쉬운 길도 있고 어려운 길도 있는 것처럼 연주자에게도 기복이 있을 수 있다. 배장흠님은 그 길을 맨 앞에서 치고 나가고 있다. 그 새로운 시도들과 부지런함에 박수를 보낸다. 천재는 그 자체로 이미 멋지지만, 그 길을 가는 우리들 또한 멋진 것 아닌가.



덧붙임, 후기는 개인적인 글이며, 일기같이 쓴 것이예요. 그냥 저의 느낌이구요. 고운악기에 대한 느낌도, 고운악기 전체에 대한 것이 아니라 연주자, 현, 어제 레파토리에서의 고운악기 브라만 모델 한 대에 대한 이야기예요. 연주자에 대한 것도 그 연주자에 대한 것이 아니라 어제 공연에서의 연주자에 대한 것이거든요.. 그 점에 대해 제가 본의아니게 실수하는 점이 없기를 바랍니다.. 제가 막귀라서 좀 음악적인 이야기를 잘 하지 못해서 공연 궁금하셨던 분들에게는 죄송합니다..




       
Comment '8'
  • 2004.01.17 20:46 (*.222.195.153)
    어..저는 음량 작게 느껴졌었는데....
  • 으니 2004.01.17 23:03 (*.118.83.212)
    제 생각엔 배장흠님이 터치를 바꾸어가고 있는 것 같아요.. 말랑말랑한 터치에 비해서는 큰 음량이예요
  • sntana97 2004.01.18 02:43 (*.237.164.108)
    으니님 안녕하세요 차 시간 때문에 제대로 인사도 못 드리고 왔네요 ㅋㅋ 차를 놓치기는 했지만 ..담에 제대로 인사 드릴 기회가 있겠죠
  • 2004.01.18 12:59 (*.168.105.40)
    이글도 맘에 와 닿아여..으니님글은 매번 그러네....^^;;
  • 이경룡 2004.01.19 16:49 (*.218.204.156)
    후기 잘 읽었슴돠..평론가 이상으로 평해 주셨군요..^^
  • 이경룡 2004.01.19 16:52 (*.218.204.156)
    으니님 글 재주는 익히 아는 바(저의 홈피에도 전문가 빰치는 평을 남겨주셨거든요..)..그랬으리라 생각함돠..
  • 으니 2004.01.19 17:03 (*.46.8.213)
    sntana97님 대단한 꽃미남이시던걸요^^ (짧은 시간에 이미 파악--;;) 잊지 않고 인사해주셔서 고맙습니다 다음에 뵐 수 있을거예요^^
  • 으니 2004.01.19 17:04 (*.46.8.213)
    경룡님! ㅠㅠ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3 토론실에 있는, 저작권에 대한 글들에 관하여 10 gmland 2003.06.14 5233
112 토루 다케미츠 ...잊지말자. 2000.10.24 4138
111 통일성의 미학 - 모차르트 KV 421을 중심으로 6 1000식 2005.03.07 6637
110 투우장에 울려퍼지는 정열적이고도 우아한 음악(1) 3 정천식 2004.02.07 6893
109 투우장에 울려퍼지는 정열적이고도 우아한 음악(2) 1 정천식 2004.02.07 6390
108 투우장에 울려퍼지는 정열적이고도 우아한 음악(3) 3 정천식 2004.02.07 7245
107 트레몰로 주법의 처리 7 gmland 2003.11.05 6720
106 트레몰로. 2 2003.06.23 4792
105 트레몰로~ 5 j.w 2003.11.10 5842
104 트레몰로는 타레가의 발명품? 서정실 2001.03.31 4788
103 트레몰로에 관하여 18 트레몰로미친 삐꾸 2003.11.04 5912
102 트레몰로에 대한 변증법적(?)인 고찰..........(지얼님글 퍼온글) 3 2003.11.09 6122
101 트레몰로에 대한 변증법적이 고찰........지얼님의 글을 퍼왔습니다. 8 2002.04.16 5940
100 트레몰로에 대한 투정. 2 2003.11.09 6326
99 트레몰로의 교과서연주. 20 2003.11.09 6600
98 특히 기타 애호가들은 연주회장에 자주 가야 해요. 미니압바 2000.11.06 4583
97 티비 cf중에서 '보성녹차'에 나오는 음악의 제목을 알고싶습니다~ 챠우챠우 2004.07.21 6154
96 틸만 홉스탁연주 듣고...그리고 카를로스 몬토야.... 7 최성우 2001.06.06 7254
95 파가니니의 기타와 바이올린을 위한 대소나타[바이올린이 반주해주는] 좀 올려주세요. 1 메르츠 2003.09.07 8720
94 파리 국제 기타 콩쿨의 軌跡(2)-역대 수상자들의 辨 [3] 미니압바 2000.11.07 5536
93 파리 국제 기타 콩쿨의 軌跡(2)-역대 수상자들의 辨[최종] 미니압바 2000.11.08 5257
92 파리 국제 기타 콩쿨의 軌跡(2)-역대 수상자의 辯 [1편] 미니압바 2000.11.02 5931
91 파리 국제 기타 콩쿨의 軌跡(2)-역대 수상자의 辯 [2편] 미니압바 2000.11.06 5238
90 파리기타콩쿨의 중단과 의미 미니압바 2000.11.19 5127
89 파야 - 물방아꾼의 춤(기타연주) 정천식 2004.03.30 6115
88 파야 - 물방아꾼의 춤(오케스트라) 정천식 2004.03.30 5696
87 파야 - 시장의 춤(기타연주) 정천식 2004.03.30 5898
86 파야 - 시장의 춤(오케스트라) 정천식 2004.03.30 5710
85 파야의 도깨비불의 노래 정천식 2004.03.26 6434
84 파야의 스페인 무곡 오페라 버전 정천식 2004.03.23 6391
83 파야의 스페인 무곡(기타2중주) 정천식 2004.03.24 6175
82 파야의 폴로 - 수페르비아의 노래 정천식 2004.03.26 6169
81 파야의 폴로 - 예페스의 연주 정천식 2004.03.26 6081
80 파야의 폴로 - 후쿠다 신이치의 연주 정천식 2004.03.26 6326
79 파크닝 재발견... 11 차차 2002.10.30 5498
78 파크닝의 알함브라... 2 pepe 2003.11.01 6626
77 팻 매시니...........첨으로 그의 음반을 듣다. 19 2003.03.26 6390
76 팽만식님이 쓰는기타..^^! 14 file 민성 2001.08.04 6138
75 퍼온글.......추천협주곡,실내악곡,독주곡. 2001.01.07 5907
74 퍼온글.....신동훈님의바하의 하프시코드음악안내. 2000.11.10 5057
73 페라이어... 이건 에러야~ -_-; 3 file eveNam 2003.12.08 8030
72 페르시안마켓에 대해서.. 2 케텔비 2003.07.19 8664
71 퐁세의 발레토 5 iBach 2003.07.01 5982
70 푸가의 기법을 기타콰르텟이? 7 으랏차차 2001.07.28 6069
69 푸하하! 신홍여행! 망신살이 또... 泳瑞父 2000.10.20 5074
68 프랑코 코렐리를 추모하며 7 정천식 2004.01.05 6391
67 프레이즈가 뭐지요? 10 바실리스크 2003.05.15 6775
66 프로가 연주하는 아라비아기상곡은??????? 간절한 2000.12.14 5189
65 플라멩꼬 : 피맺힌 한의 노래, 눈물의 기타 1 고정석 2001.12.17 6334
64 플라멩코 이야기 1 김영성 2002.07.23 5831
63 플라멩코 이야기 2 김영성 2002.07.24 5019
62 플라멩코 이야기 3 5 김영성 2002.07.25 5766
61 플라멩코 이야기 4 김영성 2002.08.05 5335
60 플라멩코 이야기 5 1 김영성 2002.10.23 5089
59 플라멩코 이야기6 김영성 2002.10.24 6442
58 피게라스를 추모하며 5 file 정천식 2012.04.14 13289
57 피스크 연주회 프로그램은... 형서기 2000.12.14 4821
56 피스크? 테크니션? brawman 2000.06.11 5747
55 피아졸라 - 천사의 죽음(베니테스) 8 정천식 2003.11.30 9323
54 피아졸라 - 천사의 죽음(원곡) 2 정천식 2003.11.30 6941
53 피아졸라 4계 중 봄 악보 중 피치카토 플러스 연주법 궁금합니다.... 고독기타 2020.06.04 4723
52 피아졸라 겨울은 예상대로 바루에코 자신의 편곡이라고 합니다 1 으니 2002.10.11 6253
51 피아졸라의 Oblivion(망각) 7 정천식 2003.11.29 7454
50 피아졸라의 대표곡은? 5 정천식 2003.11.27 7849
49 피아졸라의 밀롱가 3 정천식 2003.11.28 7255
48 피하시온(fijación)이 무엇인가요? 3 궁금해요 2005.12.19 7360
47 하프의 마음, 하프의 영혼 사발레타 정천식 2004.06.19 8622
46 하하...바루에코사셨어요? 2000.12.24 5095
45 한 마리 새가 된 여인 - 로스 앙헬레스의 타계를 애도하며 9 file 1000식 2005.02.05 7413
44 한국 전통음악 좋은곡으로 추천해 주셔여~~^^ 19 2003.11.17 9330
43 한국의 음악논문을 찾아볼 수 있는 곳 하나 소개합니다. 변종현 2023.11.04 1083
42 한국적인 것. 30 B612 2003.08.29 7046
41 한말씀만... 4 file jazzman 2004.02.06 6391
40 한오백년 살자는데... 오모씨 2001.02.24 6131
39 한줄만 더. 37 ZiO 2004.09.18 7234
38 합창교향곡... 에리히 라인스도르프... 3 file eveNam 2004.01.25 6836
37 해피보이님께.................거지의 사랑노래(?) 4 정천식 2003.12.29 8953
36 햇빛 쏟아지는 사이렌의 숲속... 2 이브남 2007.02.11 13168
35 행~님!! 홈페쥐 보수작업 추카... 한쌈 2000.07.02 5530
34 허걱~ 이렇게나 빨리 답변을 주실줄은..... 고앙이 2000.11.20 4761
33 허접답변... ^^; 신동훈 2001.03.12 4967
32 헉.......한국 작곡가가 1위라구요?? 안티기타 2000.11.02 5021
31 헐...어케여..--;;;;;;;; 형서기 2000.08.31 5533
30 헤레베헤의 연주가 나온김에 한곡더!~ 1 이브남 2006.12.20 10910
29 헨델...하프시코드 조곡임당!!!(요건 쬐금 짧아여 ^^) 신동훈 2001.10.17 5982
28 현대곡은... 으랏차차 2001.03.17 5164
27 현대기타음악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요? 고민중 2000.09.24 5360
26 현대음악이란 이런걸 말하는게 아닐까요? 14 2003.06.19 5926
25 현대인의 의식분열. 의식분열 2000.09.24 5726
24 현상금 3만원........호세 루이스 곤잘레스의 샤콘느. 4 2001.05.16 6346
23 현악5중주 이야기 (1) - 보케리니편 2 1000식 2005.04.01 8915
22 현악5중주 이야기 (2) - 모차르트편 3 1000식 2005.04.02 7118
21 현악5중주 이야기 (3) - 드보르작편 3 1000식 2005.04.04 7538
20 현악5중주 이야기 (4) - 슈베르트편 5 1000식 2005.04.05 7810
19 현으로 듣는 인벤션이라... ~.~ 6 이브남 2008.07.02 15030
18 형서기님 요기.... 화음 2000.08.31 5769
17 형서기님 다 보고선 2000.08.31 5567
16 형서기님... 2000.12.24 5056
15 형서기형 넘 고마워여...요셉 숙(josef suk) 2001.01.27 5804
14 호르헤 모렐이 누구야? 9 정천식 2003.12.09 6781
Board Pagination ‹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