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03.09.01 01:15

무뇌중 어록중에서.

(*.237.119.89) 조회 수 8671 댓글 44
여러 황당무계한 말씀이 있었지만 그 중에 이곳 클래식기타매니아들의 심기를 건드린 말씀을 꼽으라면 단연코,

'락과 클래식의 차이는 `리듬이 있고 없고입니다`

이 말씀일 것입니다.
이 말씀을 단순히 '락에는 리듬이 존재하고 클래식에는 리듬이 존재하지를 않는다' 라고 해석하기 보다는 오히려,
'락은 리듬적(?)으로 매우 훌륭하고 클래식은 리듬적으로 낙후되어 있다'는 의미로 보아도 크게 이상하지 않을 겁니다.

항상 <클래식>이라는 단어를 얘기할 떄, 어느 의미에서의 <클래식>이냐를 따질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음악사에 따른 분류법에 의해 <클래식>을 고전시대의 음악으로 고정시켜 명칭해야 하는지, 아니면 넓은 의미로 대중음악에 반하는 개념으로서- 르네상스,바로크고전,낭만,현대를 모두 아우르는 개념으로 규정지어야 할 지(일반적 의미의 <클래식>도 결국은 그 당시의 대중음악이었다는 논의는 일단 제쳐두더라도) 항상 난감한 문제입니다.

사실, 무뇌중의 이런 발언은 그리 생소한 황당함으로 다가 오지도 않습니다. 왜냐하면 대중음악-클래식 음악에 반하는 개념으로써-하시는 일부 뮤지션 분들에게 비난이 아닌 비평의 입장으로 '클래식 음악은 리듬이 좀 약한 것 같다'는 얘기를 하루 이틀 들은 것이 아니기 떄문입니다.
그들이 뭘 몰라서 그렇다고 단정지으면 속 편하련만, 그 분들 중에는 음대의 작곡가(실용음악과가 아닌) 출신도 있는지라, 그 분들이 클래식에 관한 거라면 저보다 알면 몇십배는 더 알지 결코 '뭘 몰라서'하는 발언은 아닐 것이라는 생각도 해봅니다.

사실 현대 음악을 보면, 그것이 무엇의 영향을 받았나에 대한 논의는 열외로 치더라도  대중음악(가요이든 재즈이든, 락이든)-또는 실용 음악(사실 이 용어 자체에 개인적인 불만이 많은 편입니다)이라 일컬어지는 음악계에 종사하시는 일부 뮤지션들이 그렇게 '클래식은 리듬이 좀 약하다'고 폄하할 정도로 리듬이 뒤떨어지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어떤 곡은 너무 리듬이 어려워서 연주하기에도 버거울 정도입니다.

그러나 이들이 얘기하는 <클래식>이라는 것이, 단순히 음악사의 분류법에 의해서 이른바'고전시대'라고 불리워지는 것에 한정한다면-조금더 인심써서 바로크 시대 음악을 포함하는것이라면, 이들의 비판-보기에 따라서는 비난-은 어느정도 수긍할 만한 이유를 갖게 되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 말이 곧 '고전시대 음악엔 리듬이 없거나 아주 낙후되어 있다' 는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 아닌것도 사실입니다.

일반적으로 협의의 <클래식>은 선율의 리듬 형성이 정박(Down beat)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서 선율의 운동성- 율동성이 많이 절제되어 정적인 느낌을 주고(아무리 빠른 무곡일지라도), 실용음악(?)은 선율의 리듬 형성이 정박은 물론 엇박(up beat)까지 두루 섭렵할뿐더러 선율에서의 쉽표의 활용도도 매우 높아서 매우 동적인 느낌을 준다는 것이 아마도 그들의 대략적인 요지일 것입니다.단순히 리듬이 '있고 없고'의 문제는 아니겠지요.

예를 든다면, 너무나 유명한 Deep Purple의 <Smoke on the water>라는 곡의 메인 리프의 경우, 첫 마디의 마지막 박자부터 두번쨰 마디의 두번쨰 박자까지는 up beat에 의한 선율이 8분쉼표와 함꼐 나름대로 절묘한 리듬감을 형성하는데-사실 이 정도 리듬감이야 이 쟝르에서는 흔한 것이지만- 이 부분을 모두 정박으로 바꾸어서 연주해 보면 동적인 느낌이 거의 소멸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8비트의 비교적 단순한 곡조차도 이처럼  다운 비트를 밥먹듯이(?) 써먹는데, 더 복잡한 16비트에 가서는 선율이 가지고 있는 리듬의 복잡함에 기겁을 하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실제로 일렉기타의 솔로 연주 악보를 보면 음표의 많고 적음을 떠나서 선율의 리듬이 매우 복잡한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실용음악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악기인 전기기타나 색서폰, 또는 신디사이저의 솔로 애드립 경우 '왜 그렇게 선율의 리듬이 복잡해야만 하는가'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은 이렇습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그 악기들은 선율을 그렇게 표현해야 잘 어울리기 때문이라는 생각입니다. 실제로 전기 기타로 정박(down beat) 위주의, 정수배로 딱 쪼개어지는 선율을 연주하면 무언가 위화감이 생겨나는 것을 금방 느낄 수 있습니다(이것도 편견이라면 편견이랄까요).예를들면, 엘가의 <사랑의 인사>의 선율을 전기 기타로 악보 그대로 연주하면 아무리 훌륭한 반주가 뒷받침 되더라도 왠지모를 어색함을 감지하게 될 것입니다..그래서 대부분의 전기 기타리스트들은 자신의 느낌이나 순발력으로 리듬을 재 구성해서-흔히 '페이크'라는 용어를 쓰지만-선율을 연주하게 됩니다.

그래서인지 실제로 로벤포드나 래리칼튼 같은- 선율의 리듬감을 멋지게 처리(?)하는 감각을 가진 부류의- 기타리스트를 좋아하는 매니아들은, 똑 같은 일렉기타리스트 일지라도 스티브 하우나 랜디로즈같은 -선율의 리듬감 보다 선율의 흐름 그 자체에 더 비중을 두는 부류의-기타리스트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듯 보이기도 합니다. 같은 이유로, 펑키(펑크가 아니라)를 좋아하는 기타리스트는 익스트림의 누노베텐커트를 좋아할 수는 있어도 너바나의 커트 코베인의 솔로 연주를 그리 높게 평가 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렇다고 이런 얘기들이 꼭 '클래식에는 다운비트의 묘미를 살리는 선율의 처리법(?)과 쉼표의 과감한 사용이 없다'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가깝게는 소르의 <위안>만 살펴 봐도 분명 그러한 것들은 도처에서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단지, 그들-실용음악인들-이 얘기하고자 하는 것은 보편적인 견지에서 볼 떄 현대의 대중음악-특히 펑키나 재즈-이 선율(솔로)의 리듬을 처리하는 것이 훨씬 더 감각적이고 즉홍적이며 더 정밀하다는 것입니다. 어떤 대가급 연주자는 마음만 먹으면 한박에 음표를 5개 넣은 애드립을 할 수도, 또는 7개를 넣은 애드립도 가능하다고 하니(실제로 이런 홀수개의 음표를 훌륭한 선율의 애드립과 함꼐 정확히 삽입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이들의 리듬감, 또는 리듬을 포착하는 순발력에는 감탄을 금치 못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실용음악 관련 뮤지션들이 언급하는 리듬에서의 보편적인 비교우위는 어쩌면 인정해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만, 그렇다고 이 얘기가 '클래식은(고전음악은) 리듬이 없거나 약하다(폄하나 경멸의 의미로)' 라는 말을 옹호하지는 못합니다. 서양의 모든 음악이-클래식이든 재즈이든,록이든- 바흐의 평균율에서 비롯되었다는 넓은 견지에서 볼 떄 리듬의 문제에 있어서도 같은식의 논리가 적용될 것이며, 결국 클래식 음악의 리듬에 대한 폄하나 경멸은 개구리가 올챙이 시절을 기억 못하는 것과 하등 다름이 없고, '100년전의 자동차는 후졌다. 요즘의 자동차에 다 있는 에어컨도 없고 에어백도 없다'고 투덜거리는 것과 별반 다를바가 없다는 생각입니다. 다른 식으로 비유하자면, 아버지가 물려준 유산을 기반으로 떼부자가 된 아들이 '아버지는 왜 겨우 이 정도의 돈 밖에 못 벌었었나'라고 투덜대는 것과 마찬가지 입니다. 배은망덕이지요.



  
Comment '44'
  • 악플 2003.09.01 09:27 (*.91.94.56)
    발생...
  • 글쓴이 2003.09.01 11:15 (*.227.48.143)
    참나님, 정확하게 소개해 주셔요. 그래야 잘못된 선입관이면 고칠수 있잖아요.^^
  • 글쓴이 2003.09.01 11:15 (*.227.48.143)
    그리고 이번글은 참나님 같은 반대 의견을 내심 고대하고 있었더랍니다,.
  • 글쓴이 2003.09.01 11:21 (*.227.48.143)
    그만큼 주관적인 내용이라 다수의 반대 의견은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했거든요.
  • gmland 2003.09.01 11:39 (*.147.245.91)
    악플은 칭구들 약속대로 무시합시다.
  • 지나가며 2003.09.01 17:45 (*.190.147.251)
    주관적인 내용이라 하셨는데 뭐가 님의 주관이지요? 님의 글은 클래식의 리듬과 대중음악의 리듬에 대한 상당히 객관적, 당위적 서술입니다. 리듬에 대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적
  • 지나가며 2003.09.01 17:52 (*.190.147.251)
    교양물 정도의 글인데 무엇을 어떻게 다수가 반대하지요? 극히 지엽적으로 굳이 문제 삼는다면 글 구성의 형평성,즉 대중음악에서의 리듬적 생각과 클래식의 그것과의 글자수의 차이정돈데
  • 지나가며 2003.09.01 17:56 (*.190.147.251)
    그리고 님의 잠재적 생각에 대한 뉘앙스는 보이지만 이걸 명백하게 반대할 수는 없고... 아무튼 좋은 글입니다.
  • seneka 2003.09.01 20:19 (*.126.99.252)
    일반적인 생각이겠지요..하지만 전 다르게 생각합니다..음악은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변하는 것이라고...또한 장르의 차이도 인정해야한다고..
  • seneka 2003.09.01 20:21 (*.126.99.252)
    자동차에 에어컨이나 에어백이 없어도 그 자체로서 완성품이라고 생각됩니다...그렇기 때문에 현대의 리듬으로 고전음악을 평가한다는 것은 좀 무리라고 보여지네요.
  • 지나가며 2003.09.01 21:58 (*.190.147.251)
    첫댓글 단분 왜지우셨어요? 좋은 질문이셨는데... 악플발생님! 헤미올라에 대한 얘기가 왜 악플이죠? 글쓴이도 헤미올라라는 구체적 단어까지 적시했는데 뭘 정확하게 소개하라는
  • 지나가며 2003.09.01 22:01 (*.190.147.251)
    말이죠? 오히려 글쓴이님이 이 질문에 대한 정확한 답변을 주셔야한다고 생각됩니다.
  • 지나가며 2003.09.01 22:08 (*.190.147.251)
    죔랜드님! 제생각에 악플발생님이 전형적인 악플같은데 혹 왜 좋은질문을 모함해서 내쫓았는지 이유를 들어보고 무시 여부를 결정합시다.
  • 지나가며 2003.09.01 22:18 (*.190.147.251)
    세네카님 칼캇시 때의 맹활약 잘보았습니다. 이번 견해에는 전적으로 찬성입니다. 100년전의 자동차와
  • 지나가며 2003.09.01 22:23 (*.190.147.251)
    지금의 자동차, 아버지의 유산과 떼부자 아들, 음악에 대한 비유로는 매우 부적절한 비유입니다. 200여년전의 베토벤의 음악이 자동차 기술이 발전하듯 발전하여 불레즈가 되었다(?)
  • 지나가며 2003.09.01 22:25 (*.190.147.251)
    그래서 지금의 자동차가 훨씬 뛰어나듯이 불레즈가 훨씬 우수한 성능의 음악이다.(?)
  • 지나가며 2003.09.01 22:29 (*.190.147.251)
    전혀 맞지 않는 얘기죠. 그러나 이문제는 본문에 대한 지엽이므로 작은 문제라 생각합니다. 본 주제인 리듬에 관한 얘기 중 상당히 모순적인 얘기가 많은데 이것은 모두 다른 사람의
  • 지나가며 2003.09.01 22:32 (*.190.147.251)
    견해로 소개하고 정작 당사자, 글쓴이님 본인의 견해를 읽을 수가 없어 지금 행간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 지나가며 2003.09.01 22:42 (*.190.147.251)
    이 글의 목적이 일반 대중음악인들이 가진 클래식음악관 소개인지? 그렇다면 왜 그러는지? 아니면 일반교양강좐지? 지은이님은 주관적 글이라 했지만 주관이 뭔지 알수 없네요.
  • 지나가며 2003.09.01 22:58 (*.190.147.251)
    첫댓글 다신분 글 회수하신 의도를 압니다.그러나 더럽다고 피해버리면 그 또한 비겁한일이라 봅니다. 상대가 모함하고 뒤집어 씨워도 아무도 그것을 탓하지 않는 사회라면 같이떠납시다.
  • 지나가며 2003.09.01 23:27 (*.190.147.251)
    죄송한 질문인데요. '클래식은(고전음악은) 리듬이 없거나 약하다(폄하나 경멸의 의미로)' 라는 말을 운운.. 등의 말씀 중 리듬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설명해 주시면합니다.
  • 곰팽이 2003.09.02 02:08 (*.80.130.55)
    참 재밌는글들이네여.. ^^ 이게멋지다니깐요... 마니아방은...^^ 클래식이 리듬감이 떨어진다고는 생각안해봤는데...악기종류에 따라서 다를 수도있고...흠... 고민점 해야
  • 지나가며님, 2003.09.02 02:43 (*.91.94.56)
    제가 보기에 첫글을 쓰신 분이 그걸 지운 이유는 자기가 봐도 무턱대고 트집 잡는 글이었기 때문일 겁니다
  • . 2003.09.02 02:45 (*.91.94.56)
    정말 질문을 하려거든 님처럼 구체적으로 조목조목 질문을 하셨어야죠, '헤미올라가 뭔지 음악책이나 한 번 찾아 보시오' 이게 제대로 된 좋은 질문이라고 생각하시나요???
  • . 2003.09.02 02:45 (*.91.94.56)
    이건 질문도 아니고 명령일 뿐이네요...
  • . 2003.09.02 02:47 (*.91.94.56)
    이곳이 모함하고 뒤집어 씌우는 걸 탓하지 않는 사회라고 생각되신다면 님의 결론을 실행에 옮기시면 될 것 같습니다...
  • eee 2003.09.02 07:13 (*.91.94.56)
    지나가며님 말이죠,글의 내용이 궁금해서 질문하셨다기보단 뭔가 의도를 갖고 계신 거 같은데, 문체도 낯이 익고...저만 이런 생각이 드는 건지
  • eee 2003.09.02 07:15 (*.91.94.56)
    지나가며님, 혹시 저의 어리석은 오해였다면 대단히 실례했습니다. 조건부로 사과드립니다.
  • 지나가며 2003.09.02 07:23 (*.190.147.251)
    이님의 어리석은 오햅니다. 점님, 이님, 이필명은 오래전부터 제 필명이었습니다. 지워진 댓글이 그런것이었나요?
  • 지나가며 2003.09.02 07:27 (*.190.147.251)
    참으로 놀라운 기억력입니다. 정말그랬었다면 글쓰기 형식은 문제가 있었다고 봅니다만 내용이야 훌륭한 것아닙니까?
  • 지나가며 2003.09.02 07:30 (*.190.147.251)
    지엽의 지엽적인 문제를 가지고 본질흐리는 일은 지금 우리가 다른 글에서 지겹게 보고 있는데 여기서도 또 시작입니까?
  • 지나가며 2003.09.02 07:35 (*.190.147.251)
    당사자도 아니면서 남의 질문에 껴들어 `글의 내용이 궁금해서 질문하셨다기보단 뭔가 의도를 갖고 계신 거 같은데, 문체도 낯이 익고`라니요? 건방지십니다.
  • 지나가며 2003.09.02 08:13 (*.190.147.251)
    제 질문은 본문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필수 조건입니다. 당사자인 글쓴이님의 답변을 정식으로 요청합니다. 헤미올라에 대한 글쓴이님의 견해도 제가 정식으로 다시 묻습니다.
  • 지나가며님님, 2003.09.02 08:18 (*.190.147.251)
    님 자신이 보시기에 그랬다는 극히 주관적, 일방적생각으로 남의 행동을 재단하는 것이 얼마나 무책임한 것인줄은 아시남요?
  • ㅋㅋㅋ 2003.09.02 09:15 (*.91.94.56)
    건방지십니다, 라는 한국말도 있군요, 재미따. 나도 써먹어야지.
  • 앗! 2003.09.02 09:29 (*.190.147.251)
    드뎌 ㅋㅋㅋ의 등장! 감잡았다, 오바.
  • 지나가며 2003.09.02 09:41 (*.190.147.251)
    윗분들 그만두세요. 장난이 아닙니다.저는 지금 음악적 근본에 관한 매우 중요한 문제를 말하고 있습니다. 이렇게해서 또 본질을 흐려, 본문이 던지는 중요한 메시지, 저의 근본적인
  • ㅋㅋㅋ 2003.09.02 09:44 (*.91.94.56)
    어, 무슨 감을 잡으셨는데여?
  • 지나가며 2003.09.02 09:45 (*.190.147.251)
    음악적 물음을 희화시켜버리려는 건가요? 건방지십니다는 말은 정식으로 취소합니다. 이님이 제3자로서 너무 깊게 관여하셔서 한말인데, 좀 과했습니다.
  • eee 2003.09.02 10:35 (*.91.94.56)
    지나가며님, 얼토당토 않은 오해를 해서 죄송합니다. 다시 한 번 사과드립니다.
  • eee 2003.09.02 10:40 (*.91.94.56)
    하지만 '당사자도 아니면서 남의 질문에 껴들어' 부분은 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제3자라도 이런저런 말은 할 수 있는 곳이 아닙니까?
  • eee 2003.09.02 10:42 (*.91.94.56)
    제 글이 욕먹어 마땅한 이유는 내용이 터무니없어서이지, 단지 님의 질문에 끼어들었기 때문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eee 2003.09.02 10:44 (*.91.94.56)
    아무튼, 어이없는 오해, 진심으로 용서 구합니다. 널리 혜량해 주시길 바랍니다. 건필하십시오.
  • 지나가며 2003.09.02 10:47 (*.190.147.251)
    이님 말씀 옳습니다. 넷상의 토론이란 공개토론의 성격을 갖기때문에 껴들 수 있다고 봅니다. 제말도 3자로서 님이 하신 말씀의 내용입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14 요즘 국내외 콩쿠르 곡 2 궁금 2015.03.12 13409
1313 카나리오스 주법 질문이에요(앙헬로메로 편곡버전) 2 잉잉 2010.07.03 13395
1312 Manuel Contreras 홈페이지의 배경음악 제목이 무엇인가요? 1 손님 2014.10.10 13387
1311 안개낀 장충당 공원 8 file 항해사 2006.11.18 13285
1310 피게라스를 추모하며 5 file 정천식 2012.04.14 13248
1309 햇빛 쏟아지는 사이렌의 숲속... 2 이브남 2007.02.11 13135
1308 윤디 리 콩쥐 2007.12.06 13107
1307 망고쉐이크 망고 2014.06.28 13078
1306 아베마리아 3 file 이브남 2007.01.10 13053
1305 Tant que vivray 이브남 2008.11.08 13041
1304 안녕하세요 찾고 있습니다. 1 학생 2009.06.12 13016
1303 기타줄은 왜 E-B-G-D-A-E 으로 튜닝하는건가요??? 16 미스터엠 2006.08.28 12957
1302 타레가 신원조사서 11 file 조국건 2006.10.12 12931
1301 기타음악 작곡자들은 보쇼~ 26 바부팅이 2005.07.25 12912
1300 [모셔온글] 피아노 이야기에서 - 러셀셔먼 4 밀롱가. 2007.09.03 12907
1299 아랑훼즈 협주곡 13 file 진성 2006.11.24 12701
1298 음악과 이념 - 알베니스의 피아노 협주곡을 중심으로 6 file 1000식 2007.02.06 12655
1297 바흐음악을 연주할때의 자세및 마음가짐 2 마음가짐 2016.06.15 12629
1296 테오르보... 3 이브남 2007.02.09 12550
1295 Flamenco 기타음악 5 file 조국건 2006.09.30 12541
1294 류트와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의 트릴연주 5 이브남 2006.11.26 12473
1293 [re] 악기별 트레몰로 주법 gmland 2003.11.16 12238
1292 Arcadi Volodos 콩쥐 2007.12.06 12173
1291 20세에 요절한 바스크 출신의 천재 작곡가 - 아리아가 2 정천식 2004.02.03 12168
1290 사랑의 괴로움을 그대는 아는가... 2 이브남 2006.11.29 11669
1289 효과적인 연습방법 - 연주의 성공은 연습의 질에 달렸다 4 고정석 2006.08.20 11659
1288 황병기 가야금 작품집을 추천합니다. 6 고정석 2003.11.17 11656
1287 My mind to me a kingdom is... 2 이브남 2007.02.22 11647
1286 그의 날과 눈물의 날인저... 3 이브남 2006.12.18 11633
1285 기타리스트 김세황 오케스트라와 만나다 <청양> 까마니 2012.05.06 11530
1284 클라비코드 10 이브남 2006.11.24 11525
1283 John Dowland의 "What if I never speed"의 악보 1 file 정천식 2003.11.19 11430
1282 기타연주와 숨쉬기(호흡)에 관련하여 11 밀롱가. 2006.10.16 11423
1281 클렌쟝 작품 번호별 리스트 6 희주 2006.07.12 11290
1280 카운터 테너와 카스트라토 그리고 소프라니스트(수정) 2 정천식 2004.01.04 11231
1279 깊고 깊은 고악기의 음색... 4 이브남 2006.11.25 11136
1278 재즈, 음악의 르네쌍스를 이끌다. 2012.07.20 11095
1277 3/8박자의 의미는? 21 ZiO 2006.01.21 11094
1276 루바토 [rubato] 27 모카 2005.05.12 11045
1275 헤레베헤의 연주가 나온김에 한곡더!~ 1 이브남 2006.12.20 10882
1274 작곡에 관해 훈님에게 질문 11 궁금 2012.05.29 10830
1273 장식음(꾸밈음)의 음가에 대해... 22 쏠레아 2006.08.28 10818
1272 Adam_Fulara_BWV_848 1 소품 2006.10.31 10755
1271 바흐 평균율 곡집과 연주에 대하여... 1 채소 2002.01.17 10736
1270 고대지명과 음계에 관한 단상... 7 신동훈 2003.04.22 10618
1269 혹시 Leonardo Balada의 Apuntes for Four Guitars 들어볼수 있을까요? 옥용수 2003.11.26 10612
1268 J. S. BACH CHACONNE FROM PARTITA II, BWV 1004 - 제1부 쩜쩜쩜 2003.09.02 10495
1267 장화음과 단화음의 비밀 28 file Bluejay 2003.06.29 10351
1266 15년 만의 재회... 3 이브남 2006.11.27 10292
1265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13 지얼 2001.09.08 10228
1264 대학 경쟁력 세계에서 꼴찌수준 3 문제 2014.07.08 10220
1263 클래식 기타의 "꽃" 트레몰로... 11 2003.11.05 10172
1262 Chopin과 John Field의 Nocturnes 14 고정석 2006.09.29 9950
1261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3 file 정천식 2006.03.22 9832
1260 기타-화성학이란 무엇인가? - 예제를 통한 코드의 이해 (2) 8 file gmland 2003.07.27 9796
1259 내가 대지에 누웠을때... 3 이브남 2006.12.04 9662
1258 줄리언 브림 경, 80회 생신. 그라모폰 평생공로상 수상 file 섬소년 2013.11.01 9616
1257 음악성이란 그 무엇을 좇아서.... 44 그림이 2006.02.22 9476
1256 Gila's lullaby 1 ansang 2003.10.31 9401
1255 ☞ 알레망드? 사라방드? 코우란테? 프렐류드? 신동훈 2001.06.01 9358
1254 한국 전통음악 좋은곡으로 추천해 주셔여~~^^ 19 2003.11.17 9316
1253 피아졸라 - 천사의 죽음(베니테스) 8 정천식 2003.11.30 9290
1252 20세기를 예비한 바이올리니스트 - 사라사테 5 정천식 2004.05.11 9261
1251 진짜(?) 피아노와 디지털 피아노?? 19 jazzman 2006.01.20 9261
1250 세고비아 & 망고레 41 지어 ㄹ 2004.03.17 9235
1249 갈브레이스의 샤콘느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세요? 43 file 1000식 2004.09.13 9222
1248 고정도법과 이동도법 - 음명과 계명 7 gmland 2003.05.28 9180
1247 선율의 즉흥연주(Improvisation) 4 이브남 2006.11.26 9152
1246 음악과 수학(2) &#8211; 피타고라스 음계와 선법 1 bluejay 2004.02.17 9118
1245 여음을 오래 남기는 방법좀. 16 밀롱가. 2006.09.19 9069
1244 [re] 3/8박자의 의미는? 6 file 2006.01.23 9061
1243 클래식 기타의 10가지 특이한 연주법. 12 민형 2005.05.05 9031
1242 유구음계와 조선 전통음계의 비교 - 나운영 선생의 이론 소개 file gmland 2003.05.07 8983
1241 감동을 주는 연주를 하려면 ? 34 np 2005.11.23 8961
1240 정답 - 바흐의 마지막 작품 8 file 1000식 2006.03.01 8949
1239 1920년대의 디지털 녹음????????? 5 정천식 2003.12.22 8947
1238 해피보이님께.................거지의 사랑노래(?) 4 정천식 2003.12.29 8939
1237 [re] 채보 요령 12 지얼 2002.02.08 8908
1236 저........질문이 있는데요 2 이임재 2006.10.12 8888
1235 현악5중주 이야기 (1) - 보케리니편 2 1000식 2005.04.01 8880
1234 기타에 대한 명언 알려주세요^-^ 24 콘푸라이트 2005.09.19 8853
1233 슈만... 두사람의 척탄병... 2 이브남 2004.10.18 8827
1232 Carlos Saura 감독의 "Salome" 5 정천식 2006.04.12 8777
1231 스페인 음악의 뿌리를 찾아서 정천식 2006.03.16 8769
1230 (박자와 관련하여..) 흐름을 깨서 죄송합니다. 40 포에버클래식 2004.07.11 8757
1229 척박한 황무지에서 피어난 찬란한 꽃, 그라나도스 8 정천식 2004.02.04 8734
1228 파가니니의 기타와 바이올린을 위한 대소나타[바이올린이 반주해주는] 좀 올려주세요. 1 메르츠 2003.09.07 8711
1227 신현수님의 "악상해석과 표현의 기초"....넘 좋아요. 15 file 2005.12.31 8702
» 무뇌중 어록중에서. 44 B612 2003.09.01 8671
1225 [re] 피카소의 기타그림들 file Dr.K 2005.06.07 8657
1224 탱고와 아르헨티나 민속문화 5 file 정천식 2004.04.17 8655
1223 페르시안마켓에 대해서.. 2 케텔비 2003.07.19 8644
1222 인간이 낼 수 있는 가장 낮은 목소리는? 7 정천식 2003.12.25 8636
1221 [re] ★★★ 조국을 사랑한 바리오스 망고레 ( 글 & 번역 gmland ) 완결판 ★★★ 2 고정석 2003.08.29 8634
1220 디용 전주 황추찜닭 공연 후기. 17 오모씨 2004.03.31 8607
1219 마이클 호페의 'beloved' 2 돈이 2004.09.19 8591
1218 하프의 마음, 하프의 영혼 사발레타 정천식 2004.06.19 8578
1217 Ut queant laxis(당신의 종들이) 악보 2 file 정천식 2004.04.07 8574
1216 음악 이론수업의 문제점 2 문제 2014.07.07 8573
1215 Carlos Saura의 "El Amor Brujo" 2 정천식 2006.04.07 8573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