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03.08.31 22:22

바하와 헨델, 바로크

(*.49.222.92) 조회 수 6370 댓글 7
  영원한 음악의 아버지, 어머니인 바하와 헨델.
그 이름부터가 거대한 이 두 음악가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한다.
하지만, 내 작은 그릇으로는 도저히 그들의 커다란 세계에 대해 논할수가 없어 인간바하, 인간헨델을 비춰보는 것으로 즐거움을 얻을수 있었으면 최고의 성과일것이다.


그들을 보고 있자면 마치 짜기라도 한듯한 정반대의 인생에 경탄이 저절로 나온다.
바하와 헨델은 1685년 독일의 중부지방 '튀링겐'이란 곳에서 출생했다.
같은 해에 같은 지방에서 태어난 그들은 평생 만날수가 없었고, 전혀다른 인생을 살았다는 것부터 대조를 보인다.

우선 헨델을 말할것 같으면, 각국을 돌아다니며 그 시대 최첨단(?) 문물을 접하고 살았다. 또, 대체적으로 기복이 심한 삶을 산 반면에,
바하는 독일에서 한발자국도 나간적이 없고, 더군다나 독일안에서도 한지방에서 몇십년을 살았다.
바하는 큰아들이 대학에 진학하자 하숙생활을 할수도 있는데도 불구하고, 직장과 집을 학교가 있는 지방으로 옮길만큼 가정적인 사람이였다.

이처럼 이 둘은 음악에 있어서도 차이가 심한데, 헨델은 수시로 대중이 요구하는것과 취향을 민감하게 알아내서, 많은 양식적 변천을 이루고, 각국의 양식들을 자신의 곡에 공존시켰다.
이와 반대로 바하는 세상이 뭐라하는 나는 나. 초지일관된 자세, 시대에 동떨어진 자세로 전통의 마지막 수호자가 되기를 자처했다.

성악은 헨델에 있어 창작의 중심이 되었지만, 바하에겐 성악곡도 기악곡같단 지적을 받았었던 것이었다..


그렇지만 바로크 음악에 있어서, 음악에 있어서, 그 어떤 대조를 한방에 쓸어버릴수 있는 공통점이 있었으니..
바로 그들의 음악세계이다.
'그렇다면 방금 떠들은 것들은 다 무엇이란 말인가!'하고 묻는다면...죄송하게도 나도 모르겠다..
'그렇다면 뭐하러 이런 글을 쓰는가!!'라고 또 물으신다면 자꾸 묻지 말라고 하고 싶다..-_-;
그렇다 그들의 음악세계가 비슷하다는것은 대단한 역설이지만, 어찌하리오, 음악은 수학이 아닌데...몸으로 느낄수 있는것이다.
하나하나 곡을 비교를 하자면 끝이 안날지도 모르나,
헨델의 '합주협주곡 작품6'과 바하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을 보더라도 서로 대조적으로 분류되기보다는, 곡자체로 하나의 세계가 형성되있다고 생각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헨델 쪽은 코렐리 계통을 이은 옛 합주협주곡의 형식이라고 보아왔던 것이며,
바하 쪽은 비발디를 계승하는 새로운 독주협주곡의 형식과 관련시켜 생각해 왔다.
양자의 협주곡이 다른 기반에 놓여져 있다는것은 분명하지만, 이런한것도 역사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는 한,
헨델과 바하 작품이 근대 협주곡에 대한 과도기적인 것이라는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다.

바하는 헨델을 포함한 동시대의 작곡가와는 다르게 매우 특이한 작곡방법을 썻다.
당시 일반적인 작곡방식이라하면 선율과 화성의 골격을 보여준 후 세밀한 장식은 즉흥연주에 맡겼는데,
바하는 세밀한 기계부품을 만드는 것처럼, 연주에 필요한 모든것을 악보에 기록했으며, 자기가 의도하는 연주방법, 꾸밈음을 자세히 제시하였다.
이는 당시 대중과 평론가로부터 '바하는 모든 연주가의 수준이 자신과 비슷한줄로 알고있다'라는 소리를 들을정도록 난해하단 소리를 들었다.
실제로 한 평론가는 너무 많은 꾸밈음으로 인해 곡이 혼탁하고, 화성은 물론 어떤게 주선율인지조차 모르겠다는 말을했을정도이다.
하지만 이 말은 악기의 테크닉적인 부분에 있어서 아직 미숙했던 그 시대의 이야기이고,
현대에 와서는 전혀 문제될것이 없어보인다.


바로크는 바로크 음악은 그 이름답지 않게 너무나도 완전하고 너무나도 적극적이다. 무엇보다도 헨델과 바하가 그것을 증명해 주고 있지 않은가...
하지만 이 일그러진 진주의 세계는 우리에게 있어 아직까지 멀고먼 미지일뿐이다.
점차 대중문화와 음악의 비중이 높아 지면서, 고전음악에 대한 관심은 점점 사라져가고 있다.
언젠간 대중음악의 비중이 높아지면 다시 깨닫게 될것이다.
결코 벋어날 수 없는 바하의 그림자를...
그러기에 앞서 조금이나마 바하에 대해 관심을 가질수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이 재밌는 사람들을 그냥 지나치기엔 너무 억울하지 않은가!!
Comment '7'
  • gmland 2003.08.31 22:45 (*.79.130.53)
    클래식이든 대중음악이든, 과거든 현재든, 평균율과 서양7음계를 쓰고 있는 한, 바하가 집대성한 이것들을 쓰고 있는 한, 바하의 영향권을 벗어났다고 할 수 없지요.
  • gmland 2003.08.31 22:48 (*.79.130.53)
    다만, 변형되거나 응용될 뿐이지요. 듣기에는 완전히 다른 음악이고, 장르도 달리 분류되지만, 그 음계와 화성의 기본은 언제나 바하의 것이지요. 뒤집어 보면, 바하 음악과 색채가
  • gmland 2003.08.31 22:50 (*.79.130.53)
    다르다 하여, 애닯아 할 것 없지요. 또 다른 바하의 변종일 뿐이니까요. 어떤 음악이든, 평균율을 깨지 않는 한, 미래의 음악마저도, 이론적으로 분석하면 바하를 벗어날 수 없습니다
  • gmland 2003.08.31 22:52 (*.79.130.53)
    감상해 보면 다르지만, 이론적으로는 작든 크든 영향을 받고 있고, 그 안에서 놀고 있습니다. 대중음악에는 민속리듬이 많이 끼어들어가므로, 다른 음악처럼 느껴지지만, 주선율과 화성은
  • gmland 2003.08.31 22:53 (*.79.130.53)
    역시 바하의 손바닥 안에 있습니다. 따라서 음악 장르를 분별한 필요가 없는 거지요. 모든 대중음악도 바하의 확대로 볼 수 있습니다. 이게 발전인지 퇴보인지는 논할 수 없겠지요.
  • gmland 2003.08.31 22:55 (*.79.130.53)
    본체는 하나이나, 그 화신이 여러 개일 뿐인 것이지요. 취향에 따라 선별될 뿐, 어떤 장르가 진보라고 단정할 수 없는 거지요. 본성은 모두 다 바하 안에 있습니다.
  • gmland 2003.08.31 22:56 (*.79.130.53)
    그래서 바하를 근대/현대 음악의 아버지라 하는 것이겠지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13 ☞ Feuilles d'automne op.41에 대해 illiana 2001.04.22 4127
912 균형잡힌 바흐..? 으랏차차 2001.05.02 4293
911 이 사람도 아는지? 1 바리바리 2001.05.02 4212
910 곡 선정을 해 주셩~~~ㅇ` 4 qball 2001.05.02 4909
909 [추천도서] Power Performance 성공연주 어떻게 할 것인가 2 채소 2001.05.02 4360
908 그리스태생의 여류기타리스트 Antigoni Goni 1 2001.05.02 4682
907 아고고.... 균형잡힌 바흐..? 2 2001.05.02 4441
906 [읽을거리] 소녀와 베토벤 ...퍼온글... 1 채소 2001.05.04 4395
905 채소님을 음악이야기방장으로.... 7 2001.05.06 4251
904 스케일 연습은 언제나 내 생활의 일부 -레오니드 코간 5 채소 2001.05.08 5351
903 류트 시대의 음유시인의 시를 혹 가지고 계신 분은? 3 2001.05.10 4673
902 기타곡 중에 가장 어려운곡은? 4 으랏차차 2001.05.10 7929
901 바루에코의 샤콘느. 16 바레코미오 2001.05.10 4952
900 ☞ 바루에코의 샤콘느. 5 뽀짱 2001.05.11 4387
899 ☞ ☞ 바루에코의 샤콘느. 1 채소 2001.05.11 4375
898 ☞ ☞ ☞반론은 아닙니다만... 6 셰인 2001.05.11 4335
897 바루에코의 매력은... 2 2001.05.13 4251
896 ☞ 바루에코의 샤콘느. 2 zosel 2001.05.13 4415
895 기타는 내겐 너무 어려워.... 7 셰인 2001.05.14 4577
894 현상금 3만원........호세 루이스 곤잘레스의 샤콘느. 4 2001.05.16 6345
893 라쿰파르시타.. 있자나여.. 영어로 어떻게 쓰죠? 2 기타살앙 2001.05.16 5087
892 기타 관련 대학 궁굼해여 8 Loreena 2001.05.16 4327
891 답변 감사합니다...하지만..피아노 못칩니다 Loreena 2001.05.17 4206
890 제가 아는 한도 내에서..... space 2001.05.18 4229
889 외람되옵지만 제가 한말씀만 더드리자면.... space 2001.05.18 4379
888 ☞ 답변 감사합니다..제 자신이 너무 부끄럽습니다(내용무) Loreena 2001.05.18 4148
887 님들...한번더 질문이요. Loreena 2001.05.19 4363
886 내가 뽑은 5 대 스피드 천왕 16 길벗맨 2001.05.19 6167
885 ☞ 조금 다른 내용이지만... 4 서정실 2001.05.19 4229
884 내가 뽑은 스피디기타리스트. 1 2001.05.19 4412
883 ☞ 저는 견해가 좀 다르군요. 4 셰인 2001.05.20 4398
882 강추!!!] 괜찮은 실시간 클래식 방송 사이트 5 illiana 2001.05.20 6957
881 사용법은요, 5 illiana 2001.05.20 4422
880 Chaconne.. 8 으랏차차 2001.05.21 4897
879 곡에 맞는 분위기.... 애기엄마. 2001.05.21 4322
878 ☞ Chaconne.. 롱롱 2001.05.21 4132
877 샤콘...느.... 3 채소 2001.05.22 4291
876 채소짱님 보셔요. 2 2001.05.22 4250
875 글쎄요...내 생각에는... 1 길벗맨 2001.05.22 4232
874 제가 들은 갈브레이쓰의 샤콘느는요... 갈브레이쓰 사랑해 2001.05.22 4143
873 앗 8개의 글이 몽조리 지워졌군요... 4 2001.05.22 4733
872 ☞ 내가 좋아하는 연주자 top5 1 왕초보 2001.05.22 4296
871 비판하려거든... 7 지얼 2001.05.23 4086
870 아래글에 대한 오해풀기... 6 지얼 2001.05.23 4273
869 음... 그냥... 무제입니다... 6 캬슬 2001.05.23 4279
868 ☞ ☞ 내가 좋아하는 연주자 top5 가난한 유학생 2001.05.23 4107
867 ☞ ☞ 내가 좋아하는 연주자 top5 1 가난한 유학생 2001.05.23 4319
866 음악가를 까대지 말고..... 3 가난한 유학생 2001.05.23 4774
865 마뉴엘 바루에코.... 5 예진아빠 2001.05.23 4422
864 나만의 생각.. 5 지얼 2001.05.24 4239
863 궁금한게 있는데... 5 지얼 2001.05.24 4271
862 카라얀후배님과의 만남..........그추억을 잊지 않으려고 2001.05.24 4233
861 사무라이정신..........일본음악칭구들. 5 2001.05.24 4574
860 아이렌다이즈.. 3 으랏차차 2001.05.24 4477
859 고선배님 홈페이지에 무라지가오리 연주실황이 있네요^^ 2 illiana 2001.05.25 4149
858 새벽에 듣고 싶은 음악.... 1 지얼 2001.05.25 4290
857 ☞ 아이렌다이즈.. 1 서정실 2001.05.25 5129
856 샤콘느 7 싸곤누 2001.05.25 4164
855 [강추도서] 자기발견을 향한 피아노 연습(With Your Own Two Hands) 9 전병철 2001.05.26 20318
854 존 윌리암스의 뮤직비디오를 보다.. 4 지얼 2001.05.26 4764
853 무대에 올라가면 너무 떨려요... 16 채소 2001.05.26 4513
852 ☞ 무대에 올라가면 너무 떨려요... 1 지얼 2001.05.26 4272
851 '마지막 트레몰로' 를 듣고 싶은데... 3 2001.05.28 4861
850 Nikolayeva 그리고 Bach 일랴나 2001.05.29 4395
849 니콜라예바할머니 젤 조아여.... 4 2001.05.30 4231
848 ☞ 니콜라에바, 튜렉, 길버트 10 셰인 2001.05.30 4375
847 ☞ 고마워요... 이렇게 해보면 되겠네요... 1 채소 2001.05.30 4321
846 '알함브라의 회상과 트레몰로 주법의 비밀(단행본)' 출간 소식.. 눈물반짝 2001.05.30 6687
845 몇가지 음악용어들에 대한 질문.. 29 으랏차차 2001.05.31 4712
844 위의 책이 집에 도착해서.. 3 눈물반짝 2001.06.01 4387
843 ☞ 클라비어(Clavier)란... 5 신동훈 2001.06.01 7770
842 ☞ 순정률, 평균율, 글구 류트... 1 신동훈 2001.06.01 5188
841 ☞ 소나타와 파르티타라... 악장두... 신동훈 2001.06.01 5148
840 ☞ 알레망드? 사라방드? 코우란테? 프렐류드? 신동훈 2001.06.01 9375
839 ☞ 푸가여??? 푸가를 말쌈하십니까??? 신동훈 2001.06.01 4267
838 ☞ 마지막임당!!! 춤곡, 페달, 글구 카프리스 4 신동훈 2001.06.01 4608
837 아래 순정율과 평균율에 대한 짧은 이야기 16 최영규 2001.06.02 7289
836 답변 정말 감사.. 1 으랏차차 2001.06.02 4126
835 틸만 홉스탁연주 듣고...그리고 카를로스 몬토야.... 7 최성우 2001.06.06 7254
834 [추천도서] 기타奇打와 나눈 이야기.. 4 전병철 2001.06.08 4635
833 저도 패러디 글 하나 올립니다..^^;; 3 최성우 2001.06.08 4608
832 곡 외우기... 5 채소 2001.06.10 5168
831 바하의 첼로 조곡이 6곡으로 이루어진 이유.... 12 채소 2001.06.13 4906
830 ☞ 바하의 알파벳을 더하면요.. 7 채소 2001.06.14 4975
829 좋은 선생이 되려면.... (10가지 조건) 2 채소 2001.06.19 4900
828 좋은 학생이 되려면..... 채소 2001.06.20 4515
827 아마추어와 프로의 차이.... 그리고 넋두리.... 8 채소 2001.06.27 4936
826 음악과 색채.... 7 채소 2001.06.27 6014
825 처음 맛의 고정관념... 5 지얼 2001.06.29 4234
824 ☞ 처음 맛의 고정관념... 9 행인7 2001.06.29 4420
823 빌라로보스의 다섯개의 전주곡 신청합니다. 1 김종표 2001.07.02 4311
822 BWV997 듣고싶어요~ 혹시 있으신분 올려주시면 안될까요~(냉무) 2 이승한 2001.07.02 7866
821 최성우님.... 바르톡 곡좀 추천해주세요... 1 채소 2001.07.03 4501
820 좋은 기타 음색이란...? 지얼 2001.07.04 4282
819 ☞ 좋은 기타 음색이란...? 1 2001.07.04 5905
818 채소님께 답장아닌 답장을.. 최성우 2001.07.04 4056
817 ☞ 감사합니다.... 1 채소 2001.07.04 4296
816 이창학님께 감사드립니다.[핑크 플로이드 찬가] 8 최성우 2001.07.07 4706
815 누군가 고수분께서 편곡연주해주시면 좋을 곡. 2 최성우 2001.07.08 4776
814 류트조곡 1번 듣고싶어요! 7 김종표 2001.07.09 4574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