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74.164.6) 조회 수 6538 댓글 33


역시 매니아에 질문을 올리면 모든 궁금증이 사라지는군요.
오늘은 잘 아시는 알베니스의 'Sevilla' 에 대한 질문입니다.
위의 악보는 중간의 스케일부분, 아래의 악보는 종지부분입니다.
이 악보는 피아노 원보입니다.
다른 악기의 편곡작품의경우, 원곡악보를 꼭 비교해 보아야 합니다.
대가들의 편곡이라해도 믿을수 없는 경우가 왕왕 있어서요.
우선, 스케일부분 세번째 마디 보시면 오른손은 B내추럴,
왼손은 B플랫으로 되어 있어요. 기타 악보에선 모두B 플랫으로 되어있죠.
저는 이것이 피아노악보의 오류라고 생각합니다만, (즉 B플랫이 맞다)
여러분들의 의견은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다음 질문은,
아래의 종지부분에서 셈여림표가 원곡에는 피아니시시모로 되어 있는데,
기타 연주에선 예외없이 포르티시시모로 다들 연주하죠?
이거 문제있는거 아닙니까?
참고로 프뤼베크 데 부르고스의 오케스트라 연주를 들어보면
역시 글록켄슈피엘과 현의 피아니시모로 끝납니다.
기타 연주에서 포르테로 끝내게 된 연유가 무엇일까요???

후련한 대답을 기다립니다~



Comment '33'
  • gmland 2003.07.21 00:03 (*.79.130.129)
    이번에는 스케일 시험 시간입니껴 ?
  • 과객 2003.07.21 01:24 (*.33.22.153)
    '척' 하면 삼척이요, '푸드득'하면 물똥이라! 당근 Bb이 정답이죠. 글구, 료벳의 편곡 악보에는 피아니시모 임돠. 아랑님 답지않은 우문임돠
  • gmland 2003.07.21 03:11 (*.79.130.129)
    전체적으로는, Gm 음계로 일시적 조바꿈이 되어있는 상태로 보이고, 1번~2번 마디는 Gm-자연, 3번 마디의 아래 스탭, 왼손 악보도 Gm 스케일이며, 위 스탭 첫 음은,
  • gmland 2003.07.21 03:14 (*.79.130.129)
    3번 마디, 위 스탭, 첫 음은 Gm-화성단음계의 이끔음인 것으로 봐서, Bb음임에 확신이 갑니다. PPP를 포르티시시모로 연주하는 건, 작곡가의 Expression을 존중하는
  • gmland 2003.07.21 03:17 (*.79.130.129)
    파도 있고, 창의적 Phrasing을 강조하는 파도 있으니, 정답이 있을 순 없지만, 오키스트러와 기타 음악의 악기 편성의 차이를 감안한다면, 악곡의 흐름으로 봐서,
  • gmland 2003.07.21 03:18 (*.79.130.129)
    강하게 종지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채소 2003.07.21 08:57 (*.241.146.2)
    플라멩고에서, Cante, Dance, Palmsa, Guitar 가 어울려 연주하다가 모두 동시에 끝나죠. fff 로...
  • 채소 2003.07.21 08:58 (*.241.146.2)
    세빌랴도 안달루시아 지방의 플라멩고 노래 중 하나고, 원곡을 생각하며 연주한다면 fff로 끝나야 노래의 맛이 날 것 같아요.
  • 채소 2003.07.21 08:58 (*.241.146.2)
    물론 연주가나 지휘자가 노래에 또 다른 이미지, ppp로 끝나야될 그림을 그려냈다면 그렇게 끝난다고 해서 문제될 건 없다고 생각합니다.
  • 아랑 2003.07.21 08:58 (*.74.167.56)
    피아노 연주회에서 위의 음표를 B내추럴로 연주하는 광경을 보았기에 올린 글입니다.
  • 채소 2003.07.21 09:01 (*.241.146.2)
    위의 악보 표기를 albeniz가 직접한 것인지 아니면 출간 할 때 편집자가 임의대로 넣은 것인지 확인이 필요할 것 같아요. 위의 악보는 혹시 태림출판사에서 출간된 것인지요?
  • 아랑 2003.07.21 09:02 (*.74.167.56)
    그리고..강하게 종지하고 싶어하는 기타 연주자들의 해석의 경향성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고 싶구요.
  • 아랑 2003.07.21 09:03 (*.74.167.56)
    피아니시모로 끝내려는 기타연주자를 한 번도 보지 못했거든요.
  • 아랑 2003.07.21 09:05 (*.74.167.56)
    이니요...세광음악출판사꺼..하얀색 책이에요.
  • 채소 2003.07.21 09:45 (*.241.146.2)
    태림꺼하고 비슷하네요.. 태림꺼는 어떤 일본 출판사걸 옮긴 건데요.. 해설에 보면 "편집자는 끝에 두음을 ff로 연주한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 지나가던 야채장수 2003.07.21 11:31 (*.100.240.115)
    채소님은 왜 '채소'여요??
  • 과객 2003.07.21 13:51 (*.243.135.47)
    라로차의 피아노 연주, 부르고스의 오케스트라 연주가 모두 Bb입니다. 근데 B음으로 연주한 사람이 뉘기여?
  • gmland 2003.07.21 15:11 (*.148.40.159)
    아랑님, 오키스트러는 수십대 악기가 내는 강력한 음량이 있어서, 점점여리게를 시간적으로 아주 미세하게 처리할 수 있지만, 기타 음량으로는, 사실상 정밀처리가 불가능 하고,
  • gmland 2003.07.21 15:13 (*.148.40.159)
    다소 밋밋하게, 시간 경과에 따른, 즉 마디 진행에 따른 음량의 점차적 감소가 어렵거든요. 차라리 포르테로 처리해 버리는 진행이 낫지 않을까요 ?
  • gmland 2003.07.21 15:31 (*.148.40.159)
    오키스트러의 경우에는, PPP로써 Fade-Out의 효과를 줄 수 있지만, 기타로는 무리거든요. 별개의 해석에 따른 프레이징의 선택이라기 보다는, 거의 No choice가 아닐까요
  • 아랑 2003.07.21 21:04 (*.74.165.202)
    마지막 음을 풍부한 타스토로 끝내도 나름대로 멋있는데... 아무도 그런 해석을 안 하시길래...
  • 아랑 2003.07.21 21:08 (*.74.165.202)
    세고뱌나 료벳의 악보가 전부가 아니고, 원보에는(작곡자는)다른 종결을 원했다는것을.. 알고는 있어야 하지 않겠느냐..그런거죠, 뭐.
  • 아랑 2003.07.21 21:09 (*.74.165.202)
    그리고 B내추럴 연주는 학교에서 음대생의 연주였어요.
  • 2003.07.22 07:07 (*.80.14.34)
    채소님은 얼굴을 보는순간 채소가 생각나서 창구들이 붙여드린이름입니다.
  • 2003.07.22 07:09 (*.80.14.34)
    피부가 맑고 지적이면서 미남이시거든요...여자분들이 무지 따라다닐것같은 느낌...
  • 채소 2003.07.22 07:47 (*.241.156.161)
    아이고... 미남아녀요... .... 따라다니는 사람 있음 좋겠네.. 아.. 한사람있군요.. "집사람"..
  • mamunia 2003.07.22 19:17 (*.37.101.17)
    피아노는 라로차의 것을 들어봤는데, 처음 들었을때 느낌이 기타와는 거의 모든 부분이 강약이 반대라는 느낌이었거든요
  • mamunia 2003.07.22 19:18 (*.37.101.17)
    기타에서는 라스갸도로 화끈하게 처리하는 부분을 피아노로는 모두 여리게 표현하더라구요... 근데 개인적으로는 기타 연주가 훨씬 느낌이 좋던데...
  • mamunia 2003.07.22 19:19 (*.37.101.17)
    문제제기랄꺼까지야.. 듣고 좋으면 되는거지
  • 과객님께 2003.07.28 01:23 (*.190.147.218)
    한표! 미스 프린트일 가능성이 많은데 미스프린트에 대한 정답 찾기라면 판을 너무 요란하게 벌린듯..., 만약 B네츄럴이 정답의 가능성이 있다면 상당한 논리적 고찰이 필요한
  • 문제로 2003.07.28 01:28 (*.190.147.218)
    제시된 악보의 양이 너무 적어 이정도 악보로는 판단이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mamunia님께도 한표!
  • 과객님께님에게도 2003.07.28 01:59 (*.190.147.218)
    한표^^ 미스프린트 하나에 일일이 이런 방식의 검증을 하다가는.....
  • 매니아 2003.07.28 12:49 (*.190.147.218)
    칭구들의 관심분야가 이런 하찮은 지엽적 문제에만 국한되어야 하는건지, 매니아가 언제까지 이런 지엽적 곁가지 문제해결에 목을 매달아야 하는지를 함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3 가사의 얽힘과 그 이후의 역사적 전개과정 정천식 2003.12.28 4936
412 시간여행 : 800년 전의 음악은 어땠을까요? 8 file 정천식 2003.12.28 5675
411 해피보이님께.................거지의 사랑노래(?) 4 정천식 2003.12.29 8953
410 산사나이들의 밝고 유쾌한 노래 3 정천식 2003.12.29 6923
409 카운터 테너와 카스트라토 그리고 소프라니스트(수정) 2 정천식 2004.01.04 11257
408 천사의 죽음 - Suite del Angel 5 file 차차 2004.01.05 7838
407 프랑코 코렐리를 추모하며 7 정천식 2004.01.05 6391
406 1월 16일 배장흠님 Recuerdos 연주회 후기 8 으니 2004.01.17 7543
405 정경화의 샤콘느... 5 eveNam 2004.01.22 5464
404 LP예찬 7 정천식 2004.01.22 5542
403 LP를 CD로 만들기 정천식 2004.01.24 5454
402 합창교향곡... 에리히 라인스도르프... 3 file eveNam 2004.01.25 6836
401 로드리고... 안달루즈 협주곡 25 file eveNam 2004.01.25 7532
400 히메네스 - 알론소의 결혼 4 정천식 2004.01.30 8128
399 히메네스 - 알론소의 결혼(야마시타의 연주) 4 정천식 2004.01.31 6737
398 20세에 요절한 바스크 출신의 천재 작곡가 - 아리아가 2 정천식 2004.02.03 12188
397 [re] 참고로~ 1 seneka 2004.02.04 6054
396 척박한 황무지에서 피어난 찬란한 꽃, 그라나도스 8 정천식 2004.02.04 8746
395 테크닉과 음악성에 대한 이런 생각도 있습니다.. 15 seneka 2004.02.05 5546
394 밑의 글들을 일고... 18 vandallist 2004.02.06 5930
393 위의 글을 읽고... 6 지나가다 2004.02.06 5829
392 [re] 답답... 21 답답... 2004.02.06 5240
391 한말씀만... 4 file jazzman 2004.02.06 6391
390 [re] 커트 코베인이 뭘 어쨎길래.. 1 마왕 2004.02.06 5061
389 근데...음악성이란게 정확히 뭘 말하는거에요? 19 마왕 2004.02.06 5542
388 [re] 근데...음악성이란게 정확히 뭘 말하는거에요? 8 ... 2004.02.06 4687
387 [re] 음악성.........꼬추가루 넣은 안동식혜. 4 2004.02.06 5036
386 로르까의 <스페인 옛 민요집> 4 정천식 2004.02.06 8143
385 투우장에 울려퍼지는 정열적이고도 우아한 음악(1) 3 정천식 2004.02.07 6894
384 투우장에 울려퍼지는 정열적이고도 우아한 음악(2) 1 정천식 2004.02.07 6390
383 투우장에 울려퍼지는 정열적이고도 우아한 음악(3) 3 정천식 2004.02.07 7245
382 Obligato on Etude in B minor 정천식 2004.02.08 5499
381 내 첫사랑의 추억이 어린 그리그의 <페르 귄트>(1) 정천식 2004.02.10 6062
380 내 첫사랑의 추억이 어린 그리그의 <페르 귄트>(2) 3 정천식 2004.02.10 5168
379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선구자 - 솔레르 신부(1) 정천식 2004.02.11 5791
378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선구자 - 솔레르 신부(2) 정천식 2004.02.11 17164
377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선구자 - 솔레르 신부(3) 정천식 2004.02.11 5354
376 바하는 어떤 악보로 공부하여야 하나........!!?? 6 file 해피보이 2004.02.16 5776
375 [re] 바하는 어떤 악보로 공부하여야 하나........!!?? 6 정천식 2004.02.16 5675
374 음악과 수학(2) &#8211; 피타고라스 음계와 선법 1 bluejay 2004.02.17 9145
373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큰 별, 알베니스(1) 4 정천식 2004.02.24 5303
372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큰 별, 알베니스(2) 1 정천식 2004.02.25 5470
371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큰 별, 알베니스(3) 3 정천식 2004.02.26 5264
370 스트라디바리 사운드의 비밀, 기후 탓?[잡지 월간객석에서 퍼옴] 9 김동선 2004.02.29 5962
369 쵸콜렛을 좋아하세요?(1) 정천식 2004.03.02 4683
368 쵸콜렛을 좋아하세요?(2) 정천식 2004.03.03 4971
367 쵸콜렛을 좋아하세요?(3) 정천식 2004.03.04 4838
366 커트코베인과 클래식기타 10 한민이 2004.03.09 5755
365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1) 7 정천식 2004.03.10 6012
364 타레가의 "무어인의 춤" 3 정천식 2004.03.10 7272
363 질문. 6 진성 2004.03.11 4838
362 [re] Omar Bashir의 우드(Oud)연주.. 4 옥용수 2004.03.11 5411
361 [re] 질문. 2 file 정천식 2004.03.11 4947
360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2) 1 정천식 2004.03.11 5637
359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3) 3 정천식 2004.03.13 5192
358 [re]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3) 2 정천식 2004.03.14 5040
357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4) 정천식 2004.03.14 5377
356 인류 평화의 염원이 담긴 새의 노래 4 정천식 2004.03.15 5656
355 [re]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큰 별, 알베니스(3) 차가운기타 2004.03.16 5291
354 세고비아 & 망고레 41 지어 ㄹ 2004.03.17 9256
353 바하곡을 연주한다는 것... 23 황유진 2004.03.17 5534
352 역시~디용.....Roland Dyens 의 인터뷰.............(97년 soundboard잡지) 8 맹구 2004.03.23 5337
351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완성자, 파야(1) 2 정천식 2004.03.23 5748
350 파야의 스페인 무곡 오페라 버전 정천식 2004.03.23 6391
349 파야의 스페인 무곡(기타2중주) 정천식 2004.03.24 6175
348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완성자, 파야(2) 3 정천식 2004.03.26 5552
347 파야의 폴로 - 수페르비아의 노래 정천식 2004.03.26 6169
346 파야의 폴로 - 후쿠다 신이치의 연주 정천식 2004.03.26 6326
345 파야의 폴로 - 예페스의 연주 정천식 2004.03.26 6081
344 파야의 도깨비불의 노래 정천식 2004.03.26 6434
343 몇자 안되는 간단의견 넘 아까워서 퍼왔습니다......."무한이 확장되는 경험 2004.03.28 4992
342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완성자, 파야(3) 2 정천식 2004.03.29 5950
341 LAGQ - 파야의 도깨비불의 노래 정천식 2004.03.30 4865
340 LAGQ - 파야의 괴로운 사랑의 노래 정천식 2004.03.30 5040
339 파야 - 물방아꾼의 춤(오케스트라) 정천식 2004.03.30 5696
338 파야 - 물방아꾼의 춤(기타연주) 정천식 2004.03.30 6115
337 파야 - 시장의 춤(오케스트라) 정천식 2004.03.30 5710
336 파야 - 시장의 춤(기타연주) 정천식 2004.03.30 5898
335 디용 전주 황추찜닭 공연 후기. 17 오모씨 2004.03.31 8624
334 변태가 되어가는 나의 귀....... 27 오모씨 2004.04.02 5479
333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완성자, 파야(4) 1 정천식 2004.04.02 6316
332 안녕하세요. 숙젠데..^^; 도레미파 솔라시도.. 이름의 유래에대해 알고 싶습니다. 6 hesed 2004.04.06 7248
331 Ut queant laxis(당신의 종들이) 악보 2 file 정천식 2004.04.07 8594
330 [퍼온글] 기타와 다른악기와의 쉽지않은 중주에 관하여...(오모씨님의 글) 5 2004.04.11 6232
329 저작권에 관하여...(FAQ).. 2004.04.11 4771
328 [요청] 브라우워의 곡중 Suite No.2 Mebae는? 6 file 옥용수 2004.04.12 6175
327 탱고와 아르헨티나 민속문화 5 file 정천식 2004.04.17 8684
326 모든 기타협주곡에 대하여 수배령을 내립니다. 59 정천식 2004.04.20 8480
325 [질문]Paco de Lucia의 Fuente Y Caudal 1 의문의 2004.04.30 5787
324 클래식 기타곡좀 추천해주세요... 5 kalsenian 2004.05.05 5001
323 20세기를 예비한 바이올리니스트 - 사라사테 5 정천식 2004.05.11 9274
322 여섯개의 은빛 달빛, 망고래의 생과 시간들. (리차드 디. 스토우버) 3 file 데스데 리 2004.05.24 4956
321 하프의 마음, 하프의 영혼 사발레타 정천식 2004.06.19 8623
320 사발레타가 연주하는 알베니스의 말라게냐 1 정천식 2004.06.19 5868
319 장대건님 연주회 끝난 후 이야기 한 토막 2 으니 2004.06.21 4936
318 추억의 스카보로우 10 LSD 2004.06.30 6937
317 [re] 스카보로우의 여인 19 gmland 2004.07.01 6854
316 Scarborough Fair 영상시 2 고정석 2004.07.02 5177
315 Stairway to Heaven 9 gmland 2004.07.02 7504
314 Dust in the wind - Kansas 1 gmland 2004.07.03 7464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