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79.171.169) 조회 수 5112 댓글 5
* 답변 - Phrase에 관하여

   질문 이전에, 기본개념의 차이가 있는 것 같아서, 한참을 망설이다가 답글을 합니다. 이미 잘 알고 있는 내용을 쓰는 것일 수도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phrase는 원래는 악식론에서 악구 또는 작은악절을 뜻하는 말이고, articulation은 늘임표, 악센트 등, 한 개의 음에 부속 되는 연주표현 지시기호이고, expression은 mf, adagio 등, 여러 개의 음, 또는 마디, 또는 여러 마디에 걸쳐지는 연주표현 지시어입니다.

  motive 동기는 대개 2~3 마디, phrase 악구(작은악절)는 대개 4~6 마디, period(passage) 악절은 대개 8~12 마디로 이루어집니다. 악곡은 대개 phrase 악구 단위로 진행되고 해석되는데, 작곡, 편곡자는 어떤 phrase의 표현을 위해 articulation과 expression을 사용합니다. 이건 연주자에 대한 지시기호라고 볼 수 있겠지요.

  그러나 반드시 작곡자, 또는 편곡자의 지시에 따를 필요는 없으며, 연주자의 악곡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고 봅니다. (작편곡자는 되게 싫어합니다만)

  악곡의 흐름을 분석해 보면, 어떤 서로 다른 패턴이 연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 패턴의 단위를 phrase라 할 수 있고, 이 패턴의 연속적 진행을 phrasing이라 합니다. 이는 문학에서, 마치 2개 이상의 단어가 구나 절을 만들고, 1개의 절이 이루는 문장을 단문이라 하며, 2개 이상의 절이 만든 문장을 복문, and, or, but 등의 접속사로 연결된 문장을 중문이라 할 때, phrase가 어떤 패턴의 연결로써 악절을 만들고 있느냐 하는 것과 흡사합니다.

  어떤 문장으로써 어떤 주제를 표현할 때, 그 문장을 단락 또는 문단의 개념으로 잘라서 분석할 수 있듯이, 악곡도 phrase 단위로써 단락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hrase는 자의적으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고, 악곡은 이미 단락되어져 있는 것입니다. 물론, 해석의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작곡자에 의해 이미 구분되어져 있습니다. 연주자는 그걸 찾아내야 올바른 표현을 할 수 있겠지요.

  프레이즈의 구분은, 감상을 많이 한 사람은 이론적 배경 없이도 알 수 있는 경우도 있으나, 대개는 악보를 보고, 화성진행과 음형 등, 이론적인 면을 분석함으로써 얻을 수 있습니다.

  호흡은 phrase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서, 대개는 한 phrase가 끝나고, 다음 phrase가 시작되는 사이에 호흡하게 됩니다.

  phrase는 정해져 있는 것이므로, 연주자에 따라 변할 수는 없는 것이지만, phrasing은 연주자가 제각기 해석하여 적용할 수 있습니다. phrasing은, 정적으로는 phrase의 연속된 태양을 뜻하지만, 동적으로는 프레이즈 단위로 연속되는 진행에 대한 표현, 즉 연주를 통한 악곡의 해석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같은 곡에 대한 서로 다른 프레이징은, 바로 연주자의 주관적 악곡해석을 통한 독창성과 개성을 의미하므로, 비교분석해 볼 가치가 있습니다. 이런 과정과 모방을 통해서만, 훗날 자기만의 프레이징이 가능하게 됩니다.

  copy에 머물러서도 아니 되지만, copy와 이론 및 감상을 경유해야만, 빨리 정확하게 독창적인 프레이징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gmland.


> 러셀의 바흐앨범을 구입했습니다. 류트를 위한 전주곡 푸가 알레그로를 설명하며 지독히 섬세하게 다듬은 프레이즈라는 평이 있던데 어디어디에 프레이즈를 적용한건지 제귀로는 도무지 알수가 없습니다.
>
>프레이즈가 "아기다리고기다리던 방학이다."를 "아 기다리고 기다리던 방학이다."이라는 것 밖에 잘 모릅니다.
>
>궁금한점
>
>1. 프레이즈는 자기 맘대로 적용한다? 악보보고 여기면 좋겠다싶으면 프레이즈를 끊어야 하는지...어느정도의 규칙이 있는지요
>
>2. 연주중 호흡도 프레이즈에 해당이 되나요?
>
>3. 각 연주가가 연주한 곡에서 프레이즈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 이것도 해석을 하는 건지요?
>
>사견으로는 러셀의 바흐음반...좋습니다.
        
Comment '5'
  • she 2003.05.17 09:32 (*.225.0.27)
    연주시 프레이즈를 구분해 주는 방법엔 어떤게 있나요?
  • gmland 2003.05.18 12:12 (*.147.245.36)
    질문하시는 대상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해 주시면, 예제로써 상세히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 gmland 2003.05.18 14:26 (*.147.245.36)
    이미 알고있는 프레이즈의 구분을, 연주할 때 어떻게 표현하는가 하는 문제인지, 프레이즈 자체를 어떻게 구분하는가의 문제인지를 모르겠네여.
  • gmland 2003.05.18 17:33 (*.147.245.36)
    바실리스크님 등, 칭구들은 추가 질문 없으셔요?
  • she 2003.05.19 09:24 (*.225.0.49)
    질문이 애매했네요^^, 연주할 때 어떤방법으로 어떻게 표현하는가에대한 질문입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3 곡 외우기... 5 채소 2001.06.10 5167
712 내 첫사랑의 추억이 어린 그리그의 <페르 귄트>(2) 3 정천식 2004.02.10 5167
711 바루에꼬 마스터클래스 참관기 13 iBach 2003.06.21 5166
710 엘튼 존 jazzman 2004.09.25 5166
709 현대곡은... 으랏차차 2001.03.17 5161
708 확실히... 형서기 2000.12.01 5156
707 외우는 법. 석재 2001.11.14 5149
706 메트로놈보다는.... 3 untouchable 2001.08.15 5147
705 Morel - Gershwin Medley 2 정천식 2003.12.10 5147
704 ☞ 소나타와 파르티타라... 악장두... 신동훈 2001.06.01 5146
703 [re] 당시엔 이런게 유행이었나봐요... ^^ 3 file eveNam 2003.11.19 5130
702 ☞ 아이렌다이즈.. 1 서정실 2001.05.25 5128
701 파리기타콩쿨의 중단과 의미 미니압바 2000.11.19 5125
700 바하와 건축 (도움글 조금 더)에 대한 도움글 더... ^^ 신동훈 2002.06.11 5118
» [re] 프레이즈는 이 것입니다. (1) 5 gmland 2003.05.16 5112
698 [re] 루이스 밀란의 파반느요.. 4 루이스 2003.07.19 5099
697 하하...바루에코사셨어요? 2000.12.24 5093
696 독일 바이얼린이스트 ........짐머만(짐메르만?) 1 2001.10.29 5093
695 웅수님 홈에서 아주 잘 쉬었다가 갑니다..^^ 정성민 2000.07.02 5092
694 라쿰파르시타.. 있자나여.. 영어로 어떻게 쓰죠? 2 기타살앙 2001.05.16 5087
693 플라멩코 이야기 5 1 김영성 2002.10.23 5087
692 [re] Guitar의 정의 - 번역 19 gmland 2003.07.18 5085
691 나몰레옹 코스테에 대해 누가 글좀 올려주세용^^ 2 덜렁이 2004.10.19 5081
690 ☞ 존 윌리암스와 그렉 스몰맨 미니압바 2001.01.26 5075
689 푸하하! 신홍여행! 망신살이 또... 泳瑞父 2000.10.20 5073
688 가사 내용 및 배경 정천식 2003.12.26 5072
687 [re] [질문] 난해한 현대음악을 어떻게 들어야 할까요? 2 아랑 2003.05.13 5071
686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13 B612 2003.08.28 5070
685 ☞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곡들.... 5 서정실 2001.08.22 5069
684 [re] 커트 코베인이 뭘 어&#51726;길래.. 1 마왕 2004.02.06 5059
683 퍼온글.....신동훈님의바하의 하프시코드음악안내. 2000.11.10 5056
682 형서기님... 2000.12.24 5052
681 바비맥플린 이야기. 2 지얼 2001.10.05 5050
680 미니말리즘 좋아 하세요? 15 채소 2001.12.11 5047
679 음악의 호불호에도 객관적 보편타당성이 존재하는가? 1 gmland 2003.08.29 5045
678 [re] 피날리 가진 분을 위한 피날리 악보 - 별첨 file gmland 2003.07.27 5044
677 [re]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3) 2 정천식 2004.03.14 5039
676 LAGQ - 파야의 괴로운 사랑의 노래 정천식 2004.03.30 5038
675 [re] 음악성.........꼬추가루 넣은 안동식혜. 4 2004.02.06 5036
674 .........묵묵........ 지우압바 2000.10.04 5035
673 종소리의 여러가지 버전... file 궁금이 2003.12.19 5035
672 소르는 발레나 오페라 곡을 많이 작곡했다던데.. 7 고전파 2004.11.27 5035
671 [re] 바하와 헨델, 바로크 - 약간의 딴지... ^^; 2 신동훈=eveNam 2003.09.01 5034
670 [딴소리] 러시아 그리고 스키..... 2000.10.28 5033
669 쳄발로 연주음반 듣고 싶어요.....그리고 메일답변 2000.11.27 5028
668 [re]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곡들.... 1 willie 2001.09.18 5026
667 괜찮으시다면 몇가지 짚어보겠습니다. 신정하 2000.09.26 5020
666 로드리고의 곡들좀 감상실에 올려주십시오... 2 손님 2003.09.06 5020
665 헉.......한국 작곡가가 1위라구요?? 안티기타 2000.11.02 5019
664 저는 기도와 춤을 계속 듣구 있습니당... space 2001.02.23 5019
663 플라멩코 이야기 2 김영성 2002.07.24 5018
662 The Illusionary World of Serpentina 이라는곡 file 아해요 2004.11.05 5013
661 라흐마니높 피아노협주곡음반은... 2000.08.22 5011
660 ☞:화가로 전향했을껄.... 나그네 2000.07.05 5008
659 전 일렉 기타 연주자. file whisky 2000.08.28 5006
658 연주에 있어서, 고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 4 gmland 2003.03.25 5005
657 [re] 2001년 9월 1일자 외국어대 영자신문중에.... 5 seneka 2003.07.18 5004
656 엘리엇 피스크의 마스터클래스..... 고형석 2000.06.11 5002
655 클래식 기타곡좀 추천해주세요... 5 kalsenian 2004.05.05 5001
654 스테판 락 악보어디서 구하나요? 기타광맨 2000.08.08 5000
653 지우압바님의 연주를 듣고싶다!!!!! 형서기 2000.09.28 5000
652 죄송하다니요...천부당 만부당 하신 말씀입니다.. 왕초보 2000.09.27 4995
651 반박글 절대 아님. 9 지나가는얼빵 2002.05.24 4993
650 [re] 고수님들이 음악을 들을때요.. 1 cool 2003.05.31 4992
649 몇자 안되는 간단의견 넘 아까워서 퍼왔습니다......."무한이 확장되는 경험 2004.03.28 4992
648 작곡할때 쓰기 좋은 소프트웨어좀 알려주세요. 2 렐리우스 2001.11.23 4988
647 원전연주 이야기(7)원전연주 단체-아르농쿠르와 콘첸투스 무지쿠스 빈...원 신동훈 2001.11.15 4983
646 고은별님 아직 사지 마셔요. 2000.09.16 4978
645 바루에꼬 마스터클래스 실황녹음(아랑훼즈협주곡) 5 iBach 2003.06.21 4977
644 어려운 일은 아니져!!!!! 형서기 2000.10.20 4974
643 ☞ 바하의 알파벳을 더하면요.. 7 채소 2001.06.14 4974
642 ☞ 음악?? 7 채소 2001.08.23 4971
641 쵸콜렛을 좋아하세요?(2) 정천식 2004.03.03 4971
640 흥미로운 발견입니다... 미니압바 2001.02.09 4970
639 [까딸로니아 민요] El Noi de la mare file 옥용수 2003.12.10 4969
638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1 채소 2001.08.17 4968
637 허접답변... ^^; 신동훈 2001.03.12 4966
636 저... 어떻하면 아르페지오를 잘할 수 있나여? wlal 2000.10.06 4965
635 리얼오디오자료실은 어떠실런지... 신정하 2000.09.18 4962
634 [re] Milan Tesar 의 "Intermezzo" file 옥용수 2003.12.12 4961
633 우메~우째이런 황당한 이야기 거리가...... 명노창 2000.07.12 4960
632 바흐의 영국조곡... 3 으랏차차 2002.01.07 4959
631 [re] 코드진행님 질문과 답변 2 gmland 2003.07.29 4957
630 ☞:야마시타의 비디오를 보고..저악보 있어요 hochma 2000.09.04 4956
629 여섯개의 은빛 달빛, 망고래의 생과 시간들. (리차드 디. 스토우버) 3 file 데스데 리 2004.05.24 4955
628 바루에코의 샤콘느. 16 바레코미오 2001.05.10 4952
627 악기의 왕이 있다면? 1 채소 2001.08.11 4950
626 그냥 사무실에 앉아 4 느끼 2005.03.03 4948
625 [re] 질문. 2 file 정천식 2004.03.11 4947
624 원전연주 이야기(6)원전연주에 쓰이는 악기는...서이!!! 10 신동훈 2001.11.02 4943
623 아마추어와 프로의 차이.... 그리고 넋두리.... 8 채소 2001.06.27 4936
622 다이기무라의 바덴재즈를 듣고...(추가) 12 으랏차차 2002.07.06 4936
621 가사의 얽힘과 그 이후의 역사적 전개과정 정천식 2003.12.28 4935
620 장대건님 연주회 끝난 후 이야기 한 토막 2 으니 2004.06.21 4935
619 gfa 2000기타콩쿠르 brawman 2000.06.20 4932
618 바덴재즈 곡좀 부탁할수 있을까요. 기타맨 2001.02.11 4929
617 아..맞아..가네샤님게 물어보면 된다. 2001.03.19 4929
616 음... 사라진 바하의 협주곡들... ㅡㅡ; 9 신동훈 2002.03.30 4928
615 골루세스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김소희 2000.10.05 4927
614 역대 파리콩쿨 수상자 명단 illiana 2000.10.28 4925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