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09
(*.178.72.40) 조회 수 5394 댓글 9
com 님 뵙게되어서 정말 반갑습니다. ^^

전 이렇다 저렇다 말할 자격이 없는 사람이긴 하나
님께서 실례를 들어주신 이야기 대부분에 동감하기에 감히 답글을 드립니다.

전 그저 순수한 아마추어에 지나지 않으며 메니아 사이트에 꾸준히 글을 올리시고 댓글을 주시는 님들보다도 기타에 대한 지식이나 기

량은 한없이 떨어지는 바이지만 제가 처음 기타를 알게 된  시점부터 줄곧 안타까움들이 많았습니다.

요즈음은 좀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 알 수 없으나 제가 경험했던 바로는 클래식 기타는 그저 악보만 보고 연주하면 된다는 묵시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었지 않았나 싶습니다.
물론 이 이야기는 저와 같은 아마추어들 사이에서의 예입니다.
그러나 이런 분위기는 사실 전반적인 한국 기타계의 인식부족이 반영된것이었다고 감히 생각되어집니다.

시중에는 기타 화성에 대한 믿을 만한 책 한권 찾기 어려운 실정이 그 상황을 여실히 나타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처음 선배들에게 기타를 배우기 시작했을 때 정말 기타 화성이라는것에 그 어떤 선배들도 중요성있게 인식한 분을 보지 못 했습

니다.
아니 그게 뭔지 모르는 분들이 상당수 였다고 생각합니다.
마치 클래식이 아닌 포크나 통기타, 전기기타 에서만 코드나 화성이 언급되는 것이지 클래식에서는 무의미한 것처럼 보였습니다.

그리고 일정하게 이루어지는 레슨에도 역시 화음, 화성에대한 교육은 전무했습니다.

자신들이 분명 C 화음을 집고 아르페지오를 연주하고 합주시 반주를 하면서도 그 화음이 그 마디에서, 또 멜로디와 무슨 관계인지, 그

조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등에 대하여 아무도 관심도 없으며 그 누구도 설명해주지 않았습니다.
즉, 제 주변 사람들 사이에서는 그 화음이 무엇이든 상관이 없었고 그에 대해 생각을 하는 것은 피곤한 사람으로 인식될 정도였습니다

.
오선에 음표가 가리키는 음만 제대로 퉁기면 끝이라는 분위기였습니다.

그런 와중에서 전 매우 답답하고 의문이 생기곤 했지만 그 누구도 답을 해줄 사람을 찾질 못 했습니다.
뭔가 의미가 있고 알아야 할 지식이 있는 것 같은데 아무도 그에 대해 고민하는 것 같지도 않았습니다.
그저 저 혼자만이 주변에 우연히 접할 수 있는 책자의 짧게 언급하는 기초적인 화성 지식만을 우연히 보다시피하며 스스로 아주 조금

씩만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

그러나 그런식의 공부방법은 그저 우연히 흘려들은 귀동냥에 지나지 않아 사실 제 주변사람들과 별 다를 바가 없었습니다.
제 가슴속에 꿈틀거리는 의문과 욕구를 잠재우지 못하고 서점을 뒤져보곤 했지만 너무나도 기본 지식이 전무하고 또 이해도 떨어져 시

중 서점의 화성학책들이 매우 난해하고 높게만 보였습니다.
마음속으로는 저런 놀라운 지식들이 악기를 하는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야 할 지식임이 분명한것 같은데 감히 저의 지식

으로 만들지 못 하고 또, 그 지식으로 인도 받을 수 없음에 대해 항상, 지금까지도 안타까움을 금치 못 했습니다.

전 가끔씩 서점에 들러 음악 코너를 살펴보는 버릇이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마치 보물을 찾은 듯 기뻐할 수 있는 음악이론(기타)에 대한 책은 보지 못 했습니다. 그저 항상 보여지는, 많이 볼 수

있는 소품집과 새미클래식 악보만이 보여질 뿐이었습니다.
마치 기타치는 사람에겐, 또 기타를 친다는 것은 '화성에 대한 이해' 라는 것이 아무 필요도, 가치도 없다는 태연하고 묵시적인 경고

처럼 느껴지곤 했습니다.

com 님께서 모 사이트에서 한 예로써 튜닝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만족할 수 없는 답을 하거나 답을 하는데 있어 오랜동안 지연된다고

하신것 같습니다.
그러나 그런 모습들은 제가 처음 기타를 알게 된 때부터 똑같이 나타나는 현상이었습니다.
기타는 어쩔 수 없이 튜닝이 어렵다는 말을 하는 것 같은데 그 원인이나 보완방법들을 이론적인 뒷 받침아래 잘 설명해주는 그런 글들은 쉬 찾아보기가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제 주변에 사람들은 아무도 튜닝에 대하여 심도있게 포인트도 주지않았으며 항상 "빨리 대충해봐" 라는 식의 말을 내뱉곤 했습니다.
이게 바로 적어도 아마추어나 지도자 없는 동아리들의 현실이었습니다. 그러나 위에서 잠깐 언급했습니다만 이런 현상들은 결국
한국 기타계의 인식부족과 지도자들의 질적 문제점에 기인할 수 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외국에서 공부를 하여 음반을 내고 어느 학교에서 지도자로 살아가는 것, 가끔씩 소품집 악보나 외국에서나 구할 수 있는 약간 희귀한

악보출판에 신경을 쓰는 것 같기는 합니다만 그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은 거의 없다시피 하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외국에서 공부하시고 현재 한국에서 많은 제자들을 위해 힘들여 고생하시는 분들은 제가 무조건 부정적 시각을 가졌다고 싫어하실지

모르나 어찌됐든 이제까지 아마추어, 동호인들이 느끼는 현실은 척박했던건 사실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즘음 특히 메니아 사이트 같은 경우 튜닝이나 화성에 대한 의견들과 관심이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만 여기 외에 다른 사이트에서는
쉬 보기 힘든건 사실이었으며 사실 시원하게 지적인 답변을 해주는 사람들도 거의 전무하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저에게도 나타났던 현상이지만 저에게 지적으로 도움을 주거나 기타를 보는 옳바른 시각을 제시해주는 분이 곁에 있지않아 오랜동안

기타에 대한 일정한 오해를 해왔으며 그러는 동안에는 마치 내 자신이 모든것을 다 아는 듯한 혼자만의 착각 비스한 생각을 하며 살기

도 했습니다.

튜닝을 이야기 한다면 사실 설명할 많은 이야기들이 있으나 그저 악보만 보고 기타를 쳐온사람들이나 5, 7프렛 하모닉스로 튜닝을 하

면 끝나는 걸로 아는 사람들에게는 너무나도 벅찬 이야기들이 될 수 도 있을것입니다.
애초부터 차근 차근 누군가에게 또는 믿을 만한 서적에 의해 지식을 얻고 훈련해 왔다면 상황은 좀 달라지겠지만 말입니다.

지금까지 모든면에서 별 불만없이 기타를 사랑해오신 분들에게는 com님이나 저의 이야기들이 상당히 부담스러이 느껴질 수 있지 않을

까 생각합니다.
튜닝이 제대로 돼 있든 아니든 스스로는 또 주변 사람들은 아무도 그걸 지적하지 않으며 자기 자신이 명곡을 연주하고 있다는 만족감

에 푹 젖어 다른 안타까움을 느낄 겨를이 없을 것입니다.

화성을 몰라도 아르페지오 스케일이 잘되고 튜닝이 어찌됐든 내 귀에는 충분히 괜찮게 들리는데 사실 그런 이론들이 나와 상관이 있는

것일까?

아마, 위의 의문점들이 많은 사람들의 뇌리속에서 번뜩이고 있을 듯 싶습니다.
복잡하게 살지 말자 우린 아무리 인척해도 아마추어에 불과하고 동호인에 지나지 않는다.....

위의 사고들은 결국 한국 기타계의 선각자, 지도자들의 한심스러운 인식을 깊이 내포하고 있으며, 그 책임이 바로 그 분들에게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이 답글을 적는 저도 또한 그 피해자의 한 사람으로서 항상 기타를 보며 내가 정말 기타를 이해하지 못 하고 너무나 아는게 없음을 안

타깝게 여기며 살고 있습니다.

요즘음도 초급 수준의 관련 서적을 한번씩 뒤젹여 보지만 역시나 뭔가 크게 깨닫는 건 없는 듯 합니다.
역시나 쉽지만은 않은 지식인것 같습니다.

부디 com 님께서 많은 이야기들을 포함한 훌륭한 교재를 하나 편찬해주셨으면 합니다.
나아가 튜닝에 관한 지식까지 아우를수 있는 그런 교재가 됐으면 합니다.
빠르면 빠를 수 록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미안합니다.
뭔 할말이 많았는지 넘 글이 길어지고 말았습니다.
아주 간만에 이제까지의 저의 답답한 마음을 조금이나 털어 놓게 되었습니다. 저의 부족한 사견을 너그러이 봐주시길 바랍니다. ^^
그럼, 20000





  

Comment '9'
  • gmland 2003.04.27 02:06 (*.79.171.41)
    기타 연주자들이 다 09님처럼 느끼면 연주에 많은 도움이 될텐데요...
  • com 2003.04.27 08:59 (*.190.147.154)
    09 님 ! 필자의 썰렁한 글에 답신을 달아 주셔서 부족한 글이 많이 분식(粉飾)되었습니다. 부족한 저의 생각에 동조해 주시니 힘이 솟습니다. 님의 권유대로 실천하기 위해 노력 하
  • com 2003.04.27 09:00 (*.190.147.154)
    겠습니다. 그리고 제가 지적한 튜닝 문제는 님이 말씀하신 것과는 좀 다른 문제인데 저의 설명 부족이라 여겨집니다. 님이 궁금해 하시는 튜닝 문제는 저보다 훨씬 고수이신 송형익교수에
  • com 2003.04.27 09:01 (*.190.147.154)
    게 부탁 말씀을 따로 드려서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제는 기타를 많이 사랑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실력은 애호가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작곡가입니다. 송형익교수는 독일에서 공
  • com 2003.04.27 09:02 (*.190.147.154)
    부하셨고 전 한국기타협회 회장이셨으며, 예고와 대학에서 강의하고 계신 한국의 대표적인 기타리스트 중의 한 분이십니다.
  • 2003.04.27 11:01 (*.219.74.216)
    대충 알겠습니다 송선생님이 책을 내시려나보군요
  • 09 2003.04.27 14:07 (*.178.72.40)
    예 고맙습니다. 송형익님의 글을 고대합니다.
  • 09 2003.04.27 14:11 (*.178.72.40)
    아 그리고 제가 com 님의 의도와는 다르게 해석한 부분이 있군요 ^^ 정말 개방현의 피치가 왜 미,라,레,솔,시,미 일까요? 4,3도인데....?
  • 음..... 2003.04.27 17:11 (*.205.164.246)
    한국을 대표한다?..음......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3 새로운길에 대한 두려움.... 2000.09.25 5316
612 새론 거물(?) 영자 2000.09.16 4576
611 새벽에 듣고 싶은 음악.... 1 지얼 2001.05.25 4317
610 새솔님께 질문! (연주에서 방향성에 대하여.) 차차 2002.10.29 4248
609 샤콘...느.... 3 채소 2001.05.22 4313
608 샤콘느 7 싸곤누 2001.05.25 4192
607 샤콘느 - 숨겨진 철학에 대하여 10 1000식 2005.02.16 8649
606 샤콘느 1004님 보셔요... 4 file amabile 2009.03.05 16041
605 샤콘느 편곡에 대해서. 11 1004 2009.10.15 13946
604 샤콘느..드디어 벽에 부딪치다... 으랏차차 2001.03.18 4604
603 샤콘느에 대하여... (배인경) : 출처 http://iklavier.pe.kr/ 6 고정석 2002.10.09 6323
602 샤콘느에 대한 고수님들의 의견이 듣고싶습니다. 왕초보 2000.11.15 4163
601 샤콘느의 세대(?)별 분류... 왕초보 2000.12.08 4164
600 서평 : 노래극의 연금술사(오해수 지음) 2 정천식 2013.08.25 16676
599 석굴암 화음 2000.08.20 5619
598 석달 전쯤 갈브레이스의 모습... 5 file 아이모레스 2004.09.13 6072
597 선율의 즉흥연주(Improvisation) 4 이브남 2006.11.26 9206
596 설마...Paul Galbraith가?? 딴따라~! 2001.04.03 4941
595 성악에 있어서의 목소리 분류 21 file 정천식 2003.12.27 6757
594 세고비아 & 망고레 41 지어 ㄹ 2004.03.17 9296
593 세고비아가 남긴 샤콘느의 4가지 녹음 10 file 정천식 2012.01.21 17827
592 세고비아가 사용한악기들.. 쉬운 영어에요 ^^ 딴따라~! 2001.04.03 6004
591 세고비아가 연주한 소르의 그랜드솔로. 고정석 2001.03.09 6301
590 세고비아의 20년대 음반 들어보니... 지영이 2000.10.10 6068
589 소르 연습곡 17번을 여러 연주자 별로 듣고....... 정슬기 2000.11.27 4390
588 소르---- 주옥같은 많은 명곡들이 자주 연주되기를 바라며. 7 고정석 2004.11.28 17857
587 소르는 발레나 오페라 곡을 많이 작곡했다던데.. 7 고전파 2004.11.27 5060
586 소르의 러시아의 회상에 관한 질문 파뿌리 2001.02.14 4153
585 소르의 연습곡 7번 3 산이아빠 2005.04.12 6463
584 소르의 환상곡 있자나여..그게 fantasie hongrois 인가여? 6 아따보이 2001.07.19 4426
583 손톱 다듬기.....이건화 2 2023.01.27 1793
582 쇼루(Choro)에 대하여 3 정천식 2003.12.02 8521
581 쇼아자씨... 왈츠... 14 이브남 2004.10.11 5558
580 쇼팽을 싫어하는 사람들의 모임......... 7 용접맨 2005.03.12 6090
579 쇼팽의 마주르카에 대하여 3 1000식 2005.03.12 8001
578 쇼팽의 백조의 노래 - 마주르카 OP. 68-4 4 1000식 2005.03.13 7474
577 수님... 드디어 바로에코 시디를 샀어요 2000.12.24 4299
576 수님이 극찬(?)을 하시는 콜롬비아 모음곡중 Porro가 뭐에요? 왕초보 2001.01.12 4166
575 순진하긴...돼지창시는 아닌디! 우측방장 2000.10.11 4273
574 술사 드리께요... 2000.10.29 4223
573 숲 속의 꿈 말이죠 7 인성교육 2001.08.21 4753
572 쉬미트의 바흐 10현기타 연주에 대한 질문이요. 셰인 2001.03.11 4414
571 슈만... 두사람의 척탄병... 2 이브남 2004.10.18 8888
570 스카를랏티... 그 아기자기함... 10 이브남 2004.10.15 6063
569 스케르초 1 형식론 2015.11.30 15667
568 스케일 연습은 언제나 내 생활의 일부 -레오니드 코간 5 채소 2001.05.08 5373
567 스케일 연습의 종류 - 알파님께 답글 13 gmland 2003.03.26 5907
566 스테판 락 악보어디서 구하나요? 기타광맨 2000.08.08 5025
565 스트라디바리 사운드의 비밀, 기후 탓?[잡지 월간객석에서 퍼옴] 9 김동선 2004.02.29 5998
564 스페인 각 지방의 음악과 문화(1) 1 file 1000식 2005.04.28 52591
563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1) 7 정천식 2004.03.10 6038
562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2) 1 정천식 2004.03.11 5665
561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3) 3 정천식 2004.03.13 5219
560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4) 정천식 2004.03.14 5406
559 스페인 르네상스 음악 한 곡, La Bomba!~ 4 이브남 2008.07.09 17933
558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선구자 - 솔레르 신부(1) 정천식 2004.02.11 5822
557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선구자 - 솔레르 신부(2) 정천식 2004.02.11 17207
556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선구자 - 솔레르 신부(3) 정천식 2004.02.11 5385
555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완성자, 파야(1) 2 정천식 2004.03.23 5785
554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완성자, 파야(2) 3 정천식 2004.03.26 5579
553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완성자, 파야(3) 2 정천식 2004.03.29 5976
552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완성자, 파야(4) 1 정천식 2004.04.02 6347
551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큰 별, 알베니스(1) 4 정천식 2004.02.24 5336
550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큰 별, 알베니스(2) 1 정천식 2004.02.25 5501
549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큰 별, 알베니스(3) 3 정천식 2004.02.26 5294
548 스페인 음악의 뿌리를 찾아서 정천식 2006.03.16 8826
547 스페인= 클래식기타? 플라멩코기타? 2 김영성 2002.07.22 4846
546 스페인과 알함브라...텔레비젼방송자료. 안또니오 2001.04.18 4570
545 시간여행 : 800년 전의 음악은 어땠을까요? 8 file 정천식 2003.12.28 5707
544 시들어가는 젊음을 위로해 줄 그런 클래식기타음악을 추천해주세요.... 명노창 2000.10.15 5210
543 신나는 리듬의 카나리오스!~ 12 이브남 2008.07.03 16629
542 신모씨의 연주자 평가(관리자 요청으로 제목 변경) 122 file 추적자 2018.01.28 17057
541 신현수님의 "악상해석과 표현의 기초"....넘 좋아요. 15 file 2005.12.31 8782
540 심리적 악센트? 9 ZiO 2006.01.22 6709
539 씨이...... 오모씨 2000.07.06 4940
538 아! 『기타 화성학』1 10 com 2003.04.26 7315
537 아! 갈브레쓰를 깜빡했습니다... 왕초보 2000.11.15 4061
536 아..맞아..가네샤님게 물어보면 된다. 2001.03.19 4955
535 아~~~ Jordi Savall!!! 10 일랴나 2002.04.26 4358
534 아~~~ 그거구낭... ^^; 신동훈 2000.12.18 4499
533 아고고.... 균형잡힌 바흐..? 2 2001.05.02 4465
532 아라님만 보세여~~~ 꼭이여~~ 다른사람은 절대 보면 안되여~ 기타랑 2001.03.03 4300
531 아란훼스나 아랑훼스는 어떨까요? 매니악 2000.12.11 4460
530 아람브라, 화성진행 및 프레이즈 분석과 프레이징 (1) 10 file gmland 2003.05.21 8585
529 아람브라, 화성진행 및 프레이즈 분석과 프레이징 (2) 10 gmland 2003.05.23 5625
528 아람브라, 화성진행 및 프레이징 (3) - 총론 끝 gmland 2003.05.26 5643
527 아랑훼즈 또는 아랑후에즈가 맞습니다. 문진성 2000.12.11 3987
526 아랑훼즈 오케스트라 음원이 필요합니다. 1 나비소리 2014.11.18 14144
525 아랑훼즈 협주곡 13 file 진성 2006.11.24 12791
524 아래 순정율과 평균율에 대한 짧은 이야기 16 최영규 2001.06.02 7333
523 아래 줄줄이 달린 글들을 읽고... 변소반장 2000.12.11 4017
522 아래..늑대님 그럼우리에게 손가락이 없다면... 명노창 2000.07.12 4722
521 아래글에 대한 오해풀기... 6 지얼 2001.05.23 4298
520 아마추어와 프로의 차이.... 그리고 넋두리.... 8 채소 2001.06.27 4959
519 아베마리아 3 file 이브남 2007.01.10 13108
518 아쉰대로 이삭의 연주를 들어보시구... 1 신동훈 2002.10.09 4414
517 아이렌다이즈.. 3 으랏차차 2001.05.24 4505
516 아이렌다이즈에 대해서... 3 으랏차차 2001.12.28 5234
515 아이참!!! 이를 어떻게 하죠? file 고은별 2000.09.16 4534
514 악기의 왕이 있다면? 1 채소 2001.08.11 4977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