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93.0.128) 조회 수 5628 댓글 4


서양음계는 많은 선법(旋法 ,mode)이 있다.

이중... 제법 사용되는 대표적인 모드를 꼽자면...
메이저 스케일의 다음 7가지 모드가 있다.

.
.
.







1. (아)이오니안 모드(Ionian mode)

2. 도리안 모드(Dorian mode)

3. 프리지안 모드(Phrygian mode)

4. 리디안 모드(Lydian mode)

5. 믹소리디안 모드(Mixolydian mode)

6. 아이올리안 모드(Aeolian mode)

7. 로크리안 모드(Lokrian mode)

.
.








여기서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했는데...



각 모드의 어원이...
고대 그리스 문명(또는 그와 인접한)의 지명들이라는 거다.

곰곰이 생각해보면...(또 누구 생각난다... ^^;)
그도 그럴것이 서양음계가 고대 그리스 음계조직에
그 기초를 한것이니 당연한거 아닌가? ㅡㅡ;





여하간!

이런 모드들과 지명사이에는 어떤
느낌과 특징이 있을거라 사료되는바!

고대의 지명들을 살펴보기로!

역시 어이없다는... ㅡ.○;

.
.




각 모드에 나오는 지명은 크게 두지역으로 나뉜다.

현재 그리스가 있는 발칸반도 지역과
터어키가 있는 소아시아(아나톨리아)반도이다.



전자에는 도리스(Doris), 로크리스(Lokris)...
후자에는 이오니아(Ionia), 아이올리스(Aeolis), 프리지아(Phrygia), 리디아(Lydia)로...

모두 지명, 지방, 또는 나라 이름들이다.



이중 도리스, 아이올리스, 이오니아는 그리스신화에서 그 기원을 찾을수 있다.

태고의 대홍수때 유일하게 살아남은 인간인 데우칼리온과 피라의
맏아들인 헬렌은 산의 요정 오르세이스와 결혼하여 도로스, 아이올로스,
크수토스 세 아들을 낳았는데...

이들이 각각 도리스인, 아이올리스인, 이오니아인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
.





원래 그리스의 북쪽에 살던 도리아인들은...

일리리아인(지금의 알바니아)들에 의해 밀려온 넘들로 그리스 중부의
도리스에 거점을 두고 본토에 있던 미케네인들을 멸망시키고 후에는
남쪽의 펠로폰네소스, 크레테섬 주변까지 죄다 장악했다. ㅡ.○;

졸지에 본토에 잘 살고 있던 이오니아, 아이올리스인들은
터어키 서쪽해안과 주변의 섬으로 쫓겨나 다시 자리를 잡았다.

현재 두나라의 문화적 유대가 서로 밀접한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



자기들보다 힘센 넘들한테 쫓겨난걸로 봐서...
도리아인들은 호전적이지는 않은듯 싶지만 딴넘들을 몰아내고
다시 자리를 잡았다니 언정도 힘이 있었던 넘들이 아닐까...



도리안 모드는 D를 토닉으로 하여 2,3음과 6,7음이 반음인 음계이다.





위의 D 도리안 모드는 dm6 (D,F,A,B)의 구조를 보인다.
즉... 도리안 모드는 장6도가 붙는 단조와 흡사하다.





아까 했던 얘기를 계속하면...

도리아인들에게 쫓겨난 넘들 중에 이오니아인들은
현재 터어키의 중서부 해안에, 아이올리스인들은 북서부 해안에
정착하여 각각 이오니아, 아이올리스 지방을 형성했다.

이들은 그리스의 타지역과는 달리 식민시에 대해 별반 신경을
쓰지 않은듯 하다. 상대적으로 유순한 사람들이라서? 음... ㅡㅡ;



이오니안 모드는 C를 토닉으로 하여 3,4음과 7,8음이 반음이고...






아이올리안 모드는 A를 토닉으로 2,3음과 5,6음이 반음인 음계로...





이 음계들은 우리에겐 상당히 익숙한 것들이다.

C 이오니안 모드는 C (C,E,G)로 장조와 같고
A 아이올리안 모드는 am (A,C,E)로 단조와 같다.

.
.



로크리스는 그리스 중부에 위치,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바라보고 있었다.
역사적으로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 않아 알려진건 그리 많지않다.



로크리안 모드는 B를 토닉으로 1,2음과 4,5음이 반음이다.





B 로크리안 모드는 Bdim (B,D,F)의 형태를 띠며
3화음이 감음정인 diminish 음계와 유사하다.

그래서인지 실제로 이 음계를 사용한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

역사적으로 메이저급이 아닌 동네라 그런것인지...

.
.










프리지아와 리디아는 그리스의 동맹국들은 아니다.
별개의 독립된 국가들인 것이다.



프리지아는 현재 터어키 중부에서 이라크 접경까지 걸쳐있었다.
BC 1500년경 유럽에서 인도 유럽어족의 프리지아인이 침입하여
선주민을 정복하고 프리지아왕국을 만들었다하며...

철기문명의 시초인 히타이트 제국이 있던 곳이기도 하다.

또한 "황금손"으로 유명한 "미다스왕"이 프리지아왕 중 한사람이었다.

후에 아시리아에 복속되었지만 프리지아어라는 자신들만의 언어를
사용한것으로 보아 상당한 문화를 이루고 살았을 것이다.



프리지안 모드는 E를 토닉으로 1,2음과 5,6음이 반음이다.





E 프리지안 모드는 em♭9 (E,G,B,F)와 같이
단2도가 붙는 단조와 비슷하다.




리디아는 터어키의 남서부에 위치, 프리지아의 서쪽에 붙어있었다.

BC7∼BC6세기엔 상당히 번영한 나라로 근처의 그리스 도시를
복속시켰을 뿐아니라 프리지아도 속국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페르시아의 공격을 받았을때...
크로이소스가 아테네의 델피신전에서 신탁을 받기도 했으며
결국 페르시아에 멸망 당하고 말았다. ㅡㅡ;



리디안 모드는 F를 토닉으로 4,5음과 7,8음이 반음이고





믹소리디안 모드는 G를 토닉으로 3,4음과 6,7음이 반음이다.





F 리디안 모드는 F#4 (F,A,C,B)로 증4도가 붙은 장조와...
G 믹소리디안 모드는 G7 (G,B,D,F)로 단7도가 붙은 장조와 유사하다.

.
.
.







플라톤은 연극에 사용될 음악에는

도리안 모드와 프리지안 모드가 가장 기품이 있어
이 두 음계의 사용을 권장하였다고 하며...


고대 그리스 음악에서는...

도리안, 이오니안, 프리지안, 리디안 음계를
선호했다고 한다.

.
.





음....



돌 던지지 말기! >.<



* 수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3-04-23 01:42)
Comment '4'
  • 무사시 2003.04.22 15:51 (*.49.101.34)
    돌말고 큰 박수던져드릴께여...^^ 궁금했던건데 동훈님이 이렇게 자세한 설명을...공부한답시고 기타안친지도 언 4달. 지금 저의 반쪽은 다른 여인네랑 사랑에 빠졌답니다..
  • 무사시 2003.04.22 15:52 (*.49.101.34)
    가끔물어보는 안부에 하염없는 슬픈곡조로 대답하는... 보고잡네요. 갑자기.. 왜 비가 추적추적오는지.. 올라면 확 오든지......
  • 지얼 2003.04.22 21:26 (*.222.193.77)
    돌던지기는요...오히려 꽃다발을 던져야져...좋은 정보여요.
  • gmland 2003.04.23 16:44 (*.222.211.221)
    연구 많이 하셨네요. 다음 작품 기대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3 J. S. BACH CHACONNE FROM PARTITA II, BWV 1004 - 제5부(참고문헌) 9 쩜쩜쩜 2003.09.02 7893
512 전체적으로는 공감합니다만 약간... 오로라 2003.09.02 4647
511 ★★★ 화음의 진행 27 file bluejay 2003.09.03 8620
510 [re] 나누어서 번역할 자원봉사 찾습니다. 7 gmland 2003.09.04 5232
509 Cuban Landscape with Rain verve 2003.09.04 5697
508 로드리고의 곡들좀 감상실에 올려주십시오... 2 손님 2003.09.06 5059
507 파가니니의 기타와 바이올린을 위한 대소나타[바이올린이 반주해주는] 좀 올려주세요. 1 메르츠 2003.09.07 8751
506 [re] ★★★ 조국을 사랑한 바리오스 망고레 ( 글 & 번역 gmland ) 완결판 ★★★ 2 2003.09.16 5730
505 공개질문입니다요~ 52 기타사랑 2003.09.19 7292
504 망고레에 대하여~ 23 file 2003.09.20 7059
503 "콤파냐 보칼레" 연주회 후기... 10 file eveNam 2003.10.02 6140
502 나의 연탄 이중주에 대한 거짓말 으니 2003.10.03 4942
501 Lecture of Jordi Savall... Early Music Today... 9 eveNam 2003.10.11 6152
500 sadbird 라는 곡.. 1 아따보이 2003.10.12 5932
499 연주에 대해서...("존 윌리암스 스펙트럼"관련)(어쩌면여^^) 1 2003.10.12 6741
498 La Guitarra California 2003 (후기) 7 bluejay 2003.10.28 7383
497 bluejay님 미국사라여? 3 2003.10.28 6751
496 Gila's lullaby 1 ansang 2003.10.31 9469
495 파크닝의 알함브라... 2 pepe 2003.11.01 6662
494 트레몰로에 관하여 18 트레몰로미친 삐꾸 2003.11.04 5944
493 완벽한 트레몰로란? J.W. 2003.11.04 5917
492 트레몰로 주법의 처리 7 gmland 2003.11.05 6757
491 클래식 기타의 "꽃" 트레몰로... 11 2003.11.05 10216
490 트레몰로에 대한 투정. 2 2003.11.09 6363
489 트레몰로에 대한 변증법적(?)인 고찰..........(지얼님글 퍼온글) 3 2003.11.09 6158
488 트레몰로의 교과서연주. 20 2003.11.09 6631
487 트레몰로~ 5 j.w 2003.11.10 5876
486 데이비드 러셀의 옛 내한공연에 대한 질문입니다.. 18 으니 2003.11.10 5581
485 비욘디와 에우로파 갈란테의 레코딩 모습... 비발디..."con molti strumenti" 8 eveNam 2003.11.11 5966
484 [re] 악기별 트레몰로 주법 gmland 2003.11.16 12301
483 밥할때 불의세기. 2 2003.11.16 7143
482 류트조곡 연주자소개.(사랑방님의 글) 2003.11.17 7186
481 한국 전통음악 좋은곡으로 추천해 주셔여~~^^ 19 2003.11.17 9362
480 황병기 가야금 작품집을 추천합니다. 6 고정석 2003.11.17 11718
479 유명연주자의 트레몰로감상후기(러쎌, 바루에코,윌리암스) 64 2003.11.18 6268
478 적어도 이 두곡 만큼은여... 2003.11.18 4947
477 바흐의 역행 카논 1 file 정천식 2003.11.19 8371
476 Bach의 푸가의 기법 12번에 대하여 7 file 정천식 2003.11.19 8019
475 John Dowland의 "What if I never speed"의 악보 1 file 정천식 2003.11.19 11475
474 [re] 당시엔 이런게 유행이었나봐요... ^^ 3 file eveNam 2003.11.19 5165
473 음악과 수학(1) - 음악의 엔트로피 33 file bluejay 2003.11.20 7497
472 도깨비불의 노래 4 정천식 2003.11.20 4843
471 혹시 Leonardo Balada의 Apuntes for Four Guitars 들어볼수 있을까요? 옥용수 2003.11.26 10654
470 피아졸라의 대표곡은? 5 정천식 2003.11.27 7898
469 [re] 피아졸라의 음악은 과연 탱고인가 ? 51 gmland 2003.11.28 7292
468 피아졸라의 밀롱가 3 정천식 2003.11.28 7290
467 피아졸라의 Oblivion(망각) 7 정천식 2003.11.29 7493
466 피아졸라 - 천사의 죽음(베니테스) 8 정천식 2003.11.30 9368
465 피아졸라 - 천사의 죽음(원곡) 2 정천식 2003.11.30 6977
464 The girl from Ipanema(오오하기 야스지) 1 정천식 2003.12.01 6475
463 쇼루(Choro)에 대하여 3 정천식 2003.12.02 8521
462 매력적인 쇼루 - 그대는 어디를 떠돌고 있나 1 정천식 2003.12.02 5527
461 깔레바로의 깜뽀 - 베니테스의 연주 6 정천식 2003.12.03 5208
460 깔레바로 - Tamboriles 1 정천식 2003.12.03 4806
459 Mikulka의 연주 - The toy soldiers 정천식 2003.12.07 7432
458 잘자요 3 권희경 2003.12.07 6733
457 12월 6일 도메니코니 연주회 후기 - I'm just a guitar player. 6 으니 2003.12.08 8492
456 페라이어... 이건 에러야~ -_-; 3 file eveNam 2003.12.08 8065
455 호르헤 모렐이 누구야? 9 정천식 2003.12.09 6814
454 [re] Vieaux의 연주로 들어보는... 3 file 옥용수 2003.12.09 6659
453 [까딸로니아 민요] Canco del Lladre 5 file 옥용수 2003.12.10 6381
452 [까딸로니아 민요] El Noi de la mare file 옥용수 2003.12.10 4999
451 [까딸로니아 민요] El testament d'Amelia (내용추가) 1 file 옥용수 2003.12.10 7847
450 [까딸로니아 민요] La filadora 2 file 옥용수 2003.12.10 6097
449 [까딸로니아 민요] La filla del marxant 4 file 옥용수 2003.12.10 7364
448 [까딸로니아 민요] La nit de Nadal file 옥용수 2003.12.10 5654
447 [까딸로니아 민요] L'hereu Riera file 옥용수 2003.12.10 5512
446 [까딸로니아 민요] El mestre file 옥용수 2003.12.10 5973
445 [까딸로니아 민요] La pastoreta 10 file 옥용수 2003.12.10 6496
444 Morel - Gershwin Medley 2 정천식 2003.12.10 5178
443 '상인의 딸' 가사입니다. 1 정천식 2003.12.10 5543
442 [까딸루냐 자장가] Mareta, mareta, no'm faces plorar 8 eveNam 2003.12.11 7276
441 Milan Tesar 의 "Aria" 1 file 옥용수 2003.12.12 7067
440 [re] Milan Tesar 의 "Aria" file 옥용수 2003.12.12 4713
439 [re] Milan Tesar 의 "Intermezzo" file 옥용수 2003.12.12 4997
438 [re] Milan Tesar 의 "Merry-go-round" 1 file 옥용수 2003.12.12 5251
437 베드로의 통곡 8 정천식 2003.12.17 5763
436 바이올린소나타 BWV1017의 첫악장.... eveNam 2003.12.17 7248
435 문제의 제기 4 정천식 2003.12.18 5730
434 박두별 선생을 아시나요? 3 정천식 2003.12.18 5412
433 [re] 바로크시대의 연주 스타일.... ^^ 5 eveNam 2003.12.19 7215
432 종소리의 여러가지 버전... file 궁금이 2003.12.19 5071
431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19 정천식 2003.12.19 5998
430 世네car.... 님....이 궁금해 하시는 것들... 17 eveNam 2003.12.19 5354
429 전설의 부활 - 위젠느 이자이의 연주 8 정천식 2003.12.19 5712
428 역사상 최초의 녹음 - Mary had a little lamb. 1 file 정천식 2003.12.20 8072
427 정천식님께... BWV1025에 대한 견해입니다... 19 eveNam 2003.12.21 7992
426 1920년대의 디지털 녹음????????? 5 정천식 2003.12.22 9000
425 반주자의 위상 2 정천식 2003.12.23 6686
424 키프니스의 매력적인 노래 정천식 2003.12.23 8610
423 박두별 선생님... 12 지나가는띨띨이 2003.12.23 7220
422 키프니스의 매력적인 노래(2) 정천식 2003.12.23 6088
421 인간이 낼 수 있는 가장 낮은 목소리는? 7 정천식 2003.12.25 8686
420 로마 교황청 : 이 곡을 외부로 유출시 파문에 처하노라 - Allegri의 Miserere 13 정천식 2003.12.25 5996
419 그라나도스의 "영원한 슬픔" 정천식 2003.12.26 4776
418 그라나도스의 또나디야 - La maja dolorosa No.1 정천식 2003.12.26 7333
417 가사 내용 및 배경 정천식 2003.12.26 5110
416 성악에 있어서의 목소리 분류 21 file 정천식 2003.12.27 6757
415 이탈리안 각설이 타령 9 정천식 2003.12.27 6172
414 조스캥 데프레의 미제레레... 헤레베헤... 17 eveNam 2003.12.27 6128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