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79.171.11) 조회 수 6227 댓글 6



  * POP 음악의 장르와 대중음악 略史

  서양의 대중음악을 Pop, Jazz, Rock, 등으로 다양하게 부릅니다. 어떻게 불리든, 별 의미는 없지만, 클래식에도 바로크 등의 장르가 있는 것처럼, 대중음악에도 장르가 있으므로, 이를 대중음악사적으로 크게 분류해 봅니다.

  Pop이라 함은, Popular Music의 준말로서, 바로 대중음악을 지칭하는 것이므로, 가장 광의로 볼 때는, 대중음악을 Pop이라 불러야 할 것입니다. 이는 또, 서양 대중음악과 우리 대중음악으로 나눌 수 있겠지요. 우리 가요, 민요, 대중가곡을 포함하는, 우리 대중음악도 Pop의 개념으로 봐야 맞겠지요. 특히 세계화 시대에서는 개념의 국제적 보편화가 중요할 것입니다.

  서양에는 Rock이 Pop의 주류를 이루다 보니, Rock을 Pop의 의미로 쓰기도 합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Rock은 Pop의 한 장르를 말하는 것이겠지요. 우리나라에서는 오래 전부터, Jazz를 Pop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데, 재즈 또한 팝의 한 장르일 뿐, 이를 서양 대중음악의 뜻으로 사용함은 잘못된 전통입니다. 차라리 Rock은 Pop의 의미로 쓸 수가 있습니다. Rhythm으로서의 Rock은, 거의 모든 대중음악에 쓰이고 있거나, 영향을 주고 있으니까요.

  서양 대중음악의 기원은 그리스, 로마의 음유시인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음유시인들은, 처음에는, 부족의 역사, 영웅들의 전설 등을, 변사처럼 이야기로 전하다가, 류트의 조상쯤 되는 현악기의 발달 및, 음계의 발전과 더불어, 약간의 음정이 추가 되고, 근대음악 이후로는 Folk 민요, Lied 가곡이라는 장르로 제각기 발전합니다.

  Folk는 지금도 전승되고 있고, 그 노랫말은, 이야기 조의 가사를 역시 즐겨 쓰는, Country 음악에 크게 영향을 주었으며, 음유시인과 포크의 전통은, 약간의 음정이 가미 된 이야기가, 빠르고 다양한 리듬을 타는, Rap, Lege(Legend) 음악의 형태로 아직도 남아 있습니다.

  남북전쟁 이전의 흑인노예들은, 아프리카에서 가져온 토속적 리듬과 Pentatonic 5음계적  선율에, 찬송 복음을 얹어서, 죽음에 의한 해방과 천당에서의 재회를 주제로 하여, 그들의 비애와 탄식을 외롭고 우울하게(Blue의 의미) 노래했습니다. 이를 Gospel 가스펄이라 하며, 지금도 그들의 요란한 축제 분위기 장례식의 기원이기도 합니다. 가스펄은 초기 Blues와는 동의어이지만, 그 후 백인음악과 결합하여 지금의 9음계 Blues 음악으로 발전되는 한편, 노예해방 이후에 북부의 도시 노동자가 되면서, 본격적으로, 음악적으로는 Classic 등의 백인음악과, 가사에 있어서는, 현실문제적, 세속적인 환희, 기쁨, 사랑 같은 주제와, 리듬에 있어서는, 아프리카의 토속리듬, 유럽의 무곡, 중남미의 변형된 무곡 등과 결합하여,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초기에는 Swing 리듬의 장르인 Jazz를 만듭니다.

  Blues와 Swing Jazz는 그 후, Country 음악에 서로 깊은 영향을 주어, 스윙의 변형인 Honky-Tonk(홍키통키)을 만들고, 이는 또 Rock의 시조가 됩니다.  특히 리듬에 있어서, Swing 스윙과 Honky Tonk 항키탕(홍키통키)은 둘 다, Shuffle 샤플이라는, 1박이 3/4박자 + 1/4박자로 이루어지고, 붕붕 뜨는 느낌을 갖고 있는 리듬으로 되어 있지만, Time 박자의 분할에 따른 Beat 박의 변형에 의한 리듬의 변화가 다릅니다.

  Honky Tonk 항키탕은 그 후, 샤플 대신에 Flat 편평한 리듬을 쓰는 Rock을 만들어 냅니다. Rock은 그 후, 무조음악, 전위음악의 영향을 받아 Psychedelic 사이키델릭, Hard Rock 하드락, Heavy Metal, Core 등의 장르를 만들고, 원조인 Blues와 Swing Jazz는, 거꾸로 Rock의 영향을 받아, Soul 소울, R & B(Rhythm & Blues) 풍의 음악을 탄생시킵니다. 이들은 종국적으로는, 어느 한 장르로 분류하기 어려운 Fusion Jazz, Fusion Rock 등의 장르도 만들게 됩니다.

  Country 칸츄리는 한편으로는, 클래식의 전통을 따라, Ballade 발라드, Standard 스탠다드 음악으로 가지를 치기도 하며, Rock도 한편으로는, 클래식을 깊이 수용하여, Art Rock 아트락으로 변형, 발전합니다. 이런 장르들은 Classical Rock, Classical Pop, Classical Music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gmland.

  
Comment '6'
  • 지얼 2003.04.15 11:16 (*.222.191.253)
    역시 비빔밥의 역사여요...
  • 지얼 2003.04.15 11:19 (*.222.191.253)
    밥과 생선회가 결합하여 ->회초밥.... 밥과 콩나물이 결합하여 ->콩나물밥 ....라면과 떡볶기가 만나서-->라볶기...
  • 지얼 2003.04.15 11:20 (*.222.191.253)
    그런데 <떡볶이>가 맞는 건가요 아님 <떡볶기>가 맞는건가요...참...공부안한지 십년도 넘으니까 국어도 모르겠어요...ㅠ..ㅠ
  • gmland 2003.04.15 11:31 (*.84.18.101)
    지얼님 안녕하셔요? 옛날에 올렸던 글인데, 없어져 버려서, 다시 간단하게 작성한 겁니다. 그때도 재밌게, 비빔밥으로 비유 하셨죠.
  • 지얼 2003.04.15 13:58 (*.222.191.253)
    ㄴㅔ~쥄랜드님도 안녕하셔요~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 아스 2003.04.16 00:44 (*.197.81.195)
    좋은 글 감사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3 악상기호 x는 무슨뜻이죠? 6 으랏차차 2002.03.28 8242
712 질문이여.. 1 모기 2002.03.27 4399
711 브람스의 주제와변주.... 1 호왈 2002.03.04 4494
710 나이트클럽 1960에서요... 2 배우고싶어요 2002.03.04 4551
709 [re] 클래식기타는 왜 일렉만 못할까? 이레네오 2002.02.13 4437
708 bouree`가 보뤼에요? 부레에요? 아니면 뭐라구 읽어요? (냉무) 2 으랏차차 2002.02.13 5266
707 [re] 한국에 사는것이... 2 2002.02.12 4306
706 미국에서 사는 것이... 3 셰인 2002.02.11 5325
705 [re] 채보 요령 12 지얼 2002.02.08 8971
704 채보가 뭐에여? ^^;;; 3 아따보이 2002.02.08 6004
703 음악의 편가르기.....클래식과 대중음악등등.....의미없음. 2002.02.01 5241
702 안트리오 얘기... 5 채소 2002.01.29 4254
701 일랴나님... BWV1027-1029에 대해서!!! 3 신동훈 2002.01.28 7840
700 진정한 대중음악은 죽고 쑈만남는이유...1 2 2002.01.27 4428
699 클래식기타는 왜 일렉만 못할까?(퍼온글) 7 2002.01.23 8034
698 원전연주의 의미 17 으랏차차 2002.01.23 4770
697 동훈님, 바흐 1027,28,29 설명 좀 5 일랴나 2002.01.22 5212
696 바하의 건반악기를 연주함에 있어... 2 신동훈 2002.01.17 5423
695 바흐 평균율 곡집과 연주에 대하여... 1 채소 2002.01.17 10796
694 음악사에 있어서 마지막 화가는 바흐다... 4 채소 2002.01.17 5254
693 결혼식같은 곳에서 축가로 연주해줄수 있는 곡 어떤게 있을까요? 11 화음 2002.01.13 5350
692 글렌굴드에디션의 바흐 골드베르그 바리에이션. 5 기타랑 2002.01.12 5324
691 차차님~~~ 한번 심호흡하시구... 7 신동훈 2002.01.08 5780
690 바흐의 영국조곡... 3 으랏차차 2002.01.07 4994
689 사라장과 환상적인 카르멘조곡연주 ....플라치도 도밍고 지휘. 2002.01.06 6144
688 아이렌다이즈에 대해서... 3 으랏차차 2001.12.28 5235
687 암기의 이해와 암보력 향상을 위한 제안 1 고정석 2001.12.17 5593
686 자유로운 영혼: 집시 8 고정석 2001.12.17 5785
685 플라멩꼬 : 피맺힌 한의 노래, 눈물의 기타 1 고정석 2001.12.17 6363
684 미니말리즘 좋아 하세요? 15 채소 2001.12.11 5079
683 원전연주 이야기(14)원전연주 단체-사발과 에스페리옹20...二 신동훈 2001.12.06 4733
682 원전연주 이야기(13)원전연주 단체-사발과 에스페리옹20...一 신동훈 2001.12.06 4477
681 원전연주 이야기(12)원전연주 단체-쉬뢰더와 카펠라 사바리아...Dos 신동훈 2001.12.04 6262
680 원전연주 이야기(11)원전연주 단체-쉬뢰더와 카펠라 사바리아...Uno 신동훈 2001.12.04 6068
679 원전연주 이야기(10)원전연주 단체-피노크와 잉글리쉬 콘써트...이 신동훈 2001.12.03 4542
678 원전연주 이야기(9)원전연주 단체-피노크와 잉글리쉬 콘써트...일 신동훈 2001.12.03 4507
677 고음악에 대한 좋은 싸이트를 소개합니다. 신정하 2001.11.29 4922
676 저..바흐의 류트곡에 대해서여.. 히로 2001.11.29 4754
675 바흐의 샤콘느를 듣고.. 1 채소 2001.11.24 4497
674 케키가 가장 졸껄여... ^^ 6 신동훈 2001.11.23 4805
673 작곡할때 쓰기 좋은 소프트웨어좀 알려주세요. 2 렐리우스 2001.11.23 5012
672 바흐 샤콘의 비밀 6 채소 2001.11.19 6083
671 1/f ???? ! 2 채소 2001.11.15 7609
670 원전연주 이야기(8)원전연주 단체-아르농쿠르와 콘첸투스 무지쿠스 빈...투 신동훈 2001.11.15 5206
669 원전연주 이야기(7)원전연주 단체-아르농쿠르와 콘첸투스 무지쿠스 빈...원 신동훈 2001.11.15 5010
668 외우는 법. 석재 2001.11.14 5176
667 [re] 악보가 안 외워질때... 채소 2001.11.13 5285
666 악보가 안 외워질때... 2 기타초보 2001.11.12 6203
665 기타녹음시 테크닉에 대하여... 2 햇새벽 2001.11.04 5618
664 기타악보로편곡할때 도움이 돼는 좋은책이 있으면좀 알려주세요. 7 렐리우스 2001.11.03 4854
663 원전연주 이야기(6)원전연주에 쓰이는 악기는...서이!!! 10 신동훈 2001.11.02 4973
662 원전연주 이야기(5)원전연주에 쓰이는 악기는...둘!! 2 신동훈 2001.11.02 5620
661 원전연주 이야기(4)원전연주에 쓰이는 악기는...하나! 3 신동훈 2001.11.02 4468
660 원전연주 이야기(3)바하음악에 있어서 원전연주의 의미... 3 신동훈 2001.11.01 4888
659 원전연주 이야기(2)요즘에 있어 원전연주가 필요항가... 13 신동훈 2001.11.01 4765
658 원전연주 이야기(1)원전연주란... 5 신동훈 2001.11.01 4803
657 우선 연주자와 음반부터... 3 신동훈 2001.10.31 4538
656 동훈님이 고민하는 것 같아서 도움을 드리고자.. 1 일랴나 2001.10.31 4669
655 동훈님 바흐 작품중 원전연주로 된 음반 추천바랍니다 1 일랴나 2001.10.31 5355
654 독일 바이얼린이스트 ........짐머만(짐메르만?) 1 2001.10.29 5129
653 궁금한게 있습니다. 양파 2001.10.25 4487
652 영화 여인의 향기 중에서... 5 木香 2001.10.23 4630
651 늦었지만.... 녹음 기재 질문에 대하여 1 셰인 2001.10.18 4761
650 헨델...하프시코드 조곡임당!!!(요건 쬐금 짧아여 ^^) 신동훈 2001.10.17 6014
649 바하... 플루우트 소나타여~~~(겁나게 긴글...한번 생각하구 보셔여 ^^;) 5 신동훈 2001.10.17 5690
648 동훈님 질문있슴다. 1 illiana 2001.10.16 4595
647 바비맥플린 이야기. 2 지얼 2001.10.05 5073
646 노래부르기... 1 채소 2001.10.05 4830
645 지휘자 이야기... 5 채소 2001.10.03 5217
644 [re] 음악듣기.... 반성... 1 지얼 2001.09.22 4831
643 [re]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곡들.... 1 willie 2001.09.18 5056
642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13 지얼 2001.09.08 10287
641 좀 늦었지만.... 기타랑 2001.09.07 4248
640 존윌리암스의 진짜 음색은? 7 지얼 2001.09.06 4712
639 콩쿨에 도전하시려는분만 보셔요... 22 2001.08.31 5211
638 음악듣기.... 반성... 3 채소 2001.08.26 4295
637 영화속 기타이야기 2 지얼 2001.08.26 6036
636 ☞ 음악?? 7 채소 2001.08.23 4998
635 음악?? 5 강민 2001.08.22 4466
634 ☞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곡들.... 2 셰인 2001.08.22 4714
633 ☞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곡들.... 5 서정실 2001.08.22 5094
632 ☞ 박자기... 써야되나요? 말아야되나요? 지얼 2001.08.22 4652
631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곡들.... 1 지얼 2001.08.22 4876
630 [질문]부에노스 아이레스조곡에 관하여 알고 싶습니다. 장재민 2001.08.22 4710
629 숲 속의 꿈 말이죠 7 인성교육 2001.08.21 4754
628 제 생각은... 3 행인 2001.08.20 4802
627 ☞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1 서정실 2001.08.17 4356
626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1 채소 2001.08.17 4997
625 ☞ 기타 연주에 있어서 초견능력.. 6 서정실 2001.08.17 6978
624 ☞ 기타 연주에 있어서 초견능력.. 채소 2001.08.17 5961
623 기타 연주에 있어서 초견능력.. 1 으랏차차 2001.08.17 5593
622 ☞ 곡 난이도의 몇가지 평가기준.. 으랏차차 2001.08.17 5451
621 이해되지 않는국수? 5 2001.08.16 4662
620 ☞ 가장 연주하기 어려운곡은? 지얼 2001.08.16 4593
619 가장 연주하기 어려운곡은? 1 채소 2001.08.16 6138
618 메트로놈보다는.... 3 untouchable 2001.08.15 5175
617 ☞ 제 생각에는... 3 木香 2001.08.13 4857
616 ☞ 박자기... 써야되나요? 말아야되나요? 문병준 2001.08.12 5566
615 박자기... 써야되나요? 말아야되나요? 6 채소 2001.08.12 6069
614 악기의 왕이 있다면? 1 채소 2001.08.11 4979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