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106.138.192) 조회 수 5685 댓글 24
gmland님께서 정리해 주신 내용은 기타 연주자들이
공부할때 운지법의 귀감이 될 내용이라고 하겠습니다.

그건 그렇고..
세비야의 그 부분은 위의 내용을 초월한 의미를
가진 부분이라 사료됩니다.(몇몇 유명한 현대곡의 운지에도 적용되지요)

고전기타를 연주하며 사소한 오른손 운지가 표현하는
미묘한 음향적 효과에 대한 음악적 의미를 여러분들과
같이 고민하며 공유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제가 가장 궁금한 것은,
pipi운지를 강요하셨던 그 분은 어떠한음악적 필연에 의하여
이 먼 바다 건너와서까지 그런 말씀을 하셨는지..
궁금할 따름입니다..
뭔가 제가 모르고 지나쳤던 중요한 음악적 모티브를 주실 것 같아요.
Comment '24'
  • gmland 2003.04.09 23:21 (*.148.40.144)
    pipi는 down-up stroke, imim은 up-up stroke이므로, feel이 완전히 다르다고 볼 수 있겠지요. 어떤 phrase는 down-up이라야 맛이 난다고
  • gmland 2003.04.09 23:24 (*.148.40.144)
    보는 연주자의 표현일 겁니다. Picking 주법에서도, 어떤 악구는 down-up stroke를 강요 당합니다. 특히 Hard-rock에서는, 리드미컬한 down-up이 중요할
  • gmland 2003.04.09 23:25 (*.148.40.144)
    때가 많지 않습니까? down-up stroke는 리듬을 살려야 할 경우에 강조되지요.
  • 아랑 2003.04.09 23:33 (*.106.138.240)
    리듬이라.. 과연 그러한 면이 있군요..
  • 아랑 2003.04.09 23:34 (*.106.138.240)
    약간 이해가 됩니다. 그 다음 문제는 과연 그러한 리듬감이 세비야의 그 부분에 필요하냔 문제겠죠.
  • 아랑 2003.04.09 23:35 (*.106.138.240)
    결국 곡 해석의 문제에 대한 gmland님의 원래 글로 환원되나요?..것참..
  • gmland 2003.04.09 23:40 (*.148.40.144)
    그 곡은 악보도, 음반도 없어서, 그 이유를 추정하지 못합니다만, 리듬 이외에도, 부드럽게 진행하거나, 종지하는 경우에도 쓰일 수 있겠지요.
  • 안타 2003.04.10 08:45 (*.193.82.85)
    이 부분의 형태에서 pipi 형태와 imim 형태는 [p]와 [i,m,a] 간에 생기는 음질의 차이에서 생기는 음향 때문인거 같습니다.
  • 안타 2003.04.10 08:48 (*.193.82.85)
    gmland 말씀처럼 리듬과도 직접적으로 관계있구요. p, i 의 조합에서 p는 강박리듬음(마디박이 아니라)에 i는 약박리듬음에 어울립니다.
  • 안타 2003.04.10 08:50 (*.193.82.85)
    i음이 p음에 약간 masking 되어 자연스럽게 리듬이 만들어집니다. i, m으로 연주할 경우 마스킹을 의도적으로 만들어야 하는데 쉽지 않죠.
  • 안타 2003.04.10 08:52 (*.193.82.85)
    하지만 im 조합은 속도만 충분히 나온다면 깔끔해서 괜찮죠. 손가락의 움직임이 pi 조합이 빠르고 좋을 때도 많은거 같습니다.
  • 안타 2003.04.10 08:58 (*.193.82.85)
    세빌라의 이 부분은 앞 까지 흘러온 부분과 음향 강한 대비를 강하게 주기 위해 p와 i 을 사용해 했을 가능성이..
  • 아랑 2003.04.10 09:00 (*.106.138.41)
    근데 그 부분이 크레센도란 말입니다..
  • 안타 2003.04.10 09:03 (*.193.82.85)
    강한 p의 음과 p에 약간의 마스킹이 일어난 i 의 전체적인 음향은 다른 손가락 조합(ima)에 비해 특히 베이스 선에서 대조적이고 독특한 느낌을 줍니다.
  • 안타 2003.04.10 09:06 (*.193.82.85)
    이 경우 크레센도의 강도는 주로 p 손가락이 주로 담당.. 물론 i도 그 역할은 하겠지만요.. p에 비중을 둔 조합이 .. 아닐까요..
  • 안타 2003.04.10 09:08 (*.193.82.85)
    im 조합과 pi의 조합 음을 파형 분석해 보면 서로 조금 다르게 나타나네요. 음향이 큰 문제고.. 둘째가 움직임의 용이성이 아닐지..
  • 안타 2003.04.10 09:12 (*.193.82.85)
    p,i 상호간의 손가락 움직임에서 자연스럽게 생기는 음 소거 현상이 i, m 보다 조금 길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 안타 2003.04.10 09:18 (*.193.82.85)
    마스킹과 음소거 현상에서 생기는 그리고 p의 강한 콘토롤의 용이성에서 생기는 음향 ! 제가 생각하는 건 이정도 입니다.
  • 지나가는얼빵 2003.04.10 22:54 (*.237.118.220)
    우....너무 심오합니다....존경...(__ __);;;
  • 아랑 2003.04.11 00:09 (*.106.138.115)
    최후의 화두입니다. 당연히 pi와 im의 음질차이가 나지 않도록 하는것이 연주자의 자세 아닐까요?
  • 안타 2003.04.11 09:13 (*.193.82.96)
    고음쪽에서 [빠른 im 스케일]에서 pi를 사용하면 확실히 im 같은 맛은 안나겠죠. 반대로 그런 이유가 아닐까요?
  • 안타 2003.04.11 09:14 (*.193.82.96)
    어! 아랑님 글이 지워져 버렸네요.
  • 안타 2003.04.11 09:17 (*.193.82.96)
    훈련을 목적으로 하는게 아니라면, 분명한 이유가 있고 그걸 위해 보다 쉽게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운지가 있다면 선택하는게..좋지 않을까요?
  • 안타 2003.04.11 09:18 (*.193.82.96)
    기본적으로 모든 손가락 탄현의 동질성을 추구하고 그걸 바탕으로 변화를 추구하는게 보다 음악적이라 생각해요. 저도 이만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13 [re] 맞아요. 지금 재미없으면 영원히 재미없을 확률이 높지요. 2 gmland 2003.05.13 4616
812 [re] [질문] 난해한 현대음악을 어떻게 들어야 할까요? 2 아랑 2003.05.13 5070
811 지금 재미없는 현대음악은 영원히 재미없을것이다. 8 2003.05.12 5242
810 [질문] 난해한 현대음악을 어떻게 들어야 할까요? 13 익명 2003.05.12 4659
809 유구음계와 조선 전통음계의 비교 - 나운영 선생의 이론 소개 file gmland 2003.05.07 9018
808 . gmland 2003.04.30 5374
807 . 정천식 2003.04.28 5646
806 제생각엔... 8 seneka 2003.04.28 4407
805 고대 그리스의 테트라코드와 음계... 2 신동훈 2003.04.28 7128
804 [re] 아! 『기타 화성학』1 9 09 2003.04.26 5361
803 아! 『기타 화성학』1 10 com 2003.04.26 7280
802 방랑화음 Wandering chords file gmland 2003.04.24 5892
801 [re] 연주와 나이... 2003.04.24 4741
800 [re] 연주와 나이... 어려운 문제네요? 1 gmland 2003.04.23 4632
799 연주와 나이 7 niceplace 2003.04.23 5257
798 고대지명과 음계에 관한 단상... 7 신동훈 2003.04.22 10632
797 고대지명과 음계에 관한 단상... 4 신동훈 2003.04.22 5586
796 POP 음악의 장르와 대중음악 略史 6 gmland 2003.04.15 6184
795 우리가 [크다] 라고 말하는 것들 !! 15 com 2003.04.11 5769
794 바로크적인해석이란어떤것인가 궁금하네요. 3 hesed 2003.04.11 4817
793 Dm 관계조 Scale 연습과 Chaconne (4) 1 file gmland 2003.04.10 7823
» [re] 운지에 대한 내 생각은 이러합니다. 24 아랑 2003.04.09 5685
791 운지에 대한 내 생각은 이러합니다. gmland 2003.04.09 4422
790 원로 윤형근 화백의 예술 이야기. 3 아랑 2003.04.09 5404
789 4월 4일, 5일 양일간 야나첵 현악사중주단 연주회 후기 2 으니 2003.04.07 4670
788 기타와 음악요법 chobo 2003.04.05 4833
787 D 단조 Scale 연습과 Chaconne (3) file gmland 2003.04.04 5532
786 D 단조 Scale 연습과 Chaconne (2) 3 file gmland 2003.04.03 6574
785 D 단조 Scale 연습과 Chaconne (1) 9 file gmland 2003.04.03 8519
784 동경 국제콩쿨 요강 입니다. 신인근 2003.04.03 4493
783 원음과 사이음에 대하여 com 2003.03.30 6398
782 7화음 풀어쓰기 스케일 연습 - 예제 9 gmland 2003.03.27 6366
781 [re] 3화음 풀어쓰기 스케일 연습 - 예제 gmland 2003.03.26 5349
780 팻 매시니...........첨으로 그의 음반을 듣다. 19 2003.03.26 6386
779 앙헬 로메로의 샤콘느 2 orpheous 2003.03.26 4856
778 질문의 의도는... 알파 2003.03.26 4271
777 스케일 연습의 종류 - 알파님께 답글 13 gmland 2003.03.26 5873
776 부탁 한가지 1 알파 2003.03.26 4303
775 연주에 있어서, 고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 4 gmland 2003.03.25 5005
774 바람직한 연주자가 되려면 8 gmland 2003.03.24 5886
773 Imagine 7 gmland 2003.03.24 4841
772 [re] 어떤분들에겐 클래식음악하는분들이 어떻게 보일까? 7 지나다가 2003.03.21 4410
771 어떤분들에겐 클래식음악하는분들이 어떻게 보일까? 5 2003.03.19 5359
770 [re] 비발디를 듣다...! (차차님 보세요 ^^) 3 신동훈 2002.11.02 7417
769 비발디를 듣다...! 2 차차 2002.10.30 4425
768 파크닝 재발견... 11 차차 2002.10.30 5493
767 [re] 새솔님께 질문!(답변입니다.) 11 file 새솔 2002.10.29 6228
766 새솔님께 질문! (연주에서 방향성에 대하여.) 차차 2002.10.29 4217
765 윌리엄 크리스티의 베를린필 데뷔연주! 1 고충진 2002.10.24 4219
764 플라멩코 이야기6 김영성 2002.10.24 6437
763 플라멩코 이야기 5 1 김영성 2002.10.23 5086
762 작품번호에 관하여..(초보분들을위해서) 3 컨추리 2002.10.21 5326
761 빌라로보스의 초로에 대해서 알려주세여... 2 알수없는 2002.10.13 4873
760 피아졸라 겨울은 예상대로 바루에코 자신의 편곡이라고 합니다 1 으니 2002.10.11 6248
759 샤콘느에 대하여... (배인경) : 출처 http://iklavier.pe.kr/ 6 고정석 2002.10.09 6284
758 아쉰대로 이삭의 연주를 들어보시구... 1 신동훈 2002.10.09 4373
757 [re] 호기심 killed 으니 - 바루에코의 겨울 연주는 누구의 편곡? 2 으니 2002.10.09 4849
756 뒤늦은 연주회 후기 - 바루에코 2002/9/8 13 으니 2002.09.27 4529
755 윤소영............바이올리니스트. 5 2002.09.26 6453
754 [re] 레이프 오베 안스네스, 디스코그라피 으니 2002.09.21 4356
753 레이프 오베 안스네스, 그의 울림이 내게로 전해져왔다 으니 2002.09.21 4535
752 랑그와 빠롤...........타인의 취향. 4 2002.09.18 4666
751 [re] (고클에서 펀글) 랑그와 빠롤이라... 글쓴이 표문송 (dalnorae) 고충진 2002.09.18 7698
750 랑그와 빠롤로 이해해본 음악! (수정) 14 고충진 2002.09.17 6855
749 윈도XP를 위한 앙코르 아직 안 나왔나요?? 4 병욱이 2002.08.10 4328
748 플라멩코 이야기 4 김영성 2002.08.05 5333
747 Francis Kleynjans와 brilliant guitarists알려주세요. 2 wan 2002.08.02 5738
746 플라멩코 이야기 3 5 김영성 2002.07.25 5763
745 플라멩코 이야기 2 김영성 2002.07.24 5016
744 플라멩코 이야기 1 김영성 2002.07.23 5827
743 스페인= 클래식기타? 플라멩코기타? 2 김영성 2002.07.22 4805
742 다이기무라의 바덴재즈를 듣고...(추가) 12 으랏차차 2002.07.06 4934
741 쳄발로에 바쳐질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찬사..!!! ***** 1 으랏차차 2002.07.05 4571
740 쳄발로, 사방에 별이 촘촘히 박힌 까만 밤하늘... 1 신동훈 2002.07.05 4716
739 [눈으로듣는음악이야기] 쳄발로, 사방에 별 으니 2002.07.05 4559
738 William Ackerman 아시는분 3 jj 2002.06.24 22480
737 이번 논문에대한 자평과 감사의 글.. 2 으랏차차 2002.06.12 4841
736 바하와 건축 (도움글 조금 더)에 대한 도움글 더... ^^ 신동훈 2002.06.11 5118
735 [re] [질문]바하와 건축 (도움글 조금 더) 으니 2002.06.11 4351
734 [re] [질문]바하와 건축 (뒷북이 아니길) 2 으니 2002.06.11 4409
733 [re] [질문]바하와 건축 채소 2002.06.08 4242
732 [re] [질문]바하와 건축 1 file 신동훈 2002.06.08 4710
731 [질문]바하와 건축 3 으랏차차 2002.06.06 4818
730 [re]Milonga Del Angel과 옥타브하모닉스 1 nitsuga 2002.05.24 6664
729 덧붙여... 단순한걸루 보면... 6 신동훈 2002.05.24 4840
728 반박글 절대 아님. 9 지나가는얼빵 2002.05.24 4993
727 Milonga Del Angel (A.Piazzolla) orpheous 2002.05.23 6213
726 senza basso, JS Bach 2 채소 2002.05.23 5449
725 바하의 실수... 글구 울나라 음악 8 신동훈 2002.05.22 4759
724 으니 2002.05.20 4421
723 카바티나 7 orpheous 2002.05.02 4571
722 아~~~ Jordi Savall!!! 10 일랴나 2002.04.26 4306
721 트레몰로에 대한 변증법적이 고찰........지얼님의 글을 퍼왔습니다. 8 2002.04.16 5939
720 음... 1045번... ㅡㅡ+ 5 신동훈 2002.04.12 4585
719 연주에 관한 몇가지 단상들.......(과객님의 글을 퍼왔습니다.) 2002.04.10 4258
718 지기스발트 쿠이겐 VS 라인하르트 괴벨 2 lovebach 2002.04.05 6610
717 바흐의 주요 건반음악 작폼 음반목록 입니다~~~~ 1 lovebach 2002.04.05 33318
716 바흐작품목록 2 6 lovebach 2002.04.03 14472
715 바흐작품목록 입니다~~ 한번 보세요~~~~ ^^ 1 1 lovebach 2002.04.03 7499
714 음... 사라진 바하의 협주곡들... ㅡㅡ; 9 신동훈 2002.03.30 4927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