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114.22.66) 조회 수 5360 댓글 3
에전에 제가 궁금해서 찾아본걸 정리해봤습니다.
틀린부분 지적해주세요..전 아직 새내기라~

  작품번호는 크게 2개로 나눌수 있습니다. 장르에 따른 작품번호와
작곡자가 작곡한 것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오퍼스 (Opus, op.)로 구분됩니다.
예를들면 Beethoven Symphony No.5 op.67 이라고하면 베토벤에 교향곡(Symphony)
중에서 5번째고 베토벤이 67번째로 작곡한 곡이라는걸 나타내는거죠.
No.를 대신 Nr로 쓴게 있는데요 이건 독일어입니다. 그리고 오퍼스는 라틴어이며
오퍼스 인 무지카(Opusin Musica)라는 라틴어에서 따온 말입니다. 뜻은 '음악작품'

  근데 이게 예외인 작곡가들이 있습니다.

  모짜르트는 생전에 무척 가난했다고 합니다. 겨울에 땔감이없어서 악보를 땔감으로
썼을정도라고하니까요.. 그가 죽은후에 쾨헬(Kochel  - o위에점 2개찍어야하는데;;)
이라는 사람이 모짜르트에 작품등를 정리했습니다. 그래서 모짜르트에 작품엔
K라는게 붙죠 예를들면 레퀴엠 d단조 K.626 이렇게요.. 때로는
KV.(Ko:chel Verzeichnis)이렇게 붙을때도있는데요 쾨헬작품목록 이런뜻이랍니다.
가끔 K.Anh.가 있는 수가 있는데, 이것은 Anhang의 약자로부록이란 뜻입니다.  
새로운 연구에 따른 증보로 번호를 다시 붙인 경우 이런 경우가 많습니다.

  음악의 아버지 바하는 살아있을때와 사후에도 얼마간은 그냥 당대한 유명한 오르간
연주자, 교육자 정도로 알려져있었습니다. 그러나 멘델스존이 마태수난곡 악보를 발견
하고 여기서 바하에 천재성을 본후 전 유럽을 돌아다니며 바하에 악보들을 모았습니다.
이게 발전대여 바하협회가 되었습니다. 잡설은 그만하고
1950년, 라이프치히에서 불프강 슈마이더라는 분이
바흐의 전작품의 목록집을 작성하여 발표하였는데요...
슈마이더는 각각의 곡들을 BWV (Bach Werke Verzeichnis)라고 이름짓고
구분을하였습니다. 예를 들면 '바하 환상곡과 푸가 사단조  BWV.542' 이렇게요
BWV 뜻은 바하 작품 목록.. 근데 한가진 특이한건 BWV는 순서대로
구분한것이 아닌 장르별로 구분한것입니다.
그래서 BWV는 다음과 같은 숨은 뜻이 있습니다.
BWV 1 부터 BWV 224 까지 : 칸타타
BWV 225 부터 BWV 231 까지 : 모텟
BWV 232 부터 BWV 243 까지 : 미사, 마니피카트
BWV 244 부터 BWV 249 까지 : 수난곡, 오라토리오
BWV 250 부터 BWV 438 까지 : 4성 코랄
BWV 439 부터BWV 524 까지 : 가곡과 아리아
BWV 525 부터 BWV 771 까지 : 오르간곡
BWV 772 부터 BWV 994 까지 : 클라비아곡
BWV 995 부터 BWV 1000 까지 : 류트곡
BWV 1001 부터 BWV 1040 까지 : 실내악곡
BWV 1041 부터 BWV 1065 까지 : 협주곡
BWV 1066 부터 BWV 1071 까지 : 관현악조곡, 서곡
BWV 1072 부터 BWV 1078 까지 : 카논    
BWV 1079 부터 BWV 1080 까지 : '음악의헌정', '푸가의 기법'
아 그리고 때론 BWV대신 S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은 바하 목록집을 작성한
슈마이더(Wolfgang Schmieder)에 약자입니다.

교향곡에 아버지 하이든은요 H.라는 번호를 씁니다. Anthony van Hoboken이라는
하이든 연구자가 정리를 한 번호를 쓰고있습니다. 호보켄이라고 읽더군요
독특한점은 에를 들어 H.I-101 이라는 작품이 있다면 여기서 I는 교향곡을나타내고
101은 교향곡에 작곡된 순서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건 하이든 교향곡 101번 시계 라는걸 알수 있죠

비발디는 RV라는 번호를 씁니다.  비발디의 작품을 피터리용(peter ryom)이 목록을 붙였는데
여기에서 리용번호(Ryom Verzeichnis)가 사용된거죠

슈베르트는 D(도히치)라는 번호를 쓰는데요 이것도 역시 슈베르트 연구가인
도히치(Otto Erich Deutsch)가 지정한 번호를 쓰는거죠. 도히치에(Deutsch)에약자.

  리스트는 S(설)라는 번호를 쓰는데요 이것도 험프리 설(Humphrey Searle)이라는 음악학자가
리스트의 곡에 작품번호를 부여 했을때 사용한 기호로 설(Searle)에 약자입니다.

  스칼랏티는 소나타를 무지막지하게 많이 썼죠. 555개나~~ 스칼랏티 작품번호는 크게 2가지로
구분돼는대요 K.(또는kk.)와 L입니다.
롱고라는 사람이 연구를 하여 소나타 L.238 모 이런식으로 붙인거죠. 역시 자기이름 롱고에
약자로 읽을땐 롱고라고 읽습니다.
K는 커크패트릭이 소나타들을 조에 따라서 새로 분류한  번호입니다. 요새는 L번호는 안쓰고요
커트패트릭이 새로 붙인 K번호를 쓰고있습니다. 음반도 전부 K번호를 써서나오고요.

그외에 바르토크 Sz를 쓰는데 이건 정확히 모르겠고요 헝가리 사람이름이라내요
북스테후데 같은 경우 BuxWV를 쓰는경우가 있는데
이경우는 바흐와 같은(Buxtehude Werke Verzeichnis) 랍니다.



Comment '3'
  • 신동훈 2002.10.21 19:33 (*.76.193.218)
    헨델은 HWV(Handel Werke Verzeichnis)를 사용하는군요 ^^
  • 그렇다면 2002.10.22 12:54 (*.58.59.72)
    WoO는 뭐게요?^^
  • 이거 맞나요? 2002.10.22 15:57 (*.241.146.5)
    WoO는 Werke ohne OpusZahl의 약자, 작품번호가 없는 작품을 나타내는데 사용
?

  1. gmland 님께...

    Date2003.05.13 By아랑 Views6073
    Read More
  2. 지금 재미없는 현대음악은 영원히 재미없을것이다.

    Date2003.05.12 By Views5276
    Read More
  3. [re] 화성학은 바하요, 바하는 화성학일 겁니다.

    Date2003.05.13 Bygmland Views6497
    Read More
  4. [re] 맞아요. 지금 재미없으면 영원히 재미없을 확률이 높지요.

    Date2003.05.13 Bygmland Views4658
    Read More
  5. 유구음계와 조선 전통음계의 비교 - 나운영 선생의 이론 소개

    Date2003.05.07 Bygmland Views9069
    Read More
  6. .

    Date2003.04.28 By정천식 Views5677
    Read More
  7. .

    Date2003.04.30 Bygmland Views5405
    Read More
  8. 고대 그리스의 테트라코드와 음계...

    Date2003.04.28 By신동훈 Views7163
    Read More
  9. 고대지명과 음계에 관한 단상...

    Date2003.04.22 By신동훈 Views10687
    Read More
  10. 아! 『기타 화성학』1

    Date2003.04.26 Bycom Views7316
    Read More
  11. 제생각엔...

    Date2003.04.28 Byseneka Views4466
    Read More
  12. [re] 아! 『기타 화성학』1

    Date2003.04.26 By09 Views5395
    Read More
  13. 방랑화음 Wandering chords

    Date2003.04.24 Bygmland Views5937
    Read More
  14. 연주와 나이

    Date2003.04.23 Byniceplace Views5307
    Read More
  15. [re] 연주와 나이... 어려운 문제네요?

    Date2003.04.23 Bygmland Views4666
    Read More
  16. [re] 연주와 나이...

    Date2003.04.24 By Views4779
    Read More
  17. 고대지명과 음계에 관한 단상...

    Date2003.04.22 By신동훈 Views5628
    Read More
  18. POP 음악의 장르와 대중음악 略史

    Date2003.04.15 Bygmland Views6227
    Read More
  19. 우리가 [크다] 라고 말하는 것들 !!

    Date2003.04.11 Bycom Views5825
    Read More
  20. 바로크적인해석이란어떤것인가 궁금하네요.

    Date2003.04.11 Byhesed Views4853
    Read More
  21. Dm 관계조 Scale 연습과 Chaconne (4)

    Date2003.04.10 Bygmland Views7878
    Read More
  22. 운지에 대한 내 생각은 이러합니다.

    Date2003.04.09 Bygmland Views4455
    Read More
  23. [re] 운지에 대한 내 생각은 이러합니다.

    Date2003.04.09 By아랑 Views5729
    Read More
  24. 원로 윤형근 화백의 예술 이야기.

    Date2003.04.09 By아랑 Views5459
    Read More
  25. 4월 4일, 5일 양일간 야나첵 현악사중주단 연주회 후기

    Date2003.04.07 By으니 Views4711
    Read More
  26. 기타와 음악요법

    Date2003.04.05 Bychobo Views4874
    Read More
  27. 동경 국제콩쿨 요강 입니다.

    Date2003.04.03 By신인근 Views4533
    Read More
  28. D 단조 Scale 연습과 Chaconne (3)

    Date2003.04.04 Bygmland Views5579
    Read More
  29. D 단조 Scale 연습과 Chaconne (2)

    Date2003.04.03 Bygmland Views6618
    Read More
  30. D 단조 Scale 연습과 Chaconne (1)

    Date2003.04.03 Bygmland Views8562
    Read More
  31. 원음과 사이음에 대하여

    Date2003.03.30 Bycom Views6436
    Read More
  32. 7화음 풀어쓰기 스케일 연습 - 예제

    Date2003.03.27 Bygmland Views6428
    Read More
  33. 팻 매시니...........첨으로 그의 음반을 듣다.

    Date2003.03.26 By Views6433
    Read More
  34. 앙헬 로메로의 샤콘느

    Date2003.03.26 Byorpheous Views4892
    Read More
  35. 스케일 연습의 종류 - 알파님께 답글

    Date2003.03.26 Bygmland Views5910
    Read More
  36. 질문의 의도는...

    Date2003.03.26 By알파 Views4304
    Read More
  37. [re] 3화음 풀어쓰기 스케일 연습 - 예제

    Date2003.03.26 Bygmland Views5386
    Read More
  38. 연주에 있어서, 고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

    Date2003.03.25 Bygmland Views5042
    Read More
  39. 바람직한 연주자가 되려면

    Date2003.03.24 Bygmland Views5926
    Read More
  40. 부탁 한가지

    Date2003.03.26 By알파 Views4333
    Read More
  41. Imagine

    Date2003.03.24 Bygmland Views4880
    Read More
  42. 어떤분들에겐 클래식음악하는분들이 어떻게 보일까?

    Date2003.03.19 By Views5393
    Read More
  43. [re] 어떤분들에겐 클래식음악하는분들이 어떻게 보일까?

    Date2003.03.21 By지나다가 Views4440
    Read More
  44. 비발디를 듣다...!

    Date2002.10.30 By차차 Views4460
    Read More
  45. [re] 비발디를 듣다...! (차차님 보세요 ^^)

    Date2002.11.02 By신동훈 Views7454
    Read More
  46. 파크닝 재발견...

    Date2002.10.30 By차차 Views5540
    Read More
  47. 새솔님께 질문! (연주에서 방향성에 대하여.)

    Date2002.10.29 By차차 Views4249
    Read More
  48. [re] 새솔님께 질문!(답변입니다.)

    Date2002.10.29 By새솔 Views6267
    Read More
  49. 윌리엄 크리스티의 베를린필 데뷔연주!

    Date2002.10.24 By고충진 Views4250
    Read More
  50. 플라멩코 이야기6

    Date2002.10.24 By김영성 Views6475
    Read More
  51. 플라멩코 이야기 5

    Date2002.10.23 By김영성 Views5124
    Read More
  52. 작품번호에 관하여..(초보분들을위해서)

    Date2002.10.21 By컨추리 Views5360
    Read More
  53. 빌라로보스의 초로에 대해서 알려주세여...

    Date2002.10.13 By알수없는 Views4907
    Read More
  54. 샤콘느에 대하여... (배인경) : 출처 http://iklavier.pe.kr/

    Date2002.10.09 By고정석 Views6324
    Read More
  55. 뒤늦은 연주회 후기 - 바루에코 2002/9/8

    Date2002.09.27 By으니 Views4561
    Read More
  56. [re] 호기심 killed 으니 - 바루에코의 겨울 연주는 누구의 편곡?

    Date2002.10.09 By으니 Views4888
    Read More
  57. 피아졸라 겨울은 예상대로 바루에코 자신의 편곡이라고 합니다

    Date2002.10.11 By으니 Views6300
    Read More
  58. 아쉰대로 이삭의 연주를 들어보시구...

    Date2002.10.09 By신동훈 Views4416
    Read More
  59. 윤소영............바이올리니스트.

    Date2002.09.26 By Views6497
    Read More
  60. 레이프 오베 안스네스, 그의 울림이 내게로 전해져왔다

    Date2002.09.21 By으니 Views4579
    Read More
  61. [re] 레이프 오베 안스네스, 디스코그라피

    Date2002.09.21 By으니 Views4397
    Read More
  62. 랑그와 빠롤로 이해해본 음악! (수정)

    Date2002.09.17 By고충진 Views6891
    Read More
  63. 랑그와 빠롤...........타인의 취향.

    Date2002.09.18 By Views4699
    Read More
  64. [re] (고클에서 펀글) 랑그와 빠롤이라... 글쓴이 표문송 (dalnorae)

    Date2002.09.18 By고충진 Views7738
    Read More
  65. 윈도XP를 위한 앙코르 아직 안 나왔나요??

    Date2002.08.10 By병욱이 Views4368
    Read More
  66. 플라멩코 이야기 4

    Date2002.08.05 By김영성 Views5378
    Read More
  67. Francis Kleynjans와 brilliant guitarists알려주세요.

    Date2002.08.02 Bywan Views5780
    Read More
  68. 플라멩코 이야기 3

    Date2002.07.25 By김영성 Views5810
    Read More
  69. 플라멩코 이야기 2

    Date2002.07.24 By김영성 Views5067
    Read More
  70. 플라멩코 이야기 1

    Date2002.07.23 By김영성 Views5872
    Read More
  71. 스페인= 클래식기타? 플라멩코기타?

    Date2002.07.22 By김영성 Views4847
    Read More
  72. 다이기무라의 바덴재즈를 듣고...(추가)

    Date2002.07.06 By으랏차차 Views4977
    Read More
  73. [눈으로듣는음악이야기] 쳄발로, 사방에 별

    Date2002.07.05 By으니 Views4602
    Read More
  74. 쳄발로에 바쳐질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찬사..!!! *****

    Date2002.07.05 By으랏차차 Views4612
    Read More
  75. 쳄발로, 사방에 별이 촘촘히 박힌 까만 밤하늘...

    Date2002.07.05 By신동훈 Views4765
    Read More
  76. William Ackerman 아시는분

    Date2002.06.24 Byjj Views22534
    Read More
  77. 이번 논문에대한 자평과 감사의 글..

    Date2002.06.12 By으랏차차 Views4897
    Read More
  78. [질문]바하와 건축

    Date2002.06.06 By으랏차차 Views4864
    Read More
  79. [re] [질문]바하와 건축 (뒷북이 아니길)

    Date2002.06.11 By으니 Views4451
    Read More
  80. [re] [질문]바하와 건축 (도움글 조금 더)

    Date2002.06.11 By으니 Views4390
    Read More
  81. 바하와 건축 (도움글 조금 더)에 대한 도움글 더... ^^

    Date2002.06.11 By신동훈 Views5159
    Read More
  82. [re] [질문]바하와 건축

    Date2002.06.08 By채소 Views4294
    Read More
  83. [re] [질문]바하와 건축

    Date2002.06.08 By신동훈 Views4755
    Read More
  84. Milonga Del Angel (A.Piazzolla)

    Date2002.05.23 Byorpheous Views6260
    Read More
  85. [re]Milonga Del Angel과 옥타브하모닉스

    Date2002.05.24 Bynitsuga Views6706
    Read More
  86. senza basso, JS Bach

    Date2002.05.23 By채소 Views5494
    Read More
  87. 바하의 실수... 글구 울나라 음악

    Date2002.05.22 By신동훈 Views4813
    Read More
  88. 반박글 절대 아님.

    Date2002.05.24 By지나가는얼빵 Views5034
    Read More
  89. 덧붙여... 단순한걸루 보면...

    Date2002.05.24 By신동훈 Views4895
    Read More
  90. Date2002.05.20 By으니 Views4468
    Read More
  91. 카바티나

    Date2002.05.02 Byorpheous Views4623
    Read More
  92. 아~~~ Jordi Savall!!!

    Date2002.04.26 By일랴나 Views4361
    Read More
  93. 트레몰로에 대한 변증법적이 고찰........지얼님의 글을 퍼왔습니다.

    Date2002.04.16 By Views5986
    Read More
  94. 음... 1045번... ㅡㅡ+

    Date2002.04.12 By신동훈 Views4621
    Read More
  95. 연주에 관한 몇가지 단상들.......(과객님의 글을 퍼왔습니다.)

    Date2002.04.10 By Views4295
    Read More
  96. 지기스발트 쿠이겐 VS 라인하르트 괴벨

    Date2002.04.05 Bylovebach Views6646
    Read More
  97. 바흐의 주요 건반음악 작폼 음반목록 입니다~~~~

    Date2002.04.05 Bylovebach Views33369
    Read More
  98. 바흐작품목록 2

    Date2002.04.03 Bylovebach Views14514
    Read More
  99. 바흐작품목록 입니다~~ 한번 보세요~~~~ ^^ 1

    Date2002.04.03 Bylovebach Views7632
    Read More
  100. 음... 사라진 바하의 협주곡들... ㅡㅡ;

    Date2002.03.30 By신동훈 Views4968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