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02.07.23 15:43

플라멩코 이야기 1

(*.218.245.187) 조회 수 5834 댓글 0
' 플라멩코전과'를 읽고 번역하다가 그 책에 나온 내용보다 좀 더 좋은 글이 있어서 올립니다. 플라멩코 협회 공부방에서 가져온 글입니다. 좀 길지만....

'플라멩꼬(Flamenco)'란 무엇인가?

번역 : 이은호 / 한국 플라멩꼬 협회. (02) 517-0117

이 자료는 플라멩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플라멩꼬 사이트인 'http://flamenco-world.com' 에서 "What's flamenco('플라멩꼬'란 무엇인가)?"라는 글을 발췌 번역한 것이며, 한국 플라멩꼬 저변확대를 위해 상업적 용도 외의 필요한 곳이라면 어느곳이든 이 글의 게재나 사용을 적극 권장합니다.

플라멩꼬는 유럽의 위대한 음악형식 중에 하나이다.

플라멩꼬의 근원(根源)은 모로코, 이집트, 인도, 파키스탄, 그리이스와 동서 아시아의 다양한 음악적 문화적 요소가 복합되어 스페인 남부지방에 정착한 것에서 찾아볼 수 있다. 플라멩꼬가 어떤 과정을 거쳐 형성된 것인지를 밝히는 것은 대단히 흥미롭고 의견도 분분하다.

15세기 스페인 남부에 정착한 집시(gypsy)들은 '플라멩꼬'라는 그들만의 음악을 만들어 냈다. 플라멩꼬는 안팎으로 넓게는 인도의 북부지방(지금은 'Sind'라는 파키스탄의 영토)으로부터 외침을 받아 이주한 몇몇 부족들의 영향 속에 생겨난 음악이다. 쫓겨난 집시들이 첫 정착지는 이집트의 'Giptanos'라는 곳이었고, 또다시 체코슬로바키아로 쫓겨왔으나 소수의 힘없는 부족인 그들을 어디에서도 받기는 곳이 없음을 스스로 깨닫고 다시 세 부류로 나뉘어 유럽의 각지로 흩어지게 된다. (이들 중 한 부류인) 집시가 스페인 남부에 정착한 것은 1447년의 기록에서 찾을 수 있다.

'집시'로 알려진 이들은 자신들을 "Ruma-Calk(평원의 도망자)"라고 불렀고, 인도 Maharata 지방의 사투리를 썼다. 그들은 15세기말까지 유목과 영세 수공업으로 방랑생활을 했다.

집시들의 방랑문화는 그들만의 독특한 형식의 음악을 만들어냈고, 그 음악은 일상의 (시름을 잊기 위한)잔치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것이었다. 그들은 우선 노래를 만들어냈으며, 곧 손과 발로 만들어내는 리듬을 가미했다. 화려하고 즉흥적이며 기교적 성향의 집시음악은 무어족의 문화는 물론 유대, 카톨릭의 문화가 토착음악과 융화하면서 수백 년에 걸쳐 풍요로운 (스페인 남부) 안달루시아의 지방음악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스페인, 특히 남부지방은 약 800년간 무어족의 지배하에 있었고, 그들은 여러 문화를 수용하여 경제, 과학, 문화를 꽃피웠다. 이 시기에 플라멩꼬 기타의 시조가 나타나고 발전하게 된다. '플라멩꼬'의 어원(語源)은 아라비아어인 "felag"(농부)나 "mengu"(도망자 또는 피난민)라는 단어의 잘못된 발음에서 온 것이라 여겨지며, 18세기에 접어들면서 "안달루시아의 집시"를 지칭하는 단어로 쓰여지기 시작했다.

스페인에 집시들이 정착할 무렵은 콜럼부스가 인도로 가는 새로운 항로를 개척하려고 서쪽으로 항해를 하다가 신대륙을 발견한 시기이며, 당시 무어족을 내쫓으려했던 카톨릭 영주들에게 결국 안달루시아 남부 도시인 그라나다(Granada)를 함락(1492년)당하는 시기이다. 이로부터 200년 이상의 시기는 카톨릭교회에 의해 비교도들이 끊임없는 박해를 당하게 된다.

카톨릭 군주는 방랑문화를 가진집시들도 모두 카톨릭 신자가 되길 원했으며, 스페인어가 혼합된 그들의 언어인 Cal (깔로)를 쓰지 못하게 함은 물론 일정한 직업을 가지고 정착생활을 할 것을 강요했다. 오늘날 그들의 언어인 Cal 의 단어는 스페인, 특히 남부지방의 언어에서 많이 쓰이고 있다.

수백 년간 카톨릭 군주들과 교회의 핍박으로 쫓겨난 수많은 집시들과 유대교도, 이스람교도들은 산 속의 동굴에서 살았으며, 탄광에서 노동을 하며 여생을 마쳤다. 그들은 부유한 지배계층의 잔치에서 악사노릇을 하기도 했지만 그들만의 잔치는 비공개적으로 치러야만 했다. 한편, 그들이 부르는 노래에는 그들을 지배하는 계층에 대한 불합리함을 토로하는 내용이 많이 담겨있었지만 정작 지배계층의 사람들은 그것을 알아듣지 못했다.

세월이 흐르면서 그들에 대한 핍박도 완화되고 집시음악에 대해 관심을 갖는 사람들도 점차 생겨났다. 조금씩 음악적 교류가 이루어졌고 집시의 음악을 수용하고 해석하게 되었으며, 이때부터 클래식 기타연주자와 플라멩꼬 연주자들에 의해 스페인 특유의 음악이 발전하게 되었다.

최초의 플라멩꼬 악보는 이탈리아 오페라("The lucky Mask"-Neri, 18세기)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19세기말에 그 형식이 확립되어 오늘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플라멩꼬는 그 시초로부터 일상의 (즉흥적)실제 연주로 말미암아 확립된 음악이라고 이해해야 한다.

플라멩꼬 연주는 주로 노래, 춤, 기타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최초에는 노래와 손뼉치기(박수; palmas)가 주요 연주수단이었고, 기타는 그 이후에 추가되었으며, 오늘날 흔히 볼 수 있는 발구르기는 이 시기에 시작된 것이다. 연주하는 형식도 천차만별이어서 춤 또는 노래만으로 이루어진 형식도 있으며, 여러 명의 무희와 다함께 하는 형식도 있다. 물론 여럿이 노래만으로 연주하는 '아카펠라' 같은 형식도 있다.

오늘날의 플라멩꼬는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연주된다. 현대 플라멩꼬에는 베이스 기타(보통 음쇠가 없는 것이 사용됨)와 "cajon"이라는 북처럼 생긴 눕혀놓고 올라앉아 연주하는 타악기(정해진 음정도 없을뿐더러 조율도 불가능한 북으로 페루의 민속악기에 근원을 두고있으며 '빠코 데 루시아'가 플라멩꼬에 처음 도입했음) 등의 악기가 추가되었다.

최근에는 플룻, 섹소폰 외에도 많은 종류의 타악기도 연주에 사용되며, 종종 오케스트라에서 사용하는 현악기는 물론 희귀한 악기인 citar(중동의 현악기) darbuka, djembe(인도의 타악기), 봉고, conga(남아메리카의 타악기)같은 악기도 사용하고 있다. 심지어는 통기타, 전자기타, 신디사이저(전자합성음 건반악기)나 드럼이 등장하기도 한다.

악기로 연주하는 플라멩꼬는 대표적으로 플라멩꼬 기타연주를 꼽을 수 있다. 전형적인 플라멩꼬의 연주에는 한 대의 기타와 춤, 노래가 등장하는데, 보통은 기타가 춤이나 노래의 반주 역할을 하며 그 역할은 극히 제한적이다. 그러나 점차 기타 연주자들은 춤이나 노래가 쉬는 부분에서 'falsetas'라는 빠르고 화려한 선율을 연주하게 되었고, 이러한 그들의 기교는 발전을 거듭하여 오늘날 고난도의 기타 연주형태의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다.

플라멩꼬에 있어 필수적인 것은 '리듬'을 이해하고 연주해야 하는 것이다. 서양음악은 대게 박자 단위로 하나, 둘, 셋 또는 넷 등으로 세는 박자가 마디 내에서 하나 정도의 강박자가 있음으로 리듬(디스코나 블루스를 생각해 보자)을 이해할 수 있는 반면, 플라멩꼬에서는 여러 개의 마디를 단위로 하는 12박자 이상의 진행 속에 몇 개의 강박을 가진 구조로 리듬을 이해해야 한다. 플라멩꼬에서는 특정한 부분의 강세를 가진 마디들로 이루어진 악구(樂句)들이 연주자간의 '주고받는' 형식으로 도약 및 전개를 이루며, 연주의 종결부는 대체로 매우 강하게 연주된다. 서양음악에서는 전개와 종결에 있어서 보통 선율적 변화가 그 역할을 하며, 리듬 자체는 그다지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 플라멩꼬의 선율은 항상 리듬을 가진 악구와 결합되어 진행한다. "cante por solea"라는 곡을 예를 들면, 4분의 3박자 리듬으로 연주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기본 악구가 마디 중간에서 부분적으로 나누어지는 형태를 볼 수 있다. 각 음악형식들의 종결을 향해 전개되는 경향, 그리고 반복성을 피하기 위해 이러한 복잡성과 유사 악구들간의 변주가 지속적으로 사용된다.

플라멩꼬에는 각 지방마다의 다소 일반적인 구조, 가락, 주제에 의해 저마다의 특징적인 형태별 계보와 부류가 있다. 즉, soleares(스페인어의 "soledad"(고독)이라는 어원에서 파생), tonas, siguiriyas(또는 seguirillas), tangos, bulerias, fandangos등과 같이 부류별로 각각의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아예 지방의 이름을 따서 malaguenas(Malaga 지방)나 fandangos de Huelva(웰바지방의 환당고)와 같은 또다른 부류의 플라멩꼬들이 있다. 초창기 플라멩꼬 음악의 부류(palos)는 Romances, Gilianas, Alboreas 등이 있으며, 비록 Extremadura 나 Murcia지역 등 다른 지방의 영향을 받기는 했지만 안달루시아 지방의 Cadiz, Sevilla, Malaga, Granada 등의 도시들도 저마다의 독특한 부류의 곡들을 만들어냈다.

이러한 부류별 곡들은 가수의 취향과 연주자들의 청중의 반응을 고려한 감성적 색채에 따라 더욱 다양한 또다른 변주를 낳고 있다.
?

  1. gmland 님께...

    Date2003.05.13 By아랑 Views6040
    Read More
  2. 지금 재미없는 현대음악은 영원히 재미없을것이다.

    Date2003.05.12 By Views5243
    Read More
  3. [re] 화성학은 바하요, 바하는 화성학일 겁니다.

    Date2003.05.13 Bygmland Views6460
    Read More
  4. [re] 맞아요. 지금 재미없으면 영원히 재미없을 확률이 높지요.

    Date2003.05.13 Bygmland Views4619
    Read More
  5. 유구음계와 조선 전통음계의 비교 - 나운영 선생의 이론 소개

    Date2003.05.07 Bygmland Views9024
    Read More
  6. .

    Date2003.04.28 By정천식 Views5648
    Read More
  7. .

    Date2003.04.30 Bygmland Views5376
    Read More
  8. 고대 그리스의 테트라코드와 음계...

    Date2003.04.28 By신동훈 Views7130
    Read More
  9. 고대지명과 음계에 관한 단상...

    Date2003.04.22 By신동훈 Views10636
    Read More
  10. 아! 『기타 화성학』1

    Date2003.04.26 Bycom Views7282
    Read More
  11. 제생각엔...

    Date2003.04.28 Byseneka Views4411
    Read More
  12. [re] 아! 『기타 화성학』1

    Date2003.04.26 By09 Views5364
    Read More
  13. 방랑화음 Wandering chords

    Date2003.04.24 Bygmland Views5898
    Read More
  14. 연주와 나이

    Date2003.04.23 Byniceplace Views5259
    Read More
  15. [re] 연주와 나이... 어려운 문제네요?

    Date2003.04.23 Bygmland Views4633
    Read More
  16. [re] 연주와 나이...

    Date2003.04.24 By Views4744
    Read More
  17. 고대지명과 음계에 관한 단상...

    Date2003.04.22 By신동훈 Views5590
    Read More
  18. POP 음악의 장르와 대중음악 略史

    Date2003.04.15 Bygmland Views6187
    Read More
  19. 우리가 [크다] 라고 말하는 것들 !!

    Date2003.04.11 Bycom Views5775
    Read More
  20. 바로크적인해석이란어떤것인가 궁금하네요.

    Date2003.04.11 Byhesed Views4819
    Read More
  21. Dm 관계조 Scale 연습과 Chaconne (4)

    Date2003.04.10 Bygmland Views7833
    Read More
  22. 운지에 대한 내 생각은 이러합니다.

    Date2003.04.09 Bygmland Views4423
    Read More
  23. [re] 운지에 대한 내 생각은 이러합니다.

    Date2003.04.09 By아랑 Views5690
    Read More
  24. 원로 윤형근 화백의 예술 이야기.

    Date2003.04.09 By아랑 Views5406
    Read More
  25. 4월 4일, 5일 양일간 야나첵 현악사중주단 연주회 후기

    Date2003.04.07 By으니 Views4676
    Read More
  26. 기타와 음악요법

    Date2003.04.05 Bychobo Views4838
    Read More
  27. 동경 국제콩쿨 요강 입니다.

    Date2003.04.03 By신인근 Views4495
    Read More
  28. D 단조 Scale 연습과 Chaconne (3)

    Date2003.04.04 Bygmland Views5539
    Read More
  29. D 단조 Scale 연습과 Chaconne (2)

    Date2003.04.03 Bygmland Views6580
    Read More
  30. D 단조 Scale 연습과 Chaconne (1)

    Date2003.04.03 Bygmland Views8522
    Read More
  31. 원음과 사이음에 대하여

    Date2003.03.30 Bycom Views6401
    Read More
  32. 7화음 풀어쓰기 스케일 연습 - 예제

    Date2003.03.27 Bygmland Views6371
    Read More
  33. 팻 매시니...........첨으로 그의 음반을 듣다.

    Date2003.03.26 By Views6392
    Read More
  34. 앙헬 로메로의 샤콘느

    Date2003.03.26 Byorpheous Views4857
    Read More
  35. 스케일 연습의 종류 - 알파님께 답글

    Date2003.03.26 Bygmland Views5875
    Read More
  36. 질문의 의도는...

    Date2003.03.26 By알파 Views4273
    Read More
  37. [re] 3화음 풀어쓰기 스케일 연습 - 예제

    Date2003.03.26 Bygmland Views5353
    Read More
  38. 연주에 있어서, 고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

    Date2003.03.25 Bygmland Views5005
    Read More
  39. 바람직한 연주자가 되려면

    Date2003.03.24 Bygmland Views5888
    Read More
  40. 부탁 한가지

    Date2003.03.26 By알파 Views4303
    Read More
  41. Imagine

    Date2003.03.24 Bygmland Views4846
    Read More
  42. 어떤분들에겐 클래식음악하는분들이 어떻게 보일까?

    Date2003.03.19 By Views5361
    Read More
  43. [re] 어떤분들에겐 클래식음악하는분들이 어떻게 보일까?

    Date2003.03.21 By지나다가 Views4410
    Read More
  44. 비발디를 듣다...!

    Date2002.10.30 By차차 Views4426
    Read More
  45. [re] 비발디를 듣다...! (차차님 보세요 ^^)

    Date2002.11.02 By신동훈 Views7420
    Read More
  46. 파크닝 재발견...

    Date2002.10.30 By차차 Views5498
    Read More
  47. 새솔님께 질문! (연주에서 방향성에 대하여.)

    Date2002.10.29 By차차 Views4218
    Read More
  48. [re] 새솔님께 질문!(답변입니다.)

    Date2002.10.29 By새솔 Views6230
    Read More
  49. 윌리엄 크리스티의 베를린필 데뷔연주!

    Date2002.10.24 By고충진 Views4219
    Read More
  50. 플라멩코 이야기6

    Date2002.10.24 By김영성 Views6442
    Read More
  51. 플라멩코 이야기 5

    Date2002.10.23 By김영성 Views5090
    Read More
  52. 작품번호에 관하여..(초보분들을위해서)

    Date2002.10.21 By컨추리 Views5326
    Read More
  53. 빌라로보스의 초로에 대해서 알려주세여...

    Date2002.10.13 By알수없는 Views4875
    Read More
  54. 샤콘느에 대하여... (배인경) : 출처 http://iklavier.pe.kr/

    Date2002.10.09 By고정석 Views6287
    Read More
  55. 뒤늦은 연주회 후기 - 바루에코 2002/9/8

    Date2002.09.27 By으니 Views4530
    Read More
  56. [re] 호기심 killed 으니 - 바루에코의 겨울 연주는 누구의 편곡?

    Date2002.10.09 By으니 Views4854
    Read More
  57. 피아졸라 겨울은 예상대로 바루에코 자신의 편곡이라고 합니다

    Date2002.10.11 By으니 Views6256
    Read More
  58. 아쉰대로 이삭의 연주를 들어보시구...

    Date2002.10.09 By신동훈 Views4376
    Read More
  59. 윤소영............바이올리니스트.

    Date2002.09.26 By Views6456
    Read More
  60. 레이프 오베 안스네스, 그의 울림이 내게로 전해져왔다

    Date2002.09.21 By으니 Views4537
    Read More
  61. [re] 레이프 오베 안스네스, 디스코그라피

    Date2002.09.21 By으니 Views4359
    Read More
  62. 랑그와 빠롤로 이해해본 음악! (수정)

    Date2002.09.17 By고충진 Views6857
    Read More
  63. 랑그와 빠롤...........타인의 취향.

    Date2002.09.18 By Views4668
    Read More
  64. [re] (고클에서 펀글) 랑그와 빠롤이라... 글쓴이 표문송 (dalnorae)

    Date2002.09.18 By고충진 Views7702
    Read More
  65. 윈도XP를 위한 앙코르 아직 안 나왔나요??

    Date2002.08.10 By병욱이 Views4328
    Read More
  66. 플라멩코 이야기 4

    Date2002.08.05 By김영성 Views5335
    Read More
  67. Francis Kleynjans와 brilliant guitarists알려주세요.

    Date2002.08.02 Bywan Views5742
    Read More
  68. 플라멩코 이야기 3

    Date2002.07.25 By김영성 Views5767
    Read More
  69. 플라멩코 이야기 2

    Date2002.07.24 By김영성 Views5021
    Read More
  70. 플라멩코 이야기 1

    Date2002.07.23 By김영성 Views5834
    Read More
  71. 스페인= 클래식기타? 플라멩코기타?

    Date2002.07.22 By김영성 Views4807
    Read More
  72. 다이기무라의 바덴재즈를 듣고...(추가)

    Date2002.07.06 By으랏차차 Views4939
    Read More
  73. [눈으로듣는음악이야기] 쳄발로, 사방에 별

    Date2002.07.05 By으니 Views4560
    Read More
  74. 쳄발로에 바쳐질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찬사..!!! *****

    Date2002.07.05 By으랏차차 Views4573
    Read More
  75. 쳄발로, 사방에 별이 촘촘히 박힌 까만 밤하늘...

    Date2002.07.05 By신동훈 Views4722
    Read More
  76. William Ackerman 아시는분

    Date2002.06.24 Byjj Views22487
    Read More
  77. 이번 논문에대한 자평과 감사의 글..

    Date2002.06.12 By으랏차차 Views4846
    Read More
  78. [질문]바하와 건축

    Date2002.06.06 By으랏차차 Views4822
    Read More
  79. [re] [질문]바하와 건축 (뒷북이 아니길)

    Date2002.06.11 By으니 Views4411
    Read More
  80. [re] [질문]바하와 건축 (도움글 조금 더)

    Date2002.06.11 By으니 Views4351
    Read More
  81. 바하와 건축 (도움글 조금 더)에 대한 도움글 더... ^^

    Date2002.06.11 By신동훈 Views5120
    Read More
  82. [re] [질문]바하와 건축

    Date2002.06.08 By채소 Views4246
    Read More
  83. [re] [질문]바하와 건축

    Date2002.06.08 By신동훈 Views4713
    Read More
  84. Milonga Del Angel (A.Piazzolla)

    Date2002.05.23 Byorpheous Views6215
    Read More
  85. [re]Milonga Del Angel과 옥타브하모닉스

    Date2002.05.24 Bynitsuga Views6666
    Read More
  86. senza basso, JS Bach

    Date2002.05.23 By채소 Views5452
    Read More
  87. 바하의 실수... 글구 울나라 음악

    Date2002.05.22 By신동훈 Views4762
    Read More
  88. 반박글 절대 아님.

    Date2002.05.24 By지나가는얼빵 Views4996
    Read More
  89. 덧붙여... 단순한걸루 보면...

    Date2002.05.24 By신동훈 Views4845
    Read More
  90. Date2002.05.20 By으니 Views4426
    Read More
  91. 카바티나

    Date2002.05.02 Byorpheous Views4574
    Read More
  92. 아~~~ Jordi Savall!!!

    Date2002.04.26 By일랴나 Views4311
    Read More
  93. 트레몰로에 대한 변증법적이 고찰........지얼님의 글을 퍼왔습니다.

    Date2002.04.16 By Views5940
    Read More
  94. 음... 1045번... ㅡㅡ+

    Date2002.04.12 By신동훈 Views4586
    Read More
  95. 연주에 관한 몇가지 단상들.......(과객님의 글을 퍼왔습니다.)

    Date2002.04.10 By Views4258
    Read More
  96. 지기스발트 쿠이겐 VS 라인하르트 괴벨

    Date2002.04.05 Bylovebach Views6610
    Read More
  97. 바흐의 주요 건반음악 작폼 음반목록 입니다~~~~

    Date2002.04.05 Bylovebach Views33321
    Read More
  98. 바흐작품목록 2

    Date2002.04.03 Bylovebach Views14475
    Read More
  99. 바흐작품목록 입니다~~ 한번 보세요~~~~ ^^ 1

    Date2002.04.03 Bylovebach Views7529
    Read More
  100. 음... 사라진 바하의 협주곡들... ㅡㅡ;

    Date2002.03.30 By신동훈 Views4930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