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110.59.139) 조회 수 4824 댓글 2
만약 으니님의 친절한 글이 조금만 더 일찍 올라왔더라면...
더 완벽한 논문이 되었을텐데요...
기본적인 골조는 으니님이 어드바이스와 엇비슷합니다..
거기에 바하의 간략한 생애를 끼워 넣었죠...

이번글은 매우 시간이 촉박한 상태에서 쓴 글입니다..
사흘만에 미친듯이 써내려갔어요...
원래 시한을 두주나 넘겼기 때문에...
저저번주 월요일에 내야하는 숙제를... ㅋㅋ
여튼 신동훈님과 채소님의 글에서 많은 아이디어를 얻었습니다..

그러나 자료가 너무나도 부족해서...
참고문헌 달랑 두권... 큭..
채소님 으니님이 보신 자료를 볼수 있었으면 더 좋았을텐데..

저는 바하음악과 고틱식 성당건축의 관계를...
"비인간성"과 "절대성"을 메인스트림삼아 써 내려갔습니다..
물론 이것은 신앙과도 밀접한관계가 있는 테마지요..
비잔틴식 성상과 르네상스의 성상(icon)의 비교..
즉 못생긴 성모마리아와 미녀 성모마리아의 대비..
그리고 차이콥스키 바욜린협주곡op35와...
바하의 바욜린협주곡의 비교... (뭔가 필이 오지 않습니까?)

즉 르네상스와 낭만주의에서의 美의 대상은 인간 자신이지만..
바하가 표현하려는 심미적 대상은 결코 인간이 아닌 절대성 이었다는거지요..
이런 절대성은 곧 바하음악의 구조성과 수학성으로 연결됩니다...
기하학적이고 수학적인것만이 완벽한것이라는 사상은..
당시 이성주의자 데카르트나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이래
바하시대에 대 유행을 했으니까요...
즉 으니님이 이야기하신 마태수난곡이나..
여러 교회칸타타 안에서 볼수 있는 숫자적 의미애서 성경과의 일치성은..
성당건축에서도 그대로 찾아볼수 있는거지요...
예로 회랑에서 기둥의 갯수가 십이사도의 열두개라던가..
올라가는 계단이 몇개라던가... 방의 갯수가 몇개라던가.. 이런식이죠..
그리고..
구조적 의미에서 반복은 고틱성당 건축 표현에 있어 노골적인 것이며..
이에대한 바하음악의 예는 딱 한가지 들었습니다..
1003번 알레그로.. 악보까지 따서 붙였음.. ㅋㅋ
상승은 샤콘느의 극단적인 상승 패시지 부분의 악보를 인용했구요...
푸가에 대한 저의 해석에서 논문은 절정을 이룹니다...
성당건축은 공간적 예술이고 음악은 시간적 예술이다...
이런 의미맥락에서 볼적에..
푸가는 공간의 시간적 재해석이다.. !
각 성부간의 시간차를 둔 반복은 원근감을... z축
음의 높고 낮음은 공간에서의 수직축을 구성하고.. y축
성부의 많고 적음 혹은 악기의 편성은 곧 공간의 넓이를 결정한다는...(x축)
좀은 거창한 결론으로 막을 내립니다...
중국어로 쓰니까 팔천자가 조금 넘는군요...헉헉..

근데 늦게 내서 점수는 짜게 나오지 않을까.. ㅋㅋ

끝으로...
으니님 글 못본게 정말 정말 아쉽네요...
봤으면 골조가 더 튼튼해지고...
마태수난곡의 예는 논문을 풍성하게 해줬을텐데...

채소님의 참고문헌은 중국서 못구하는거라서.. ㅋㅋ
대신 아치와 궁륭.. 그리고 바하 홀에 대한 이야기는 많은 도움이 되었구요..

신동훈님의 장식음에 대한것도 논문에 참고가 되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Comment '2'
  • 신동훈 2002.06.12 02:35 (*.193.53.7)
    잼있는 주제를 택하셨네요... 좋은 점수 나올겁니다!!! ^^
  • 2002.06.12 15:16 (*.62.26.233)
    이젠 인터넷으로 숙제도 하고 칭구들이 도와도 주고...학교댕기고싶당...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3 왕자는 아닌데요... 형서기 2000.10.25 4001
412 왕초보님의 글 옮김........pink floyd(핑크 플로이드) 2000.11.23 6735
411 왜 아무도 답을 안 주시죠. 그러면 곡 올린 왕초보님께 부탁을.... illiana 2001.01.12 3912
410 왜 우리는 우리 민요를 기타로 연주한 명곡이 없는지 모르겠네요??? 3 file moosoh 2008.07.18 14172
409 외람되옵지만 제가 한말씀만 더드리자면.... space 2001.05.18 4368
408 외우는 법. 석재 2001.11.14 5145
407 왼손이여? 2000.10.25 4134
406 요기... 화음 2000.08.20 4565
405 요즘 국내외 콩쿠르 곡 2 궁금 2015.03.12 13415
404 요즘 나온시디...바루에코. 2000.10.21 4045
403 요즘 누가 세고비아 듣느냐구요?? ㅠ_ㅠ 10 아랑 2003.05.14 6436
402 요즘.... 10 file 피망수프 2001.07.23 4871
401 요즘엔 이곡 연습하시는 분 없으세요? 김종표 2001.03.21 4536
400 요즘은 코윤바바와 이파네마에 폭 빠져 있답니다.. *^^* 3 아따보이 2001.07.16 4901
399 우메~우째이런 황당한 이야기 거리가...... 명노창 2000.07.12 4948
398 우선 연주자와 음반부터... 3 신동훈 2001.10.31 4505
397 우와~ 고맙습니다~ 라라 2000.11.30 3896
396 운지에 대한 내 생각은 이러합니다. gmland 2003.04.09 4410
395 운지와 탄현에 대한 몇 가지 고민 탁구공 2017.01.09 6723
394 울 성생님은.... 2000.09.21 4463
393 울티모트레몰로 versus 알함브라궁의 추억 아마쳐 2001.03.29 5345
392 웅수님 홈에서 아주 잘 쉬었다가 갑니다..^^ 정성민 2000.07.02 5083
391 웅수씨, 나도 피아노를 위한 콘체르또 듣고파용 2000.12.17 4198
390 웅찬님 환영합니다. illiana 2000.10.24 4088
389 웅찬님이 소개한곳 넘 멋져요~ 2000.10.25 4256
388 원로 윤형근 화백의 예술 이야기. 3 아랑 2003.04.09 5396
387 원전연주 이야기(1)원전연주란... 5 신동훈 2001.11.01 4769
386 원전연주 이야기(10)원전연주 단체-피노크와 잉글리쉬 콘써트...이 신동훈 2001.12.03 4505
385 원전연주 이야기(11)원전연주 단체-쉬뢰더와 카펠라 사바리아...Uno 신동훈 2001.12.04 6022
384 원전연주 이야기(12)원전연주 단체-쉬뢰더와 카펠라 사바리아...Dos 신동훈 2001.12.04 6229
383 원전연주 이야기(13)원전연주 단체-사발과 에스페리옹20...一 신동훈 2001.12.06 4436
382 원전연주 이야기(14)원전연주 단체-사발과 에스페리옹20...二 신동훈 2001.12.06 4671
381 원전연주 이야기(2)요즘에 있어 원전연주가 필요항가... 13 신동훈 2001.11.01 4728
380 원전연주 이야기(3)바하음악에 있어서 원전연주의 의미... 3 신동훈 2001.11.01 4856
379 원전연주 이야기(4)원전연주에 쓰이는 악기는...하나! 3 신동훈 2001.11.02 4435
378 원전연주 이야기(5)원전연주에 쓰이는 악기는...둘!! 2 신동훈 2001.11.02 5566
377 원전연주 이야기(6)원전연주에 쓰이는 악기는...서이!!! 10 신동훈 2001.11.02 4939
376 원전연주 이야기(7)원전연주 단체-아르농쿠르와 콘첸투스 무지쿠스 빈...원 신동훈 2001.11.15 4968
375 원전연주 이야기(8)원전연주 단체-아르농쿠르와 콘첸투스 무지쿠스 빈...투 신동훈 2001.11.15 5164
374 원전연주 이야기(9)원전연주 단체-피노크와 잉글리쉬 콘써트...일 신동훈 2001.12.03 4453
373 원전연주의 의미 17 으랏차차 2002.01.23 4736
372 위의 글을 읽고... 6 지나가다 2004.02.06 5818
371 위의 책이 집에 도착해서.. 3 눈물반짝 2001.06.01 4380
370 윈도XP를 위한 앙코르 아직 안 나왔나요?? 4 병욱이 2002.08.10 4323
369 윌리엄 크리스티의 베를린필 데뷔연주! 1 고충진 2002.10.24 4212
368 유구음계와 조선 전통음계의 비교 - 나운영 선생의 이론 소개 file gmland 2003.05.07 8995
367 유명연주자의 트레몰로감상후기(러쎌, 바루에코,윌리암스) 64 2003.11.18 6224
366 윤디 리 콩쥐 2007.12.06 13119
365 윤소영............바이올리니스트. 5 2002.09.26 6448
364 음.. 리얼은여... 변소반장 2000.10.17 4049
363 음... 1045번... ㅡㅡ+ 5 신동훈 2002.04.12 4577
362 음... 그냥... 무제입니다... 6 캬슬 2001.05.23 4271
361 음... 사라진 바하의 협주곡들... ㅡㅡ; 9 신동훈 2002.03.30 4925
360 음반 게시판을 보세요!!! 음반방장 2000.10.05 4813
359 음반장님 보세요. 2000.12.25 4150
358 음악 - 어떻게 들을 것인가 4 1000식 2005.03.29 6053
357 음악 이론수업의 문제점 2 문제 2014.07.07 8582
356 음악?? 5 강민 2001.08.22 4433
355 음악가를 까대지 말고..... 3 가난한 유학생 2001.05.23 4765
354 음악과 관계된 영화 추천해 주세요 42 2006.05.23 6688
353 음악과 미술에 대한 잡생각 41 쏠레아 2009.10.09 15471
352 음악과 색채.... 7 채소 2001.06.27 5994
351 음악과 수학 - 순정조와 평균률, 그리고 기타의 조율 10 bluejay 2008.03.24 20212
350 음악과 수학(1) - 음악의 엔트로피 33 file bluejay 2003.11.20 7446
349 음악과 수학(2) – 피타고라스 음계와 선법 1 bluejay 2004.02.17 9128
348 음악과 여백 1 느끼 2005.02.20 6462
347 음악과 이념 - 알베니스의 피아노 협주곡을 중심으로 6 file 1000식 2007.02.06 12662
346 음악도 분명히 현재의 모습을 반영하는 곡들이 지금가득합니다. 9 cool 2003.06.23 4281
345 음악듣기.... 반성... 3 채소 2001.08.26 4249
344 음악듣다 운 얘기하라고요? 고은별 2000.09.15 4865
343 음악사에 있어서 마지막 화가는 바흐다... 4 채소 2002.01.17 5220
342 음악성이란 그 무엇을 좇아서.... 44 그림이 2006.02.22 9484
341 음악성이란 그 무엇을 좇아서.... 26 그림이 2006.02.22 6409
340 음악에서의 호불호 6 2003.08.29 6312
339 음악영화."투게더".....감독(첸카이거) file 콩쥐 2005.11.21 14912
338 음악의 상대성과 절대성. 1 2005.06.17 5990
337 음악의 예술성과 과학성, 음악과 음학 10 gmland 2003.06.11 5909
336 음악의 편가르기.....클래식과 대중음악등등.....의미없음. 2002.02.01 5215
335 음악의 호불호에도 객관적 보편타당성이 존재하는가? 1 gmland 2003.08.29 5037
334 음악하는 사람이 공부를 못한다는 의견에 대해 - 음악의 천재들 에피소드 소개 3 으니 2006.09.06 7213
333 음울한 날씨...문득 생각난 모짜르트 레퀴엠. 형서기 2001.02.23 4562
332 음질은 료벳꺼보다 세고비아가 오히려 나아요... 신정하 2000.10.10 5701
331 이 사람도 아는지? 1 바리바리 2001.05.02 4204
330 이 사람을 아시는지? 1 file 바리바리 2001.04.17 4798
329 이건 어디에 있는지 알고 싶어요^^ 망상 2001.03.11 4231
328 이것보쇼... 3 기타새디스트 2003.06.04 4756
327 이곡 제목 뭔지 아시는분? 7 차차 2003.07.24 5732
326 이곡은 유명한 기타버전이 있습니다. 미니아부지 2000.10.24 4159
325 이곳은...다른세상 file whisky 2000.08.24 4893
324 이런 곳이 다 있네 ^^ 초보작곡가 2000.08.02 4743
323 이럴수가....0.0;; 형서기 2000.10.16 4155
322 이미경 Who, " violinist / 뮌헨음대 교수 " < 발췌문 > 4 jons 2012.03.09 18408
» 이번 논문에대한 자평과 감사의 글.. 2 으랏차차 2002.06.12 4824
320 이번에 기타콩쿨에 나가는 칭구에게 보내는편지. 3 콩쥐 2006.05.21 5890
319 이번에는 큰바위 얼굴 아저씨에게서 매니악 2001.02.27 4247
318 이빨로 물어 뜯기.. 변소반장 2000.12.15 4094
317 이성우&올리버 연주회 후기.. 형서기 2000.12.11 4129
316 이중주? 하하하.... 2000.09.29 4752
315 이창학님께 감사드립니다.[핑크 플로이드 찬가] 8 최성우 2001.07.07 4691
314 이탈리안 각설이 타령 9 정천식 2003.12.27 6129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