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6.17.90) 조회 수 6646 댓글 2
   지기스발트 쿠이켄 VS 라인하르트 괴벨(Sigiswald Kuijken vs Reinhard Goebel)

클래식 애호가라면 지난 해 바흐 서거 250주년 축제의 메카였던 라이프치히에서 열린 '바흐 페스티벌 라이프치히2000'을 기억할 것이다. 그 가운데에서도 서거일인 28일에 라이프치히의 각기 다른 장소에서 있었던 우리시대 '최고'들의 연주회. 바로 올드타운 홀에서 쿠이켄 삼형제가 연주한 '음악의 헌정'과, 성 니콜라스 교회에서 있었던 라인하르트 괴벨의 무지카 안티쿠아 쾰른이 연주한 '푸가의 기법'이다. 그리고 해를 넘겨 2001년 2월 같은 달에 우리나라의 같은 연주장소에서 이들이 연주회를 갖게 된다고 하니, 이러한 우연이 예사롭게 보이지 않는다.

▶자타가 공인하는 원정연주계의 거장들

이번 달의 명연주가 비교는 이러한 시사적 필연성을 바탕으로, 감히 이 두 연주자(단체)를 일별하여 비교해 보고자 한다. 먼저 이들에게는 수많은 공통점이 보인다. 모두가 바로크 레퍼토리를 강점으로 하는 원전연주 계의 거장으로 자타가 공인하는 위상의 소유자들이며, 고집스럽게 이 길을 고수하고 있다는 점이다. 게다가 쿠이켄이 개발한 턱받침을 사용하지 않는 연주법이라든지, 괴벨이 그의 신체적 장애이후에 언어장애까지도 겪어내며 왼손에 활을 쥐는 등의 모습은 이들의 고집스러움의 정도를 엿볼 수 있게 한다. 또한 리더격인 지기스발트 쿠이켄과 라인하르트 괴벨이 섭렵하고 있는 영역이 독주자, 실내악 주자로서의 활동을 비롯하여 지휘, 그리고 가르치는 영역까지도 포괄하고 있는 전천후 음악가라는 점 또한 동일하다. 물론 이들이 모두 제도권 내에서의 진화된 교육을 거부하고 독학으로 음악사의 한 조류를 개척하고자 한 '야인'들임은 두 말할 나위 없다.
우선 결합면에서, 쿠이켄은 동료, 제자들과 함께 주로 혈연에 기초한 프로젝트성 작업을 하고 있다. 각자 독주자로서 활동하면서 상황에 따라 비정형적 단체로서 삼중주-쿠이켄 사중주-오중주-그리고 라쁘띠뜨 방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확장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한편 무지카 안티쿠아 쾰른은 잘 알려진 대로 쾰른 대학 동기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학연 중심적 결합에서 시작되었으며, 구성원에 변화는 있으나 대체로 항시적이고 정형적인 단체이다. 또한 괴벨의 경우 여타 구성원들에 비해 그 카리스마가 독보적으로 드러나는 반면, 쿠이켄의 경우 개인의 개성은 단체의 그것에 순화되어-또는 다른 주자들과 평등한 관계로-자연스런 느낌을 창출해 내고 있다.
출신 지역을 살펴보면 괴벨은 바흐를 비롯하여 그가 주무기로 하는 바로크 레퍼토리의 진원지를 직접 연결하는 독일 지역에 근거하고 있으면서 '프랑스인이나 이탈리아인이 바흐에 매달려봐야 얼마나 이해할 수 있느냐'고 말한다. 한편 고음악 르네상스의 거점이 되었던 네덜란드-벨기에 지방을 근거지로 하는 '플랑드르' 패밀리에 속하는 쿠이켄은 슈포어, 바요, 베리오 등 벨기에 선배들의 계통을 이으면서도 프랑스와 독일의 접점에 위치한 바젤의 스콜라칸토룸에서 그의 고음악에 대한 소명을 되새김질 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특히 그는 레온하르트, 브뤼헨, 코넨, 빌스마 등 고음악 대가들과의 교감에 의한 작업을 해 왔다.

라인하르트 괴벨이 들려주는 원전음색이 전아하면서도 고풍스런 느낌을 주는 고급스런 대리석 같은 느낌이라면 악기 등에서 보다 철저하게 원래를 찾아가는 쿠이켄은 오래된 목재에서 풍기는 것과 같은 투박하면서도 보다 자연을 느끼게 하는 울림을 지니고 있다. 적절한 비유일지는 모르겠으나 도자기로 예를 들어 이야기한다면 괴벨은 귀족적인 고려청자, 쿠이켄은 소박한 이조백자 같은 느낌이라고나 할까. 나아가 독일 앙상블이 지적 냉철함에 바탕을 둔 신선하고 대담한 감수성을 선보인다면 플랑드르 앙상블은 이성에 바탕을 둔 조화로움이 자연스런 유려함에 묻어나는 이상적인 연주를 들려주고 있다.
레퍼토리 면에서도 두 대가는 다소 상이한 입장을 취한다. 잘 알려진 대로 쿠이켄이 바흐를 정점으로 하여 하이든, 모차르트를 벗어나지 않는 반면 괴벨은 바로크 레퍼토리를 주로 하지만 그 안에서도 늘 신선하고 알려지지 않는 레퍼토리에 도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본지 1월호에 소개된 대로 올 가을, 장기간의 준비 끝에 우리나라에서도 바로크 창작 오페라를 지휘하는 괴벨의 모습을 만날 수 있게 된다). 편성 면에서도 쿠이켄이 주로 소편성 실내악 레퍼토리를 선호-심지어 그는 '바흐의 성악곡에 있어서 합창곡도 성부 당 한 명의 가수에 의해 불려졌을 것' 이라는 소위 리프킨설의 지지자다- 하는 반면, 괴벨은 대개 그의 앙상블을 대동하고 좀 더 스케일이 큰 관현악이나 칸타타 쪽에 치중하는 편이다.

▶음반작업에 있어서 각기 다른 횡보

음반작업을 하는 모습도 가히 대조적인데, 무지카 안티쿠아 쾰른이 굴지의 메이저 음반사인 도이치 그라모폰의 관리를 받으며 동 회사 산하의 원전연주 전문 레이블 아르히브를 통해 주로 그 모습을 드러냈다면, 쿠이켄은 꼼꼼히 챙겨봐야 그의 작품들을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 다양한 음반사에 노출되어 왔다. BMG 산하의 도이치 아르모니아 문디, 벨기에의 고음악 레이블인 악상, 일본 레이블인 데논, 소니 비바르테의 전신인 세온, EMI의 버진 클래식 등을 통해 독주자로서, 실내악 주자로서, 지휘자로서의 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치악 과연 체계적 관리를 중시하는 독일인들의 사고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할지 아니면 치밀하게 계산된 상업주의적의도로 보아야 할지는 각자의 판단에 달린 것이겠지만 말이다.
여담이 되겠지만 사실 개인적으로 가장 큰 차이라면 괴벨은 음악을 위해 독신을 선택할 정도로 몰입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반면 쿠이켄은 대 가족을 이루어 그들과 함께 음악과 생활을 분리함 없이 편안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선택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에 앞서, 삶을 달리 바라보는 각자의 방식이 그들의 음악에 어떤 식으로 용해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그들의 음악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리라 여겨진다.

Comment '2'
  • 신동훈 2002.04.09 08:25 (*.81.93.247)
    아르농쿠르와 레온하르트의 경우가 이와 유사한 입장인거 같군여 ^^
  • 신동훈 2002.04.09 08:28 (*.81.93.247)
    글구... 개인적으로 괴벨이 만들어내는 음색은... 좀 느끼하다구 생각함다... ㅡㅡ;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3 [re] 맞아요. 지금 재미없으면 영원히 재미없을 확률이 높지요. 2 gmland 2003.05.13 4655
1212 [re] 무뇌중 어록중에서. 4 천지대야망 2003.09.01 6362
1211 [re] 밑의 글들을 일고... 푸하하하하 2006.01.21 4685
1210 [re] 바로크시대의 연주 스타일.... ^^ 5 eveNam 2003.12.19 7215
1209 [re] 바하는 어떤 악보로 공부하여야 하나........!!?? 6 정천식 2004.02.16 5710
1208 [re] 바하와 헨델, 바로크 - 약간의 딴지... ^^; 2 신동훈=eveNam 2003.09.01 5068
1207 [re] 비발디를 듣다...! (차차님 보세요 ^^) 3 신동훈 2002.11.02 7453
1206 [re] 산젠인 퍼스트만 녹음해 주실 분 없으신가요? 2 file gogododo 2005.03.10 5954
1205 [re] 새솔님께 질문!(답변입니다.) 11 file 새솔 2002.10.29 6266
1204 [re] 스카보로우의 여인 19 gmland 2004.07.01 6879
1203 [re]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3) 2 정천식 2004.03.14 5065
1202 [re]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큰 별, 알베니스(3) 차가운기타 2004.03.16 5324
1201 [re] 아! 『기타 화성학』1 9 09 2003.04.26 5394
1200 [re] 아차 이거 빠뜨려써요 ㅠ-ㅠ 5 으니 2005.02.20 5695
1199 [re] 악기별 트레몰로 주법 gmland 2003.11.16 12301
1198 [re] 악보가 안 외워질때... 채소 2001.11.13 5284
1197 [re] 어떤분들에겐 클래식음악하는분들이 어떻게 보일까? 7 지나다가 2003.03.21 4440
1196 [re]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곡들.... 1 willie 2001.09.18 5056
1195 [re] 연주와 나이... 2003.04.24 4774
1194 [re] 연주와 나이... 어려운 문제네요? 1 gmland 2003.04.23 4665
1193 [re] 운지에 대한 내 생각은 이러합니다. 24 아랑 2003.04.09 5729
1192 [re] 음악듣기.... 반성... 1 지얼 2001.09.22 4831
1191 [re] 음악성.........꼬추가루 넣은 안동식혜. 4 2004.02.06 5060
1190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13 B612 2003.08.28 5106
1189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6 아롱이 2003.08.29 5202
1188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10 B612 2003.08.28 4850
1187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28 B612 2003.08.29 5269
1186 [re] 이건 MCA 랑 무슨 차인지... 2 file 찾던이 2004.09.01 6662
1185 [re] 조선의 힘 15 2003.08.29 7535
1184 [re] 질문. 2 file 정천식 2004.03.11 4974
1183 [re] 질문입니다.. 46 seneka 2003.05.27 5870
1182 [re] 참고로~ 1 seneka 2004.02.04 6091
1181 [re] 채보 요령 12 지얼 2002.02.08 8969
1180 [re] 채소님, 음악에 대한 인용구 번역입니다. 2 gmland 2003.07.16 4826
1179 [re] 커트 코베인이 뭘 어쨎길래.. 1 마왕 2004.02.06 5094
1178 [re] 코드진행님 질문과 답변 2 gmland 2003.07.29 4986
1177 [re] 클래식기타는 왜 일렉만 못할까? 이레네오 2002.02.13 4437
1176 [re] 클래식은 리듬이 약하다는 논리에는 이견이 있습니다. 12 gmland 2003.09.01 6275
1175 [re] 트레몰로. 5 기타 이상자 2003.07.16 5599
1174 [re] 프레이즈는 이 것입니다. (1) 5 gmland 2003.05.16 5157
1173 [re] 피날리 가진 분을 위한 피날리 악보 - 별첨 file gmland 2003.07.27 5078
1172 [re] 피아졸라의 음악은 과연 탱고인가 ? 51 gmland 2003.11.28 7293
1171 [re] 피카소의 기타그림들 file Dr.K 2005.06.07 8716
1170 [re] 한국에 사는것이... 2 2002.02.12 4305
1169 [re] 호기심 killed 으니 - 바루에코의 겨울 연주는 누구의 편곡? 2 으니 2002.10.09 4885
1168 [re] 화성학은 바하요, 바하는 화성학일 겁니다. 22 gmland 2003.05.13 6497
1167 [re]Milonga Del Angel과 옥타브하모닉스 1 nitsuga 2002.05.24 6705
1166 [re]또 하나 클래식 좋은글 ... 2008.06.08 14132
1165 [re]프레이징을 어떤 수단으로써 어떻게 처리하나? (2) - she님의 질문에 대한 답글. 7 gmland 2003.05.19 5252
1164 [강추도서] 자기발견을 향한 피아노 연습(With Your Own Two Hands) 9 전병철 2001.05.26 20354
1163 [공지]탱고이야기 나머지회에 대하여.. 변소반장 2001.03.09 4149
1162 [급구] 거트현으로 연주한 음반 지영이 2000.10.09 4295
1161 [기사] 국제 음악콩쿠르 韓-中-日이 휩쓸어 1 고정석 2005.11.01 5394
1160 [까딸로니아 민요] Canco del Lladre 5 file 옥용수 2003.12.10 6382
1159 [까딸로니아 민요] El mestre file 옥용수 2003.12.10 5973
1158 [까딸로니아 민요] El Noi de la mare file 옥용수 2003.12.10 4999
1157 [까딸로니아 민요] El testament d'Amelia (내용추가) 1 file 옥용수 2003.12.10 7847
1156 [까딸로니아 민요] L'hereu Riera file 옥용수 2003.12.10 5512
1155 [까딸로니아 민요] La filadora 2 file 옥용수 2003.12.10 6100
1154 [까딸로니아 민요] La filla del marxant 4 file 옥용수 2003.12.10 7365
1153 [까딸로니아 민요] La nit de Nadal file 옥용수 2003.12.10 5655
1152 [까딸로니아 민요] La pastoreta 10 file 옥용수 2003.12.10 6496
1151 [까딸루냐 자장가] Mareta, mareta, no'm faces plorar 8 eveNam 2003.12.11 7276
1150 [눈으로듣는음악이야기] 쳄발로, 사방에 별 으니 2002.07.05 4597
1149 [딴소리] 러시아 그리고 스키..... 2000.10.28 5059
1148 [모셔온글] 피아노 이야기에서 - 러셀셔먼 4 밀롱가. 2007.09.03 12966
1147 [아우셀의 비밀] 무대에서 결코 곡을 까먹지 않는 방법 - 로베르토 아우셀 인터뷰 14 으니 2005.02.20 16181
1146 [업그레이드판] 파리콩쿨 역대 입상자 명단(1): 1959-1975 미니압바 2000.11.08 4590
1145 [업그레이드판] 파리콩쿨 역대 입상자 명단(2): 1976-1987 미니압바 2000.11.09 4542
1144 [요청] 브라우워의 곡중 Suite No.2 Mebae는? 6 file 옥용수 2004.04.12 6202
1143 [읽을거리] 소녀와 베토벤 ...퍼온글... 1 채소 2001.05.04 4422
1142 [질문] 난해한 현대음악을 어떻게 들어야 할까요? 13 익명 2003.05.12 4697
1141 [질문] 바하 샤콘느를 연주하기 위한 기본 준비에는 어떤것이 있을까요? 40 밀롱가. 2008.03.03 17090
1140 [질문]Paco de Lucia의 Fuente Y Caudal 1 의문의 2004.04.30 5819
1139 [질문]고전파시대음악 딸기 2005.08.01 6763
1138 [질문]바하와 건축 3 으랏차차 2002.06.06 4862
1137 [질문]부에노스 아이레스조곡에 관하여 알고 싶습니다. 장재민 2001.08.22 4708
1136 [책소개] 스탠다드 팝송기타솔로 말괄량이 2000.06.20 5482
1135 [추천도서] Power Performance 성공연주 어떻게 할 것인가 2 채소 2001.05.02 4385
1134 [추천도서] 기타奇打와 나눈 이야기.. 4 전병철 2001.06.08 4661
1133 [추천요망] 오케스트라로 연주되는 샤콘느. 눈물반짝 2001.02.16 4545
1132 [카르카시비판]수많은 악플과 비판에 맞아죽기를 고대하며... 35 기타리새디스트 2003.05.29 8285
1131 [퍼온글] 기타와 다른악기와의 쉽지않은 중주에 관하여...(오모씨님의 글) 5 2004.04.11 6254
1130 [퍼온글] 녹터널, 리브라 소나티네등의 곡설명 1 왕초보 2000.11.10 4802
1129 [펀글] 편곡 연주에 대한 셰인님의 견해 형서기 2001.01.15 4071
1128 [펌] 피아졸라에 관한 글 3 삐아솔라 2003.07.16 6702
1127 [화음] 그것이 알고 싶다. 42 금모래 2009.10.15 17291
1126 ^^ 그런거 같아요 망상 2000.12.14 3982
1125 ★ Krystian Zimerman 마스터 클래스 후기 ★ 28 으니 2003.06.09 5620
1124 ★★★ 화음의 진행 27 file bluejay 2003.09.03 8620
1123 ☞ #, b 가 다른 음인가요? (이명동음에 대해서...) 지우압바 2000.12.21 6062
1122 ☞ Chaconne.. 롱롱 2001.05.21 4156
1121 ☞ copyleft라고 쓰는 이유는... 지우압바 2000.10.25 4253
1120 ☞ Feuilles d'automne op.41에 대해 illiana 2001.04.22 4155
1119 ☞ NAXOS의 Laureate(월계관)시리즈 고정석 2001.02.24 4339
1118 ☞ NAXOS의 기타음반에 관한 이야기 매니악 2000.12.25 4229
1117 ☞ Sunburst 를 좀 연습해봤는데요.... 안진수 2000.11.25 5253
1116 ☞ The Best of LAGQ 2000.12.02 4317
1115 ☞ ☞ #, b 가 다른 음인가요? (이명동음에 대해서...) filliads 2000.12.21 4369
1114 ☞ ☞ Sunburst 를 좀 연습해봤는데요.... 안진수 2000.11.25 5797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