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62.26.209) 조회 수 4396 댓글 2
무명씨님의 자유게시판글을 퍼왔습니다.



가시적으로 본다면 몇몇 기획사의 상품들에 의한 주도권 장악이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울 국민의 획일적 사고 방식 때문이 아닐까요?
어떤 브렌드의  상품이 인기를 끌면 때거지로 그것을 구입하고
어떤 영화가 뜨면 때거지로 그것을 보고
어떤 노래가 알려지면 그것만 듣게되는 획일성.

물론 이런 문화의 획일성은 울나라만 국한 된 게 아니고
자본주의 국가라면 어디서나 발생하는 현상이겠죠.
첨단의 광고는 우리의 욕구를 넘어 욕망을 부주키고
심할 경우 그 욕망을 만족시키지 못할 때는 이유 모를 공허감마저 드니까요.
이처럼 자본과 기업의 힘은 막강하죠.
왕따되기 싫어하는 일반 대중의 기호를 자극하는 광고 전략은
획일성을 댓가로 몰개성을 요구하죠.
남들 하는 것은 해야 한다,
남들이 소유한 것도 소유해야 한다,
남들이 본 것도 봐야 하고
남들이 들은 것도 들어야 한다...
남들이 다 조기교육에 목매어서
한글을 깨우치기도 전에 영어 교육을 시켜야만 하고
논술고사도 이미 다 옳은 답변이 정해져 있으므로
비슷한 답변을 제시 해야만 대학에 들어가죠.

그렇게 무리를 지어 공감대가 형성되면
모든 것은 그길로 통하죠.
그러니까 에초티의 강트~아가 뺑소니 운전 했을 때
일부 광 팬들이 '그러면 좀 안되냐?' 는, 상식을 벗어난 소리들을 하는거고
승주니가 말을 번복해도
'그럴 수  있다'는 엄청 관용이 넘치는 말을 하는거죠.
내 울타리에 있는 것들은  
그것이 곧 정답이고 사실이거든요.
그 국물에 그 건더기인데도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책은 훑어 본 적도 없으면서
무조건 마틴 스콜세지 감독을 사탄의 무리로 규정 짓는 것도 그렇구요.
예수의 마지막 유혹 말이어요....
클래식 매니아들은 대중음악을 폄하하기 잘하고
메탈광들은 팝음악을 싸구려 취급하고
조폭 영화가 뜨면 개나 소나 조폭 영화 만들고
그것도 '대부' 같은 영화나 만들면 또 몰라...
눈물 찔끔 최루성 멜로 영화가 뜨니 또 개나 소나 그런 거만 만들고
(그래도 파이란은 좋더만..)
책을 고르는 기준도 베스트 셀러고
실제로 베스트 셀러가  진짜 베스트 인지는 의심할 여지가 많건만.
실제로 우리가 선택하는 것이
진짜 우리가 선택하는 걸까요?
보이지 않는 그 무엇이
우리의 선택을 강요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물론 그 사회의 공유된 문화는 존재할 수 있겠죠.
그런데 문제는 그렇게 공유된 문화를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이
너무 고착되어 있는 것은 아닐까...그런 생각이 간혹 듭니다.
어쩌면 우리는 "아이~ 좋아"를 반복하여 따라하는
텔레토비 일당들은 아닐까...그런 생각을 해봅니다.

원래의 얘기로 돌아와서...

울나라 대중음악이 죽은 이유는
취향이 하향 평준화 되어서 그래요.
초중고들의 절반 이상이 에초티와 쥐오디에 매료되었다는 것은
그 연예인들의 능력의 대단함을 증명하는 것일지는 몰라도
반대로 획일화된 음악 취향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죠.
사람은 저마다 다른 디엔에이를 가지고 태어 나는 법이라서
누구는 클래식을 좋아 할 수 도 있고(물론 그안에서 모짜르트의 음악을 싫어 할 수도 있겠고 바그너의 음악을 좋아 할 수도 있겠죠)
또 누구는 헤비메탈 음악을 좋아 할 가능성도 있을거고
재즈가 취향에 맞을 수도 있는 문제이거든요.
그런데 왜 대개 땐쓰에 몰입할까요?
땐쓰가 인간의 디엔에이 안에 기본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요소라서 그럴까요?
물론 땐쓰의 역사는 길고도 깊겠죠.
클래식 음악도 무곡을 떠나서는 생각할 수 없잖아요.
그런데 꼭 에초티나 쥐오디 풍의 땐쓰 음악만이 진짜 땐쓰음악인 걸까요?
헤비메탈도 얼마든지 춤 추기 좋고
프로디지의 테크노 음악도 춤추기 좋은 걸요.
그런데 울나라 티비에 나오는 가수 인형들을 보면
다 엇비슷한 노래풍에 가사...
모드나 색다른 스케일로 얼마든지 색다른 음악을 만들 수 있는데
맨날 그 국물에 그 국밥 같은 노래들만 나와요.
화려한 시퀸싱만 빼면(사실 울나라가 땐쓰 음악 시퀀싱은 잘하죠) 그저 알맹이 없는 뻔한 멜로디 라인.
가사도 마찬가지여요.
가사에 무슨 니체나 키에르케고르 같은 철학적 심오함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상투성과 유치함도 어느 정도가 있어야죠.
가사를 잘 들어보면 전부 사랑 타령.
사랑 타령이 나쁘냐구요?
아니죠. 사랑 타령도 나름대로 엄청난 의미 있는 것이죠.
마리아 릴케라는 시인의 말이 생각납니다.
어떤 학생의 "시를 시작하려는데 소재는 어떤 것이 좋겠느냐?"는 물음에
그는 이런 대답을 했다고 해요.
"가급적이면 연애시는 피하라..."구요.
왜냐하면 연애 감정이라는 것은 누구나 공감하는 것이고
서로 엇비슷한 감정과 경험을 공유하기 쉽기 때문에
그것을 문자화 하였을 경우 지극히 상투적인 표현이 나오기 쉽데요.
왜, 서점 가보면 3류 연애시들 많잖아요.
대개 옳은 말이기는 하지만
옳은 말도 반복해서 들으면 짜증나는 법이죠.
차라리 배트 미들러라는 여가수의 "더 로우즈"라는 가사가 몇십배 더
예술이여요...
어쨌든...
가사라는 것도 비슷한 내용을 자꾸 듣다보면
권태로움을 떠나서 지겹기까지 하죠.
음악도 그래요.
비슷한 풍의 음악을 자꾸 듣다보면
처음에는 좋게 들었다가도
나중엔 싫증나죠.
드뷔시도 아마 그랬나 봐요.
그는 자기 이전에 나온 피아노 곡들은 피아노 곡이 아니라고 했데요.
모짜트도 베토벤의 피아노 음악도  다 지겨울 정도로
그는 혁신적인 인간이었죠.
그래서 현대 음악의 모태가 된 것이고.
역시 개혁이라는 것은
과거의 연장선상에서 조금씩 변하기도 하지만
시대와 천재들의 요구에 따라
과거와의 단절을 꾀할 필요도 있는지도 몰라요.
어쨌뜬 요즘 울나라 음악들을 보니까
개혁에의 의지가 전혀 없더라구요...
매스컴과 짝짜꿍해가지고서는
팔아 먹기 바쁘죠.
자본력은 공룡 처럼 비대해져 가지고서는
뮤직비됴 찍는데 몇억...또는 몇 십억.
음반 한장 내는데 몇억
광고 비용으로 들어가는데 또 몇억
그 중에는 방송사 피디와 술먹느라고 날린 돈도 있겠죠.
그것도 고급 룸싸롱에서 말여요.
그런 공룡에게 기생하는 가수들은
제가 하고픈 음악도 몬하고(하긴 그런 역량이 있는 이들도 드물지만)
그저 기획사가 하라는 대로 따라해야 해요.
미국에서 라틴 댄쓰 음악이 뜬다더라,
리키 마틴풍이 먹힌다더라,
그러니 너도 이번 콘셉은 라틴 땐쓰로 가자...
그러니 가수들은 기획사의 시다바리 밖에는 안되는 거죠.
예외적 존재인 조용필 아저씨나 태지 오빠도 있긴 하지만...

그러니 몬생겼고
돈도 없고
나이도 많은 딴따라들은
음반 한장 내기도 힘들어요.
그들에게 죄가 있다면
못생겼거나
돈이 없거나
유행이라는 조류에 따르지 않았거나
워낙에 실력이 없었거나...뭐 그 중 하나겠죠.
실력 없음이야 지들이 판 무덤이라지만
얼굴 못생겨서 그렇다는 것은 좀 억울 하잖아요?

울나라 대중음악이 살려면
이런 획일성에서 벗어나야 하고
또 이런 획일성에서 벗어나려면
남북 통일이 되어야 해요.
그래서 일본처럼 인구가 최소 만명은 넘어야 하고
그러면 아무래도 다양한 음악을 접할 기회가 더 늘겠죠.
예를들면
음반 한장 내는데 5000만원이 든다고 해 봐요.
그런데 그 음반을 판매하는 레코드 회사의 입장에서 본다면
본전을 넘어 이윤은 남겨야겠죠. 기게 기업 논리 잖아요. 거기에 누가 돌던질 수는 없는 노릇이구.
그런데 본전을 찿으려면 장당 만원이라고 쳐도
이것저것 제작비로 대략7000만원을 투자한 회사 입장에서는
최소 7000장은 팔아야 본전치기는 되거든요.
그런데 어떤 뮤지션이 '미니말리즘 음악'이라는, 다소 난해 하기도 하고 지루할지도 모를 쟝르를 들고 나온다고 하면,
회사측은 머리 굴려 계산하겠죠.
그래서 목표치에 도달할 것 같으면 그 사수와 계약하고 음반 발매하는 거고
안될 것 같으면 거들 떠 보지도 않는거죠.
왜냐하면 그들은 장사꾼이니까요.
뭐, 그들에게도 기업 논리라는 것은 적용이 될 테니까요.
그런데 도전을 좋아하는 성향을 가진 사장을 둔 어떤 회사가
아까 그 가수의 음반을 용기 있게 발매 했다고 치죠.
그런데 결과는 5000장 밖에 안팔린 거예요.
손해 봤죠...그래도 또 한번 용기를 내고 2집 음반을 냈더니
이번에도 또 '꽝'
그러면 더 이상 투자할 의욕을 잃을 거여요.
그런 아픔을 맛 보았으니 다시는 그런 쟝르의 음악에 돈을 걸지 않을 거고
그게 그 바닥에 소문이 나버리면
그 쟝르는 말 그대로 쪽박차는 거죠.
뭐니뭐니 해도 음반이 현 시대의 가장 탁월한 음악의 보급 역할 을 해 주니까요.
안그랬으면 우리가 어디서 롤랑디용을 알 수 있겠어요?
어쨌거나 그런 논리라면
인구가 많은 일본이나 미국에서라면 얘기가 달라지죠.
우리보다 인구가 두~세,네 배 많다는 애기는
아까의 그 '미니말리즘' 음반을 구매하려는 불특정 다수가 더 많이 존재할 거라는 막연한 추측도 해 볼 수 있을거구요.
그러면 아까의 손실은 금방 채워 질 수 있겠죠.
그래서 인구가 많은 나라의 경우
비대중적 음악까지도 주류 음악과 함께 공생할 수 있는 것일지도 몰라요.
드물긴 하지만 그래도 비주류 음악을 듣는 층이 존재하고 또 그들로 인해 음반사의 재정적 이익이 보장되는 환경 아래에서라면
얼마든지 그런 비주류 음악들도 생산되어 지고 또 보급되어질 수 있는 것이죠.
물론 그 나라의 음악 듣는 다양성도 어느 정도 보장이 되어야 하는 문제지만.
그러니 인구 5000만 인 울 나라에서는 어림도 없어요...

사족 : 위의 글 중 현실과 다른 점이 있다면 실제로 음반 한장당 레코드 회사가 챙기는 몫이 10000원 씩이나 되진 않아요..가수들 몫도 떼어줘야 하고 거기에 도/소매상 마진까지 생각하면...실제로 음반 팔아서 이윤을 남기는 것은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니죠. 그 때문에 현 울나라 음반 업계도 비상인거고...

다음 애기는 나중에...
휙~(도망가는 소리)





무명씨의 자유게시판글을 퍼왔습니다...
가시적으로 본다면 몇몇 기획사의 상품들에 의한 주도권 장악이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울 국민의 획일적 사고 방식 때문이 아닐까요?
어떤 브렌드의  상품이 인기를 끌면 때거지로 그것을 구입하고
어떤 영화가 뜨면 때거지로 그것을 보고
어떤 노래가 알려지면 그것만 듣게되는 획일성.

물론 이런 문화의 획일성은 울나라만 국한 된 게 아니고
자본주의 국가라면 어디서나 발생하는 현상이겠죠.
첨단의 광고는 우리의 욕구를 넘어 욕망을 부주키고
심할 경우 그 욕망을 만족시키지 못할 때는 이유 모를 공허감마저 드니까요.
이처럼 자본과 기업의 힘은 막강하죠.
왕따되기 싫어하는 일반 대중의 기호를 자극하는 광고 전략은
획일성을 댓가로 몰개성을 요구하죠.
남들 하는 것은 해야 한다,
남들이 소유한 것도 소유해야 한다,
남들이 본 것도 봐야 하고
남들이 들은 것도 들어야 한다...
남들이 다 조기교육에 목매어서
한글을 깨우치기도 전에 영어 교육을 시켜야만 하고
논술고사도 이미 다 옳은 답변이 정해져 있으므로
비슷한 답변을 제시 해야만 대학에 들어가죠.

그렇게 무리를 지어 공감대가 형성되면
모든 것은 그길로 통하죠.
그러니까 에초티의 강트~아가 뺑소니 운전 했을 때
일부 광 팬들이 '그러면 좀 안되냐?' 는, 상식을 벗어난 소리들을 하는거고
승주니가 말을 번복해도
'그럴 수  있다'는 엄청 관용이 넘치는 말을 하는거죠.
내 울타리에 있는 것들은  
그것이 곧 정답이고 사실이거든요.
그 국물에 그 건더기인데도
일부 개신교가 천주교를 싸잡아 매도하는 것고 그렇구요,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책은 훑어 본 적도 없으면서
무조건 마틴 스콜세지 감독을 사탄의 무리로 규정 짓는 것도 그렇구요.
예수의 마지막 유혹 말이어요....
클래식 매니아들은 대중음악을 폄하하기 잘하고
메탈광들은 팝음악을 싸구려 취급하고
조폭 영화가 뜨면 개나 소나 조폭 영화 만들고
그것도 '대부' 같은 영화나 만들면 또 몰라...
눈물 찔끔 최루성 멜로 영화가 뜨니 또 개나 소나 그런 거만 만들고
(그래도 파이란은 좋더만..)
책을 고르는 기준도 베스트 셀러고
실제로 베스트 셀러가  진짜 베스트 인지는 의심할 여지가 많건만.
실제로 우리가 선택하는 것이
진짜 우리가 선택하는 걸까요?
보이지 않는 그 무엇이
우리의 선택을 강요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물론 그 사회의 공유된 문화는 존재할 수 있겠죠.
그런데 문제는 그렇게 공유된 문화를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이
너무 고착되어 있는 것은 아닐까...그런 생각이 간혹 듭니다.
어쩌면 우리는 "아이~ 좋아"를 반복하여 따라하는
텔레토비 일당들은 아닐까...그런 생각을 해봅니다.

원래의 얘기로 돌아와서...

울나라 대중음악이 죽은 이유는
취향이 하향 평준화 되어서 그래요.
초중고들의 절반 이상이 에초티와 쥐오디에 매료되었다는 것은
그 연예인들의 능력의 대단함을 증명하는 것일지는 몰라도
반대로 획일화된 음악 취향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죠.
사람은 저마다 다른 디엔에이를 가지고 태어 나는 법이라서
누구는 클래식을 좋아 할 수 도 있고(물론 그안에서 모짜르트의 음악을 싫어 할 수도 있겠고 바그너의 음악을 좋아 할 수도 있겠죠)
또 누구는 헤비메탈 음악을 좋아 할 가능성도 있을거고
재즈가 취향에 맞을 수도 있는 문제이거든요.
그런데 왜 대개 땐쓰에 몰입할까요?
땐쓰가 인간의 디엔에이 안에 기본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요소라서 그럴까요?
물론 땐쓰의 역사는 길고도 깊겠죠.
클래식 음악도 무곡을 떠나서는 생각할 수 없잖아요.
그런데 꼭 에초티나 쥐오디 풍의 땐쓰 음악만이 진짜 땐쓰음악인 걸까요?
헤비메탈도 얼마든지 춤 추기 좋고
프로디지의 테크노 음악도 춤추기 좋은 걸요.
그런데 울나라 티비에 나오는 가수 인형들을 보면
다 엇비슷한 노래풍에 가사...
모드나 색다른 스케일로 얼마든지 색다른 음악을 만들 수 있는데
맨날 그 국물에 그 국밥 같은 노래들만 나와요.
화려한 시퀸싱만 빼면(사실 울나라가 땐쓰 음악 시퀀싱은 잘하죠) 그저 알맹이 없는 뻔한 멜로디 라인.
가사도 마찬가지여요.
가사에 무슨 니체나 키에르케고르 같은 철학적 심오함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상투성과 유치함도 어느 정도가 있어야죠.
가사를 잘 들어보면 전부 사랑 타령.
사랑 타령이 나쁘냐구요?
아니죠. 사랑 타령도 나름대로 엄청난 의미 있는 것이죠.
마리아 릴케라는 시인의 말이 생각납니다.
어떤 학생의 "시를 시작하려는데 소재는 어떤 것이 좋겠느냐?"는 물음에
그는 이런 대답을 했다고 해요.
"가급적이면 연애시는 피하라..."구요.
왜냐하면 연애 감정이라는 것은 누구나 공감하는 것이고
서로 엇비슷한 감정과 경험을 공유하기 쉽기 때문에
그것을 문자화 하였을 경우 지극히 상투적인 표현이 나오기 쉽데요.
왜, 서점 가보면 3류 연애시들 많잖아요.
대개 옳은 말이기는 하지만
옳은 말도 반복해서 들으면 짜증나는 법이죠.
차라리 배트 미들러라는 여가수의 "더 로우즈"라는 가사가 몇십배 더
예술이여요...
어쨌든...
가사라는 것도 비슷한 내용을 자꾸 듣다보면
권태로움을 떠나서 지겹기까지 하죠.
음악도 그래요.
비슷한 풍의 음악을 자꾸 듣다보면
처음에는 좋게 들었다가도
나중엔 싫증나죠.
드뷔시도 아마 그랬나 봐요.
그는 자기 이전에 나온 피아노 곡들은 피아노 곡이 아니라고 했데요.
모짜트도 베토벤의 피아노 음악도  다 지겨울 정도로
그는 혁신적인 인간이었죠.
그래서 현대 음악의 모태가 된 것이고.
역시 개혁이라는 것은
과거의 연장선상에서 조금씩 변하기도 하지만
시대와 천재들의 요구에 따라
과거와의 단절을 꾀할 필요도 있는지도 몰라요.
어쨌뜬 요즘 울나라 음악들을 보니까
개혁에의 의지가 전혀 없더라구요...
매스컴과 짝짜꿍해가지고서는
팔아 먹기 바쁘죠.
자본력은 공룡 처럼 비대해져 가지고서는
뮤직비됴 찍는데 몇억...또는 몇 십억.
음반 한장 내는데 몇억
광고 비용으로 들어가는데 또 몇억
그 중에는 방송사 피디와 술먹느라고 날린 돈도 있겠죠.
그것도 고급 룸싸롱에서 말여요.
그런 공룡에게 기생하는 가수들은
제가 하고픈 음악도 몬하고(하긴 그런 역량이 있는 이들도 드물지만)
그저 기획사가 하라는 대로 따라해야 해요.
미국에서 라틴 댄쓰 음악이 뜬다더라,
리키 마틴풍이 먹힌다더라,
그러니 너도 이번 콘셉은 라틴 땐쓰로 가자...
그러니 가수들은 기획사의 시다바리 밖에는 안되는 거죠.
예외적 존재인 조용필 아저씨나 태지 오빠도 있긴 하지만...

그러니 몬생겼고
돈도 없고
나이도 많은 딴따라들은
음반 한장 내기도 힘들어요.
그들에게 죄가 있다면
못생겼거나
돈이 없거나
유행이라는 조류에 따르지 않았거나
워낙에 실력이 없었거나...뭐 그 중 하나겠죠.
실력 없음이야 지들이 판 무덤이라지만
얼굴 못생겨서 그렇다는 것은 좀 억울 하잖아요?

울나라 대중음악이 살려면
이런 획일성에서 벗어나야 하고
또 이런 획일성에서 벗어나려면
남북 통일이 되어야 해요.
그래서 일본처럼 인구가 최소 만명은 넘어야 하고
그러면 아무래도 다양한 음악을 접할 기회가 더 늘겠죠.
예를들면
음반 한장 내는데 5000만원이 든다고 해 봐요.
그런데 그 음반을 판매하는 레코드 회사의 입장에서 본다면
본전을 넘어 이윤은 남겨야겠죠. 기게 기업 논리 잖아요. 거기에 누가 돌던질 수는 없는 노릇이구.
그런데 본전을 찿으려면 장당 만원이라고 쳐도
이것저것 제작비로 대략7000만원을 투자한 회사 입장에서는
최소 7000장은 팔아야 본전치기는 되거든요.
그런데 어떤 뮤지션이 '미니말리즘 음악'이라는, 다소 난해 하기도 하고 지루할지도 모를 쟝르를 들고 나온다고 하면,
회사측은 머리 굴려 계산하겠죠.
그래서 목표치에 도달할 것 같으면 그 사수와 계약하고 음반 발매하는 거고
안될 것 같으면 거들 떠 보지도 않는거죠.
왜냐하면 그들은 장사꾼이니까요.
뭐, 그들에게도 기업 논리라는 것은 적용이 될 테니까요.
그런데 도전을 좋아하는 성향을 가진 사장을 둔 어떤 회사가
아까 그 가수의 음반을 용기 있게 발매 했다고 치죠.
그런데 결과는 5000장 밖에 안팔린 거예요.
손해 봤죠...그래도 또 한번 용기를 내고 2집 음반을 냈더니
이번에도 또 '꽝'
그러면 더 이상 투자할 의욕을 잃을 거여요.
그런 아픔을 맛 보았으니 다시는 그런 쟝르의 음악에 돈을 걸지 않을 거고
그게 그 바닥에 소문이 나버리면
그 쟝르는 말 그대로 쪽박차는 거죠.
뭐니뭐니 해도 음반이 현 시대의 가장 탁월한 음악의 보급 역할 을 해 주니까요.
안그랬으면 우리가 어디서 롤랑디용을 알 수 있겠어요?
어쨌거나 그런 논리라면
인구가 많은 일본이나 미국에서라면 얘기가 달라지죠.
우리보다 인구가 두~세,네 배 많다는 애기는
아까의 그 '미니말리즘' 음반을 구매하려는 불특정 다수가 더 많이 존재할 거라는 막연한 추측도 해 볼 수 있을거구요.
그러면 아까의 손실은 금방 채워 질 수 있겠죠.
그래서 인구가 많은 나라의 경우
비대중적 음악까지도 주류 음악과 함께 공생할 수 있는 것일지도 몰라요.
드물긴 하지만 그래도 비주류 음악을 듣는 층이 존재하고 또 그들로 인해 음반사의 재정적 이익이 보장되는 환경 아래에서라면
얼마든지 그런 비주류 음악들도 생산되어 지고 또 보급되어질 수 있는 것이죠.
물론 그 나라의 음악 듣는 다양성도 어느 정도 보장이 되어야 하는 문제지만.
그러니 인구 5000만 인 울 나라에서는 어림도 없어요...

사족 : 위의 글 중 현실과 다른 점이 있다면 실제로 음반 한장당 레코드 회사가 챙기는 몫이 10000원 씩이나 되진 않아요..가수들 몫도 떼어줘야 하고 거기에 도/소매상 마진까지 생각하면...실제로 음반 팔아서 이윤을 남기는 것은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니죠. 그 때문에 현 울나라 음반 업계도 비상인거고...

다음 애기는 나중에...
휙~(도망가는 소리)










  





  






  

Comment '2'
  • 무명씨 2002.01.28 11:49 (*.216.161.183)
    저 위의 기독교에 대한 얘기는 셰인님의 지적에 따라 일반화의 오류라는 생각이 듭니다..그 부분만 삭제해 주셔요.
  • 정슬기 2002.02.01 22:34 (*.37.144.81)
    잘 읽었습니다... 여러가지 생각이 떠오르는 글이네요. 특히 전반부의 얘기가 인상적입니다
?

  1. 음... 사라진 바하의 협주곡들... ㅡㅡ;

    Date2002.03.30 By신동훈 Views4925
    Read More
  2. 악상기호 x는 무슨뜻이죠?

    Date2002.03.28 By으랏차차 Views8193
    Read More
  3. 질문이여..

    Date2002.03.27 By모기 Views4352
    Read More
  4. 브람스의 주제와변주....

    Date2002.03.04 By호왈 Views4461
    Read More
  5. 나이트클럽 1960에서요...

    Date2002.03.04 By배우고싶어요 Views4519
    Read More
  6. [re] 클래식기타는 왜 일렉만 못할까?

    Date2002.02.13 By이레네오 Views4404
    Read More
  7. bouree`가 보뤼에요? 부레에요? 아니면 뭐라구 읽어요? (냉무)

    Date2002.02.13 By으랏차차 Views5228
    Read More
  8. [re] 한국에 사는것이...

    Date2002.02.12 By Views4258
    Read More
  9. 미국에서 사는 것이...

    Date2002.02.11 By셰인 Views5291
    Read More
  10. [re] 채보 요령

    Date2002.02.08 By지얼 Views8914
    Read More
  11. 채보가 뭐에여? ^^;;;

    Date2002.02.08 By아따보이 Views5957
    Read More
  12. 음악의 편가르기.....클래식과 대중음악등등.....의미없음.

    Date2002.02.01 By Views5214
    Read More
  13. 안트리오 얘기...

    Date2002.01.29 By채소 Views4216
    Read More
  14. 일랴나님... BWV1027-1029에 대해서!!!

    Date2002.01.28 By신동훈 Views7787
    Read More
  15. 진정한 대중음악은 죽고 쑈만남는이유...1

    Date2002.01.27 By Views4396
    Read More
  16. 클래식기타는 왜 일렉만 못할까?(퍼온글)

    Date2002.01.23 By Views7999
    Read More
  17. 원전연주의 의미

    Date2002.01.23 By으랏차차 Views4736
    Read More
  18. 동훈님, 바흐 1027,28,29 설명 좀

    Date2002.01.22 By일랴나 Views5168
    Read More
  19. 바하의 건반악기를 연주함에 있어...

    Date2002.01.17 By신동훈 Views5388
    Read More
  20. 바흐 평균율 곡집과 연주에 대하여...

    Date2002.01.17 By채소 Views10738
    Read More
  21. 음악사에 있어서 마지막 화가는 바흐다...

    Date2002.01.17 By채소 Views5220
    Read More
  22. 결혼식같은 곳에서 축가로 연주해줄수 있는 곡 어떤게 있을까요?

    Date2002.01.13 By화음 Views5319
    Read More
  23. 글렌굴드에디션의 바흐 골드베르그 바리에이션.

    Date2002.01.12 By기타랑 Views5284
    Read More
  24. 차차님~~~ 한번 심호흡하시구...

    Date2002.01.08 By신동훈 Views5746
    Read More
  25. 바흐의 영국조곡...

    Date2002.01.07 By으랏차차 Views4942
    Read More
  26. 사라장과 환상적인 카르멘조곡연주 ....플라치도 도밍고 지휘.

    Date2002.01.06 By Views6117
    Read More
  27. 아이렌다이즈에 대해서...

    Date2001.12.28 By으랏차차 Views5186
    Read More
  28. 암기의 이해와 암보력 향상을 위한 제안

    Date2001.12.17 By고정석 Views5549
    Read More
  29. 자유로운 영혼: 집시

    Date2001.12.17 By고정석 Views5732
    Read More
  30. 플라멩꼬 : 피맺힌 한의 노래, 눈물의 기타

    Date2001.12.17 By고정석 Views6325
    Read More
  31. 미니말리즘 좋아 하세요?

    Date2001.12.11 By채소 Views5041
    Read More
  32. 원전연주 이야기(14)원전연주 단체-사발과 에스페리옹20...二

    Date2001.12.06 By신동훈 Views4671
    Read More
  33. 원전연주 이야기(13)원전연주 단체-사발과 에스페리옹20...一

    Date2001.12.06 By신동훈 Views4435
    Read More
  34. 원전연주 이야기(12)원전연주 단체-쉬뢰더와 카펠라 사바리아...Dos

    Date2001.12.04 By신동훈 Views6229
    Read More
  35. 원전연주 이야기(11)원전연주 단체-쉬뢰더와 카펠라 사바리아...Uno

    Date2001.12.04 By신동훈 Views6022
    Read More
  36. 원전연주 이야기(10)원전연주 단체-피노크와 잉글리쉬 콘써트...이

    Date2001.12.03 By신동훈 Views4504
    Read More
  37. 원전연주 이야기(9)원전연주 단체-피노크와 잉글리쉬 콘써트...일

    Date2001.12.03 By신동훈 Views4451
    Read More
  38. 고음악에 대한 좋은 싸이트를 소개합니다.

    Date2001.11.29 By신정하 Views4890
    Read More
  39. 저..바흐의 류트곡에 대해서여..

    Date2001.11.29 By히로 Views4711
    Read More
  40. 바흐의 샤콘느를 듣고..

    Date2001.11.24 By채소 Views4459
    Read More
  41. 케키가 가장 졸껄여... ^^

    Date2001.11.23 By신동훈 Views4770
    Read More
  42. 작곡할때 쓰기 좋은 소프트웨어좀 알려주세요.

    Date2001.11.23 By렐리우스 Views4975
    Read More
  43. 바흐 샤콘의 비밀

    Date2001.11.19 By채소 Views6033
    Read More
  44. 1/f ???? !

    Date2001.11.15 By채소 Views7551
    Read More
  45. 원전연주 이야기(8)원전연주 단체-아르농쿠르와 콘첸투스 무지쿠스 빈...투

    Date2001.11.15 By신동훈 Views5164
    Read More
  46. 원전연주 이야기(7)원전연주 단체-아르농쿠르와 콘첸투스 무지쿠스 빈...원

    Date2001.11.15 By신동훈 Views4967
    Read More
  47. 외우는 법.

    Date2001.11.14 By석재 Views5145
    Read More
  48. [re] 악보가 안 외워질때...

    Date2001.11.13 By채소 Views5245
    Read More
  49. 악보가 안 외워질때...

    Date2001.11.12 By기타초보 Views6152
    Read More
  50. 기타녹음시 테크닉에 대하여...

    Date2001.11.04 By햇새벽 Views5584
    Read More
  51. 기타악보로편곡할때 도움이 돼는 좋은책이 있으면좀 알려주세요.

    Date2001.11.03 By렐리우스 Views4799
    Read More
  52. 원전연주 이야기(6)원전연주에 쓰이는 악기는...서이!!!

    Date2001.11.02 By신동훈 Views4938
    Read More
  53. 원전연주 이야기(5)원전연주에 쓰이는 악기는...둘!!

    Date2001.11.02 By신동훈 Views5566
    Read More
  54. 원전연주 이야기(4)원전연주에 쓰이는 악기는...하나!

    Date2001.11.02 By신동훈 Views4434
    Read More
  55. 원전연주 이야기(3)바하음악에 있어서 원전연주의 의미...

    Date2001.11.01 By신동훈 Views4856
    Read More
  56. 원전연주 이야기(2)요즘에 있어 원전연주가 필요항가...

    Date2001.11.01 By신동훈 Views4728
    Read More
  57. 원전연주 이야기(1)원전연주란...

    Date2001.11.01 By신동훈 Views4769
    Read More
  58. 우선 연주자와 음반부터...

    Date2001.10.31 By신동훈 Views4504
    Read More
  59. 동훈님이 고민하는 것 같아서 도움을 드리고자..

    Date2001.10.31 By일랴나 Views4635
    Read More
  60. 동훈님 바흐 작품중 원전연주로 된 음반 추천바랍니다

    Date2001.10.31 By일랴나 Views5321
    Read More
  61. 독일 바이얼린이스트 ........짐머만(짐메르만?)

    Date2001.10.29 By Views5084
    Read More
  62. 궁금한게 있습니다.

    Date2001.10.25 By양파 Views4458
    Read More
  63. 영화 여인의 향기 중에서...

    Date2001.10.23 By木香 Views4593
    Read More
  64. 늦었지만.... 녹음 기재 질문에 대하여

    Date2001.10.18 By셰인 Views4726
    Read More
  65. 헨델...하프시코드 조곡임당!!!(요건 쬐금 짧아여 ^^)

    Date2001.10.17 By신동훈 Views5965
    Read More
  66. 바하... 플루우트 소나타여~~~(겁나게 긴글...한번 생각하구 보셔여 ^^;)

    Date2001.10.17 By신동훈 Views5659
    Read More
  67. 동훈님 질문있슴다.

    Date2001.10.16 Byilliana Views4560
    Read More
  68. 바비맥플린 이야기.

    Date2001.10.05 By지얼 Views5038
    Read More
  69. 노래부르기...

    Date2001.10.05 By채소 Views4795
    Read More
  70. 지휘자 이야기...

    Date2001.10.03 By채소 Views5183
    Read More
  71. [re] 음악듣기.... 반성...

    Date2001.09.22 By지얼 Views4797
    Read More
  72. [re]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곡들....

    Date2001.09.18 Bywillie Views5017
    Read More
  73.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Date2001.09.08 By지얼 Views10231
    Read More
  74. 좀 늦었지만....

    Date2001.09.07 By기타랑 Views4209
    Read More
  75. 존윌리암스의 진짜 음색은?

    Date2001.09.06 By지얼 Views4681
    Read More
  76. 콩쿨에 도전하시려는분만 보셔요...

    Date2001.08.31 By Views5177
    Read More
  77. 음악듣기.... 반성...

    Date2001.08.26 By채소 Views4248
    Read More
  78. 영화속 기타이야기

    Date2001.08.26 By지얼 Views5997
    Read More
  79. ☞ 음악??

    Date2001.08.23 By채소 Views4960
    Read More
  80. 음악??

    Date2001.08.22 By강민 Views4433
    Read More
  81. ☞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곡들....

    Date2001.08.22 By셰인 Views4682
    Read More
  82. ☞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곡들....

    Date2001.08.22 By서정실 Views5063
    Read More
  83. ☞ 박자기... 써야되나요? 말아야되나요?

    Date2001.08.22 By지얼 Views4616
    Read More
  84.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곡들....

    Date2001.08.22 By지얼 Views4838
    Read More
  85. [질문]부에노스 아이레스조곡에 관하여 알고 싶습니다.

    Date2001.08.22 By장재민 Views4669
    Read More
  86. 숲 속의 꿈 말이죠

    Date2001.08.21 By인성교육 Views4719
    Read More
  87. 제 생각은...

    Date2001.08.20 By행인 Views4759
    Read More
  88. ☞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Date2001.08.17 By서정실 Views4316
    Read More
  89.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Date2001.08.17 By채소 Views4955
    Read More
  90. ☞ 기타 연주에 있어서 초견능력..

    Date2001.08.17 By서정실 Views6932
    Read More
  91. ☞ 기타 연주에 있어서 초견능력..

    Date2001.08.17 By채소 Views5906
    Read More
  92. 기타 연주에 있어서 초견능력..

    Date2001.08.17 By으랏차차 Views5536
    Read More
  93. ☞ 곡 난이도의 몇가지 평가기준..

    Date2001.08.17 By으랏차차 Views5412
    Read More
  94. 이해되지 않는국수?

    Date2001.08.16 By Views4628
    Read More
  95. ☞ 가장 연주하기 어려운곡은?

    Date2001.08.16 By지얼 Views4553
    Read More
  96. 가장 연주하기 어려운곡은?

    Date2001.08.16 By채소 Views6101
    Read More
  97. 메트로놈보다는....

    Date2001.08.15 Byuntouchable Views5139
    Read More
  98. ☞ 제 생각에는...

    Date2001.08.13 By木香 Views4821
    Read More
  99. ☞ 박자기... 써야되나요? 말아야되나요?

    Date2001.08.12 By문병준 Views5523
    Read More
  100. 박자기... 써야되나요? 말아야되나요?

    Date2001.08.12 By채소 Views6023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