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105.9.118) 조회 수 5473 댓글 0


안녕하세여 변소반장입니다.
오늘은 탱고의 역사에 대한 두번째 이야기이고요..
초창기에서 1910년대 까지의 이야기 입니다.

---------------------------------------------
탱고의 기원은 뚜렷하지 않습니다. 여기에는 많이 설들이 있고 그에 따른 많은 종류의 옹호자들이 있지만, 기록이 없어 진실을 알기는 불가능 할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역사책에 있는 흔적들을 들여다 보면 탱고는 빈민가 공동주택단지나 거리의 한 귀퉁이에서 가난하고 굶주린 사람들에 의해서 태어 났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우리가 알지 못하는 많은 댄서와 음악가들이 탱고에 모습을 주기 위하여 그들의 인생을 기꺼이 바친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19세기 중반에 초기의 탱고가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무대 위에 올려지게 되는데, 지금 우리가 듣는 탱고와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고 합니다. 그 시대의 탱고 밴드들은 플룻, 바이얼린, 기타, 솔로 피아노로 구성되어 주로 캬바레나 유곽 같은 곳에서 연주가 되었습니다. 유곽에 밴드가 있었다니… 요즘으로는 상상하기 어려운…

많은 탱고 오케스트라의 레파토리 중의 가장 오래된 곡은 Rosendo Mendizabal 이라는 사람이 클럽에서 피아니스트로 일하면서 채보한 곡이라고 합니다. 이 곡의 제목은 제가 잘 모르겠는데… 채보가 된 연도가 1890년대라고 합니다. 탱고의 역사가 이제 100년을 넘은 거라고 봐도 될 듯…

1905년 기타연주가이며 가수이기도한 Angel Villoldo 에 의하여 첫번째 위대한 탱고 곡이 작곡됩니다. 이 곡의 제목은 ‘El Choclo’ 로 탱고를 들어본 사람은 누가 들어도 “이것은 탱고야”라고 말할 수 있을 겁니다. 탱고를 들어본 사람들이 탱고를 구분 할 수 있냐 하는 것에 대한 기준이 좀 이상 할 수도 있겠지만 실제로 1890년의 탱고 곡들을 들어본다면 지금우리가 듣는 것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어서 이것이 과연 탱고 곡인가에 대하여 혼동스러운 경우가 많거든요. 그래서 실제로 탱고의 틀이 잡히기 시작한 점은 1905년이라고 볼 수도 있답니다. 어쩻든 Villoldo는 많은 유명한 곡들을 작곡했고 그의 곡들은 지금도 많은 탱고 오케스트라들이 연주를 한답니다. ‘첫번째 위대한 탱고예술가’(음 좀 이상하게 들릴지는 모르지만 아르헨티나 사람들은 그를 이렇게 부르더군요.. The First Great Tango Artist)인 Angel Villoldo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그렇게 많지는 않은데, 그가 작곡한 ‘El Choclo’는 그가 직접 공연했던 코미디 송(Comedy Song)이라고 하는군요. Choclo는 의미가 ‘옥수수의 속대’라고 합니다. 그러나 사실은 이 Choclo에는 두 가지 다른 의미가 있더군요. 당시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빈민들이 옥수수의 알갱이 외에 속대까지 같이 먹었다는 이야기 입니다. 그리고 이 의미와 다르게 좀 야한 예기로 남자들이 접근해도 좀처럼 안X는(음… 이 글을 읽는 연령층이 다양한 관계로 제 임의대로…^^;;;) 술집 접대부를 의미한답니다. Villoldo의 이 곡은 금방 그 의미가 잊혀져 버렸으나 1940년대에 탱고의 탄생의 의미하는 곡이라 하여 좀 더 서정적인 의미로 바뀌어 불려지고 있습니다.

20세기로 들어오면서 많은 수의 이탈리아인들을 포함한 유럽인들은 부에노스 아이레스로 이주를 하게 됩니다. 이 새로운 이주민들은 많은 서정적이고 감성적인 나폴리인들의 노래들을 함께 갖고 왔는데 이것들이 탱고의 멜로디의 아름다운 특징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곧이어 아마도 1910년 쯤에 탱고의 상징적인 악기인 반도네온이 독일로부터 이주해 온 이주민이나 항해사들로부터 부에노스 아이레스에 도착하게 됩니다. 반도네온이라는 악기가 탱고에서 차지하는 범위는 굉장히 큰 부분이랍니다. 탱고에서 반도네온을 빼고 예기하는 것은 우리가 기타를 빼고 클래식기타음악을 예기하는 것과 같은 거라고 할 수 도 있겠지요. 어떤 평론가 혹은 역사가들은 반도네온이 부에노스 아이레스에 오게 된 것을 “탱고가 부에노스 아이레스에 도착했다” 라고도 한답니다. 이 악기에 대한 예기는 전에 음악가 게시판에 써 놓은 것이 있고요… 아마도 프랑스 혹은 독일에서 발명되었고 독일에서 생산된 악기로 가난한 시골교회에서 오르간의 역할을 대신 해주는 데 사용되던 악기이지요. 아코디언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지만 배우기는 아마도 세계에서 제일 어려운 악기라고 하네요. 어쩻든 이 무겁고 우울하고 아름다운 음색의 악기는 탱고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거대한 영역을 차지하게 됩니다. 1912년에 탱고의 첫번째 레코딩 스타이자 반도네온주자인 Juan Maglio 가 “Pacho”라는 곡을 플륫, 바이얼린, 기타, 반도네온으로 구성하여 녹음하게 되는데 이 음반이 성공을 거둠으로써 반도네온은 탱고에서 중심적인 악기로 자리잡게 됩니다.

탱고 음악을 발전시키는 가장 큰 원동력은 탱고 춤 이었습니다. 그리고 세계에 탱고음악은 소개 시킨 것도 춤이었습니다. 아르헨티나에서 보통보다 조금 잘사는 가정의 젊은이 들은 유럽에서 공부를 많이 합니다. 아르헨티나는 세계에게 가장 잘사는 국가 중 하나 이거든요. 그런데 이 젊은이들의 많은 수가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사창가나 클럽같은데서 시간을 보내고, 그곳에서 탱고 춤을 배웁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춤 잘 추는 애들은 주로 이런 곳에서 노는(?) 애들 이져… 어쩻든 이들은 유럽의 파리등지의 사교클럽 같은데서 탱고를 추게 되고 유럽 사람들과 파리는 탱고 음악과 춤에 열광 하게 됩니다. 곧 이 탱고는 전 유럽으로 퍼져 나가 수많은 탱고 메니아들이 생겨나고 1913년은 역사가들에게 ‘The Year of the Tango’라고 불릴 정도로 유럽은 탱고와 사랑에 빠지게 된답니다.

이 시대의 탱고의 가사는 일반적으로 유머러스한 곡이 많았습니다. 위에서 예를 든 Villodo 의 곡 ‘El Chochlo’ 처럼 유머스럽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 거리에서의 사람들의 삶을 노래한 것이 대부분이었습니다. 1915년에 Pascual Contursi 는 기존에 있던 곡에 Mi Norche Triste라는 제목으로 가사를 붙여 넣었습니다. 그리고 포크송 그룹인 Gardel-Razzano 듀엣으로 어느정도 이름이 알려져 있는 Carlos Gardel이 1917년에 이 곡을 레코딩 하게 됩니다. (이 시대에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가장 유명한 음악의 장르는 포크송 이었답니다.) Gardel이 부른 이 곡의 가사는 덧없는 사랑의 열정, 고통 등을 주제로 한 것인데 이 시대에 이런 노래를 부른 다는 것은 쎈세이셔널했나 봅니다. 그래서 이 탱고 곡의 반향은 실로 엄청 났다고 합니다. Mi Norche Triste는 굉장한 성공을 거두고 이 이후 모든 탱고의 레파토리는 사랑이라는 주제로 바뀌게 되고 탱고가 전세계적인 음악으로 되게 됩니다. Gardel은 이곡 하나로 Spanish를 사용하는 모든 나라의 스타가 됩니다. Gardel의 발자취에는 많은 이야기 들이 있는데 ‘탱고이야기(2)’에서 많은 부분 언급했으므로 그에대한 예기는 조금만 하고여… 간단히 언급하자면 가난한 프랑스 이주민의 사생아로 태어나 탱고의 전설적인 인물이 된 이야기와 그의 따듯한 인간성, 다양한 재능, 44세에 비행기 사고로 죽게 된 비극적인 죽음, 그의 사랑스러운 음색… 그리고 탱고가수이자 작곡가로서 전세계에서 명성을 얻은 것과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영원한 상징….등등…

1916년 피아니스트이자 당시의 최고로 성공한 탱고밴드의 리더인 Roberto Firpo는 Gerardo Mattos Rodriguez라는 젊은 우루과이사람의 행진곡을 듣게 되고 Roberto는 이곡을 탱고로 만들 것을 결심 하게 됩니다. 후에 Pascual Contursi가 이 곡에 잃어버린 사랑에 대한 이야기로 가사를 붙여 Gardel의 노래로 레코딩 하게 되는데, 탱고의 역사상 가장 유명한 곡인 이곡의 제목은 ‘La Cumparsita’ 이고 탱고의 영원한 주제곡으로 남게 됩니다. 근데 이곡은 사실 당시에는 그렇게 유명하지는 않았었습니다(전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곡이 아니라는 뜻…). 이 곡이 유명해진 이유는 M.M.이라는 약자를 사용하는 유명한 여배우인 마릴린 먼로가 영화 ‘7년만의 외출’(솔직히 자세히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에서 이 곡을 배경으로 탱고춤을 추는 씬 덕분에 유명해 진 것이지요. 이 영화를 그 시대 전인구의 약10%가 관람했다고 하니… 할말 없습니다. Roberto Firpo는 자신의 탱고밴드를 두대의 반도네온, 두대의 바이얼린, 피아노, 더블베이스로 구성하였는데 이 구성은 스탠다드한 탱고 섹텟의 표준입니다.


흠냐리 길다… 여기까지가 1910년대 까지 탱고에 역사적으로 주요한 인물이나 곡들에대한 이야기를 해봤습니다.
다음에는 1920년대 이후 1935년의 탱고의 황금시대 이후 2차 세계대전후의 침체기에 대한 탱고이야기를 함 해보고여… 그리고 시간이 되면 뉴 탱고에 대해서도 하고여…
제가 다 쓰고 읽어 보니까 재미는 없네여…
사진이 맘에 들는지 모르겠네여… ^^ 탱고댄서들의 춤추는 장면중 하나...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3 악보. 1 오리지날 2006.02.22 6615
512 악보가 안 외워질때... 2 기타초보 2001.11.12 6167
511 악보게시판에 올려주세여~ -.-;; 형서기 2000.08.08 4484
510 악보를 찾는데여...부탁해여 redfoot 2000.11.23 4029
509 악보방의 악보짱에게 부탁하면 빠른데. 곰팽이 2000.11.23 4215
508 악상기호 x는 무슨뜻이죠? 6 으랏차차 2002.03.28 8202
507 안개낀 장충당 공원 8 file 항해사 2006.11.18 13298
506 안나 비도비치의 bwv1006 를 듣고나서..^^ 기타라 2000.12.28 5817
505 안녕하세요 서울기타콰르텟 한형일입니다 file 10현 2022.11.14 1885
504 안녕하세요 음악파일을 찾구있어요 2 scotch 2009.03.30 13683
503 안녕하세요 찾고 있습니다. 1 학생 2009.06.12 13027
502 안녕하세요. 숙젠데..^^; 도레미파 솔라시도.. 이름의 유래에대해 알고 싶습니다. 6 hesed 2004.04.06 7242
501 안빨라..글구 그거 아냠. 형서기 2000.11.24 4036
500 안타깝게도... 미니압바 2000.11.25 3944
499 안트리오 얘기... 5 채소 2002.01.29 4226
498 안티-세고비아의 힘. 2001.03.04 6161
497 알리리오 디아즈랑, 오스카길리아얘긴 왜 없죠? 2000.12.28 4046
496 알프스 산중의 즐거운 무곡... 가보트 6 이브남 2004.11.18 6158
495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13 지얼 2001.09.08 10244
494 알함브라 분석 3 분석론 2015.09.07 15152
493 알함브라. sophia 2000.08.19 4840
492 암기의 이해와 암보력 향상을 위한 제안 1 고정석 2001.12.17 5552
491 암보를 했다는 건 이제야 시작할 준비가 되었다는 뜻.... 12 아이모레스 2005.09.30 6122
490 암보에 대해... 꼭 외워야 하는가??? 16 쏠레아 2005.07.25 8560
489 앗 8개의 글이 몽조리 지워졌군요... 4 2001.05.22 4725
488 앙헬 로메로의 샤콘느 2 orpheous 2003.03.26 4852
487 앙헬 로메로의 아랑훼즈 협주곡.. 형서기 2001.02.19 4640
486 앤드류요크의 4중주곡 Spin 가지고 계신분 없나요? 2004.08.02 4922
485 야마시다의 연주! 조치요! 음반방장 2000.10.08 4356
484 야마시다의 연주가 최고가 아닌가요? 김상근 2000.10.08 4746
483 야마시따 연주를 보고.. giny 2000.12.27 4010
482 야마시따가 빠르다고요? 2000.12.20 4142
481 야마시타 11 천지대야망 2003.06.20 5239
480 야마시타 그는 누구인가?! 답변좀부탁 크흐 2001.02.15 4259
479 야마시타 비디오를 보고.... 야마시타 오버액션에 관한 이야기 기타랑 2000.12.28 3949
478 야마시타가 연주한 '전람회의 그림, 신세계 교향곡'을 듣다... 왕초보 2001.01.17 4551
477 야마시타의 비디오를 보고 왕초보 2000.08.23 4775
476 양쉐페이를 듣고 나서 왕초보 2001.02.21 4207
475 어.. 눈물반짝 2000.12.18 4049
474 어... 눈물반짝 2000.12.18 4014
473 어...그건(?) 보내드렸구여.. 뽀짱 2000.12.26 4233
472 어느 사형수의 아침... 2001.01.11 4393
471 어느 사형수의 아침...을 듣고. 4 지얼 2001.07.17 4906
470 어떤님 홈페이지에 들갓는대 어디에있는지 몰겟어염ㅠ 2 하하8089 2005.05.09 6891
469 어떤분들에겐 클래식음악하는분들이 어떻게 보일까? 5 2003.03.19 5356
468 어려운 일은 아니져!!!!! 형서기 2000.10.20 4971
467 어려운 일은 아니져!!!!! 2000.10.20 4058
466 어머나 오모씨님....대단,,,, 놀라워요.... 지영이 2000.11.07 4436
465 어제 오모씨랑 빌스마에 대하여 다퉜다. 2000.11.05 4228
464 어쿠...감사!!!!!!!!!!! 형서기 2000.09.01 4542
463 업그레이드된 야마시다.. 2000.08.23 4692
462 에구...3대 협주곡이였군요.....--;; 화음 2001.01.22 4189
461 에로틱한 기타의 선율 -- 야마시타 카즈히토 고은별 2001.01.05 4216
460 에릭클랩튼 ' Layla'에 대해서 뭐 좀 여쭤보겠습니다... 2 bradpitt 2009.06.29 21024
459 에일리언퓨전재즈 1 ZiO 2005.01.20 5398
458 엔니오 모리코네와의 대담 5 대담 2014.08.02 8588
457 엘레나 파판드로양에게 갔다왔어요? 2000.07.20 4596
456 엘레나 파판드루 이승한 2000.07.26 4721
455 엘리엇 피스크의 마스터클래스..... 고형석 2000.06.11 4994
454 엘튼 존 jazzman 2004.09.25 5162
453 여러분들이 생각하시는 소르 2중주의 베스트는? 미니압바 2001.01.26 4520
452 여러분이 생각하는 차세대 거물(?)은? illiana 2000.09.16 4542
451 여섯개의 은빛 달빛, 망고래의 생과 시간들. (리차드 디. 스토우버) 3 file 데스데 리 2004.05.24 4955
450 여음을 오래 남기는 방법좀. 16 밀롱가. 2006.09.19 9092
449 역대 파리콩쿨 수상자 명단 illiana 2000.10.28 4924
448 역사상 최초의 녹음 - Mary had a little lamb. 1 file 정천식 2003.12.20 8034
447 역사적으로 볼 때... 미니압바 2000.12.28 4232
446 역시 고수님들 이십니다. 지우압바 2000.09.28 4548
445 역시~디용.....Roland Dyens 의 인터뷰.............(97년 soundboard잡지) 8 맹구 2004.03.23 5336
444 연주 녹음 1 sanuri 2018.11.26 4890
443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곡들.... 1 지얼 2001.08.22 4839
442 연주들을때 프로들의 특징. 5 file 궁금이 2010.09.23 17728
441 연주에 관한 몇가지 단상들.......(과객님의 글을 퍼왔습니다.) 2002.04.10 4258
440 연주에 대해서...("존 윌리암스 스펙트럼"관련)(어쩌면여^^) 1 2003.10.12 6695
439 연주에 있어서, 고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 4 gmland 2003.03.25 5005
438 연주와 나이 7 niceplace 2003.04.23 5256
437 연주할때 아마추어의 특징. 34 file 궁금이 2010.09.16 18932
436 연주회 후기에 대해... 65 쏠레아 2007.10.03 17027
435 연주회장도 악기랑 똑같네요. 2001.03.09 4044
434 영서부님 지우압바연주 왜 안올리셔요? 2000.09.28 4625
433 영화 여인의 향기 중에서... 5 木香 2001.10.23 4603
432 영화속 기타이야기 2 지얼 2001.08.26 6002
431 영화음악 씨리즈 (1)... 프렐류드, 바흐! 8 이브남 2004.11.25 6454
430 영화음악 씨리즈 (2)... 골드베르크와 양들의 침묵... 6 이브남 2004.11.30 7281
429 영화음악 씨리즈 (3)... 발키리의 행진... 4 이브남 2004.12.06 6146
428 영화음악 씨리즈 (4)... Paint It Black! 이브남 2004.12.14 6042
427 예술가와 예술작품.................................지얼님의 명언(퍼온글) 2005.01.13 5803
426 예술과 기타매니아와 현실 23 금모래 2008.06.30 14987
425 예술과 돈. 20 2005.01.11 6262
424 예술과 시대의 예술 3 2005.01.13 4912
423 오늘의 명언 한마디 보시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 모모 2024.04.24 279
422 오디서 구하지? 2001.03.28 4313
421 오디오에서 디지털의 매력 (audioguy) 3 2006.07.23 6531
420 오디오에서의 24 bit 기술 file np 2006.07.24 7211
419 오디오에서의 아날로그의 매력 ( 레거리즘) 콩쥐 2006.07.21 5732
418 오르는길과 내려가는길..... 2000.12.21 4159
417 오모씨만 보슈~ 예진아빠 2001.02.12 4750
416 올해의 어록....."튜닝은 전주곡이다." 5 콩쥐 2006.08.26 6623
415 완벽한 트레몰로란? J.W. 2003.11.04 5875
414 왕야맹을 아시나요?...16살소녀. 말괄량이 2000.05.26 4910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