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101.29.82) 조회 수 4706 댓글 0
많이는 모르겠는데 아는 만큼 이야기 해보자면...

C#과 D♭ 과 같은 경우는 몇 가지 더 있습니다. 장조의 경우 G♭과 F#, C♭과 B 가 그렇고,
단조의 경우 a#과 b♭, e♭과 d#, a♭과 g#이 그런 경우입니다.

이는 작곡자가 어디에 기준을 두고 작곡하는가에 의해 결정됩니다. 즉 #을 기준으로 했는지
또는 ♭을 기준으로 했는가 인데... 뒤에서 다시 이야기하겠지만 이처럼 기준을 달리하는 건
각 조에는 풍기는 뉘앙스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입니다.

우선 조성이 뭔지를 알려면 "평균율"이란 걸 알아야 하는데...
윗 글에서 지우압바께서 각 조성의 뉘앙스와 같이 잘 설명해 주셨네요 ^^

G#과 A♭의 혼용은 서양악보의 기보상 생길 수 있는 것 정도로 보면 되지 않을까요.

보통 #계열의 조성에서 임시표는 되도록 #을, ♭계열의 조성에서는 ♭을 사용토록
하는게 일반적인 경우입니다. 독보상 그런 것이 덜 헷갈리기도 하구여.

혹시 보신 "코르도바" 악보가 "에밀리오 푸홀" 편곡의 듀엣 곡 인거 같은데...
지가 보기에는 고 부분에서 2nd 기타의 음이 B(시)에서 B(시)♭로 반음 하향하는데,
그런 분위기를 맞출려고 1st 기타에선 일부러 A(라)♭에서 G(솔)#으로 표기 한 듯 싶네여 ^^;

그리구 제가 말하고자 하는 건 각 조의 성격인데...

바하의 나단조 "미사",베에토벤의 다단조 "운명교향곡",올림다단조 "월광소나타"등은 그 곡의
조만 보아도 대충 성격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각 조는 그 나름대로의 특징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이 문제는 그동안 많은 논란을 거듭해오고 있으며 찬반론이 엇갈리고 있죠.

우리나라 음악처럼 5음(도,레,미,솔,라)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큰 문제는 안되죠. 억지로
우겨 넣자면 "솔"을 기본음으로 하는 평조는 "사장조"로 "라"를 기본음으로 하는 계면조는
"가단조" 정도로 보면 될런가 모르겠네요.

그러나 반음을 사용하는 서양음악에서는 의미가 있는 부분입니다.
이는 12개의 반음을 기본음으로 장,단조 각각 24개의 조들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사실 평균율 조율법이 생겨 모든 반음의 음가를 동등하게 보게 되었기 때문에 각 조의
근원적인 차이점은 없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절대음정 표준음 "라(A)"의 진동수에 대한
개념도 과거 200년 동안 여러번 바뀌었으나 우리가 각조의 성격을 이해하는데 별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라(A)"음은 보통 440Hz-445Hz 피치(pitch)에 맞추어 조율합니다만 원전연주를 하는
합주단에서는 415Hz로 거의 반음이 낮은 "솔#(G#)"에 가까운 조율을 하기도 합니다.
뭐 이 조율이 바로크 당대의 것과 가장 유사한 조율법이라나...

여하간 음악이란게 듣고난 것의 해석이 머리 속에 남아 하나의 보이지 않는 형체를 상상력속에
남기게 되고 조성에 대한 해석은 사용된 임시표의 수효, 그리고 중앙조인 "도(C)"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고 이 때 작곡자가 선택한 조성 또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
작곡자가 어떤 곡의 조를 선택할 땐 그가 성장하며 접해온 음악적 요인들이 잠재되어 있다가
조의 결정에 작용하게 되는거죠.

여기서 잠깐 바로크시대 당시의 개념으로 본 조의 성격을 간단히 열거해 보면 교회선법 중의
하나인 "도리안(Dorian)음계"의 성격은 오늘날 "d(라)단조"와 같습니다. 또한 "D(라)장조"조성은
현을 사용하는 악기의 화려한 기교를 과시할 때 잘 사용되었습니다. "g(사)단조"는 바로크시대의
장엄한 의식용 음악에 잘 쓰였으며 목가적인 "G(사)장조"는 독일 남부에서,"F(바)장조"는 북부에서
즐겨 사용했다 합니다.

이건 각 조성에 대한 저의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인데...

장조의 경우 #의 숫자가 많아 질수록 곡이 가볍고 화려해집니다. 5개 이상 넘어가면 화려하다
못해 탁해질 정도로 음의 농도가 짙어집니다. 약간 웅장하고 무거운 느낌이 들기도 하구...

반면에 ♭의 수효가 증가하면 곡이 시원하고 차분해지죠. 이것 역시 5개 이상 넘어가면
분위기가 너무 가라 앉게 됩니다. 놀이공원에서 바이킹을 타고 난 후의 느낌 정도 @.@

단조의 경우 #의 숫자가 많으면 이상하리 만큼 곡이 가벼워지고 은근히 사람의 애간장을 타게
하죠. 뭐라고 해야 하나... 우리의 민족정서라는 "한"이 맺힌 듯한 느낌이랄까 T.T

그리고 ♭이 많으면 곡이 장엄해지며 한편으로는 답답하기도 하죠. 유럽의 암울하고
어두웠던 중세시대를 연상하면 될거 같네요.

또 저는 이런 성격을 색(色)에도 비교하는데...
중,고등학교 미술시간에 색상표나 만셀의 색상환을 보셨으리라 짐작하는데...

12 색상표를 보면 빨강 부터 자주까지 원으로 둘러 있죠. 더 세밀히 24,색48색, 이런 식으로
색상을 추가 시키는데 이 원을 반으로 딱 잘라보면 오른편은 따뜻하고 밝은 색(빨강,노랑,
연두 등등)들이,왼쪽은 차갑고 어두운색(녹색,파랑,남색 등등)들이 있습니다.
이 중 전자를 장조,후자를 단조의 음색으로 생각하면 어떨런지요 ^^

그리고 이 원을 좌,우대각선으로 나누어서...

윗부분(자주,빨강,다홍 등등)은 장조에서 #이 증가되는 경우로,아랫부분(녹색,청록,파랑
등등)은 ♭이 증가되는 조로 비유할 수 있겠네요. 또 우측(주황,노랑,연두 등등)은 단조에서
#이,좌측(남색,보라,자주)은 ♭이 증가하는 조에 비유할 수 있지 않을까 싶구...

색상환의 경우 축에 12색상을 기준으로 축에서 밖으로 나갈수록 명도는 증가하지만 채도는
떨어지는데,즉 색이 밝아지는 대신 탁해진다는 뜻입니다. 역시 #이나 ♭이 증가할 수록 각 조의
독특한 성격을 보이는 대신 음색은 탁해지고 흐려진다는 뜻입죠.

이건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생각이니까... 뭐라 하지 마세요 ^^;

그럼 좋은 시간 보내세요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13 로드리고... 안달루즈 협주곡 25 file eveNam 2004.01.25 7576
1012 합창교향곡... 에리히 라인스도르프... 3 file eveNam 2004.01.25 6862
1011 LP를 CD로 만들기 정천식 2004.01.24 5483
1010 LP예찬 7 정천식 2004.01.22 5579
1009 정경화의 샤콘느... 5 eveNam 2004.01.22 5499
1008 1월 16일 배장흠님 Recuerdos 연주회 후기 8 으니 2004.01.17 7575
1007 프랑코 코렐리를 추모하며 7 정천식 2004.01.05 6427
1006 천사의 죽음 - Suite del Angel 5 file 차차 2004.01.05 7874
1005 카운터 테너와 카스트라토 그리고 소프라니스트(수정) 2 정천식 2004.01.04 11292
1004 산사나이들의 밝고 유쾌한 노래 3 정천식 2003.12.29 6963
1003 해피보이님께.................거지의 사랑노래(?) 4 정천식 2003.12.29 8984
1002 시간여행 : 800년 전의 음악은 어땠을까요? 8 file 정천식 2003.12.28 5707
1001 가사의 얽힘과 그 이후의 역사적 전개과정 정천식 2003.12.28 4976
1000 조스캥 데프레의 미제레레... 헤레베헤... 17 eveNam 2003.12.27 6130
999 이탈리안 각설이 타령 9 정천식 2003.12.27 6174
998 성악에 있어서의 목소리 분류 21 file 정천식 2003.12.27 6759
997 가사 내용 및 배경 정천식 2003.12.26 5111
996 그라나도스의 또나디야 - La maja dolorosa No.1 정천식 2003.12.26 7333
995 그라나도스의 "영원한 슬픔" 정천식 2003.12.26 4777
994 로마 교황청 : 이 곡을 외부로 유출시 파문에 처하노라 - Allegri의 Miserere 13 정천식 2003.12.25 5999
993 인간이 낼 수 있는 가장 낮은 목소리는? 7 정천식 2003.12.25 8686
992 키프니스의 매력적인 노래(2) 정천식 2003.12.23 6088
991 박두별 선생님... 12 지나가는띨띨이 2003.12.23 7220
990 키프니스의 매력적인 노래 정천식 2003.12.23 8611
989 반주자의 위상 2 정천식 2003.12.23 6687
988 1920년대의 디지털 녹음????????? 5 정천식 2003.12.22 9002
987 정천식님께... BWV1025에 대한 견해입니다... 19 eveNam 2003.12.21 7992
986 역사상 최초의 녹음 - Mary had a little lamb. 1 file 정천식 2003.12.20 8074
985 전설의 부활 - 위젠느 이자이의 연주 8 정천식 2003.12.19 5712
984 世네car.... 님....이 궁금해 하시는 것들... 17 eveNam 2003.12.19 5358
983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19 정천식 2003.12.19 5998
982 종소리의 여러가지 버전... file 궁금이 2003.12.19 5072
981 [re] 바로크시대의 연주 스타일.... ^^ 5 eveNam 2003.12.19 7216
980 박두별 선생을 아시나요? 3 정천식 2003.12.18 5413
979 문제의 제기 4 정천식 2003.12.18 5733
978 바이올린소나타 BWV1017의 첫악장.... eveNam 2003.12.17 7248
977 베드로의 통곡 8 정천식 2003.12.17 5764
976 [re] Milan Tesar 의 "Merry-go-round" 1 file 옥용수 2003.12.12 5256
975 [re] Milan Tesar 의 "Intermezzo" file 옥용수 2003.12.12 4998
974 [re] Milan Tesar 의 "Aria" file 옥용수 2003.12.12 4713
973 Milan Tesar 의 "Aria" 1 file 옥용수 2003.12.12 7067
972 [까딸루냐 자장가] Mareta, mareta, no'm faces plorar 8 eveNam 2003.12.11 7276
971 '상인의 딸' 가사입니다. 1 정천식 2003.12.10 5544
970 Morel - Gershwin Medley 2 정천식 2003.12.10 5178
969 [까딸로니아 민요] La pastoreta 10 file 옥용수 2003.12.10 6496
968 [까딸로니아 민요] El mestre file 옥용수 2003.12.10 5973
967 [까딸로니아 민요] L'hereu Riera file 옥용수 2003.12.10 5512
966 [까딸로니아 민요] La nit de Nadal file 옥용수 2003.12.10 5659
965 [까딸로니아 민요] La filla del marxant 4 file 옥용수 2003.12.10 7371
964 [까딸로니아 민요] La filadora 2 file 옥용수 2003.12.10 6100
963 [까딸로니아 민요] El testament d'Amelia (내용추가) 1 file 옥용수 2003.12.10 7848
962 [까딸로니아 민요] El Noi de la mare file 옥용수 2003.12.10 5000
961 [까딸로니아 민요] Canco del Lladre 5 file 옥용수 2003.12.10 6383
960 [re] Vieaux의 연주로 들어보는... 3 file 옥용수 2003.12.09 6660
959 호르헤 모렐이 누구야? 9 정천식 2003.12.09 6815
958 페라이어... 이건 에러야~ -_-; 3 file eveNam 2003.12.08 8066
957 12월 6일 도메니코니 연주회 후기 - I'm just a guitar player. 6 으니 2003.12.08 8496
956 잘자요 3 권희경 2003.12.07 6734
955 Mikulka의 연주 - The toy soldiers 정천식 2003.12.07 7432
954 깔레바로 - Tamboriles 1 정천식 2003.12.03 4808
953 깔레바로의 깜뽀 - 베니테스의 연주 6 정천식 2003.12.03 5208
952 매력적인 쇼루 - 그대는 어디를 떠돌고 있나 1 정천식 2003.12.02 5529
951 쇼루(Choro)에 대하여 3 정천식 2003.12.02 8521
950 The girl from Ipanema(오오하기 야스지) 1 정천식 2003.12.01 6475
949 피아졸라 - 천사의 죽음(원곡) 2 정천식 2003.11.30 6977
948 피아졸라 - 천사의 죽음(베니테스) 8 정천식 2003.11.30 9368
947 피아졸라의 Oblivion(망각) 7 정천식 2003.11.29 7495
946 피아졸라의 밀롱가 3 정천식 2003.11.28 7292
945 [re] 피아졸라의 음악은 과연 탱고인가 ? 51 gmland 2003.11.28 7296
944 피아졸라의 대표곡은? 5 정천식 2003.11.27 7903
943 혹시 Leonardo Balada의 Apuntes for Four Guitars 들어볼수 있을까요? 옥용수 2003.11.26 10656
942 도깨비불의 노래 4 정천식 2003.11.20 4847
941 음악과 수학(1) - 음악의 엔트로피 33 file bluejay 2003.11.20 7497
940 [re] 당시엔 이런게 유행이었나봐요... ^^ 3 file eveNam 2003.11.19 5168
939 John Dowland의 "What if I never speed"의 악보 1 file 정천식 2003.11.19 11477
938 Bach의 푸가의 기법 12번에 대하여 7 file 정천식 2003.11.19 8021
937 바흐의 역행 카논 1 file 정천식 2003.11.19 8371
936 적어도 이 두곡 만큼은여... 2003.11.18 4947
935 유명연주자의 트레몰로감상후기(러쎌, 바루에코,윌리암스) 64 2003.11.18 6269
934 황병기 가야금 작품집을 추천합니다. 6 고정석 2003.11.17 11719
933 한국 전통음악 좋은곡으로 추천해 주셔여~~^^ 19 2003.11.17 9365
932 류트조곡 연주자소개.(사랑방님의 글) 2003.11.17 7186
931 밥할때 불의세기. 2 2003.11.16 7143
930 [re] 악기별 트레몰로 주법 gmland 2003.11.16 12301
929 비욘디와 에우로파 갈란테의 레코딩 모습... 비발디..."con molti strumenti" 8 eveNam 2003.11.11 5967
928 데이비드 러셀의 옛 내한공연에 대한 질문입니다.. 18 으니 2003.11.10 5582
927 트레몰로~ 5 j.w 2003.11.10 5880
926 트레몰로의 교과서연주. 20 2003.11.09 6631
925 트레몰로에 대한 변증법적(?)인 고찰..........(지얼님글 퍼온글) 3 2003.11.09 6159
924 트레몰로에 대한 투정. 2 2003.11.09 6365
923 클래식 기타의 "꽃" 트레몰로... 11 2003.11.05 10217
922 트레몰로 주법의 처리 7 gmland 2003.11.05 6758
921 완벽한 트레몰로란? J.W. 2003.11.04 5919
920 트레몰로에 관하여 18 트레몰로미친 삐꾸 2003.11.04 5944
919 파크닝의 알함브라... 2 pepe 2003.11.01 6662
918 Gila's lullaby 1 ansang 2003.10.31 9470
917 bluejay님 미국사라여? 3 2003.10.28 6751
916 La Guitarra California 2003 (후기) 7 bluejay 2003.10.28 7384
915 연주에 대해서...("존 윌리암스 스펙트럼"관련)(어쩌면여^^) 1 2003.10.12 6744
914 sadbird 라는 곡.. 1 아따보이 2003.10.12 5933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