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일랴나님이 아래 올리셨던 파리 국제 기타 콩쿨 입상자 명단만으로는 연주가의 면면을 review하기 힘들죠.
그래서 1회 대회부터의 입상자 중 중요 인물들의 간략한 프로필과 중요 활동상황을 덧붙인 업그레이드판을 올려봅니다.


[파리 국제 기타 콩쿨 역대 입상자 review]

'59: 1회
1위: 공석
2위: 공석

'60: 2회
1위: Mijndert Jape (네덜란드)
2위: Marc Franceries (프랑스. 자국에서 교수활동)

'61: 3회
1위: Konrad Ragossing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음악아카데미 기타과 교수로 후진양성. 연주, 녹음, 출판 등 다방면의 활동으로 유명)
2위: Michel Roger (프랑스)

'62: 4회
1위: Alberto Ponce (스페인. 파리음악원에서 기타과 주임교수로 활동. 상당수의 중진 기타리스트를 교육, 배출하여 연주가로서 뿐만 아니라 교육자로서도 명망이 높음)
2위: Per Olof Johnson (스웨덴. 코펜하겐 왕립음악원 교수. 후에 스웨덴 등 북구의 기타계와 욀란 쇨셔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침)

'63: 5회
1위: Oscar Ghiglia (이탈리아. 대단한 거물로서 상세한 것은 출전기 참고)
2위: 공석

'64: 6회
1위: Barbara Polasek (체코. 독일 뮌헨에서 교수활동)
2위: Brigitte Zaczec (오스트리아)
공동 2위: Aldo Minella (이탈리아. 밀라노를 중심으로 연주 및 교수활동을 했으며 현재에도 바이올리니스트인 딸과 2중주 연주활동을 병행하고 있음. 자주 일본에서 연주)

'65: 7회
1위: Turibio Santos (브라질. 리오데자네이로에서 교수, 연주활동을 했으며 과거 빌라-로보스의 연주의 권위자로 평가받았음)
*국내에서는 Erato에서 출시된 음반이 소개된 바 있으나 아쉽게도 전성기의 녹음이 본격적으로 소개된 바는 없음.
2위: Miguel Barbera Bisbal (스페인)
*이 연주자는 제 개인적으로 추억 속의 연주자인데 아주 오래전 국내에 그의 소품집이 라이센스로 출시된 바 있음(제가 처음 돈주고 산 음반)-올드팬들은 기억하실지도 모름..."로망스", "알함브라", "소르의 월광", "코스트의 뱃노래", "그라나도스의 안달루사" 등과 "소녀의 기도", "트로이메라이", "엘리제를 위하여"가 같이 정통 독주 연주로 수록되었던 음반임...

'66: 8회
1위: 공석
2위: Betho Davezac (우루구아이. 프랑스의 무동음악원 교수로 활동-출전기 참고)

'67: 9회
1위: Sergio Abreu (브라질. 동생 에두아르도와 함께 이중주 활동. 현재는 연주가로서의 길을 접고 뉴욕에서 기타제작가로 활약. 샤론 이스빈 등이 그의 악기를 사용)
*국내에도 아브뢰 형제의 앨범은 CBS 레이블로 1장 라이센스 소개된 바 있고 그 음반의 샤이들러作 소나타가 상당한 인기를 누림.
2위: Richard Riera (프랑스. 파리음악원에서 4회 우승자인 알베르토 퐁세의 조교로 활동했음)

'68: 10회
1위: Alfonso Moreno (멕시코.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 연주활동. 남미 레파토리에 탁월한 해석을 보이며 극동지역에서도 연주활동을 간간이 하고 있으나 내한연주회는 없었음)
2위: Eduardo Abreu (브라질. 9회 대회의 우승자인 세르지오의 동생)
공동 2위: Genevieve Chanut (프랑스. 역시 파리음악원에서 퐁세의 조교로 재직했음)
*에두아르도는 심사원 만장일치의 수석 2위.

'69: 11회
1위: 渡邊範彦 (Norihiko Watanabe. 일본. 아시아권 최초의 우승자)
2위: Dick Hoogeveen (네덜란드)

'70: 12회
1위: Valdimir Mikulka (체코. 두말할 필요없는 거장 중 한명. 현재에도 파리를 거점으로 활동중. 출전기 참고)
2위: Godlieve Monden (벨기에. 이 여류 연주자의 이름은 이에페스의 앨범들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과거의 것으로는 DG에서 출시된 로드리고의 "마드리갈 협주곡"에서 이에페스와 호흡을 맞추었으며 이후 RCA에서 이에페스와 역시 몇장의 듀오앨범을 녹음한 바 있음)

'71: 13회
1위: 공석
수석 2위: Jorge Oraison (우루구아이. 현재 네덜란드에서 연주활동을 하고 있으며 출중한 남미곡 앨범을 다수 녹음한 바 있으나 역시 국내에 소개가 부족했던 연주가임. 그의 삐아졸라 독주앨범은 수작 중 하나임)
차석 2위: Abraham Spector (미국. 유태인으로서 현재 이스라엘에서 연주 및 교수활동)

'72: 15회
1위: Monika Rost (독일. 통일 전 동독 출신의 연주가로 남편인 Urgen Rost와 함께 듀오활동)
2위: Arnaud Dumond (프랑스. 파리에서 연주 및 교수활동. 수년전 일본을 방문하여 녹슬지 않은 연주솜씨를 자랑한 바 있으며 최근에는 각 플렛이 모두 개별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디아파송 기타"를 선보임-이러한 기타는 평균율 보정을 위한 제작으로 19세기 라코드 기타에서도 이런 시도가 있었음. 출전기에 이 연주가의 글도 올라와 있으니 참고하시길)

'73: 15회
1위: Arnaud Dumond (전대회 2위 후 재도전. 결국 우승)
2위: Rafael Andia (프랑스. 역시 파리음악원에서 퐁세의 조교로 활동)

'74: 16회
1위: 공석
공동 2위: Kari Aikas (핀랜드) / Maria-Isabel Siewers (아르헨티나. 현재 영국에서 연주활동)
3위: Lubomir Brabec (체코. 이 연주가는 특히 음반활동에 정력적인 활동을 보인 연주가로서 흥미있는 음반을 많이 녹음했음. 방대한 레파토리의 소유자이며 음반이 크게 높게 평가받지는 못하지만 애호가의 자료로서 가치있는 녹음이 다수 있음)
*16회 대회는 2중주 부문의 연주콩쿨도 열렸으나 1위는 없었음.

'75: 17회-로베르 비달이 말한 바로 그 대회(별들의 전쟁).
1위: Roberto Aussell (아르헨티나. 파리를 중심으로 활동하다가 최근 거점을 옮겼다고 전해지며 두말할 나위없는 현역 최고의 남미계 거장 중 한사람)
수석 2위: Eduardo Fernandez (우루구아이. 뉴욕을 거점으로 활동중이며 메이저 레이블 Decca와 계약하여 좋은 음반을 다수 녹음하여 오히려 아우셀보다 널리 알려지게 됨. 역시 현역 최상급 연주가의 한명임은 주지의 사실임. 내한공연한 바 있음)
차석 2위: Miguel Angel Girolet (아르헨티나. 이 연주가의 이름이 비교적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상당한 실력파이며 상기 두사람처럼 역시 깔레바로의 지도를 받았음. 두드러지는 활동은 없으나 몇 안되는 그의 녹음은 상당히 수준 높은 연주를 들려주고 있음)

-계속-

P.S.
애고 힘들어...
일랴나님이 파리콩쿨 이야기는 뭐하러 겁없이 꺼내가지고...
그냥 모르는 척 할걸....
좀 쉬었다가 나머지 역대 수상자의 면면을 계속 review 해 보겠습니다.
작곡부문 review는 생략합니다...
그나저나 이 연재 끝나면 또 러시아 기타음악도 알려드리기로 했는데...
큰일이네 큰일...
차라리 궁금한 사람 모아놓고 그냥 말로 설명회를 하는 게 편하겠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13 요즘엔 이곡 연습하시는 분 없으세요? 김종표 2001.03.21 4562
1012 요즘.... 10 file 피망수프 2001.07.23 4915
1011 요즘 누가 세고비아 듣느냐구요?? ㅠ_ㅠ 10 아랑 2003.05.14 6483
1010 요즘 나온시디...바루에코. 2000.10.21 4112
1009 요즘 국내외 콩쿠르 곡 2 궁금 2015.03.12 13476
1008 요기... 화음 2000.08.20 4606
1007 왼손이여? 2000.10.25 4178
1006 외우는 법. 석재 2001.11.14 5176
1005 외람되옵지만 제가 한말씀만 더드리자면.... space 2001.05.18 4404
1004 왜 우리는 우리 민요를 기타로 연주한 명곡이 없는지 모르겠네요??? 3 file moosoh 2008.07.18 14248
1003 왜 아무도 답을 안 주시죠. 그러면 곡 올린 왕초보님께 부탁을.... illiana 2001.01.12 3943
1002 왕초보님의 글 옮김........pink floyd(핑크 플로이드) 2000.11.23 6770
1001 왕자는 아닌데요... 형서기 2000.10.25 4053
1000 왕야맹을 아시나요?...16살소녀. 말괄량이 2000.05.26 4952
999 완벽한 트레몰로란? J.W. 2003.11.04 5914
998 올해의 어록....."튜닝은 전주곡이다." 5 콩쥐 2006.08.26 6675
997 오모씨만 보슈~ 예진아빠 2001.02.12 4778
996 오르는길과 내려가는길..... 2000.12.21 4187
995 오디오에서의 아날로그의 매력 ( 레거리즘) 콩쥐 2006.07.21 5757
994 오디오에서의 24 bit 기술 file np 2006.07.24 7266
993 오디오에서 디지털의 매력 (audioguy) 3 2006.07.23 6570
992 오디서 구하지? 2001.03.28 4337
991 오늘의 명언 한마디 보시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 모모 2024.04.24 339
990 예술과 시대의 예술 3 2005.01.13 4941
989 예술과 돈. 20 2005.01.11 6294
988 예술과 기타매니아와 현실 23 금모래 2008.06.30 15046
987 예술가와 예술작품.................................지얼님의 명언(퍼온글) 2005.01.13 5832
986 영화음악 씨리즈 (4)... Paint It Black! 이브남 2004.12.14 6065
985 영화음악 씨리즈 (3)... 발키리의 행진... 4 이브남 2004.12.06 6172
984 영화음악 씨리즈 (2)... 골드베르크와 양들의 침묵... 6 이브남 2004.11.30 7314
983 영화음악 씨리즈 (1)... 프렐류드, 바흐! 8 이브남 2004.11.25 6483
982 영화속 기타이야기 2 지얼 2001.08.26 6035
981 영화 여인의 향기 중에서... 5 木香 2001.10.23 4628
980 영서부님 지우압바연주 왜 안올리셔요? 2000.09.28 4659
979 연주회장도 악기랑 똑같네요. 2001.03.09 4068
978 연주회 후기에 대해... 65 쏠레아 2007.10.03 17096
977 연주할때 아마추어의 특징. 34 file 궁금이 2010.09.16 18997
976 연주와 나이 7 niceplace 2003.04.23 5298
975 연주에 있어서, 고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 4 gmland 2003.03.25 5038
974 연주에 대해서...("존 윌리암스 스펙트럼"관련)(어쩌면여^^) 1 2003.10.12 6740
973 연주에 관한 몇가지 단상들.......(과객님의 글을 퍼왔습니다.) 2002.04.10 4294
972 연주들을때 프로들의 특징. 5 file 궁금이 2010.09.23 17788
971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곡들.... 1 지얼 2001.08.22 4872
970 연주 녹음 1 sanuri 2018.11.26 4970
969 역시~디용.....Roland Dyens 의 인터뷰.............(97년 soundboard잡지) 8 맹구 2004.03.23 5362
968 역시 고수님들 이십니다. 지우압바 2000.09.28 4589
967 역사적으로 볼 때... 미니압바 2000.12.28 4261
966 역사상 최초의 녹음 - Mary had a little lamb. 1 file 정천식 2003.12.20 8072
965 역대 파리콩쿨 수상자 명단 illiana 2000.10.28 4958
964 여음을 오래 남기는 방법좀. 16 밀롱가. 2006.09.19 9126
963 여섯개의 은빛 달빛, 망고래의 생과 시간들. (리차드 디. 스토우버) 3 file 데스데 리 2004.05.24 4984
962 여러분이 생각하는 차세대 거물(?)은? illiana 2000.09.16 4577
961 여러분들이 생각하시는 소르 2중주의 베스트는? 미니압바 2001.01.26 4548
960 엘튼 존 jazzman 2004.09.25 5191
959 엘리엇 피스크의 마스터클래스..... 고형석 2000.06.11 5035
958 엘레나 파판드루 이승한 2000.07.26 4768
957 엘레나 파판드로양에게 갔다왔어요? 2000.07.20 4638
956 엔니오 모리코네와의 대담 5 대담 2014.08.02 8644
955 에일리언퓨전재즈 1 ZiO 2005.01.20 5430
954 에릭클랩튼 ' Layla'에 대해서 뭐 좀 여쭤보겠습니다... 2 bradpitt 2009.06.29 21090
953 에로틱한 기타의 선율 -- 야마시타 카즈히토 고은별 2001.01.05 4242
952 에구...3대 협주곡이였군요.....--;; 화음 2001.01.22 4236
951 업그레이드된 야마시다.. 2000.08.23 4725
950 어쿠...감사!!!!!!!!!!! 형서기 2000.09.01 4587
949 어제 오모씨랑 빌스마에 대하여 다퉜다. 2000.11.05 4263
948 어머나 오모씨님....대단,,,, 놀라워요.... 지영이 2000.11.07 4465
947 어려운 일은 아니져!!!!! 형서기 2000.10.20 4997
946 어려운 일은 아니져!!!!! 2000.10.20 4088
945 어떤분들에겐 클래식음악하는분들이 어떻게 보일까? 5 2003.03.19 5392
944 어떤님 홈페이지에 들갓는대 어디에있는지 몰겟어염ㅠ 2 하하8089 2005.05.09 6932
943 어느 사형수의 아침...을 듣고. 4 지얼 2001.07.17 4935
942 어느 사형수의 아침... 2001.01.11 4417
941 어...그건(?) 보내드렸구여.. 뽀짱 2000.12.26 4263
940 어... 눈물반짝 2000.12.18 4054
939 어.. 눈물반짝 2000.12.18 4076
938 양쉐페이를 듣고 나서 왕초보 2001.02.21 4232
937 야마시타의 비디오를 보고 왕초보 2000.08.23 4804
936 야마시타가 연주한 '전람회의 그림, 신세계 교향곡'을 듣다... 왕초보 2001.01.17 4575
935 야마시타 비디오를 보고.... 야마시타 오버액션에 관한 이야기 기타랑 2000.12.28 3981
934 야마시타 그는 누구인가?! 답변좀부탁 크흐 2001.02.15 4288
933 야마시타 11 천지대야망 2003.06.20 5272
932 야마시따가 빠르다고요? 2000.12.20 4165
931 야마시따 연주를 보고.. giny 2000.12.27 4047
930 야마시다의 연주가 최고가 아닌가요? 김상근 2000.10.08 4775
929 야마시다의 연주! 조치요! 음반방장 2000.10.08 4388
928 앤드류요크의 4중주곡 Spin 가지고 계신분 없나요? 2004.08.02 4953
927 앙헬 로메로의 아랑훼즈 협주곡.. 형서기 2001.02.19 4670
926 앙헬 로메로의 샤콘느 2 orpheous 2003.03.26 4889
925 앗 8개의 글이 몽조리 지워졌군요... 4 2001.05.22 4767
924 암보에 대해... 꼭 외워야 하는가??? 16 쏠레아 2005.07.25 8594
923 암보를 했다는 건 이제야 시작할 준비가 되었다는 뜻.... 12 아이모레스 2005.09.30 6158
922 암기의 이해와 암보력 향상을 위한 제안 1 고정석 2001.12.17 5587
921 알함브라. sophia 2000.08.19 4870
920 알함브라 분석 3 분석론 2015.09.07 15210
919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13 지얼 2001.09.08 10284
918 알프스 산중의 즐거운 무곡... 가보트 6 이브남 2004.11.18 6188
917 알리리오 디아즈랑, 오스카길리아얘긴 왜 없죠? 2000.12.28 4077
916 안티-세고비아의 힘. 2001.03.04 6198
915 안트리오 얘기... 5 채소 2002.01.29 4254
914 안타깝게도... 미니압바 2000.11.25 3978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