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아래의 글은 일본의 기타 월간지인 '겐다이(現代)기타' 94년 3월호에 실린글을 이은호님이 번역하신것입니다.


빠코 데 루시아(Paco de Lucia)의 빠른 연주(速奏) 연구.

- 岡 弘祠 (오까 히로시) / 플라멩꼬 기타연주가 -

번역 : 이은호 / 한국 플라멩꼬 협회. (02) 517-0117


'빠코 데 루시아' (이하 '빠코'라 하겠슴.)가 플라멩코 기타 세계에서 두각을 나타낸지 20여년이 지났습니다. 그 이후, 빠코에 이은 기타 연주가들이 스페인으로 부터 많이 배출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도 '비센떼 아미고'를 필두로,'라파엘 미께','모라이토 찌코'등 셀 수 없는 많은 연주가들이 있읍니다. 그러나,그들도 빠코를 능가하는 일은 지극히 어려운것이라 생각하고 있읍니다. 그것은 빠코에게는 그들이 따라갈 수 없는 빠른 스케일, 그리고 곡의 중간 어디애서든 자유자재로 빠른 스케일을 사용하여 실수 없이 연주 하는 것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빠코의 곡 대부분이 이러한 스케일에 의한 음악의 진행이 개선되어 만들어진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이 글에서는 빠코와 같은 속도로, 예를들면 빠코를 초월하는 탄현방법에 관해서 생각해 보려합니다. 이 방법은 스케일을 빨리 연주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서술하는 것만은 아닙니다. 유일무이한 방법이라고 생각해 주시기 바랍니다.

서론이 길었읍니다만, 도대체 어떻게 해야만 스케일을 빠르게 할 수 있는가를 말해 보겠읍니다. 방법은, 간단히 말해 i, m 을 작고 날카롭게 움직이는 것이 절대적으로 스케일을 빠르게 연주할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작게(움직임), 날카롭게(음), 빠르게(스피드), 이 세 가지가 스케일의 3대 원칙입니다.

그러면 i, m 을 어느정도 작게 움직여야 좋을까요? 지금부터 실제 기타를 연주하면서 읽어보십시오.

오른손 i 손가락을 1번줄에 가볍게 대고, 칠 준비를 하십시요. 이 때 p 는 반드시 6번 줄에 얹어두어야 합니다. 그 다음 가볍게 i 손가락을 아뽀얀도(Apoyando:기대치기) 하여 2번 줄에서 정지시킵니다.

아래의 방법이 빠른 연주를 위한 최대의 요점이 되겠읍니다. 그것은 2번 선에서 정지한 i 손가락을 최초 1번 선을 아뽀얀도 하기 전 상태의 위치를 향하여 최단거리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1번 선 아래까지 크게 움직이는 것, 또는 2번 선에 멈추어 있는 i 를 반원을 그리면서 1번 선으로 되돌아가서는 안됩니다.

이렇게 하면 손톱 끝의 움직임거리가 4-5mm 정도라고 생각됩니다. 이런 방법이 잘 되지 않는 사람은 빨리 치지 마세요. 이런 요령이 이해가 되면 i 만 가지고 천천히 몇번이고 줄을 탄현해 보세요. 천천히 하더라도 1번 선의 음은 당연히 스타카토가 됩니다. 주의 할 점은 되돌아가는 때에 최소의 움직임만으로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큰소리가 나지않는다고 생각하는사람이 있을 수 있겠지만, 여러분은 스타카토를 i, m 으로 해보신 경험이 있으십니까? 1번 선 개방음을 i 로 치자마자, m 으로 가볍게 그 음을 죽이세요. 그리고 그 다음 음을 1번 선에 닿아있는 m 으로 아뽀얀도 하면 큰 소리가 나는 것입니다.

위의 방법이 이해가 되셨다면 i 와 m 을 번갈아 1번 선 개방현을 쳐 보십시요. 최소의 손가락 움직임을 지켜야 함을 잊지 마십시오.

두번째로 중요한 것은 i, m 손가락 부근으로 부터 제 2관절을 사용하여 움직이되, 자신의 눈으로 오른손을 보았을 때 그 움직임이 작을수록 좋습니다. 얼마나 작게 움직여야 좋을지는 i, m 으로 1번 선 개방현을 최소의 움직임으로 아뽀얀도 하여 작고 날카로운 탄현을 할 때 1번 선의 진폭과 거의 같게하면 손 끝도 이상적으로 작은 움직임이 되는 것입니다. i 와 m, 그리고 탄현하는 줄이 삼위일체가 되도록 움직여서 진동하는 것을 보면 빠코와 같은 간결하면서도 빠른 스케일을 연주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하여 점점 속도를 증가시켜 보십시요. p 는 반드시 6번 선 위에 두어야 합니다.

저 자신도 그런 식으로 연주하면서 이 방법을 작년 말부터 제자들에게 가르치며 실험해오고 있읍니다. 빠른사람은 10분정도의 레슨으로 이해를 하고, 적어도 일주일이면 누구든 개방현으로 작고, 날카롭고, 빠른 연주가 가능하게 됩니다. 즉. 이런 방법은 기타를 잘 치는 사람의 i, m 의 교호 움직임(손가락 번갈아 치기)과 같은 효과를 보게 됩니다.

i, m 으로 4, 5, 6번 줄 쪽을 칠 때에는 손의 위치도 함께 이동해야 합니다.

빠르게 연주하는 것은 요령만 이해만 된다면, 연령에 관계없이 50-60세의 노인이나 여성들도 빠코에 버금가는 정도까지 연주할 수 있으며, 젊은 층의 재능있는 사람이라면 빠코를 능가하는 정도도 가능하지요. 이런 방법으로 곧 자신의 스케일이 빠코의 속도에 근접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손톱의 길이(그다지 길지않은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손에 힘이 들어간다든가 하는 것은 관계없읍니다. 즉, 오른손은 화음이나 아르페지오를 연주하는 동안 손의 각도를 변화시키지 않는것, i 와 m 은 i 가 짧아서 i 를 쭉 펴는 사람이 있읍니다만, i 도 화음을 연주할 때와 마찬가지로 반원을 그리고 있는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한편, 이것은 저음 현보다 고음 현을 연주하는 스케일에 많이 적용됩니다만, 줄 별로 연주하면서 손가락의 움직임이 커졌다 작아졌다 한다면, 그 속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또, 이렇게 되면 어떤 곡이든 레퍼토리를 연주할 때에 별도로 스케일을 연습하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됩니다. 이런 연습은 클래식 기타연주에 있어서는 맞지 않을 수 있지만, 플라멩꼬 기타곡을 연주할 때에 실제로 사용하는 스케일 부분을 발췌하여, 그것을 1.가볍고 천천히 - 2. 천천히 강하게 - 3. 빠르고 가볍게 - 4. 빠르고 강하게 연습해 보세요.

언제까지나 빠른 스케일이 빠코만의 전속특허일 수 만은 없읍니다. 플라멩꼬 기타를 연주하는 사람들은 트레몰로나 아르페지오라면 빠코와 비슷하게 연주할 수 있는데, 빠른 스케일도 빠코와 같은속도로 연주할 수 있는 권리가 있기 때문입니다.

한번 물고 늘어져 봅시다. ^^;


Comment '2'
  • 김xx 2004.02.02 18:08 (*.180.99.50)
    ...
  • 하카란다 2006.05.27 19:30 (*.96.174.107)
    아 !!!!!!!!!!!!!!!!!!!!!!!!!!!!!!!!!!!!!!!!!!!!!!!!!!!!!!!!!!!!!!!!!!!!!!!!!!!!!!!!!!!!!!!!!!!!!!!!!!!!!!!!!!!!!!!!!!!!!!!!!!!!!!!!!!!!!!!!!
    이글 5687406409386789560734956875873048637405% 공감가는군요 정말 감사합니다.

  1. 시대의 변화와 기타의 음색...송형익

    Date2015.07.03 By Views8285
    Read More
  2. [re] 12 플랫에서 줄높이 측정하는 방법

    Date2003.12.02 By고정석 Views8249
    Read More
  3. 연주자 인터뷰

    Date2017.05.21 By Views8194
    Read More
  4. [카르카시] C장조 - andantion 선율....................[I]

    Date2002.10.31 By안티기타 Views8185
    Read More
  5. 여러사람앞에서 연주하면 실수하게 되는이유....

    Date2002.08.15 By Views8086
    Read More
  6. [카르카시] C장조 마침법

    Date2002.10.23 By안티기타 Views8045
    Read More
  7. Paco de Lucia의 빠른연주(速奏) 연구 -오까 히로시/ 번역 이은호

    Date2003.07.28 By고정석 Views7934
    Read More
  8. Hand exercise

    Date2001.08.19 By고정석 Views7927
    Read More
  9. ☞ 얼마나 배우면 잘할수있나요?

    Date2001.01.16 By장정현 Views7889
    Read More
  10. [카르카시] C장조 Preludio - 팔의 움직임

    Date2002.10.28 By안티기타 Views7825
    Read More
  11. 중요하지 않은콩나물에 대하여.

    Date2001.02.05 By Views7783
    Read More
  12. [re] /-_- 꼬릿말로 달다가.. 너무 길어서 걍 답글을 씁니다

    Date2004.05.04 By저도.. Views7776
    Read More
  13. 오른손 엄지와 바레에 대해서...

    Date2003.07.06 By채소 Views7735
    Read More
  14. 타레가의 오른손 자세와 음색의 특질[김남중님 논문중에서]

    Date2001.10.05 By고정석 Views7644
    Read More
  15. 탄현의 속도 - 강충모의 Q&A를 읽고(1) .....

    Date2002.05.30 By채소 Views7644
    Read More
  16. 세계3대 기타콩쿨.....퍼온글.

    Date2001.10.29 By Views7576
    Read More
  17. 바로에코의 오른손자세와 음색의 특질[김남중님 논문중에서]

    Date2001.10.05 By고정석 Views7554
    Read More
  18. 새내기는 첨에 오른손 손톱말고 살로 탄현하는기간이 필요합니다.

    Date2002.07.24 By Views7507
    Read More
  19. 부러진손톱을 위한 안내.

    Date2002.08.15 By Views7460
    Read More
  20. Pumping Nylon -by Scott Tennant- 에서 발췌한 왼손연습

    Date2003.04.14 ByBluejay Views7438
    Read More
  21. 페르난데스의 마스터클라스

    Date2003.08.12 By채소 Views7428
    Read More
  22. 트레몰로 주법입니다. 오디오 파일(ra)도 있구요. 비록 영문이긴 하지만 참고하세요

    Date2002.03.28 Bymeeyoung Views7397
    Read More
  23. 근육의 기억력

    Date2002.09.12 By새솔 Views7351
    Read More
  24. 초견과 암보는 어떻게.... 강충모의 Q&A 에서...

    Date2002.06.02 By채소 Views7333
    Read More
  25. "아포얀도 와 알아리레"에 관해서

    Date2002.03.26 By바람새 Views7288
    Read More
  26. 바루에코 최근 강의- 테크닉, Visualization, 암보

    Date2002.09.23 By새솔 Views7286
    Read More
  27. 페르난데스의 기타레슨.......차차를 위하여....

    Date2002.08.17 By채소 Views7250
    Read More
  28. On line guitar Lessons :Kevin R. Gallagher

    Date2001.01.16 By고정석 Views7146
    Read More
  29. 곡분석과 해석....그리고 결과!!!(안타님의 글)

    Date2003.04.28 By Views7091
    Read More
  30. [re] 기타 연주 훈련을 위한 방법론 비교.

    Date2003.07.27 By알함브라빈 Views7082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Next ›
/ 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