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안녕하세요. 저는 <원숭이도 이해하는 자본론>의 저자 임승수입니다.



제가 이번에 <글쓰기 클리닉>이라는 책을 출간했습니다.



제가 쓴 책들 <원숭이도 이해하는 자본론> <원숭이도 이해하는 마르크스 철학> <차베스, 미국과 맞짱드다> <세상을 바꾼 예술 작품들> 등으로만 저를 아는 분들은 제가 대학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했다는 사실을 알면 깜짝 놀랍니다.



사실 저는 대학 다닐 때 완전 글치 공학도였습니다. 글쓰기가 싫어서 리포트 A4 한 장 쓰는 것도 버거워 할 정도였죠. 그런 제가 인문 사회 분야 저자로서 살고 있으니, 가끔 저도 글 쓰다가 내가 뭘 하고 있나, 하면서 깜짝 놀랍니다. 그런 흔하지 않은 경력 때문인지, 모 대학 신문에 글쓰기에 관해서 몇 회 정도 연재할 기회가 있었는데요. 그때 연재했던 글의 반응이 무척 좋았다는 얘기를 듣고 글쓰기에 관한 책을 쓰는 것도 괜찮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마침 기회가 되서 이번에 <글쓰기 클리닉> 책을 출간하게 됐습니다. 이 책은 일반적인 글쓰기 책과는 많이 다릅니다.  글치 공학도였던 제가 인문 사회 베스트셀러 저자가 되면서 깨닫게 된 글쓰기의 노하우를 담았기 때문입니다. 책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의 예스24 주소를 방문하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yes24.com/24/goods/6078946



아래에는 <글쓰기 클리닉> 의 내용 중에서 들어가는 글을 옮겼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들어가며



글치 공학도, 글쓰기 책을 쓰다



‘헉! 내가 글을 쓰고 있다니. 내 글이 책으로 나와서 인문사회 베스트셀러가 되다니. 도저히 믿을 수 없다.’


많은 사람이 내가 대학에서 인문사회 분야를 전공했을 거라고 오해한다. 그도 그럴 것이 나의 대표작들이 《원숭이도 이해하는 자본론》, 《차베스, 미국과 맞짱뜨다》, 《원숭이도 이해하는 마르크스 철학》, 《세상을 바꾼 예술 작품들》 등 인문사회 분야의 책들이기 때문이다. 나는 학부와 대학원 모두 전자공학 관련 분야를 전공했다. 그렇다면, 전공은 차치한다 하더라도 원래 글쓰기를 좋아하지 않았느냐고 생각한다. 천만의 말씀이다. 학부 시절 인문사회 분야 교양수업을 들을 때면, A4 한 장 분량의 리포트 쓰는 것도 힘들어서 쩔쩔매던 사람이다.


그렇게 글쓰기라고는 죽는 것 다음으로 싫어하던 내가 황당하게도 인문사회 분야의 책과 글을 써서 생계를 해결하고 있다. 가끔은 글을 쓰다가 ‘내가 지금 뭘 하고 있는 거지?’ 하는 생각이 들면서 깜짝 놀라는 경우도 있으니 말 다했지 않나.


글쓰기 관련 책들의 저자들을 보면 유명 작가나 글쓰기로 단련된 기자, 아니면 국어학자가 대부분이다. 이들은 처음부터 글쓰기를 좋아하고 소질도 있어서 작가나 기자 그리고 국어학자를 꿈꿨고, 성공한 사람들이다. 운동선수로 치면 고등학교 때부터 수준급 선수로 이름을 날렸고 프로 무대에서도 주전으로 뛰는 엘리트 선수다. 그런데 스포츠계에는 스타선수가 스타감독이 되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속설이 있다. 왜일까? 아래의 우스개 글을 보면 이해가 될 것이다.



피구 : 측면을 돌파해. 그리고 크로스 올려. 쉽잖아?
선수들 : 의욕을 상실했다.



지단 : 공 가지고 있다가 앞으로 찔러줘. 그럼 찬스 나오잖아?
선수들 : 의욕을 상실했다.



베컴 : 프리킥 찰 때 골대 옆 5센티미터로 차란 말이야. 간단하잖아?
선수들 : 의욕을 상실했다.



호나우도 : 축구에서 제일 쉬운 게 골 넣는 거야. 골문이 보이면 그냥 차. 그럼 들어가잖아?
선수들 : 의욕을 상실했다.



마라도나 : 한발로도 5명은 제치는데 두발로 하는데도 그게 어려워?
선수들 : 의욕을 상실했다.



인터넷 게시판에서 우연히 발견한 글인데 왜 스타선수가 스타감독이 되기 힘든지를 아주 명쾌하게 보여주는 재미있는 글이다. 그렇다. 내가 한때 글치 공학도였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얘기가 있다. 처음부터 글쓰기에 소질이 있고, 글쓰기가 재미있어서 열심히 썼고, 결국 글쓰기로 성공한 사람들, 그런 사람들은 절대 모르는 글치 공학도만이 할 수 있는 얘기 말이다. 항상 3할 5푼을 치던 타자가 2할대 중반을 치는 타자의 마음을 이해할 수 없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의 마음을 누구보다도 잘 이해하고 있다고 자부한다. 나 자신이 글치 공학도였기 때문이다.


이 책을 쓰면서 기존에 출간된 글쓰기 관련 책들을 다양하게 검토했다. 대부분의 글쓰기 책들이 알차고 좋은 내용을 담고 있었으나 크게 아쉬운 점이 두 가지 있었다. 그것은 바로 ‘실용성’과 ‘재미’라는 측면에서다.


책은 무조건 실용적이어야 한다. 책을 만들었는데 쓸모가 없다면 종이가 된 나무에게 너무 미안하지 않겠나. ‘실용적’이라는 단어의 의미는 그 단어를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다. 하지만 적어도 내 입장에서는 책이 실용적이라고 하면 읽은 사람에게 그 즉시 도움이 되는 책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책은 글쓰기의 기술적인 문제를 단순 나열하는 경우가 많다. 솔직히 글쓰기의 기술적인 문제들은 책 한 권 읽는다고 하루아침에 해결되지 않는다. 지속적으로 글쓰기를 해야만 조금씩 개선되는 것이다. 그런 까닭에 기술적인 문제만을 나열한 책은 독자에게 바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바로 읽자마자 독자에게 도움이 되는 글쓰기 책! 나는 그런 책을 쓰고 싶었다. 이 책이 다른 글쓰기 책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구성을 취하고 있는 것은 그런 이유에서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책의 서두에서 글쓰기에 대해 가져야 할 태도와 자세를 문답 형식으로 풀어낸 부분에 있다. 이 기본적인 문답 내용을 숙지한다면 이후에 나오는 자기소개서, 기획서, 업무 이메일, 서평, 주장글 등의 상황별 글쓰기에 관한 내용은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다. 책의 후반부에 있는 문장강화 내용은 바로 당장 필요한 기본적인 내용만을 위주로 구성했다. 이미 얘기했듯이 문장강화와 관련된 기술적인 문제는 하루아침에 개선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처음부터 너무 자세한 내용을 접하면 기와 의욕만 꺾일 뿐이다.


실용성에 더해, 책은 재미가 있어야 한다. 재미가 없으면 계속 읽을 수가 없다. 그런데 이 책을 쓰면서 검토한 대부분의 글쓰기 책들은 솔직히 재미가 없었다. 주로 기술적인 문제만을 나열하기 때문이다. 맞춤법 얘기 계속 나오고 문장 구조에 관한 얘기 계속 나오면 누가 지루함을 견딜 수 있겠나. 이 책은 일차적으로 글쓰기에 곤란을 겪고 두려움을 가진 대학생과 직장인을 위한 책이다. 안 그래도 글쓰기가 부담되는 상황인데 그나마 용기내서 읽은 책마저 지루하다면 너무 잔인하지 않은가. 이런 부분을 감안해서 책의 내용에서 불필요한 군살은 쫙 빼고 초보자에게 필요한 내용을 생생한 사례 위주로 재미있게 구성했다. 책을 읽으면 마치 글쓰기 클리닉을 받는 듯 편안한 기분을 느낄 것이다.


물론 이 책을 읽는다고 해서 당장 글쓰기의 달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 어떻게 태어나서 지금껏 글치였던 사람이 글쓰기 책 한 권 읽는다고 갑자기 글을 잘 쓰겠는가? 그렇지만 읽고 나면 적어도 글쓰기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오해는 사라질 것이라고 확신한다. 왜냐하면 이 책은 단순히 지식만을 전달하는 책이 아니라 ‘나도 글을 쓸 수 있다’는 용기도 불어넣는 책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내가 자신 있게 얘기할 수 있는 것은, 이 책에는 글치 공학도가 인문사회 베스트셀러의 저자가 될 수 있었던 비결이 담겨 있다는 사실이다. 이 비결들을 마음속에 담고 계속 글을 쓴다면, 언젠가 책을 낼 정도로 글을 잘 쓰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웬 근거 없는 자신감이냐고? 근거는 책 속에 있다. 일독을 권한다.


이 책이 독자에게 ‘실용성’과 ‘재미’를 선사한다면 저자로서 더 이상 큰 기쁨이 없겠다. 이 책을 읽고 나에게 글쓰기 클리닉을 의뢰하고 싶다면 언제든지 reltih@nate.com으로 연락을 주기 바란다. 모든 의뢰에 다 응할지는 자신할 수 없지만 적어도 진심이 담긴 이메일이라면 답장 안하고는 못 배길 것이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37 [낙서] 뭐하고 노세요? ^^;; 4 file 항해사 2015.11.03 4845
6436 [낙서] 배고픈 돼지... 1 항해사 2012.01.06 6651
6435 [낙서] 블랙탄! 1 file 항해사 2011.01.15 4611
6434 [낙서] 삐뚤어질테다. 5 file 비굴 2011.10.05 12739
6433 [낙서] 사투리 랩! 김밥에김이없데 2011.07.29 5644
6432 [낙서] 살짝 뒤집어 줄수 있을까! 2 뽀글이 2011.08.30 5489
6431 [낙서] 새우란... 2 file 항해사 2010.05.01 4188
6430 [낙서] 술 먹고 헤롱헤롱 ~~~ 3 file PassMan 2005.09.05 3115
6429 [낙서] 아바이 마을... 9 file 항해사 2011.04.17 5017
6428 [낙서] 안녕 매냐 ^^;; 6 file 항해사 2017.12.30 4759
6427 [낙서] 야밤 근무중에 할것도 없고... 5 file 항해사 2010.04.22 3871
6426 [낙서] 어제 내린 비... 1 file B.B 2009.11.13 7496
6425 [낙서] 어찌 생각하세요? (동양인 / 서양인) 4 항해사 2012.01.04 7053
6424 [낙서] 올해의 첫눈이... 6 file 항해사 2011.12.04 5488
6423 [낙서] 요곡을 아세용!? 2 file 항해사 2011.09.05 4778
6422 [낙서] 요곡이 이거인가봐여!? 3 항해사 2011.09.06 5055
6421 [낙서] 이걸 해도 되나 ㅠㅠ 항해사 2018.01.13 5224
6420 [낙서] 일식.. 3 file 왕스시 2009.07.22 3776
6419 [낙서] 좋은 일... 4 file 항해사 2012.12.29 5556
6418 [낙서] 좋은 친구들 그리곤 나쁜 녀석들 file 항해사 2015.11.10 3565
6417 [낙서] 진정한 프라이드 치킨... 6 file 구로갑 2006.11.03 4203
6416 [낙서] 집에 가고 싶다. 한국 가즈아~ 2 file 항해사 2018.02.18 4993
6415 [낙서] 코멘트란에도 태그하게 해주삼! 9 항해사 2011.09.04 5016
6414 [낙서] 키탄 넘 힘들어 ㅡㅡ; 2 file 항해사 2011.06.08 5109
6413 [낙서] 파노라마 테스트! file 항해사 2011.05.12 4853
6412 [낙서] 프리젠테이션! 1 닥머리 2011.07.09 5488
6411 [낙서] 항해사가 찾고 다니는 그것... 1 file 항해사 2014.01.27 4604
6410 [낙서] 헨델 hwv448 샤콩느를 찾아서... 4 file 항해사 2014.01.20 8903
6409 [낙서] 회전문... 4 file 항해사 2011.09.14 13099
6408 [낙서] 휴가는 어떻게? 2 file 항해사 2011.07.23 4645
6407 [낙서]내겐 너무 까칠한 그녀.. 2 고민남 2006.12.11 3878
6406 [낙서]벚나무 소공녀 2005.11.21 2916
6405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과 중 공권력에 대한 언급 6 연완공자 2009.01.23 11566
6404 [다큐] 리만가설, 천재들의 150년의 도전 12 sunday 2010.12.24 6649
6403 [다큐]엘레간트 유니버스 5 찬찬 2010.12.30 4951
6402 [다큐]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12 찬찬 2010.12.26 5968
6401 [다큐]평행 우주 27 찬찬 2010.12.27 5609
6400 [동영상] 가나다송 ㅋㅋ 오모씨 2004.11.24 4383
6399 [동영상] 당고 삼형제.. 11 citara 2004.04.21 7396
6398 [동영상] 점심때 심심해서.. file citara 2004.05.28 2788
6397 [동영상] 친철한 녀석?? 1 citara 2004.04.21 2869
6396 [동영상] 피겨 여자 싱글 프리스케이팅 김연아 16 고정석 2010.02.26 4534
6395 [동영상]온몸으로 연주하는 클래식 5 citara 2004.04.21 4054
6394 [동이족]에 대한 생각 10 gmland 2009.06.18 3937
6393 [명품 만화] 캐나다인들의 선거 1 언니 2012.04.06 5372
6392 [문제]당신은 살 수 있을까요? 9 사꼬 2008.11.18 3851
6391 [미국의만평] 여러가지 광우병에 관한 미국 만평들. 미친당 2008.05.03 2627
6390 [바바예투] 아프리카의 주 기도문. 6 file 11 2010.10.14 4849
6389 [벙개???까진 아니고요...] 마뇨님 환송회가 있슴돠... 11 pepe 2003.09.18 4200
6388 [보배드림 양카사건] 양아치운전 조심하세요. 4 11 2010.11.03 6595
Board Pagination ‹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