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http://kr.news.yahoo.com/service/news/shellview3.htm?linkid=197&ac=player&articleid=20111102102924142c5
한국 음악인 저력의 비밀은?
 
[KTV] 2011년 11월 02일(수) 오전 10:29

해외언론들도 이 같은 한국 클래식 음악계의 성과에 대해 비상한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벨기에 공영방송 RTBF는 불가사의한 성공의 비밀을 캐보겠다며, 한국에 취재진을 급파했습니다.


계속해서 정명화 기자입니다.


벨기에 공영방송 RTBF가 2년전부터 세계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한국인 음악가들의 성공담을 취재하기 위해 한국을 찾았습니다.


6일간의 취재일정 중 이들이 처음 만난 사람은 한국예술종합학교 최상호 교수.


지난 5월 벨기에에서 열린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동양인 최초로 우승을 차지한 소프라노 홍혜란씨의 스승입니다.


취재팀을 이끌고 온 음악감독 티에리 로로씨는 지난 2년간 세계 주요 콩쿠르를 휩쓴 한국 음악가들의 활약에 대해 '한국발 산사태가 전 세계 클래식 음악계를 강타했다고 표현하며 준비된 이십여개의 질문을 거침없이 이어갔습니다.


티에리 로로 음악감독/ 벨기에 공영방송 RTBF


“콩쿠르에서 작년에 1차 진출자의 30%가 한국인이었고 이중 5명이 결선에 진출했습니다. 한꺼번에 한국인이 확 몰려오는 듯한... 한국인 음악가가 성장한 느낌이 강하게 들었습니다.”


취재팀은 한국에 머무는 동안 클래식 신동들을 배출해 낸 한예종 교수들과 최성규,


강유경, 신현수 등 음악 영재들을 잇따라 만나 인터뷰를 진행하고, 학생들의 가정은 물론 이들이 수업하는 모습까지 꼼꼼하게 담아갈 예정입니다.


이들이 취재한 다큐멘터리 '한국과 클래식 음악'은 내년 5월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기간에 유럽 전역에 방송될 예정입니다.


케이팝을 넘어 클래식 한류로, 세계무대에서 한국인의 활약을 기대해봅니다.


KTV 정명화입니다.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석권
‘코리아 미스터리’ 큰 관심

 
 RTBF는 한국 음악가들이 세계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비결을 취재하기 위해 한국을 찾았다. 

바이올리니스트 신현수 씨(24·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사 과정)는 난감한 표정이었다. 
4일 오후 서울 서초동 한예종 김남윤 교수 연구실. 신 씨는 벨기에 최대 공영방송인 RTBF의 다큐멘터리 
취재진과 인터뷰를 앞두고 있었다. 프랑스어 통역을 맡은 황희영 씨가 △클래식을 시작하게 된 이유와 공부법 
△왜 프랑스 롱티보 콩쿠르에 나갔나(신 씨는 2008년 이 콩쿠르에서 우승했다) △무대에 서기 전 집중력을 
높이는 비법이 있는가 등의 질문이 나올 예정이라고 귀띔해주자 신 씨는 “모든 과정이 자연스럽게 
이뤄진 일이어서 답하기가 쉽지 않겠다”며 웃었다.

벨기에 방송이 한국 음악계의 탁월한 성취에 얽힌 ‘미스터리’를 취재했다. 벨기에의 퀸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한국인이 좋은 성적을 내고 있는 것이 취재의 계기였다.

1990년대만 해도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예선을 통과한 한국인은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였다. 지난해엔 
예선 통과자의 29%가 한국인이었고 결선 진출자 12명 중엔 5명이었다. 올해는 소프라노 홍혜란 씨가 
성악 부문에서 동양인 최초로 우승을 차지했다. 벨기에 취재팀은 이런 ‘불가사의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현상’에 대해 직접 한국에 와서 알아보기로 했다.

한국을 찾은 방송진은 다큐멘터리 감독 겸 작가를 맡은 티에리 로로와 피에르 바르를 비롯해 음향 카메라 
기술진 등 4명. 1∼5일 한예종과 서울대, 한예종 영재교육원, 음악영재의 집 등을 방문해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황 통역사는 “질문지를 받았을 때 ‘한국 사람들이 왜 서양 클래식을 하나’ ‘음악을 취미로 하는가, 일이라고 
생각하는가’ 같은 질문을 보고 이들이 한국의 돌풍을 얼마나 의아하게 생각하는지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홍 씨를 가르친 최상호 한예종 교수는 △학생이 콩쿠르에 나가서 꼭 상을 받아야 하는가 △왜 독일로 유학을 
많이 가는가 등의 질문을 받았다. 이영조 한예종 한국영재교육원 원장에게는 △한국의 클래식 역사가 짧은데 
어떻게 이런 성과가 가능한가 △너무 어릴 때부터 경쟁에 휘말리는 것이 아닌가 등에 대해 물었다. 
최 교수와 이 원장, 박종원 한예종 총장 등은 “한국 음악도들이 거둔 성과는 선배 세대가 뿌린 씨앗을 
거두고 있는 것”이라고 답했다. 이 원장은 “한민족에는 예술성이 깃들어 있다. 또 부모와 스승을 동일하게 
여기는 순종의 전통이 학생들에게 정신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취재진은 “순종이 창의력을 
죽이지 않는가”라고 반문했고 이 원장은 “그걸 보완하기 위한 교육도 하고 있다”고 답했다.

취재진은 ‘한국의 미스터리’를 밝힐 수 있었을까. 취재 막바지에 만난 감독들은 이렇게 답했다. “한국의 경제 
성장이 한국 음악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느낄 수 있었다. 부를 축적하면서 음악과 예술에 
투자했고 어머니들도 자녀에게 더 관심을 쏟았다.” “한국인은 표현력이 좋고 개방적이다. 이런 면이 
음악가들의 성과에 한몫했다고 본다.”

취재진이 우려하는 부분도 있었다. 로로 감독은 “해외 콩쿠르 입상 후 한국인들이 고국에 돌아가 활동할 만한 
무대가 많이 있는지 염려스럽다”고 의미 있는 지적을 했다. 바르 감독은 “유럽에 비해 수련 기간이 엄격하다. 
개인으로서의 삶을 희생해야 한다. 그래서 좋은 성적을 냈겠지만 안타까운 면이 있다”고 말했다.

52분짜리 이 프로그램은 내년 5월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기간에 벨기에에서 방영된다.

조이영 기자 lycho@donga.com

      
Comment '9'
  • 최동수 2011.11.08 22:58 (*.255.173.43)
    잘 읽었습니다.
    한예종과 한국음악계도 세계에 알려질 때가 되었군요.

    낙서란에 올리기에는 좀 아깝다는...
  • 콩쥐 2011.11.09 07:36 (*.172.98.167)
    우리나라 부모님의 자녀교육열을
    따라올 나라가 있을까요?
    심지어 등하교길에도 부모가 도와주니
    너무 심하다싶을정도로 열심히 뒤에서 후원하는 부모들...
  • 현실 2011.11.11 04:20 (*.77.106.191)
    잘 보았습니다만.....생각해볼 부분이 있습니다

    지금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학생중 자살자가 10명이나 됩니다...

    과도한 입시과열.....학교에서의 심리적 압박이.......20살 넘은 성인이 되어 표출되고 있는겁니다..

    잘생각해보셔야 할부분이 있습니다..

    콩쿠르 입상자는 기껏해야 3~4명 소수이지만......나머지 며천명의 졸업생및 학생들은 죽어가고 있다는겁니다

    케이팝도 지금 말이 많습니다...언론에서 조작한다는 설도 있고.....그안에는 부조리와 로비가 있다는 설도 있습니다만......케이팝은 돈을 위한 음악 그 이상 그 이하도 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또한 콩쿠르 입상을 위해 음악을 하는것인지? 음악자체에 의미를 두고 음악을 하는것인지....

    진지히 생각해볼필요가 있다는겁니다...
  • 현실 2011.11.11 04:24 (*.77.106.191)
    또한 잘 지적하신 부분이 있습니다...부모들의 교육열 도가 지나치시죠

    그러다 보니....공부가 인생의 전부인 삶을 살게 되고...

    서울같은 경우는 모르겠습니다만.....제가 사는 지방에서는....의사면 최고입니다

    딸갖은 엄마들이 의사에 환장해서...자기딸은 무조건 의사에게만 시집보낸다는

    정신나간 여자들이 정말 많더군요...지방이라 그런걸가요? 서울도 그럽니까?

    이대로 가다가는....무조건 공부잘해서 의사 판사만될려고 하거나...음악도 콩쿠르만 위해 음악을 하는 세상이 될가 걱정입니다.....

    참으로 획일화된.....재미없는 현실이죠
  • 현실 2011.11.11 04:28 (*.77.106.191)
    세고비아가 같은 인물이 콩쿨에 목숨걸었다면....세고비아 같은 인물이 못되어겠죠..

    잘생각해 보길 바랍니다...

    세상에 영향을 행세한 카리스마적 인물들은....그냥 존경하라고 있는게 아니라

    그사람들의 행동 인품도 연구해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세고비아가 콩쿨에 목숨걸었다는 소리는 한번도 못들어본거 같군요...

    또한 세고비아가 책에다 남겨놓은 유명한 명언이 있습니다

    "수많은 음악가들이 음악가는 될수 있을지언정 예술가가 되긴 어렵다"
  • 현실 2011.11.11 04:45 (*.77.106.191)
    콩쿠르는 음악가 양성과 하등의 관련이 없다는 겁니다..

    가령 콩쿠르 2등자는 1등자보다 덜떨어지는 음악가이요

    콩쿠르 1등한자는 세계최고 음악가인가요?

    1등을 가리기 위해.....각국별 콩쿠르 우승자들을 모아놓고..또 콩쿠르를 진행하여

    세계최고를 가려야 되겠네?

    또 하나 떠오르는게 있는데.....세고비아가 마스터 클라스를 만들고 후학양성에 힘쓴건 분명하지만

    콩쿠르를 조아해서....만들거나...심사했다는 얘기는 못들어본거 같군요

    예술에다가 1등 2등 가리는 행태는 외국이라고 해도 잘못된거라 봅니다

    외국 사람들이 다 합리적인것만은 아니라는 겁니다

    예날 로마시대에는.....성전에 검투사들의 대결을 보면서 피흘리고 죽는걸 보고 즐겼었죠

    누가 최고의 검투사인가 가렸다고 합니다.....오늘날 콩쿠르의 기원이 여기서 왔다는 겁니다..




  • 현실 2011.11.11 04:48 (*.77.106.191)
    국내 음악가들을 관찰해보면 그렇습니다...

    유독 콩쿠르만 좋아하고..목숨거는자들이 있습니다..

    콩쿠르도 하는 사람만 계속 목숨걸고 하더군요...

    콩쿠르를 위한 음악=검투사 대결.....볼만하죠
  • 현실 2011.11.11 04:52 (*.77.106.191)
    예술가중에 콩쿠르에 목숨거는 자는 단 한명도 보지 못한거 같습니다

  • 현실 2011.11.11 04:54 (*.77.106.191)
    작곡 콩쿠르 하면 망고레 음악은 몇위일가요?

    콩쿠르 조아하는 자들에게 물어보고 싶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38 힘든일은 누가하나요에 대한 답글 1 이런 2011.08.21 5791
6437 불~어라 색서폰아 ~ 알토로 헤헤 5 file SPAGHETTI 2011.01.21 5789
6436 쏠레아님 ~ 황우석의 기술. 23 file 콩쥐 2009.05.08 5788
6435 불장난 1 언니 2011.07.14 5787
6434 전시회..겔러리 더 웨이 file 콩쥐 2012.06.18 5787
6433 술 안마신지 70일째 ... 12 칸타빌레 2012.08.20 5786
6432 로그인 안하고도 되나요? 1 file 콩쥐 2012.03.09 5785
6431 고양이의 특이 행동 1 file 꽁생원 2012.05.22 5784
6430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6주기 추도식에서 아들 노건호, 김무성에 “전직 대통령 죽음으로 몰아” 직격탄 마스티븐 2015.05.24 5783
6429 만남 file 콩쥐 2012.06.24 5783
6428 안녕하세요 미미마우스 2021.02.19 5781
6427 콕토의 역학강의 제1편(콩쥐님 사주) 21 콕토 2006.12.24 5781
6426 쫑 님을 명예훼손으로 고소하겠음 14 금모래 2011.11.03 5780
6425 세월호 구조의 실제 실상 3 기사 2014.04.18 5780
6424 동딸 1 언니 2015.05.13 5778
6423 책 <데이비드 아이크의 X파일>.......................... 요약 1 콩쥐 2015.07.09 5778
6422 재미로 만들어봤어요 3 file 희주 2006.06.06 5778
6421 김포 file 콩쥐 2012.06.15 5777
6420 Like A G6 - Far East Movement 21 file SPAGHETTI 2010.08.24 5776
6419 장난감 하나면 더 필요없는 아이들.. 1 file 콩쥐 2012.07.02 5776
6418 화합-물처럼 바람처럼 ........................섬집아이 명절 2012.09.30 5775
6417 여름... 작은 파도처럼 부서지는 아카펠라 file 나투라나투라타 2011.06.29 5774
6416 유튜브 댓글들이 전혀 안보이는데 차단됐나요? 4 SPAGHETTI 2010.04.26 5774
6415 스페인의 천재화가 고야의 작품들과 작곡가 테데스코 16 file 어떤기타맨 2004.10.12 5774
6414 부러진 화살, 사라진 재미 1 PARKTERIA 2012.01.30 5772
6413 새로운 대안을 찾자 3 익명인 2004.11.30 5771
6412 미격투기 MMA 선수 몸에 그려진 한글 6 file SPAGHETTI 2009.10.15 5770
6411 미래의 자매기타리스트.... file 콩쥐 2008.07.15 5769
6410 [낙서] 프리젠테이션! 1 닥머리 2011.07.09 5767
6409 축구선수 메시TOP 10 / The best Goals of Lionel Messi/Los diez mejores goles de Messi en el Barcelona | 축구를 좋아 하시는 분들을 위해 !! 1 마스티븐 2014.03.17 5765
6408 이런 꽃 이름이 뭘까요? 2 file SPAGHETTI 2011.07.13 5764
6407 1000원짜리 선물?!? 7 nenne 2005.04.02 5764
6406 서양인의 개(犬) 사랑 12 file 꽁생원 2012.08.24 5764
6405 사람, 개, 괭이 3 file 땅콩 2009.10.03 5761
6404 시골 닭가족 ,병아리 시골 2013.05.05 5761
6403 속초, 대설주의보1 2 file 금모래 2011.02.12 5759
6402 23시간 심장수술. file 기막히고 2014.10.26 5758
6401 연주쪽이나 우선 풀어주시지... 그냥 그렇다고요~^^ 12 휘모리 2012.03.09 5758
6400 새 디자인 서울 file 2015.09.21 5757
6399 깨달음..! 13 勺園書生 2004.02.23 5757
6398 丈夫出家生不還 1 꽁생원 2012.04.22 5757
6397 고추조림 8 file 콩쥐 2009.11.03 5756
6396 산스크리트 능엄주 산스크리트 2016.01.09 5754
6395 다큐멘타리 2 연구 2011.09.03 5750
6394 부패지수 높은 나라에서 벌어지는 현상 기사 2014.05.14 5749
6393 바퀴달린 운동화..... 6 차가운기타 2002.07.24 5749
6392 카르카시가 마치 반주로 쓰인것 같은... 2 추론 2015.09.03 5746
6391 대설주의보5 2 file 금모래 2011.02.12 5746
6390 검찰은 홍준표 긴급체포하라-김경협 긴급체포 2015.04.26 5743
6389 민영화 민영화 2012.05.05 5743
Board Pagination ‹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