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국립국어원> 발표

아무거나 드시라네요.  
Comment '9'
  • canna 2011.09.01 03:46 (*.175.216.32)
    '짜장면' '자장면' 둘다 표준어이군요....
    저번에...짜장면 이야기할때...'짜장면' 이 맞는지, '자장면' 이 맞는지 궁굼했었는디.....
    좋은 정보 감사합나다.^^
  • 2011.09.01 05:30 (*.172.98.185)
    추가된 말들은
    항상 일상에서 써오던거라 이제사 표준어가 되었다는것에 당황하게 되네요...

    금모래님 덕분에 좋은 공부했네요.
  • 최동수 2011.09.01 09:24 (*.255.173.43)
    [두가지 표기를 모두 표준어로 인정한 것]은 알겠는데...

    -현재 표준어와 같은 뜻으로 추가로 표준어로 인정한 것(11개)
    -현재의 표준어와 별도의 표준어로 추가로 인정한 것(25개)는 이해가 어렵군요


    질문1 :
    아래와 같은 선다식 시험문제서 맞는것 1개만 고르라고 할 때,
    가) 나래
    나) 날개
    위와 같이 2개의 정답이 있을때는 어찌해야 되는지요?


    질문2 :
    같은 선다식 시험문제에서 맞는 것 1개만 고르라고 할 떄,
    가) 새초름하다
    나) 새치름하다
    위와 같은 문제가 나왔을때는?


    한글학자들의 오랜 연구 결과가 낙서방에나 오르면 곤란하죠.
    지금 각종 인터넷 매체와 도하 각신문에도 발표되고 있는
    아주 중요한 사항으로 여겨집니다.

    기왕이면 적용 사례를 예를 들어서 게시판에 올려주셨으면...
  • 금모래 2011.09.03 00:14 (*.137.225.210)
    역시 최 선생님은 참 탐구적이세요.

    "현재 표준어와 같은 뜻으로 추가로 표준어로 인정한 것(11개)?"
    =>형태가 다르지만 뜻이 완전히 같은 표준어('택견/태껸, 품새/품세, 짜장면/자장면'은 형태도 비슷비슷하고 뜻도 완전히 같은 표준어)를 말합니다.

    "현재의 표준어와 별도의 표준어로 추가로 인정한 것(25개)?"
    =>형태도 비슷비슷하지만 뜻이 완전히 같지 않은, 즉 정서적, 감정적으로 미묘한 차이가 있는 표준어를 말합니다.

    "질문1 :
    아래와 같은 선다식 시험문제서 맞는것 1개만 고르라고 할 때,
    가) 나래
    나) 날개
    위와 같이 2개의 정답이 있을때는 어찌해야 되는지요?"

    => 질문의 '맞는 것'이라는 것이 '표준어로서 맞는 것?'을 묻는 거라면 둘 다 정답입니다.
    그러나 '새의 어깨쭉지에 붙어 날도록 하는 것'으로 일상적인 말은?'이라고 물었다면 '날개'가 답이고,
    '<날개>를 문학적으로 부드럽게 표현한 말은?'이라고 물었다면 '나래'가 답입니다.


    "질문2 :
    같은 선다식 시험문제에서 맞는 것 1개만 고르라고 할 떄,
    가) 새초름하다
    나) 새치름하다
    위와 같은 문제가 나왔을때는?"

    => '맞는 것'이라는 것이 '표준어로서 맞는 것을 고르라'라는 것이라면 둘 다 정답입니다.

    => '<조금 쌀쌀맞게 시치미를 떼는 태도가 있다>라는 뜻에 해당되는 것은?'이라고 물었다면
    '새초롬하다'가 정답입니다.

    => '<쌀쌀맞게 시치미를 떼는 태도가 있다>'라는 뜻에 해당되는 것은?'이라고 물었다면 '새치름하다'가 정답입니다.
    뜻풀이에 '조금'이라는 부사어로 감정의 차이를 나타냈네요. 결국 '새치름하다'가 '새초롬하다'보다 어감이 약간 더 센 말이 됩니다.

    "한글학자들의 오랜 연구 결과가 낙서방에나 오르면 곤란하죠."
    => 위 표준어는 국립국어원에서 언중들의 언어습관을 반영해 새로 설정한 것으로 여러 언론 매체들이 알리고 있고 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널리 알리는 것이 좋아 여기 낙서방에도 심심풀이로 들먹여서 보는 사람이라도 본다면 좋을 거라 실었는데 귀중품처럼 특별한 곳에만 올려야 한다는 뜻인지 무슨 뜻인지 모르겠네요.

    질문을 하셔서 말씀을 드렸는데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기타 사항은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에 가면 <묻고 답하기>가 있고 거기에는 <표준국어대사전>도 있어 단어의 의미나 표준어 여부를 금방 알 수 있습니다.

  • 사이시옷 2011.09.03 09:11 (*.252.235.6)
    추가된 표준어가 표준어처럼 쓰이고 있네요.
    개인적으로, 발음편의를 위해 끼워넣는 사이시옷도 도로 돌려 놓았으면 합니다.
    제가 보기엔 영 글씨 모양도 안 좋고, 발음도 거셉니다.
    예를 들어, 전셋값, 회삿돈, 하굣길, 안갯비 --- > 전세값, 회사돈, 하교길, 안개비
  • 최동수 2011.09.03 11:38 (*.255.173.43)
    금모래님 덕분에 공부 잘했나이다.

    낙서방 보다는 뭔가 비중이 높은 듯하고,
    매니아 모든 분들께 알려드리는게 바람직하지 않겠나?
    하고 생각 해본 겁니다. 하하

    중주연습이나 열심히 하시고, 강화에서 뵐께요.
  • a 2011.09.04 12:31 (*.196.39.125)
    쎄고비아
  • 금모래 2011.09.06 01:28 (*.137.225.210)
    최 선생님이야 탐구적이시고 워낙 학구적이시라 그렇지만 기타치시는 분들이 대부분 이런 것에 무슨 관심이 있으시겠어요.

    영어사전은 끼고 살면서도 평생 국어사전하고 담 쌓고 사는 사람도 많답니다.
    여기는 음악사이트니 음악과 관련되지 않은 것은 모두가 낙서죠 뭐.

    사이시옷 님은 나름대로 연구를 하신 분인데 한 가지 오해는 사이시옷은 사이시옷을 써놓았기 때문에 발음이 거세지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발음이 거세게 나오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표기해주는 거랍니다. 대부분 사이시옷을 적지 않아도 된소리는 자동으로 나오죠. 종종 <국립국어원>에 들러보세요. 거기 가면 답변을 잘해줍니다. 한 가지 '안개비'를 '안갯비'로 말하는 경우는 없는데 예를 잘못 드신 듯하네요.
  • 최동수 2011.09.06 15:13 (*.255.173.43)
    세월에 따라 어감이랄까 발음도 달라지기 마련이죠.

    저처럼 최현배님이나 이희승님 시대에 국문법을 배운사람들은
    좀 헷갈리기도 하지만... 사는 날까지 배우면서 따라가야겠죠.


    하긴 중국에서도 근래에 발음을 많이 교정하더군요.

    예를 들면, 고맙다는 말을 예전에는 "씨예씨예(謝謝)"로 발음 했었는데
    이즈음에는 구개음화되어 편하게 "씨-씨예"라고 고처 발음 한다더군요.
    하긴, "씨예씨예"라고 발음하려면 턱이 좀 불편해지죠.

    연변 조선족은 아직도 "씨예씨예"라고 한다고 어떤 분이 말하더군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337 BC 6500년전 악기 2 꽁생원 2016.08.02 2331
7336 건강하기를 원한다면--- GMO 완전표시제법 전면적으로 실시해야할 당신의 할일은 ? 마스티븐 2016.07.30 5814
7335 사과나무 3 file np 2016.07.28 2949
7334 김형곤 강의 콩쥐 2016.07.26 2723
7333 학자 file 2016.07.24 2518
7332 웃기는 만담도 들어보시라요.........(셔프라이스에서)|-똥별들이 호텔에서 폭행당한 사건 한번웃어봅시다 2016.07.22 2846
7331 온나라가 떠들석 1 경제인 2016.07.22 2501
7330 드립커피 전문점. 콩쥐 2016.07.21 2657
7329 식약처의 GMO 표시제에 관한 개정고시안 file 마스티븐 2016.07.15 2374
7328 현실을 직시하자 1 한국경제 2016.07.11 2291
7327 층간소음 알고보니 건설사탓...일본보다 60mm얇아 층간소음 2016.07.06 2423
7326 시가 태우는 로메로 1 감상 2016.07.04 2331
7325 김다미.........violin 1 콩쥐 2016.06.26 2137
7324 외국인의 힘 1 외국인 2016.06.24 2429
7323 만화 망가 2016.06.24 2725
7322 젖은책 말리는 방법 콩쥐 2016.06.22 2563
7321 ebs 아기 성장 보고서(행복한 아기를 만드는 조건) 1 꽁생원 2016.06.19 2277
7320 소피마르소 laboum 2016.06.18 3104
7319 한국은 왜? 2 왜? 2016.06.18 2708
7318 GMO 식품 대처 어떻게 할것인가 ?-소비의 알권리 차원 우선적으로 지켜야할 국민의 건강과 기본권 20대 국회에서 GMO 표기 법안부터 통과 시켜야 마스티븐 2016.06.17 2181
7317 오늘도 Gmo식용유를 시식하며... gmo 2016.06.17 2279
7316 6.17 국회. GMO 추방 공동대책위원회 구성 및 식약처 시행령 긴급 대책 회의에 초대합니다. 1 마스티븐 2016.06.10 5373
7315 덴마크 국회의원 vs. 한국 국회의원 자전거 2016.06.09 2963
7314 기타가 반주로 나오는 노래 제주도 2016.06.08 2596
7313 스마트폰으로도 이런 사진을 !!! 밝기조절, 초첨, 화이트 밸런스(자동,백열등,맑은날, 형광등,흐린날) 다양한 기능 적극활용하니 사진이 재미있군요 1 file 마스티븐 2016.06.07 3204
7312 어느 젊은 외국인 아빠가 주는 교훈 교훈 2016.06.05 2521
7311 (상식) 리플리 증후군 - Ripley syndrome file 시골농부 2016.06.04 3746
7310 학비 5 2016.06.03 3050
7309 미국보다는 한국에서 2016.06.03 2584
7308 정적의 숲속 향기 2 file 마스티븐 2016.06.01 6066
7307 쇼팽 국제 콩쿠르 우승 北 13세 소녀 연주 꽁생원 2016.06.01 3722
7306 이젠안녕 안녕 2016.05.30 5753
7305 1세기에 작곡된 음악 2 file 꽁생원 2016.05.23 6073
7304 요즘 학생 학생 2016.05.22 5955
7303 미국에서 뱀에 물렸을 때 1 file 꽁생원 2016.05.14 3118
7302 전쟁 직후 베를린 모습 1 file 꽁생원 2016.05.08 2688
7301 "..것 같아요 "란 말은 그만 .."합리적 논쟁막아 민주주의 위협"NYT 칼럼.. "겸양어법이지만 말하는 순간 논리적 비판 봉쇄" 마스티븐 2016.05.03 2724
7300 독일의 주거 제도 3 file 꽁생원 2016.04.24 5955
7299 목재 저장소 file 꽁생원 2016.04.20 2770
7298 달걀 쉽게 까는 법 꽁생원 2016.04.16 6094
7297 선거조작을 위한 충분한 의심이가는 수상한 SBS의 실수일까 ? 선거조작의심 예행연습실수? 2016.04.13 2657
7296 4.3항쟁과 잠들지 않는 제주- 아 제주 4.3의 비극이여 2016.04.05 2957
7295 역대 세계 바둑 순위 2 꽁생원 2016.03.26 5061
7294 여성이 운전을 못하는 이유? 2 꽁생원 2016.03.22 11666
7293 수비탁구의 진수 1 꽁생원 2016.03.22 2462
7292 신개념 습도조절기 1 file 꽁생원 2016.03.20 4820
7291 기타를 이용한 연주기계? 2 꽁생원 2016.03.04 5366
7290 2족 보행 로봇 1 꽁생원 2016.02.25 3201
7289 망고레 영화가 있네요. 2 file 꽁생원 2016.02.17 4473
7288 간다라 콩쥐 2016.02.16 3469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