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55.173.119) 조회 수 4967 댓글 8

내가 젊고 자유로워서 상상력에 한계가 없을 때,
나는 세상을 변화 시키겠다는 꿈을 가졌었다.

좀 더 나이가 들고 지혜를 얻었을 때
나는 세상이 변하지 않으리라는걸 알았다.

그래서 내 시야를 약간 좁혀 내가 살고 있는
나라를 변화 시키겠다고 결심했다.

그러나 그것 역시 불가능한 일이었다.

 
황혼의 나이가 되었을 때 나는 마지막 시도로,
나와 가장 가까운 내 가족을 변화 시키겠다고 마음을 정했다.

그러나 아무도 달라지지 않았다.

 
이제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
누운 자리에서 나는 문득 깨닫는다.

만일 내가 내 자신을 먼저 변화 시켰더라면,
그것을 보고 내 가족이 변화되었을 것을.

또한 그것에 용기를 얻어 내 나라를 더 좋은 곳으로 바꿀 수 있었을 것을.

그리고 누가 아는가,
세상까지도 변화되었을지!

 
---------------------- 원      문 -----------------------------------------

 
When I was young and free and my imagination had
no limits, I dreamed of changing the world.

As I grew older and wiser, I discovered the world would not change,
so I shortened my sights somewhat and decided to change only my country.

But it seemed immovable.
 

As I grew into my twilight years, in one last desperate attempt,
I settled for changing only my family, those closest to me,

but alas, they would have none of it.

 
And now as I lie on my deathbed, I suddenly realize :
If I had only changed myself first, then by example I might have changed
my family.

From their inspiration and encouragement I would then have been able to
better my country,

and who knows,
I may have even changed the world.
 
Comment '8'
  • 아즈 2010.09.15 23:15 (*.168.24.228)
    최 선생님 안녕하세요~^^

    한 사람의 인생길을 천만갈래 길이라고 가정 해 놓고서

    그 천만갈래 길을 다 가 볼 수 있게 하였더라도

    그 사람은 역시 또 그렇게 생각할 거라는 생각입니다.

    "지나 온 과거를 바꿀 수 없듯이 다가 올 미래 또 한 바꿀 수 없다."

    다만 계획은 세울 수 있겠지요.

    사람들은 옛 사진첩을 꺼내어 놓고서 친구에게나 애인에게나 말 하기를

    "이게 나야" 하곤 합니다.

    저는 그 생각의 말을(사진속의 사람이 "나야" 라고 하는) 지나친 착각이라고

    얘기 해 주고 싶습니다.

    사진속의 사람은 엄연히 "나 였었어" 라고 해야 함에도 불고하고 누구나가

    "이게 나야" 라고들 하듯이 절대 착각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되거든요.

    세상을 변화 시킬 수 없었으니..

    내가라도 변했었었으면.. 이라는 것은 결국 그 사람의 미지수적 공상과

    착각이라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고칠 수 있는 사람은 "변화되어야 하기 이 전에" 고칠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내일은 또 우리에게 주어지겠지만 내일 할 일을 준비해 둔 사람은 적어도

    두 갈래 길을 만들어 망설이지는 않을 거라고 말씀 드리고 싶어요.

    미래를 바꿀 수는 없더라도 계획은 실천할 수 있다. 라고 믿는다면 세상은

    이미 바뀌어 있을 것만 같습니다.

    헤헤..


    내일 아즈의 개핵 일부를 말씀 드립니다.

    두꺼비 삼총사를 초빙해 면담을 해 볼까 합니다.

    이노므 시상을 밖우고 싶은데 우야믄 존노? 잉~ 하고 말입니다.^^

    아마도 두꺼비 일총과 이총과 삼총이 입을 모아서 이렇게 노래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염려 말그래이~ 옆 동네 사는 개똥이가 바~알~써 바꿨다 일마야~!!"

    세상이 자신과 맞지않는 이유는 다른 그 누군가가 이미 바꾸어 가기때문 일 겁니다.






  • 음... 2010.09.15 23:22 (*.148.90.189)
    부처님이 몇천년전부터 하신 말씀이죠.
  • 2010.09.16 10:38 (*.161.14.21)


    정말 좋은 글이군요.

    (다만 독립운동할때,
    "너 자신부터 바꾸지 왜 구태여 일본군하고 싸우려고 해?"
    이런 경우만 아니라면요....전 그런 비숫한 경험을 선배한테 겪어서...)
  • 2010.09.16 10:52 (*.195.175.105)
    맞습니다.
    저 글의 핵심은 매우 높은 영적 지혜가 담겨있는 글입니다.
    흔히들 세상을 바꾼답시고 무슨 무슨
    운동이다, 혁명이다, 투쟁이다...하고 난리 치는데,
    일면 단순해 보이는 저 글의 지혜가 사실 핵심입니다.

    바꾸어 말하면, 내면으로 들어가라는 성자들의 설파가
    일부 저기에 담겨 있는 것으로, 외적인 투쟁은 정도가 아니라는
    것과 같은 얘깁니다. 동의하기 어려운 분도 있겠지만...
  • 쩝쩝... 2010.09.16 10:56 (*.177.93.211)
    남자들이란...
    세상을 바꾸려면 여자가 되어라...
  • 친구 2010.09.16 13:08 (*.161.14.86)
    대부분의 사람들은 체념합니다,
    소수의 사람들은 혁명을 일으키려고 합니다.,
    그러나
    극소수의 사람들만이
    자기변화의 작은 세상을 지향합니다,

  • BACH2138 2010.09.16 16:53 (*.237.24.241)
    이글의 기본 취지하고는 다르지만,

    묘비라는 글귀를 보니, 새삼 장례의식을 생각하게 됩니다....
    저희도 부모님이 연로하셔서 부모님 돌아가시면 어떻게
    해야할지 형님과 많은 이야기를 하는데요.....

    저희집은 화장쪽으로 갈 것 같습니다. 부모님도 그 쪽을 선호하시고요......
    묘 벌초문제, 산림훼손문제 등 많은 문제를 안고 있는 기존의
    장의 문화가 우리 집에서는 일대 혁신을 가져 올 듯합니다.

    이전부터 제가 주장하기도 한 것인데, 환경쪽에 공무원이신
    형님도 저와 같은 의견을 가졌고, 부모님도 그게 좋다고 하시니
    말이죠.....

    특히 부모님의 경우는 노대통령의 화장의식이 많은 영향을 끼친 듯합니다...

    매번 산에 벌초할 때 예초기 날에 맞아 죽는 수 많은 벌레들을 생각하면
    가장 아팠는데, 점차로 이 문제가 해결될 기미를 보이니 기분이 좋아집니다.

    이렇게 생각을 가지고 고민하다보면 약간씩 변화하나 봅니다.


  • 꽁생원 2010.09.16 18:01 (*.109.25.98)
    땅끝까지 전도하라..

    세상을 바꾸려하지 않고 모든 인간이 내면에만 관심을 가졌다면
    지금 인류는 여전히 군주시대를 살고 있겠죠.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37 친구 2010.10.03 4228
4936 30여년 조선일보 독자(?)-고른 영양(정보)섭취? 9 에스떼반 2010.10.03 5046
4935 옛날 영상 - 저 별과 달을 5 꽁생원 2010.10.02 5299
4934 2 친구 2010.10.02 4353
4933 배추가 밭에선 1000원인데... 7 file 배추 2010.10.01 4637
4932 애완견-American Cocker Spaniel 10 file 땅콩 2010.10.01 4233
4931 편리한 단축키 총 집합 1 file 땅콩 2010.10.01 6034
4930 잠시 재미로 보는 이미지 7 file 버들데디 2010.09.30 4248
4929 사라져가는 아름다운 풍속에 대한 아쉬움-대가족 제도 31 에스떼반 2010.09.30 5235
4928 영화..........채식부족가족 1 채식 2010.09.30 4352
4927 오늘 첨 알았네요...글자체변경 7 file 콩쥐 2010.09.30 6335
4926 입신의 경지를 넘어 신의 경지 2 ganesha 2010.09.30 5337
4925 지존을 넘어 입신의 경지... 2 file 콩쥐 2010.09.30 4778
4924 채소값 오른 이유....양쪽의견 2 채소 2010.09.30 4626
4923 2 친구 2010.09.30 4104
4922 질문 좀... 기타하드케이스 가지고 비행기 탈 수 있나요? 8 질문 2010.09.30 6796
4921 아브레우 박사-클래식으로 아이들을 구원하다 고정석 2010.09.29 4473
4920 잠자리 file 2010.09.29 4747
4919 충격과 공포의 장면... 5 file 꽁생원 2010.09.29 5194
4918 비슷한 테러를 당한 두 나라의 전혀 다른 반응(미국-스페인) 18 에스떼반 2010.09.28 4910
4917 배추가 한포기에 13800원... 올해 김장은 포기?? 25 11 2010.09.28 4589
4916 2 친구 2010.09.28 4363
4915 거꾸로 읽어도 같은 글 30가지(펌) 6 최동수 2010.09.27 4423
4914 [re] 거꾸로 들어도 같은 음악 2 오덕구 2010.09.28 4663
4913 24 친구 2010.09.27 4228
4912 콜라가 질병치료에 쓰여... 4 코크 2010.09.26 4592
4911 전어 4 file 전어 2010.09.25 4644
4910 [re] 계란찜 file 계란찜 2010.09.25 4518
4909 반도체 산업은 적지 않은 암환자 유발하는 직업병 다발성 산업? 3 에스떼반 2010.09.25 4625
4908 몽고반점 (한국반점) 13 file 콩쥐 2010.09.25 8564
4907 친구 2010.09.25 4041
4906 일본인의 특징 193가지 32 최동수 2010.09.24 18599
4905 간만에 웃으시라고..... 3 file 11 2010.09.24 4983
4904 눈물이 멈추질 않네요.... 2 콩쥐 2010.09.24 5167
4903 친구 2010.09.23 4221
4902 사대강 사업의 생명파괴 사업-아 눈물이 쉬르르 흘러 납니다. 6 에스떼반 2010.09.23 5005
4901 혹시 이 기타협회보 기역하시는 분 있으신지? 2 file k 2010.09.21 4715
4900 친구 2010.09.21 4433
4899 추석 선물-동영상^^(비행멀미 안하시는 분만 보세요) 3 k 2010.09.20 5114
4898 장씨 3 백수 2010.09.20 4403
4897 친구 2010.09.19 4734
4896 이승만을 이해하면 한국을 이해할 수 있어요. 17 잘몰라서 2010.09.18 5472
4895 절대잊지 말아야할 이 사람의 말- 임기전이라도 정권을 내 놓겠다 3 에스떼반 2010.09.17 4582
4894 출근하는 닭들 9 file 콩쥐 2010.09.17 5252
4893 친구 2010.09.17 4176
4892 금모래님께 보내는 추석선물 7 file 콩쥐 2010.09.16 4476
4891 장관 두번할것도 아닌데....... 5 11 2010.09.16 4918
4890 금모래님 글 퍼왔습니다. 4 file 금모래님팬 2010.09.16 4638
» 어느 묘비에 새겨진 글(펌) 8 최동수 2010.09.15 4967
4888 친구 2010.09.15 4360
Board Pagination ‹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